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53B1 -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53B1
KR101754053B1 KR1020170001853A KR20170001853A KR101754053B1 KR 101754053 B1 KR101754053 B1 KR 101754053B1 KR 1020170001853 A KR1020170001853 A KR 1020170001853A KR 20170001853 A KR20170001853 A KR 20170001853A KR 101754053 B1 KR101754053 B1 KR 10175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allpaper
polymer
minutes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성
홍승민
이슬
최승엽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00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배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배풀 조성물은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THE PASTE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LLPAP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지(예를 들어, 실크 벽지)의 도배 작업에 사용되는 도배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크 벽지는 도배풀을 도포하고 20 분 내지 수 일간 비닐에 밀봉한 상태로 숙성시킨 후 벽면에 시공한다. 이것은 실크 벽지에 도배풀이 잘 스며들어가 실크 벽지가 벽면에 잘 붙고, 건조과정에서 실크 벽지에 주름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종래의 도배풀은 아크릴레이트계 에멀젼 수지 또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실크 벽지에 도포 후 숙성과정을 거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실크 벽지의 접착성 및 도배면의 균일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회수된 종이(고지, recovered paper), 즉 재생지가 피복된 벽면(예를 들어, 석고보드의 표면)에 실크 벽지를 도배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실크 벽지의 표면에 유색 반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도배풀에 포함된 용제 또는 실크 벽지에 존재하는 가소제 성분이 재생지에 함유된 염료 성분을 녹여 이염(Migration)이 일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생지 대신에 신규 펄프로 제조된 종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삼림자원 보호와 비용증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실크 벽지의 접착성 및 도배면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실크 벽지 시공 후 이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배풀 및 벽지 시공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35025호
본 발명은 보습성과 이염 방지성이 우수한 도배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배풀 조성물을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가교구조를 갖는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부는 선형구조를 갖는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가 고형분 기준으로 50 내지 350 mg KOH/g 범위이고, 상기 제2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가 고형분 기준으로 70 내지 300 mg KOH/g 범위인 것인 도배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지의 일면에 상기 도배풀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 및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벽지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성을 갖기 때문에 벽지(예를 들어, 실크 벽지)에 도포된 상태로 수 분 내지 수 일(예를 들어, 20 분 내지 7 일) 동안 보관하더라도 건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시공할 경우, 벽지의 접착성 및 벽지가 도배된 도배면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우수한 이염 방지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재생지가 피복된 벽면에 벽지를 시공할 경우, 이염으로 인한 유색 반점 발생이 감소되어 벽지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도배풀 조성물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를 이루는 코어부(core)는 가교구조(network structure)를 갖는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중합체는 한 분자에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활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2개 이상 함유한 단량체(a1)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A)을 유화 중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2개 이상 함유한 단량체(a1)는 디비닐벤젠, 1,4-디비닐벤젠,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아릴프탈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a1)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조성물(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a1)의 함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보습성 저하로 인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의 보관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어부의 중합안정성이 저하되거나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체를 얻기 위한 상기 단량체 조성물(A)에는 통상적인 단량체(a2)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량체(a2)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양한 작용기로 치환된 (메타)아크릴산 에스터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마이드, 또는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 황산기, 인산기 등의 산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모노알킬말레이트, 모노알킬푸말레이트, 모노알킬이타코네이트, 비닐벤조산, (메타)아크릴 아미도 술폰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 조성물(A)을 라디칼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상기 라디칼 유화 중합 과정에는 라디칼 개시제, 중합촉매, 유화제, 보호 콜로이드, 분산 안정제, 소포제, 완충용액, 쇄전이제, 가교제, 체질안료,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염료 및 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량 및 사용방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는 포타슘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등의 퍼설페이트계 개시제;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등이 사용되거나, 이들 개시제와 알칼리 금속 설파이트, 하이포설파이트, 소듐 비설페이트,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등의 환원제가 혼합된 혼합물 형태의 산화-환원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 개시제의 사용량은 각 중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총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중합 온도)는 라디칼 개시제의 분해 반감기가 30 분 내지 300 분의 범위 내에 들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 암모늄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또는 소듐 퍼설페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온도를 60 내지 90 ℃로 설정할 수 있고, 소듐 비설페이트나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등의 환원제가 혼합된 산화-환원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온도를 30 내지 60 ℃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용액(buffer solution)은 라디칼 개시제의 중합 효율을 높여 단량체의 전환율이 높아지도록 단량체 조성물(중합 용액)의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 용액으로는 암모늄 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비카보네이트, 모노소듐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디소듐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완충 용액의 사용량은 단량체 조성물(중합 용액)의 pH가 2 내지 5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비이온성 유화제, 음이온성 유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지방족 알코올류, 지환족 알코올류, 또는 방향족 알코올류에 산화에틸렌(EO), 산화프로필렌(PO) 및 이들(EO/PO)이 부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로는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를 황산화 또는 인산화시키고 이를 염기성 물질로 반응시킨 염 형태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콜로이드로는 비닐알코올,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콜로이드는 상기 유화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와 상기 보호 콜로이드의 사용량은 중합 안정성과 단량체 조성물(중합 용액)의 콜로이드 안정성, 점도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총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쇄전이제는 라디칼 유화 중합 시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쇄전이제로는 n-도데실 머캅탄, 폴리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사염화 탄소 등의 폴리할로겐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쇄전이제의 사용량은 총 단량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는 고형분 기준으로 50 내지 350 mgKOH/g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300 mgKOH/g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중합체의 산가가 50 mgKOH/g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보습성이 저하되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의 보관 또는 숙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350 mgKOH/g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어부의 중합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가는 제1 중합체(고형분)의 단위 무게(1g)당 함유된 유리 산 관능기를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KOH의 무게(mgKOH/g)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구조를 갖는 제1 중합체로 상기 코어부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코어부로 이루어진 입자는 수분이 함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멀젼 수지를 도배풀 조성물에 적용 시 도배풀이 높은 수분 함유율을 가지게 되어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배풀 조성물의 우수한 보습성으로 인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밀봉한 후 수 분 내지 수 일(예를 들어, 20 분 내지 7 일)동안 보관 또는 숙성하더라도 도배풀 조성물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 또는 숙성 과정을 거칠 수 있음에 따라 벽지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매끈한 외관을 갖도록 벽지를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를 이루는 쉘(shell)부는 선형구조(linear structure)를 갖는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는 고형분 기준으로 70 내지 300 mgKOH/g 범위이고,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250 mgKOH/g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2 중합체의 산가가 70 mgKOH/g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0 mgKOH/g을 초과할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이 건조된 도막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산가는 제2 중합체(고형분)의 단위 무게(1g)당 함유된 유리 산 관능기를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KOH의 무게(mgKOH/g)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쉘부를 이루는 제2 중합체의 산가가 상기 범위를 가짐에 따라 본 발명은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재생지가 피복된 벽면에 부착할 경우, 벽지에 함유된 비극성 가소제의 층간 이동 또는 재생지에 함유된 염료의 이동으로 인해 벽지에 유색 반점이 발현됨에 따라 벽지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산가(acid value)가 70 내지 300 mgKOH/g 범위인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진 쉘부로 구성된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친수성이 높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재생지가 피복된 벽면(예를 들어, 재생지가 피복된 석고보드 표면)에 시공할 경우, 도배풀 조성물의 높은 극성으로 인해 벽지에 함유된 비극성 가소제의 층간 이동 또는 재생지에 함유된 염료의 이동이 차단되어 벽지에 유색 반점의 발현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시공된 벽지의 외관 품질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쉘부를 이루는 제2 중합체는 통상적인 단량체 조성물(B)을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조성물(B)은 상술한 통상적인 단량체(a2)와, 라디칼 유화 중합 과정에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 중합촉매, 유화제, 보호 콜로이드, 분산 안정제, 소포제, 완충용액, 쇄전이제, 가교제, 체질안료,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염료 및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량 및 사용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를 이루는 코어부와 쉘부의 비율은 2:8 내지 8:2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코어부와 쉘부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보습성이 저하되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의 밀봉 보관이 어려워지거나 이염 방지성이 저하되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가 염료를 함유하는 재생지에 부착될 경우 벽지에 유색 반점이 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에멀젼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성이 저하될 수 있고, 8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벽지의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공)중합되는 단량체(들)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유화 중합 과정에서 상기 에멀젼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다음 수학식 1의 Fox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사용되는 단량체(들)의 조성 변화를 통하여 건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도막의 유리전이온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수학식 1]
1/Tg = ∑wi/Tgi
상기 수학식 1에서, wi는 i번째 단량체에 해당하는 단독 중합체의 무게분율, Tgi는 i번째 단량체에 해당하는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증점제, 보습제,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도배풀 조성물의 흐름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알칼리 팽윤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수성 우레탄 증점제(Hydrophobically modified ethylene oxide urethane), 수성 무기 클레이계 증점제, 수성 아마이드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도배풀 조성물의 점도와 보습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습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포도당, 수크로오스,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린, 변성전분, 솔비톨, 말티톨, 펜타에리쓰리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습윤상태의 도배풀 조성물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되거나 벽지에 시공 후 건조 상태에서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부제로는 이소씨아졸린 유도체류, 디메틸디씨오카바메이트, 소르빈산 및 그 염, 벤조산 및 그 염, 아질산 나트륨,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페놀류, 구리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도배풀 조성물에 포함된 에멀젼 수지의 산 관능기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화제는 도배풀 조성물 제조 시 에멀젼 수지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화제에 의해 에멀젼 수지 골격의 산 관능기가 중화되면서 산 관능기와 알칼리가 결합된 염이 형성되고, 형성된 염이 물을 흡수하여 팽윤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로는 암모니아, 휘발성 3급 아민, 무기 알칼리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화제로는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 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화제의 사용량은 몰비 기준으로 산가의 30 내지 120%를 중화시키는 양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건조 후 도막 내 잔류가 가능한 조용제 또는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용제는 수지를 잘 녹이지 못하나 진용제의 용해를 도와주는 용제로서, 비점이 200 ℃ 이상인 고비점 조용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에 포함되지 않는 고비점 조용제로는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부틸 카비톨, 또는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벽지에 도포 후 건조과정 중 대부분이 휘발 가능한 조용제와 가소제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포함되는 조용제와 가소제는 건조 시 도막형성을 도와주거나 도포 시 작업성을 좌우하는 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통상 상온에서 이루어지지만, 유기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가온 조건(Bake out)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고형분의 비율(함유율)이 10 내지 40% 범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회 도장으로 충분한 이염 방지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15 내지 35%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 비율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도포 시 붓자국 또는 롤러자국 등이 남아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그 점도가 도포 방법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로 25 ℃에서 측정 시 100 내지 300,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점도가 100 cPs 미만일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0,000 cPs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배풀 조성물의 도포 시 붓자국 또는 롤러자국 등이 남아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을 자동 도배풀 도포기로 도포할 경우에 그 점도가 수만 cPs 수준일 수 있다. 상기 자동 도배풀 도포기 사용시 도배풀 조성물의 점도가 수만 cPs일 경우,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고 벽지 표면에서의 양호한 풀 정착성과 점착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비용절감, 작업성 및 접착성의 향상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분 도배풀, 합성수지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 등과 같은 타 접착제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타 접착제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이염 방지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타 접착제의 혼합 비율은 고형분 기준으로 30 내지 100:0 내지 70의 중량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상기 에멀젼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보습성 및 이염 방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벽지를 시공할 경우 벽지의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이염 방지성이 우수하므로, 재생지가 피복된 벽면(예를 들어, 석고보드의 표면)에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을 이용하여 벽지를 시공할 경우 재생지에 함유된 염료의 이염으로 인해 벽지에 유색 반점이 발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실험예 1 및 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보습성이 우수하므로,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수 분 내지 수 일 동안 보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벽면에 부착하더라도 우수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실험예 2, 3 및 표 1 참조).
2. 벽지 시공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여 벽지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벽지의 일면에 상술한 도배풀 조성물을 도포한다. 상기 도배풀 조성물은 붓, 롤러, 또는 자동 도배풀 도포기를 사용하여 상기 벽지에 1회 이상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벽지는 실크 벽지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실크 벽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20 분 내지 7 일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숙성시킴에 따라 벽지 시공 후 주름이 없는 매끈한 외관의 표면(도배면)을 얻을 수 있고, 벽지의 접착성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습윤 상태인 도배풀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차단재로 밀봉한 후 상기 숙성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차단재는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비닐백, 알루미늄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여 벽지를 시공한다. 여기서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 벽지의 재단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벽지의 재단은 도배풀 조성물의 도포 전 또는 도포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에 벽지를 재단한 후 재단된 벽지에 도배풀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도배풀 조성물을 벽지에 도포한 후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재단할 수 있다.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가 부착되는 벽면은 재생지가 피복된 석고보드의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재생지가 피복된 석고보드에 이염 방지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을 이용하여 벽지를 시공할 경우, 재생지에 포함된 소수성 염료의 이동이 차단되어 벽지 표면에 유색 반점이 발현되는 것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벽지의 외관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에멀젼 수지 중합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맨틀, 열전쌍, 콘덴서, 교반기, 적하조가 설치되어 있는 2 L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480.5g과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7g을 투입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80 ℃까지 가열하고 여기에 암모늄퍼설페이트 0.2g을 탈이온수 20.2g에 녹인 수용액을 가하였다. 반응온도를 80 ℃로 유지하고 n-부틸아크릴레이트 18.4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1g 및 메타크릴산 0.3g으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하하고 30분 동안 상기 온도를 유지시켜 시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0.8g을 탈이온수 44.4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유지 완료한 후 탈이온수 131.4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1.9g, 메타크릴산 60.6g, n-부틸아크릴레이트 86.3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8g, 알릴메타크릴레이트 3.6g으로 구성된 코어(core)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0.8g을 탈이온수 44.4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유지 완료한 후 탈이온수 132.9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2.6g, 메타크릴산 60.6g, n-부틸아크릴레이트 88.7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1.5g으로 구성된 쉘(Shell)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한 후 87 ℃로 승온하고, 추가로 60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의 중합을 완료하였다.
제조된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에서 코어부를 이루는 제1 중합체의 산가는 216 mgKOH/g이며, 2개 이상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사용량은 코어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 중량%였다. 또한 쉘부를 이루는 제2 중합체의 산가는 216 mgKOH/g이었다. 또, 코어부와 쉘부의 중량비는 5:5였다.
2) 도배풀 조성물 제조
교반 조건 하에 제조된 에멀젼 수지 250g, 소포제(BYK社; BYK-024) 0.25g, 95% 순도의 글리세린 20.7g을 용기에 투입한 후 10분 동안 분산하였다. 이후 50% 순도의 가성소다(NaOH) 13.5g과 탈이온수 225g이 혼합된 수용액을 상기 용기에 20분 동안 투입하여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1%였다.
[ 실시예 2]
1) 에멀젼 수지 중합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맨틀, 열전쌍, 콘덴서, 교반기, 적하조가 설치되어 있는 2 L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261.3g과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4g을 투입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80 ℃까지 가열하고 여기에 암모늄퍼설페이트 0.1g을 탈이온수 11g에 녹인 수용액을 가하였다. 반응온도를 80 ℃로 유지하고 n-부틸아크릴레이트 10.0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4g 및 메타크릴산 0.2g으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하하고 30분 동안 상기 온도를 유지시켜 시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0.3g을 탈이온수 14.5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유지 완료한 후 탈이온수 42.9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0.6g, 메타크릴산 29.2g, n-부틸아크릴레이트 18.6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6g, 알릴메타크릴레이트 1.8g으로 구성된 코어(core)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0.6g을 탈이온수 33.8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유지 완료한 후 탈이온수 101.2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2.0g, 메타크릴산 32.2g, n-부틸아크릴레이트 67.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8.0g으로 구성된 쉘(Shell)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한 후 87 ℃로 승온하고, 추가로 60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의 중합을 완료하였다.
제조된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에서 코어부를 이루는 제1 중합체의 산가는 318 mgKOH/g이며, 2개 이상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사용량은 코어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였다. 또한 쉘부를 이루는 제2 중합체의 산가는 150 mgKOH/g이었다. 또, 코어부와 쉘부의 중량비는 3:7이었다.
2) 도배풀 조성물 제조
교반 조건 하에 제조된 에멀젼 수지 250g, 소포제(BYK社; BYK-024) 0.25g, 95% 순도의 글리세린 27.6g을 용기에 투입한 후 10분 동안 분산하였다. 이후 50% 순도의 가성소다(NaOH) 7.3g과 탈이온수 235.0g이 혼합된 수용액을 상기 용기에 20분 동안 투입하여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3%였다.
[ 실시예 3]
1) 에멀젼 수지 중합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맨틀, 열전쌍, 콘덴서, 교반기, 적하조가 설치되어 있는 5 L 4구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1361.6g과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1.9g을 투입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80 ℃까지 가열하고 여기에 암모늄퍼설페이트 0.5g을 탈이온수 57.3g에 녹인 수용액을 가하였다. 반응온도를 80 ℃로 유지하고 n-부틸아크릴레이트 52.2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8g 및 메타크릴산 0.9g으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30분 동안 적하하고 30분 동안 상기 온도를 유지시켜 시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3.4g을 탈이온수 176.2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로 유지하였다. 10분 동안 유지 완료한 후 탈이온수 521.4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7.6g, 메타크릴산 120.3g, n-부틸아크릴레이트 342.2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46.1g, 알릴메타크릴레이트 10.8g으로 구성된 코어(core)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소듐퍼설페이트 1.4g을 탈이온수 75.5g에 녹인 수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가한 후 10분 동안 80 ℃에서 유지하였다. 10분 유지 완료 후 탈이온수 226.0g,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4.4g, 메타크릴산 135.7g, n-부틸아크릴레이트 165.4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4g으로 구성된 쉘(Shell)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90분 동안 80 ℃를 유지하면서 균일하게 투입하였다. 투입을 완료한 후 80 ℃에서 60분 동안 유지한 후 87 ℃로 승온하고, 추가로 60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의 중합을 완료하였다.
제조된 에멀젼 수지에 함유된 입자에서 코어부를 이루는 제1 중합체의 산가는 108 mgKOH/g이며, 2개 이상의 불포화 이중결합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사용량은 코어부 형성용 단량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였다. 또한 쉘부를 이루는 제2 중합체의 산가는 284 mgKOH/g이었다. 또, 코어부와 쉘부의 중량비는 7:3이었다.
2) 도배풀 조성물 제조
교반 조건 하에 제조된 에멀젼 수지 250g, 소포제(BYK社; BYK-024) 0.25g, 95% 순도의 글리세린 7.2g을 용기에 투입한 후 10분 동안 분산하였다. 이후 50% 순도의 가성소다(NaOH) 17.7g과 탈이온수 180.3g이 혼합된 수용액을 상기 용기에 20분 동안 투입하여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2%였다.
[ 비교예 1]
시판되는 도배용 전분풀(삼성산업 제품, 고형분 20 %)을 준비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5%였다. 상기 도배용 전분풀 70 중량%와 물 3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3.5%였다.
[ 비교예 2]
시판되는 수성 하도인 숲으로 믹싱(주식회사 KCC 제품, 단량체 분석결과 무게비 스티렌/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55/44/1, 고형분 비율 40 %, 고비점 용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2% 함유) 100g을 탈이온수 100g에 혼합하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asol 330+)를 소량 첨가하여 25 ℃에서 100,000±50,000 cPs 수준의 점도를 갖는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1%였다.
[비교예 3]
시판되는 도배용 수성 프라이머(주식회사 오공본드 제품, 501 프라이머, 고형분 비율 20 %의 합성수지 에멀젼(단량체 분석결과 무게비 스티렌/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46/53/1))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asol 330+)를 소량 첨가하여 25 ℃에서 100,000±50,000 cPs 수준의 점도를 갖는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 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2%였다.
[비교예 4]
시판되는 제지용 바인더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라텍스(한솔 케미칼 제품, S-203, 주성분 스티렌/부타디엔, 고형분 함량 중량기준 47 %) 100g에 탈이온수 135g을 혼합하여 도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2%였다.
[비교예 5]
상용화된 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주식회사 KCC 제품, CHW51165, 단량체 무게비 비닐아세테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70/30, 고형분 비율 중량 기준으로 45%) 100g에 탈이온수 115g을 혼합하고,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asol 330+)를 소량 첨가하여 25 ℃에서 100,000±50,000 cPs 수준의 점도를 갖는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9%였다.
[비교예 6]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맨틀, 열전쌍, 콘덴서, 교반기, 적하조가 설치되어 있는 1L 4구 플라스크에 증류수 161.6g, 아크릴아마이드 9.43g, 아크릴산 5.39g을 투입하고 80 ℃로 유지한 후, 암모늄퍼설페이트 0.97g이 증류수 10.77g에 용해된 수용액을 투입하여 1차 중합을 수행하였다. 이후, 아크릴산 8.08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3.49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63.29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8.85g, 암모늄 퍼설페이트 0.97g을 증류수 107.73g에 용해시킨 후 상기 플라스크에 각각 3시간 동안 적하시켰다. 이때, 플라스크의 온도는 80 ℃로 유지하였다. 1 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암모늄퍼설페이트 0.11g이 증류수 1.62g에 용해된 용액과, 소듐메타바이설페이트 0.11g이 증류수 1.62g에 용해된 용액을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50 ℃ 이하로 냉각시키고, 증류수 463.26g을 투입한 후, 암모니아수(25%) 12.71g을 플라스크에 적가하여 수용해성 아크릴 수지의 중합을 완료하였으며, 이를 도배풀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5%였다.
[비교예 7]
수산고분자㈜의 폴리아크릴산 액상형 고흡수성 수지 SUBLOC-1000(고형분 30%) 100g에 탈이온수 50g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도배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20.1%였다.
[비교예 8]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열맨틀, 열전쌍, 콘덴서, 교반기, 적하조가 설치되어 있는 1L 4구 플라스크에 암모늄퍼설페이트 20.94g과 탈이온수 828.87g을 투입하고 80 ℃로 승온시켰다. 여기에 탈이온수 314.16g, 암모늄퍼설페이트 10.47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31.40g, 아크릴산 155.92g이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을 온도가 80 ℃로 유지되는 플라스크에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이후 암모늄퍼설페이트 2.09g을 탈이온수 140.14g에 녹인 개시제 수용액을 2시간 동안 적하하고, 1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때 플라스크의 온도를 80℃로 유지하였다. 다음,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Natrasol 330+)를 소량 첨가하여 25 ℃에서 브룩필드 점도를 조절하여 도배풀 조성물로 사용하였다. 시료를 채취하여 150 ℃ 오븐에서 30 분 동안 방치 후 무게를 재어 고형분을 측정하였을 때, 고형분 비율은 중량기준으로 20.3%였다.
[실험예 1] 이염 방지성 평가
석고보드 원지(일반 석고보드용, 아세아 제지 주식회사 제품)에 아세톤을 스프레이로 분무하고, 잠시 후 발현되는 붉은 색 및 청색 계통의 반점부위를 모두 도려내었다. 20 cm×20 cm 크기의 석고보드 원지에 도려낸 반점부위 20개를 골고루 풀로 붙였다.
시판되는 실크 벽지(신한벽지 주식회사 제품, 리빙 샌드윅)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 각각을 붓으로 1회 골고루 칠하고 반점부위가 붙어있는 석고보드 원지의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후 상온에서 1개월 동안 방치하고 실크 벽지 표면 위에 유색 반점이 발생하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총 20개 반점부착 부위 중 실크 벽지 위에 반점이 발생된 개수와 발현강도로 도배풀 조성물의 이염 방지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접착강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의 접착강도를 KS F 3217(2010년 개정판)의 접착강도 규격에 따라 평가하였다. 기준치인 8.0 N/25 mm 규격을 상회할 경우 ‘양호’로, 상회하지 않을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건조안정성 및 접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배풀 조성물을 가로/세로 10cm의 실크 벽지(신한벽지 주식회사 제품, 리빙 샌드윅)에 4g씩 브러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후,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면을 반으로 접어 비닐재질의 봉투에 밀봉 포장한 후 3일(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을 완료한 후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면에 도배풀 조성물의 뭉침 여부 및 건조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석고 보드에 숙성된 실크 벽지를 부착하여 도배풀 조성물의 숙성 후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도배풀 조성물의 도표면에 도배풀 조성물이 균일하게 sol 형태로 남아있을 경우 ‘양호’로, 도배풀 조성물이 뭉쳐있을 경우 ‘뭉침’으로, 도배풀 조성물이 건조된 경우 ‘건조’로 평가하였다. 또한, 석고 보드에 실크 벽지의 부착이 양호할 경우 ‘양호’로, 불량할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도배풀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또는 성분 1개월 후 실크 벽지 위에 발현된 유색 반점의 수(개)
(발현강도)
접착강도 숙성 후 도배풀 조성물의 건조안정성 숙성 후 도배풀 조성물의 접착성
실시예 1 코어부/쉘부 입자 함유 에멀젼 수지 2/20(약)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2 코어부/쉘부 입자 함유 에멀젼 수지 0/20(약) 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3 코어부/쉘부 입자 함유 에멀젼 수지 4/20(약)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1 전분풀 20/20 (강)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2 소수성 합성수지 에멀젼 18/20 (강) 양호 뭉침 불량
비교예 3 도배용 프라이머 15/20 (강) 양호 건조 불량
비교예 4 제지용 SBR 라텍스 14/20 (중) 양호 뭉침 불량
비교예 5 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 10/20 (중) 양호 건조 불량
비교예 6 수용해성 에멀젼 수지 11/20(중) 양호 건조 불량
비교예 7 액상형 고흡수성 수지 측정불가 불량
(접착면 탈락)
양호 불량
비교예 8 수용성 아크릴 수지 11/20 (중) 양호 건조 불량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은 실크 벽지 시공 1 개월 후 실크 벽지 위에 발현된 유색 반점의 수가 20개 중 4개 이내로 발현이 약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숙성 과정을 거치더라도 도배풀 조성물의 뭉침 또는 건조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접착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6과 같이 고형분 산가가 70 mgKOH/g 미만인 수지가 적용된 도배풀 조성물의 경우, 실크 벽지 위에 발현된 유색 반점의 수가 20개 중 최소 14개 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7 및 8과 같이 고형분 산가가 300 mgKOH/g을 초과하는 수지가 적용된 도배풀 조성물의 경우에도 실크 벽지 위에 발현된 유색 반점의 수가 11개이거나 도배풀 조성물의 도포면이 딱딱해져 접착 자체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숙성 과정을 거칠 경우 비교예 1을 제외하고는 도배풀 조성물의 건조안정성 및 접착성 평가 결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자동 도배풀 도포기 적용 시 물성 평가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도배풀 조성물을 각각 실크 벽지(신한벽지 주식회사 제품, 리빙 샌드윅)에 자동 도배풀 도포기로 도포하고 실험예 1의 이염 방지성 평가와 KS F 3217(2010년 개정판) 검사규격의 물성항목 시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준치
(KS 규격 외)
실시예 2 비교예 1
자동 도배풀 도포기 작업성 균일할 것 균일 균일
이염 방지성 5/20 이하 발현
(발현강도 약)
0/20 (약) 20/20 (강)
접착강도(N/25mm) 8.0 이상 16.7 5.5
곰팡이 저항성 0 (우수) 0 0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mg/㎡h)
0.12 미만 기기 검출한계 이하 기기 검출한계 이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mg/㎡h)
2.0 미만 0.57 0.52
톨루엔 방출량(mg/㎡h) 0.080 미만 기기 검출한계 이하 기기 검출한계 이하
비휘발분(%) 18 이상 20.3 12.5
회분(%) 3 이하 0.16 0.15
pH 4-8 7.2 5.7
내한성(N/25mm) 8.0 이상 21.3 7.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배풀 조성물은 자동 도배풀 도포기를 이용하여 실크 벽지에 도포하더라도 균일하게 도포가 가능하며, 접착강도, 곰팡이 저항성, 포름 알데히드 방출량,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방출량, 톨루엔 방출량, 비휘발분, 회분, pH 및 내한성 등의 물성이 KS규격 기준치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코어부와 쉘부로 이루어진 입자를 함유하는 에멀젼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가교구조를 갖는 제1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부는 선형구조를 갖는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가 50 내지 350 mgKOH/g 범위이고,
    상기 제2 중합체의 산가(acid value)가 70 내지 300 mgKOH/g 범위인 것인 도배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는 디비닐벤젠, 1,4-디비닐벤젠,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아릴프탈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인 도배풀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3.5 중량부인 것인 도배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상기 쉘부의 비율이 2:8 내지 8:2의 중량비인 것인 도배풀 조성물.
  5. 벽지의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배풀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 및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벽지 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벽면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도배풀 조성물이 도포된 벽지를 20분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벽지 시공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벽지가 실크 벽지인 것인 벽지 시공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벽면이 재생지가 피복된 석고보드의 표면인 것인 벽지 시공 방법.
KR1020170001853A 2017-01-05 2017-01-05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KR101754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53A KR101754053B1 (ko) 2017-01-05 2017-01-05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53A KR101754053B1 (ko) 2017-01-05 2017-01-05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053B1 true KR101754053B1 (ko) 2017-07-05

Family

ID=5935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853A KR101754053B1 (ko) 2017-01-05 2017-01-05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0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6102A (zh) * 2019-04-04 2019-07-16 南京瑞固聚合物有限公司 一种pp或pe薄膜印刷油墨用水性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
KR20190120519A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KR102262319B1 (ko) * 2020-12-01 2021-06-07 진수길 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풀 제조 방법
KR20230106034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용 풀의 제조방법
KR20240023742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지엠테크 도배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242A (ja) 2000-09-04 2002-03-19 Sony Corp 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3201457A (ja) 2001-10-29 2003-07-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感熱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感熱性粘着シート又はラベル
JP2012126789A (ja) 2010-12-14 2012-07-05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74775A (ja) 2014-10-03 2016-05-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ジョン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242A (ja) 2000-09-04 2002-03-19 Sony Corp 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3201457A (ja) 2001-10-29 2003-07-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感熱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感熱性粘着シート又はラベル
JP2012126789A (ja) 2010-12-14 2012-07-05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74775A (ja) 2014-10-03 2016-05-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ジョン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19A (ko) * 2018-04-16 2019-10-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KR102117022B1 (ko) 2018-04-16 2020-06-01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CN110016102A (zh) * 2019-04-04 2019-07-16 南京瑞固聚合物有限公司 一种pp或pe薄膜印刷油墨用水性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
CN110016102B (zh) * 2019-04-04 2021-11-02 南京瑞固聚合物有限公司 一种pp或pe薄膜印刷油墨用水性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
KR102262319B1 (ko) * 2020-12-01 2021-06-07 진수길 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풀 제조 방법
KR20230106034A (ko) * 2022-01-05 2023-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용 풀의 제조방법
KR102634761B1 (ko) * 2022-01-05 2024-02-0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배용 풀의 제조방법
KR20240023742A (ko)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지엠테크 도배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053B1 (ko)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US6797328B2 (en) Coating composition
KR101943716B1 (ko)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AU2007275778A1 (en) Aqueous floor polishing composition
KR101861018B1 (ko) 이염방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배 방법
CN1982347A (zh) 聚合物组合物
KR101720355B1 (ko) 얼룩 방지 수성 코팅 조성물
HU214746B (hu) Több szakaszban előállított emulziós polimer kötőanyagot tartalmazó elasztomer kompozíció, és eljárás alkalmazására
US5962580A (en) Method for providing a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color acceptance
DE19918052A1 (de) Wässrige, pigmenthaltige Beschichtungsmittel
CN101418194A (zh) 双面粘合片及其制造方法
KR102222879B1 (ko)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 방법
DE102007048141A1 (de) Wässrige Dispersion
CN102558977B (zh) 水性涂料组合物,用来提供涂层的方法以及涂覆有该涂层的水泥基材
CN105705592B (zh) 水基涂布组合物
CN111065698B (zh) 用于柔性屋顶涂层的水性聚合物组合物
US5026780A (en) Water swellable resin composition
KR102117022B1 (ko) 도배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의 시공 방법
CN101665556A (zh) 具有改善的可压花性的皮革涂料组合物
KR102282206B1 (ko) Pvc 인테리어 시트용 수성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IE903581A1 (en) Method of coating a substrate with an ambient¹temperature-drying aqueous elastomeric composition and the¹use of such compositions in or as elastomeric coating¹compositions
CA3060233C (en) Elastomeric latice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S6335184B2 (ko)
JP2961814B2 (ja) 水性塗料組成物
DE19749643A1 (de) Dispersionsfarben, die als Bindemittel mit Carbonylgruppen funktionalisierte Polymere enthal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