KR101658091B1 -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91B1
KR101658091B1 KR1020140043800A KR20140043800A KR101658091B1 KR 101658091 B1 KR101658091 B1 KR 101658091B1 KR 1020140043800 A KR1020140043800 A KR 1020140043800A KR 20140043800 A KR20140043800 A KR 20140043800A KR 101658091 B1 KR101658091 B1 KR 10165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abnormal
information
remote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77A (ko
Inventor
정은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91B1/ko
Priority to PCT/KR2015/003432 priority patent/WO2015156560A1/en
Priority to EP15776881.3A priority patent/EP3129948A4/en
Priority to US14/683,381 priority patent/US20150295803A1/en
Publication of KR2015011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 관리 서버와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호 연동하여, 이상 설비에 대한 자동화된 사후 처리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는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자세하게는 원격 관리 서버와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호 연동된 원격 관리 시스템 등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가 설치된 복수의 제어 영역(제어 현장, 관리 지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TMS: Total Maintenance System)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건물들 내지 빌딩들일 수 있다.
기존의 건물 또는 빌딩의 경우, 그곳에 설치된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 설치된 전력, 조명, 공조, 방재 및 방범 등의 서브 시스템들(설비 또는 장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브 시스템들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빌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과 같은 중앙 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빌딩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빌딩 내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데 그 역할이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각 빌딩 내에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소비하는 에너지(또는 전력) 량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특히, 설비들 중 이상 설비가 발생한 경우, 이상 설비에 대한 사후 처리 접수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 관리 서버와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호 연동하여, 이상 설비에 대한 자동화된 사후 처리 접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는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 및 상기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수신 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와 상기 원격 관리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에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설비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설비를 이상 설비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현장 정보는, 상기 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종류, 상기 설비 종류별 설치 대수 또는 상기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종류, 상기 이상 설비의 모델명, 상기 이상 설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이상 설비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서비스 유닛을 포함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유닛은, 외부 입력으로부터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가 판단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게이트웨이가 상기 설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현장 정보는, 상기 현장의 설비 설치 대수 또는 상기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종류, 상기 이상 설비의 모델명, 상기 이상 설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이상 설비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의 서비스 일정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원격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이상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은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관제 되는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사후 처리 접수가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센터 서버가 원격 관리 서버와 상호 연동하여, 이상 설비의 현장 또는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사후 처리 접수시 별도 입력하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은 서비스 제공 요청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가 서비스 요청할 수 없고, 이상 설비에 대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로컬 제어기 및 설비 또는 장비들 간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관리 서버 및 복수의 로컬 제어기 간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또 다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아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도 1 내지 4에 개시된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원격 관리 시스템, 지점 관리 시스템, 점포 관리 시스템 또는 체인점 관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에 속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 간 연결관계 측면에서의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로컬 제어기(100) 및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현장 A ~ 현장 D)를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 각각은 에너지 또는 전력을 소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로컬 제어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원격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 각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유지, 보수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의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해당하는 제어 설정 상태, 운전 상태 및 고장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설정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비의 제어에 있어서 제어 대상이 다양한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비가 공기 조화기인 경우, 상기 제어 설정,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목표 온도(또는 설정 온도), 상한 온도, 하한 온도, 풍량, 운전 또는 정지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상기 설비가 조명 설비인 경우, 상기 제어 설정,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는, 조명 밝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고장 상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 중 특정 설비가 고장난 경우, 상기 특정 설비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설비를 보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센터 서버, 미도시)에 접속하여 보수 작업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센터는 상기 보수 작업에 대한 요청이 접수된 경우, 보수 작업에 대한 서비스 기사가 상기 특정 설비가 설치된 제어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과의 통신은 다양한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과의 통신도 다양한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제어기(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는 RS-232, RS-485,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Thunderbolt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단말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의 사용자 내지 관리자는 상기 별도의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들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별도의 단말기(40)는 넓은 의미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별도의 단말기(40)는 PC(Personal Computer), 디지털 텔레비젼(TV), 스마트 TV,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A/V(Audio/Video) 시스템,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call cent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 또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간 지리적 위치 관계 측면에서의 개념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전국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11 내지 19)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또는 설비 기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도 1(a)에 도시된 현장 A ~ 현장 D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이 전국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설비 기기가 설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이 넓은 영역에 걸쳐 각각 분포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제어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특정 제어 영역을 관리하고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는 지역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서버는 특정 제어 영역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를 중계하는 별도의 서버이거나, 또는 복수의 제어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각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전국 또는 일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영역(11 내지 19)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복수의 제어 영역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어 영역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영역이 점포인 경우, 상기 제어 영역은 편의점, 제과점 등의 체인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그외의 설비 기기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도 1(b)에서와 같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광범위하게 분포되는 복수의 제어 영역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은 각 지점에 대한 소비 전력(또는 에너지 소비량)을 지역 단위뿐 아니라, 전국 단위로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국가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설비(또는 설비 기기) 및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 구비되는 설비(또는 서브 시스템)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공기 조화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showcase), 화재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특정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간은, 1일 단위,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로 지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일마다 상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월 1일 ~ 1월 20까지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내지 19)을 특정 분류 기준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그룹(제어 그룹, 관리 그룹, 군, 제어 군 또는 관리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분류 기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분류 기준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의 분류는 전술한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에 대한 영역 특성(제어 현장 내지 관리 지점에 대한 특성)에 따른 분류 기준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특성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정적 속성 및 동적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의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에 설치된(또는 구비된) 설비에 대한 설비 용량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크기에 대한 속성은, 영역의 평수, 층고, 층수, 창문 너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의 위치에 대한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 ~ 19)의 위치하는 방향(동서남북), 위도, 경도 및 지리학적 위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설비에 대한 설비 용량은, 조명 개수, 조명 소비전력, 공조기 개수, 공조기 용량, 냉장설비 개수, 냉장설비 용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이 위치한 지점(또는 지역)에 해당하는 기상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적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이 위치한 지점(또는 지역)에 해당하는 일 평균 외기 온도, 최대 외기 온도, 최저 외기 온도, 강수량, 강설량 및 운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점포 크기(평수) 및 조명 규모(조명 개수)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상기 제어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큰 대규모 그룹(제 1 그룹), 상기 점포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중간인 중규모 그룹(제 2 그룹) 및 상기 점포 크기 및 상기 조명 규모가 작은 소규모 그룹(제 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그룹 ~ 상기 제 3 그룹 각각에는 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류 기준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류 기준은 전술된 제어 영역의 정적 속성 및 동적 속성에 관한 복수의 분류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11 ~ 19)을 상기 복수 개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법은 K-means Clustering 기법일 있다.
상기 K-means Clustering 기법은, 다수의 데이터(Data Set)에서 개별 집합(Cluster)들의 개수(k)와 기준들을 선정하고, 해당 기준에 가까운(Mean)들을 해당 집합(Cluster)에 소속시켜 분류(또는 Clustering)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클러스터링 기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의 분류는 다양한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사용자 요청(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필요에 따라 상기 분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신규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이 추가된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주기적으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1일 단위,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로 상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그룹 분류 수행의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신규 제어 영역이 등록되는 경우, 전술된 분류기준 중 정적 속성에 따라 제어 영역들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정적 속성의 경우, 시간적으로 자주 변경되거나 변화하는 분류기준이 아닌바 신규 제어 영역 등록 시에만 분류가 수행되어도 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정적 속성을 근거로 한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1일 단위로 전술된 분류 기준 중 동적 속성에 따라 상기 제어 영역들을 재분류할 수 있다.
이는, 동적 속성의 경우, 1일 단위로 변화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주기적인 분류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정적 속성 및 상기 동적 속성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분류된 최종 그룹을 기준으로 그룹 단위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그룹 단위의 소모 에너지 또는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10)은 원격 관리 서버(1),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로컬 제어기(100′, 100″), 하나 이상의 설비(200′, 200″) 및 장비(3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200′, 200″)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서브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컨, 환기, 공조기, 팬, 보일러,냉각탑, 펌프, 온/습도센서, 냉동기, 조명기기, 전력기기, 화재 시스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장비(300′, 300″)는 예를 들어 냉각탑 시스템을 설비로 하는 경우, 냉각탑, 펌프, 온도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건물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감시(또는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설비들(200′, 200″),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설비(200′, 200″) 및 이에 포함된 장비들(300′, 300″)을 제어, 감시 또는 관리하는 자동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컬 제어기(100′) 및 제 2 로컬 제어기(100″)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에 구비된 로컬 제어기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각각의 제어 영역을 효율적으로 유지, 보수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제어 영역에 설치 또는 배치된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설비에 대한 유지 또는 보수 과정 또는 그에 대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입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은 중앙(또는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리 대상 또는 원격 관리 서버에 의해 유지, 보수, 관리되어야 하는 관리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 빌딩, 점포, 상가 및 학교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 내지 빌딩은 제어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가, 편의점, 점포, 주택, 사무실, 오피스텔, 공장 건물 빌딩, 학원 또는 병원 건물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되는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서 상기 설비들(200′, 200″)을 유지, 보수, 제어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므로 ACP(Advanced Control Platform)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설비들(200′, 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장비(400, 400′),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및 조작 기기들을 통해 제어 영역 내 설비들의 제어출력 및 상태 변화 등과 같은 설비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예를 들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설비(200′, 200″) 또는 장비(300′, 300″)를 제어, 관리 또는 감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제어 영역 내에 설치된 공조 및 기타 설비들을 감시, 관리 또는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설비(200′, 200″′) 또는 장비(300′, 300″)의 입출력 신호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200′, 200″) 사이에 연결되어서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그 실행 결과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에 전송하고,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로부터 상기 관리 프로그램 또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 명령에 따른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실행 결과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와 통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컬 제어기(100′, 100″)는 상기 설비들(200′, 200″)은 RS-485 등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로컬 제어기 및 설비 또는 장비들 간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는 로컬 제어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외부로부터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하는 단말기(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관리 지점 또는 제어 영역(30′) 내부에는 지점 내부 공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냉각기, 온장고 등의 냉난방기기, 조명기기 및 보안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설비 기기에 각각 연결되어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가 구비된다.
이때, 점포에는 실내기(154-1,151-1,151-2), 실외기(154-2), 냉장고(152-3), 쇼케이스(152-2), 온장고(152-1), 계산기(153-1), 조명(151-3)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54-1,151-1,151-2)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제습장치, 가습장치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조명기기(151-3)는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연결된 스위치에 의에 제어된다.
냉장고(152-3) 또는 쇼케이스(152-2)는 내부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쇼케이스(152-2)는 냉각 사이클에 따라 냉기를 노출하여 내부 온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온장고(152-1)는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부의 물건이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계산기(153-1)는 금전을 관리하고 영수증을 발급한다.
이렇게 지점에 설치되는 설비기기는 관리 지점 또는 제어 영역 내의 로컬 제어기(100, 또는 지점 제어기)를 통해 각 기기별 동작 상태에 데이터 및 기기별 전력 소비에 대한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제어 영역 전체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제어, 관리 또는 감시하는 장치로서, 제어 영역 내에 구비되거나 설치된 설비 기기들, 예를 들어 기계설비, 조명, 전력, 출입통제, 방재, 주차관리, 시설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단말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전력측정기(151 내지 154)로부터 측정되어 입력되는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기기에 대한 제어데이터 및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원격 관리 서버(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각 기기에 대한 제어설정을 변경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컬 제어기(1)에는 각 지점별(또는 점포별)로 고유의 계정이 할당되어, 계정에 따른 아이디가 발급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지점의 계정인, 아이디를 통해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지점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기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전술된 설비 제어 스케줄 또는 설비 관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상기 설비 제어 스케줄은 전술된 설비들에 대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의 시간에 따른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관리 스케줄은 상기 설비들을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스케줄로써, 상기 설비들의 보수 점검 스케줄, 과거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 관리 스케줄은, 상기 설비들이 소비하는 전력량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비들이 소비하는 전력량을 일정 이하로 관리하기 위한 제어 속성 내지 제어 파라미터의 시간에 따른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수집되어 저장된 제어 영역별 소비 전력량(또는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요금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는 필요에 따라 또는 원격 관리 서버(1)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자신의 설비 제어 스케줄 또는 설비 관리 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1)는 각각의 제어 영역에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각 제어 영역을 구분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어 영역의 로컬 제어기는 자신에게 할당된 계정을 이용하여 원격 관리 서버(1)에 접속할 수 있고, 각 제어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와 각 제어 영역은 각각 권한이 상이한 아이디가 할당되며, 아이디를 이용한 접속 시 아이디에 설정된 권한에 따라 표시되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나타날 수 있다.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의 아이디를 통한 원격 관리 서버(1) 접속 시, 해당 관리 지점에 대한 데이터만을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설정에 따라 복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을 통합 제어(또는 관리)하거나, 개별 제어(또는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 제어(또는 관리) 시 소정 관리 지점에 대하여 예외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휴대 단말, 노트북 등의 단말기(40)의 접속에 대하여 접속 계정에 따라 소정 관리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속된 단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접속 계정에 대응하는 관리 지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또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격 관리 서버 및 복수의 로컬 제어기 간의 연결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제어 영역, 제어 현장 또는 관리 지점(30) 및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과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각각은 로컬 제어기(100-1 ~ 10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제어기(100-1 ~ 100-3)는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을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로컬 제어기(100-1 ~ 100-3)는 상기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라우터(router)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컬 제어기(100-1 ~ 100-3)는 상기 다양한 정보 내지 통신 데이터들을 원격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유닛(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은 라우터(route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 및 상기 로컬 제어기(100-1 ~ 10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장치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관리 화면은 에어컨 정보, 냉장 정보, 전력 사용 정보, 설비 정보, 고장 이력 정보, 고장 설정 정보 및 에너지 사용 상세 정보에 관한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상기 장치 관리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말기(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은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비 또는 장치(110-1 ~ 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비 또는 장치(110-1 ~ 110-3)는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 내에 배치된 에어컨,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 등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비 또는 장치(110-1 ~ 110-3)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각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가 에어컨의 경우에는 실내 온도, 냉장고, 냉동고, 진열대의 경우에는 고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데이터는 현재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 유량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비 또는 장치(110-1 ~ 110-3)는 전력량계 등의 제어 영역 내의 설비를 포함하므로, 상기 상태 데이터는 각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의 전력 사용량 및 전체 전력 사용량(또는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어 영역(30)은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로부터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로컬 제어기(100-1 ~ 10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제어기(100-1 ~ 100-3)는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를 원격 제어 또는 관리하는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상기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설비 내지 장치(110-1 ~ 110-3)와 연결되고, 상기 상태 데이터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이상 상태가 지속 되면 고장 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이상 상태의 지속 시간이 임계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를 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제어 영역 내 설비 또는 장치의 이상 발생을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복수의 제어 영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고장 이력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 또는 유지 또는 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로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와 서비스 센터 서버 간의 연동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은 원격 관리 서버(1) 및 서비스 센터 서버(2)를 포함한다.
원격 관리 서버(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설비(200)를 원격에서 관제하기 위한 서버로서, 원격 관리 서버(1)에 연결된 단말기(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거나, 각종 설비(2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혹은 관리자는 상기 설비(200)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들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는 현장에 설치된 각종 설비(200)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와 상기 설비(200) 사이에 게이트웨이(100)가 연결되어, 게이트웨이(100)를 중심으로 설비(200)와 원격 관리 서버(1)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0)는 로컬 제어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2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설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1)의 구성을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는 원격 관리 서버(1)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중심으로, 이에 입력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각종 단말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3) 및 제어부(1-4)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격 관리 서버(1)에 연결된 설비(200)에 대하여, 개별 또는 그룹별 제어 명령(운전, 정지, 냉방, 송풍, 목표 온도(또는 설정 온도) 등)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2)는 제어부(1-4)가 처리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현재 온도, 습도, 운전 모드 등)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상기 설비(20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접 설비(200)와 통신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컬 제어기(100)를 통하여 설비(200)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격 관리 서버(1)는 통신부(1-3)를 통해 설비(2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설비(2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는 원격 관리 서버(1)와 서비스 센터 서버(2)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와 서비스 센터 서버(2) 간의 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및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 내지 통신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다.
제어부(1-4)는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가 설비의 이상 여부 판단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일 예로,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고장 코드를 인식하고, 해당 설비의 고장 여부 또는 고장 원인 등을 판단하거나, 또 다른 예로서,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기준 범위 값을 벗어난 경우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이상이 있음을 판단한 설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3)를 통해,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송신하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는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또는 고장 코드 등을 근거로 설비(2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입력부(1-1)를 통하여, 관리자로부터의 외부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설비를 이상 설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통하여 수신한 설비에 대한 각종 상태 정보를 근거로 이상 설비에 해당됨을 판단하여, 이상 설비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5)는 통신부(1-3)를 통해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제어부(1-4)가 처리한 결과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이때, 설비(200)들의 각종 상태 정보를 로컬 제어기(100)에 저장할 수 있으나, 로컬 제어기(100)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리소스를 가진 시스템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저장 공간에 한계가 있어, 저장되는 상태 정보 이력은 짧은 기간에 국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원격 관리 서버(1)에서 로컬 제어기(100)를 통해 설비(2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의 상태 정보 이력을 보관할 수 있고, 장기간의 해당 상태 정보의 변동 추이 또는 과거 유사 환경에서의 해당 상태 정보와의 비교 등을 근거로, 제어부(1-4)가 설비에 대한 이상 여부 판단하여, 이상 여부 판단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원격 관리 서버(1)와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를 접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접수자가 사용자로부터 전화(call)를 받고, 고장이 발생한 위치, 고장이 발생한 설비, 고장 증상 또는 고장 원인 등을 직접 듣고 서비스 접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신속한 사후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원격 관리 서버(1)와 연동하여, 원격 관리 서버(1)가 관제하는 설비들(200) 중 고장이 발생한 이상(異常) 설비에 대한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
즉,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원격 관리 서버(1)를 통해, 이상 설비에 대한 사후 처리 접수가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서비스 접수시 요구되는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상 설비를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200)에 발생하는 고장은 설비(200) 내 각종 모듈이나 설비(200)가 제어 영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에 대한 고장 이외에도, 원격 관리 서버(1)가 설비(200)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네트워크 에러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장 정보는 상기 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종류, 상기 설비 종류별 설치 대수 또는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장 정보는 실외기 5대, 실내기 72대, 환기 장치 50대, 게이트웨이 5대와 같은 정보 또는 현장의 주소(또는 현장의 위도/경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4034956118-pat00001
또한,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종류(실내기, 실외기, 환기 장치 등), 상기 이상 설비의 모델명, 상기 이상 설비의 식별자(ID) 또는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C1: 공급 전원 불안정, C2: 발열, C3: 냉매 과충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일 예로, 실외기 1대, 실내기 3대, 환기 장치 0대, 게이트웨이 0대) 또는 네트워크 고장이 있는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기 표 2와 같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4034956118-pat00002
이하에서는,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원격 관리 서버(1)와 서비스 센터 서버(2)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원격 관리 서버(1)는 설비(200)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여, 설비(2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는 고장 코드 혹은 상태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를 이상 설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원격 관리 서버(1)는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 즉,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송한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나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가 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원격 관리 서버(1), 서비스 센터 서버(2) 혹은 이에 연결된 단말기에 이상 설비에 대한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이상 설비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나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가 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때, 이상 설비의 위치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상 설비가 설치된 위치를 지도 위에 표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장 A에는 고장 설비가 없는 화면을 제공하고, 현장 B에는 전체 3대의 실외기 중 1 대가 고장이고, 56 대의 실내기 중 3 대가 고장이라는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관리자는 이상 설비가 표시된 화면을 통해, 특정 현장에 대한 선택 입력을 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에 대응되는 아이템(또는 그래픽 오브젝트(F1, F2))들의 리스트를 원격 관리 서버(1) 또는 서비스 센터 서버(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설비에 대한 그래픽 오브젝트는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되, 그룹별로 구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1 열람실에 실내기 10대와 제2 열람실에 실내기 10대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위치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 위치에 따라 구분된 각각의 그래픽 오브젝트는 화면 내 별도의 영역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에 대응되는 설비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 형태로 출력되되, 이와 함께,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운전 여부, 운전 모드, 현재 온도, 목표 온도 등), 설비의 이상 여부 및 고장 종류(실내기 이상, 실외기 이상, 네트워크 에러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Fa 영역을 통한 선택 입력)에 의해 그룹별 설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되, 이를 통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들만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는 선택된 그룹에 고장 종류별 설비의 대수를 화면의 일 부분에 표시(Fb)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에 출력된 그래픽 오브젝트 중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개별 또는 일괄 제어시,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화면의 일 부분(CP)에 각종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아이콘 따위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는 도 7 및 8과 같은 화면을 통해, 설비(200)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태 정보 이력 등을 확인하여, 고장 알람이 정상적인 것인지 재차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관리 서버(1)는 관리자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센터 서버(2)에 서비스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서비스 등록 수행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하고, 이를 근거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서비스 일정 관리를 수행하거나, 수리공에게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 접수시 휴먼 에러(human error)에 의해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게 접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격 관리 서버(1)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원격 관리 서버(1)는 관리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가 권한 없는 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방지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가 이상 설비에 대한 침입을 방지하여,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수리공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e-mail이나 SMS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특정 신호 또는 진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이상 설비의 종류에 따른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이상 설비의 종류에 따른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일 예로, 이상 설비가 실외기인 경우, 실외기 전문 수리공의 단말기에만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리공은 서비스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서버(2)에 접속하여, 결정된 일정에 따라 수리공은 이상 설비에 대한 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에 대한 방문 가능한 시간 정보 및 수리공의 서비스 가능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리공에게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고장 원인 해결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 부품의 재고량, 부품의 수급 가능 일자 등을 저장하고, 다수의 수리공이 저장된 상기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유닛을 포함한 원격 관리 서버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1)는 서비스 센터 서버(2)와 연동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였으나, 원격 관리 서버(1) 자체 내 서비스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유닛(미도시)는 전술한 서비스 센터 서버(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서비스 유닛(미도시)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원격 관리 서버(1)에 탑재될 수 있으나, 서비스 유닛(미도시)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원격 관리 서버(1)에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기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한 원격 관리 기능에 대해 상술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한 원격 관리 기능은, 전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통한 원격 관리 기능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에 연결되는 외부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는 전술한 통신부(1-3)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1)에 연결된 단말기(40)는 설비(200)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각종 설비(2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4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으나, 이하에서는 단말기(40)가 이동 단말기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이동 단말기를 도면 부호 5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격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이동 단말기(5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및 위치정보 모듈(5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및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센터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5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중에,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디스플레이할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식별 정보(예컨대, 휴대폰인 경우 전화 번호, 또는 기기명)를 상기 수립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5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5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압력센서(542), 및 모션 센서(5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이동 단말기(5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2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접센서(5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42)는 이동 단말기(5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542)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542)가 디스플레이부(551)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5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54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상기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54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 센서(543)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을 하는 이동 단말기(50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 기준 방향에 대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이로 센서는 3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회전 각도, 즉 방위각(azimuth), 피치(pitch) 및 롤(roll)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 모듈(552), 알람부(553), 및 햅틱 모듈(5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5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5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5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3)는 이동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551)나 음성 출력 모듈(5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5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이동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560)에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미도시), 무선통신부(510)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사용자 입력부(53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A/V 입력부(52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 출력부(550)와 함께 동작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iOS, Android, VxWork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tasks)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설비의 제어 또는 관리 관련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관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58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5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예: 앱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한 설비 제어 또는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90)는 이동 단말기(5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99)를 구비하며, 상기 배터리(599)를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59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을 예로서 개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원격 관리 방법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각 단계별로 설명하되, 앞선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 방법은, 원격 관리 서버(1)가 설비(200)로부터 설비(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비(2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 원격 관리 서버가 판단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전송하는 단계(S30) 및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원격 관리 서버(1)가 설비(200)로부터 설비(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는 원격 관리 서버(1)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영역(현장 A ~ 현장 D)들로부터 직접 혹은 게이트웨이(1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가 통신부(1-3)를 통하여 설비(200)의 상태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에 출력할 수 있으나, 상기 일정 시간은 설비(200)의 운전 모드 혹은 제어 여부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어, 원격 관리 서버(1)가 설비(2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격 관리 서버(1)와 설비(200) 간의 통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 예로, 실내기가 운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내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보다 제어 영역에 대한 실내 온도 및 전력 사용량 등에서 변화가 적기 때문에, 냉방 운전시 보다 긴 주기를 가지고 상태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1)가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격 관리 서버(1)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는 게이트웨이(100)가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원격 관리 서버(1)로 전송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는 원격 관리 서버(1)와 현장에 설치된 각종 설비(200)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설비(200)와 원격 관리 서버(1) 간에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0)는 로컬 제어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200)에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설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원격 관리 서버(1)는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설비(2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S20).
원격 관리 서버(1)의 제어부(1-4)(도 6 참조)가 설비(200)의 이상 여부 판단시 판단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일 예로,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고장 코드를 인식하고, 해당 설비의 고장 여부 또는 고장 원인 등을 판단하거나, 또 다른 예로서, 설비(2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기준 범위 값을 벗어난 경우에는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서버(1)는 이상이 있음을 판단한 설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3)를 통해,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송신하거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원격 관리 서버(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설비(200)를 이상 설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원격 관리 서버(1)는 이상 설비로 판단한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2)로 전송한다(S30).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원격 관리 서버(1)와 연동하여, 원격 관리 서버(1)가 관제하는 설비들(200) 중 고장이 발생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상 설비에 대한 사후 처리 접수가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서비스 접수시 요구되는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상 설비를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200)에 발생하는 고장은 설비(200) 내 각종 모듈이나 설비(200)가 제어 영역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에 대한 고장 이외에도, 원격 관리 서버(1)가 설비(200)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네트워크 에러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장 정보는, 현장의 설비 설치 대수 또는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이상 설비의 종류, 이상 설비의 모델명, 이상 설비의 식별자 또는 이상 설비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를 포함하되,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의 상세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S90).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서비스 등록 수행시, 상기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서비스 일정 관리를 수행하거나, 수리공에게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 접수시 휴먼 에러(human error)에 의해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게 접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0), 원격 관리 서버(1)가 관리자로부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70) 및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센터 서버(2)가 등록을 수행시,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이상 설비(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0)는 이상 설비가 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때, 이상 설비의 위치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상 설비가 설치된 위치를 지도 위에 표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이상 설비에 대한 자세한 상태 정보, 설비의 이상 여부, 설비의 고장 종류(실내기 이상, 실외기 이상, 네트워크 에러 등) 또는 상태 정보의 이력을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고장 알람이 정상적인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1)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70).
이때, 원격 관리 서버(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센터 서버(2)에 서비스 등록 요청을 전송(S80)하고,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S90)할 수 있다.
한편, 원격 관리 서버(1)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원격 관리 서버(1)는 관리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1)가 권한 없는 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방지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가 이상 설비에 대한 침입을 방지하여,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S100)할 수 있다. 수리공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e-mail이나 SMS 형태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특정 신호 또는 진동으로 알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이상 설비의 종류에 따른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이상 설비의 종류에 따른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일 예로, 이상 설비가 실외기인 경우, 실외기 전문 수리공의 단말기에만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리공은 서비스 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서버(2)에 접속하여,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의 서비스 일정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S110)할 수 있고,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서비스 일정을 제공(S120)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센터 서버(2)는 이상 설비에 대한 방문 가능한 시간 정보 및 수리공의 서비스 가능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리공에게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센터 서버(2)가 원격 관리 서버(1)로부터 수신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고장 원인 해결에 필요한 부품의 종류, 부품의 재고량, 부품의 수급 가능 일자 등을 저장하고, 다수의 수리공이 저장된 상기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가능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이상 설명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원격 관리 서버 2: 서비스 센터 서버
1-1: 입력부 1-2: 디스플레이부
1-3: 통신부 1-4: 제어부
1-5: 저장부 100: 게이트웨이
200: 설비

Claims (30)

  1. 복수의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
    상기 설비가 위치하는 각각의 제어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복수의 로컬 제어기;
    상기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센터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제어기는 대응되는 제어 영역 내 설비들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설비들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설비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수신 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설비와 상기 원격 관리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설비에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상기 설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외부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설비를 이상 설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정보는,
    상기 현장에 설치된 설비의 종류, 상기 설비 종류별 설치 대수 또는 상기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종류, 상기 이상 설비의 모델명, 상기 이상 설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이상 설비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일정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14.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 중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설비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로컬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로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설비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설비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7.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설비가 위치하는 제어 영역에 설치된 로컬제어기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의 이력을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원격 관리 서버와 별도인 서비스 센터 서버에 대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서비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닛은, 외부 입력으로부터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서버.
  20. 설비를 원격에서 관제하는 원격 관리 서버를 이용한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설비가 위치하는 각각의 제어 영역에 설치된 로컬 제어기로부터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수신한 설비의 상태 정보의 이력을 근거로 상기 설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가 판단한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서버가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을 근거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격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게이트웨이가 상기 설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 관리 서버로 전송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가 속한 현장 정보,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 및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정보는,
    상기 현장의 설비 설치 대수 또는 상기 현장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의 제품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종류, 상기 이상 설비의 모델명, 상기 이상 설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이상 설비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정보는,
    상기 이상 설비의 고장 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상 설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이상 설비별 고장 대수 또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설비별 고장 대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등록 사실을 적어도 하나의 수리공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이상 설비의 서비스 일정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센터 서버는,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일정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30. 제 20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원격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43800A 2014-04-11 2014-04-11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165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00A KR101658091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PCT/KR2015/003432 WO2015156560A1 (en) 2014-04-11 2015-04-06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EP15776881.3A EP3129948A4 (en) 2014-04-11 2015-04-06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US14/683,381 US20150295803A1 (en) 2014-04-11 2015-04-10 Remote maintenance server, total maintenance system including the remote maintenance serv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00A KR101658091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77A KR20150118277A (ko) 2015-10-22
KR101658091B1 true KR101658091B1 (ko) 2016-09-30

Family

ID=5426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00A KR101658091B1 (ko) 2014-04-11 2014-04-11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95803A1 (ko)
EP (1) EP3129948A4 (ko)
KR (1) KR101658091B1 (ko)
WO (1) WO20151565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10A1 (ko) * 2017-02-03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792B (en) * 2014-12-27 2020-02-05 Switche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CN109074525B (zh) * 2016-05-17 2022-08-23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维护管理装置和维护管理系统
US10911946B2 (en) * 2017-01-04 2021-02-02 Getraline Local unit for monitoring the maintenance of an item of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a task on the item of equipment
KR102364621B1 (ko) 2017-04-04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87455B1 (ko) * 2017-04-10 2017-10-19 주식회사 비피도 미생물 배양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원격지 제어 서버, 원격지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7021428B2 (ja) * 2017-05-15 2022-02-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製品の情報生成システム
JP2019139511A (ja) * 2018-02-09 2019-08-22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住宅
CN111193758A (zh) * 2018-11-15 2020-05-22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管理系统及其维护方法
JP6750695B2 (ja) * 2019-01-31 2020-09-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サービス提案時期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113037938B (zh) * 2019-12-09 2022-12-2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呼叫过程中的iptv视频推送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US20230160590A1 (en) * 2020-04-27 2023-05-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collection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data collection method
JP2021196475A (ja) * 2020-06-12 2021-12-2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942261A (zh) * 2020-07-31 2020-11-17 龙岩市海德馨汽车有限公司 一种氢能源应急抢险电源车及其工作方法
CN113592110A (zh) * 2020-12-31 2021-11-02 上海司南卫星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农机远程维护系统及方法、农机终端、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95169B1 (ko) * 2021-06-08 2022-05-06 우천희 주거지 전기설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012A (ja) * 2002-04-08 2003-10-24 Daikin Ind Ltd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のスケジュール表示方法およ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7179526A (ja) * 2005-12-02 2007-07-12 Toshiba Corp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802096B1 (ko) 2006-10-17 2008-0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4319A1 (en) * 2001-06-13 2002-12-19 Ritche Scott D. Automated operations and service monitoring system for distributed computer networks
JP2003299161A (ja) * 2002-03-29 2003-10-17 Dai-Dan Co Ltd リモートビル管理システム
US20050119767A1 (en) * 2003-12-01 2005-06-02 Gary Kiwimagi Configuration application for building automation
US7382271B2 (en) * 2004-09-29 2008-06-03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Automated position detection for wireless building automation devices
US20090254408A1 (en) * 2008-04-07 2009-10-08 Teletrol Systems Inc. Facilities monitoring system with telephone interface and automatic problem verification
US8781633B2 (en) * 2009-04-15 2014-07-15 Roberto Fa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753455B2 (en) * 2009-06-22 2017-09-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fault analysis
KR20120087263A (ko) * 2010-12-22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빌딩 데이터 통합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20087274A (ko) * 2010-12-23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emm 클라이언트 시스템, emm 관제 시스템 및 emm 관제 플랫폼과 emm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원격 건물 관리 방법
WO2013056214A1 (en) * 2011-10-13 2013-04-18 Siemens Corporation Advanced human-machine interface for collaborative building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012A (ja) * 2002-04-08 2003-10-24 Daikin Ind Ltd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のスケジュール表示方法およ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7179526A (ja) * 2005-12-02 2007-07-12 Toshiba Corp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0802096B1 (ko) 2006-10-17 2008-0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710A1 (ko) * 2017-02-03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66005B2 (en) 2017-02-03 2020-12-15 Lg Electronics Inc. Air-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with first and second abnormality diagno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9948A4 (en) 2017-09-13
KR20150118277A (ko) 2015-10-22
US20150295803A1 (en) 2015-10-15
EP3129948A1 (en) 2017-02-15
WO2015156560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91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KR101667724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04808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20150118278A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원격 관리 방법
US102780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uilding management system interaction and visualization
US10667096B2 (en) Targeted alert system with location-based and role-based alert distribution
US8830267B2 (en) Augmented reality building operations tool
US20160327293A1 (en) Hvac equipment having loca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626819B1 (ko) 원격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N101236422A (zh) 利用设置信息备份控制复式空调的综合管理系统及方法
CN109709818B (zh) 一种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及介质
CN112032988A (zh) 空调的控制系统及方法、电子设备
CN112944588A (zh) 空调物联网系统
KR101625114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CN110296497B (zh) 连接家庭的hvac健康监测的系统和方法
KR101587175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101658090B1 (ko) 원격 관리 서버, 이를 포함하는 원격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 방법
KR101641254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101570428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US11566806B2 (en) Humidity analytics
KR102136160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JP2019068238A (ja) 空調システム、空調機器、通信方法及びデータ取得表示プログラム
KR101587181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KR102321113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휴대 단말,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KR20160006042A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및 설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