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85B1 -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85B1
KR101752885B1 KR1020150150900A KR20150150900A KR101752885B1 KR 101752885 B1 KR101752885 B1 KR 101752885B1 KR 1020150150900 A KR1020150150900 A KR 1020150150900A KR 20150150900 A KR20150150900 A KR 20150150900A KR 101752885 B1 KR101752885 B1 KR 10175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reinforcing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950A (ko
Inventor
고재필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5015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산탑으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는수단이 구비되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결합되어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과,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 및, 중공의 원판으로, 외함이 상기 원판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외함의 외주면 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보강 도넛판이 복수개가 상기 소음기 외주면 상에 복층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평보강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방산탑 소음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단순한 구성의 추가로 인하여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Silencer of gas diffusing tower and manufacture method of silencer of gas diffusing tower}
본 발명은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산탑으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는수단이 구비되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산탑은 가스 또는 수증기의 배출이 필요한 시설물의 상부에 가스 또는 수증기의 배출을 위하여 마련되는 시설물이며, 방산탑의 소음기는 방산탑에서 고압의 증기 또는 기체가 배출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방산탑의 상부 끝에 결합되는 출구 구조물이다.
소음기 자체에서도 먼 곳 까지 전달되는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소음은 소음기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과 소음기를 통과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있다. 특히 소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멀리 전파되는 것은 소음기 자체의 진동에 의한 저주파 소음이며, 종래에는 이러한 저주파 소음을 감쇄시킬 수단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제10-0962523호(등록일자: 2010. 06. 03)에 개시된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스 방산탑용 소음기' 기술 에서는 소음기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120,140)의 외벽을 흡음재(130,152)와 보호천(153), 철망(154), 다공판(131,155)으로 이루어지는 복겹 구조의 흡음 수단이 감싸게 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단이 개시된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소음기의 저주파 발생의 근원인 소음기 외함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단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멀리 전파됨으로써 공중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은 주로 저주파 소음인 점에서 저주파 소음을 감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종래의 방산탑용 소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쇄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소음기 기술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2523호(등록일자: 2010. 06. 03)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종래의 방산탑 소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쇄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산탑 소음기는,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결합되어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과,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 및 중공의 원판으로, 외함이 상기 원판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외함의 외주면 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보강 도넛판이 복수개가 상기 소음기 외주면 상에 복층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평보강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도넛판 간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며 외함 외주면에 부착되는 판재로서, 복수개가 상기 외함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수직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도넛판의 중공의 직경은 상기 외함 외주면 직경보다 같거나 또는 미소 길이만큼 작으며, 보강 도넛판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 보강 도넛판의 상기 중공에 외함이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도넛판의 내주면 또는 외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진원도 공차로 인하여 보강 도넛판 내주면과 외함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투입되는 확산접합재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함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제진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은,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을 제작하여 디퓨저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을 제작하여 인렛셀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 및, 중공의 수평판인 보강 도넛판을 하나 이상 제작하여 상기 외함을 보강 도넛판의 중공에 끼움으로써 보강 도넛판을 외함 외주면에 복층으로 고정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강 도넛판을 외함 외주면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를 제작하되 상기 판재의 일면이 상기 외함 외주면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하고, 상기 일면에는 복층으로 배치되는 보강 도넛판들이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여, 보강 도넛판들을 상기 슬롯에 삽입하면서 상기 일면은 외함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수직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도넛판을 외함 외주면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에서, 보강 도넛판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외함을 보강 도넛판의 중공에 끼움으로써 보강 도넛판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도넛판은 중공의 내주면 직경을 외함 외주면 직경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보강 도넛판을 외함 외주면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외함의 외주면에 제진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에 따르면, 방산탑 소음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단순한 구성의 추가로 인하여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어 인근 지역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 되면서 그에 따르는 비용은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와 수평보강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와 수직보강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서 수직보강부의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 제진재가 적용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 제진재가 적용되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 축소모델의 진동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의 진동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 대하여 설명한 다음, 방산탑 소음기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먼저 방산탑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한국가스공사 공급관리소는 천연가스 생산기지로부터 지하배관을 통하여 고압으로 보내어진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낮추고 공급된 가스의 양을 계량하여 도시가스회사 또는 발전소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하배관의 지름은 0.762m에서 0.508m배관까지가 사용되며, 배관을 통과하는 가스압력은 최고 6.86MPa에서 최저 0.83MPa이다. 공급관리소에는 매설배관의 유지보수 및 긴급사유 발생 시 차단밸브에 의해 구간 차단 후 배관내 가스를 빠른 시간 안에 방출하기 위하여 방산탑이 설치된다.
방산탑의 높이는 25m, 40m를 표준형으로 하되 방출된 가스의 착지농도가 폭발 하한계값 미만이 되도록 충분한 높이로 설치된다. 고압의 가스를 방산탑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방산탑 상부 또는 하부에 소음기가 설치된다.
소음기는 배관압력이 3MPa 이상일 경우 높은 소음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소음 발생 원인을 유체-구조 연성해석을 수행하여 찾을 수 있다. 연성해석 결과 상부형 소음기는 고압가스 방출로 유체가 구조물을 가진하여 발생하는 구조소음과 유체 유동이 발생하는 유체소음이 혼합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부형의 경우 소음기를 통과해 방산탑 끝단에서의 유동 소음과 하부에서의 구조소음으로 나누어짐이 확인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는 상부형 소음기인데, 소음기가 설치되는 방산탑의 전체적인 모습은 대략 도 12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도면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연결되는 벤트배관(1)이 수직으로 절곡되면서 수직 상부로 연장되고, 벤트배관(1)의 외주면을 보호관(8)이 감싸며, 보호관(8) 상부에는 플랫폼이 설치되고, 보호관(8)의 내부에는 드레인 관(5)이 설치된다. 보호관(8)의 외부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보조 프레임(2)이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게 될 디퓨저(10)에서 가스 방출공(11)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디퓨저(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드레인관(5)을 통하여 배수된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소음기는 본 발명에서의 소음기는 아니며 종래기술 중의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산탑 소음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0)와, 인렛셀과, 외함(30)과, 수평보강부(40)와, 수직보강부(50) 및 제진재(60)로 이루어진다.
디퓨저(10)는 벤트배관(1)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는 가스 방출공이 형성된다. 가스 방출공(11)은 가스가 가스 방출공(11)으로 방출될 때 압력과 소음을 1차적으로 감쇠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때 방출되는 가스는 상승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인렛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0) 외주면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원통체이다. 인렛셀(20)은 디퓨저(10)의 상단보다 더 높게 연장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다. 인렛셀(20)의 상단부에는 빗물이 인렛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우수커버(31)가 배치된다.
외함(30)의 하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8)의 상단으로 이어지며, 상부로 갈수록 하광상협의 형상이 되게 경사가 형성되고, 인렛셀의 외주면을 이격되게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 보강부(40)는 보강 도넛판(4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강 도넛판(41)은 바람직하게는 복수개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층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보강 도넛판(41)은 중공이 형성되는 원판으로서 보강 도넛판(41)의 중공에 외함(30)이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보강 도넛판(41)은 견고한 강성재질로서 외함(30)의 외주면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보강 도넛판(41)은 외함(30) 외주면에 열박음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보강 도넛판(41)을 대략 섭씨 250도 내지 600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보강 도넛판(41)의 중공에 외함(30)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보강 도넛판(41)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함(30)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의 직경이 커지는 점을 이용하여 보강 도넛판(4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차례로 상부에 배치될 보강 도넛판(41)부터 하부에 배치될 보강 도넛판(41)의 순서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이때 보강 도넛판(41)이 외함(30)에 열박음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함(30) 외주면과 보강 도넛판(41)의 내주면이 서로 진원도 공차로 인하여 틈이 발생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상기 틈에 확산접합재료를 투입하여 보강 도넛판(41)과 외함(30)의 결합이 틈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열박음의 형태로 보강 도넛판(41)을 외함(30)에 결합시키고 공냉시키면 보강 도넛판(41)이 원래의 치수로 돌아오면서 외함(30)의 외주면을 단단하게 조이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함(30) 자체가 진동하게 되면 저주파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저주파 소음은 크게 회절되면서 먼 곳 까지 전파되므로 소음 피해의 주범이다. 그러나 보강 도넛판(41)이 이처럼 열박음의 형태로 외함(30) 외주면을 단단히 조여주면 외함(30)의 진동은 현저하게 감쇠되면서 진동의 진폭이 대폭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보강 도넛판(41)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보강 도넛판(41) 간을 연결시키는 수직 보강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보강부(50)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처럼 수직판으로서 일면은 외함(30)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보강 도넛판(41)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판이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두 가지 실시예에서처럼 수직 보강부(50)를 이루는 판재는 보강 도넛판(41)이 삽입될 수 있는 수평슬릿이 여러 개 형성되거나 또는 보강 도넛판(41) 마다 각각 끼워지는 짧은 판들이 수직 보강부(50)를 이룰 수 있다.
수직 보강부(50)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각각 분리된 보강 도넛판(41) 전체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보강 도넛판(41)의 진동이 보강 도넛판(41) 간에 서로 상쇄되면서 외함(30)의 진동을 더욱 감쇠시키는 결과가 달성된다. 이러한 효과는 뒤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고하면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외함(30)의 외주면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재(60)가 부착될 수 있다. 제진재(60)는 재질의 댐핑 특성을 이용하여 진동하는 물체와 함께 움직임으로써 진동에너지를 감쇠시켜 진동을 줄여주는 작용을 하는 부재이다.
제진재(60)는 고분자의 점탄성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제진재(60)가 부착되는 대상의 진동을 억제시킨다. 제진재(60)로 사용되는 재료는 아스팔트지(asphalt sheet)일 수 있다. 고분자 점탄성 물질은 외부로부터 응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완하 현상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갈 때 까지 분자간의 마찰에 의하여 진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형되어 소실된다.
이 경우 재진재는 단층형일 수도 있고 복층형(샌드위치형)일 수도 있다.단층형은 외부에서 주어진 진동에너지가 주로 댐핑층의 인장압축에 의해 흡수되며 복층형은 진동에너지가 댐핑층의 전단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함체가 진동을 일으킬 때 함체에 부착된 제진재(60)가 신축변형을 일으키면서 진동에너지가 열에너지고 전환되어 진동감쇄가 일어난다.
제진재(60)의 제진 성능은 온도의존성을 가진다 제진재(60)가 단층형일 경우 유효온도는 섭씨 10도 내지 40도이며, 복층형일 경우는 섭씨 10도 내지 60도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진재(60)는 복층형이 부착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음의 철저한 감쇄를 위하여 함체 외부에 추가 케이스를 설치할 수 있다. 추가 케이스는 함체와 이격되게 함체 외주면을 둘러싸며 추가 케이스 내주면에는 소리 분산을 위한 불규칙한 돌기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함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공진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분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은 방산탑의 상단에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10)를 제작하는 단계(S1)와, 디퓨저(10)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을 제작하여 디퓨저(10)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S2)와,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30)을 제작하여 인렛셀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S3) 및, 중공의 수평판인 보강 도넛판(41)을 하나 이상 제작하여 외함(30)을 보강 도넛판(41)의 중공에 끼움으로써 보강 도넛판(41)을 외함(30) 외주면에 복층으로 고정 결합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S4 단계 이후에 단계 이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를 제작하되 상기 판재의 일면이 상기 외함(30) 외주면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하고, 상기 일면에는 복층으로 배치되는 보강 도넛판(41)들이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여, 보강 도넛판(41)들을 상기 슬롯에 삽입하면서 상기 일면은 외함(30)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수직 보강부(50)를 형성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S4단계에서 보강 도넛판(41)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외함(30)을 보강 도넛판(41)의 중공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보강 도넛판(41)과 외함(30)을 결합함으로써 공냉되어 보강 도넛판(41)이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면 보강 도넛판(41)이 강력하게 외함(30) 외주면을 조임으로써 외함(30)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현저하게 감쇠된다.
이 경우 보강 도넛판(41)을 제작할 때 보강 도넛판(41)의 조임 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보강 도넛판(41)의 내주면 직경을 보강 도넛판(41)이 결합되는 위치의 외함(30) 외주면보다 작거나 같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보강 도넛판(41)을 외함(30) 외주면에 고정 결합하는 S4 단계 이후에 외함(30) 외주면에 제진재(60)를 부착하는 단계(S6)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제진재(60)는 보강 도넛판(41)과 수직 보강부(50)로 제어되지 못하는 중저주파수의 진동을 현저하게 감쇄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 의하여 소음 감쇠 정도를 나타낸 실험 결과가 도 9 내지 11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그래프는 왼쪽은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실험한 방산탑 소음기의 진동 크기이고, 도 9의 오른쪽 그래프는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가 적용된 상태의 진동 크기이다.
도 9를 자세히 살펴보면 왼쪽의 그래프는 수직축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각각 100 m/sec2과 -100 m/sec2이지만, 오른쪽의 그래프는 수직축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각각 20 m/sec2과 -20 m/sec2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를 적용하는 경우 진폭이 4배 가까이 줄어듦으로써 소음이 현저하게 감쇠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도 도 9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11의 그래프는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가 적용되기 전과 후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상부 그래프는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가 적용되기 전의 것으로서 하부의 수평 보강부(40) 및 수직 보강부(50)가 적용된 후의 것과 비교하면 하부의 그래프에서는 저주파 진동이 현저하게 감쇠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산탑 소음기에 의하면 종래의 디퓨저나 흡음재만 적용된 방산탑 소음기에 비하여 진동의 크기와 저주파 진동이 모두 현저하게 감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밴트배관 2: 보조 프레임
5: 드레인 관 8: 보호관
10: 디퓨져 11: 가스 방출공
20: 인렛셀 30: 외함
31: 우수커버 40: 수평 보강부
41: 보강 도넛판 50: 수직보강부
60: 제진재

Claims (10)

  1.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결합되어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과;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평단면 직경이 증가되는 외함과;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외함이 상기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외함의 외주면 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보강 도넛판이 복수개가 상기 외함의 외주면 상에 복층으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보강 도넛판은 외함의 수평단면 직경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중공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강 도넛판의 중공의 직경은 상기 외함 외주면 직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보강 도넛판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 보강 도넛판의 상기 중공에 외함이 억지끼움 되며, 보강 도넛판의 내주면 또는 외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진원도 공차로 인하여 보강 도넛판 내주면과 외함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확산접합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보강부와;
    상기 보강 도넛판 간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도록 길게 형성되며 외함 외주면에 부착되는 판재로서, 복수개가 상기 외함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외함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평단면 직경이 증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폭 방향의 측면이 외함 외주면의 수직방향 형상에 일치되게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수직보강부; 및,
    상기 외함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제진재;로 구성되는 방산탑 소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으로 구성되는 방산탑 소음기를 제작하는 제작방법으로서,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을 제작하여 디퓨저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을 제작하여 인렛셀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와;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보강 도넛판을 하나 이상 제작하고, 보강 도넛판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외함을 보강 도넛 판의 중공에 억지끼움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보강 도넛판을 외함 외주면에 복층으로 고정 결합하는 단계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재를 제작하되 상기 판재의 일면이 상기 외함 외주면의 수직 방향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하고, 상기 일면에는 복층으로 배치되는 보강 도넛판들이 삽입되는 슬롯을 형성하여, 보강 도넛판들을 상기 슬롯에 삽입하면서 상기 일면은 외함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수직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함의 외주면에 제진재를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50900A 2015-10-29 2015-10-29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KR10175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00A KR101752885B1 (ko) 2015-10-29 2015-10-29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00A KR101752885B1 (ko) 2015-10-29 2015-10-29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50A KR20170049950A (ko) 2017-05-11
KR101752885B1 true KR101752885B1 (ko) 2017-07-03

Family

ID=5874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00A KR101752885B1 (ko) 2015-10-29 2015-10-29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81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 저감 장치
KR20230169615A (ko) 2022-06-09 2023-12-18 한국가스공사 수평형 소음기를 구비한 3단 벤트스택 적용 천연가스용 방산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01B1 (ko) * 2020-06-04 2022-02-11 주식회사 에이티에스 방산탑 소음기
KR102481825B1 (ko) * 2022-09-06 2022-12-28 레트엔지니어링(주) 액체 산소 벤트 소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47Y1 (ko) * 2002-08-27 2002-11-23 캐리어 주식회사 압력 용기
KR200371210Y1 (ko) * 2004-07-26 2004-12-29 주식회사 서진캠 캠 샤프트와 캠 구조
KR101451379B1 (ko) * 2014-06-24 2014-10-23 (주)유송엔지니어링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347Y1 (ko) * 2002-08-27 2002-11-23 캐리어 주식회사 압력 용기
KR200371210Y1 (ko) * 2004-07-26 2004-12-29 주식회사 서진캠 캠 샤프트와 캠 구조
KR101451379B1 (ko) * 2014-06-24 2014-10-23 (주)유송엔지니어링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581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 저감 장치
KR102027283B1 (ko) * 2017-10-31 2019-10-01 삼성중공업(주) 소음 저감 장치
KR20230169615A (ko) 2022-06-09 2023-12-18 한국가스공사 수평형 소음기를 구비한 3단 벤트스택 적용 천연가스용 방산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50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885B1 (ko)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
US7398855B2 (en) Compressor sound attenuation enclosure
CN1250906C (zh) 减小燃气轮机装置中的燃烧室脉动的减振装置
US3276539A (en) Sound isolating enclos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generator set
US9500302B2 (en) Method for attenuating noise produced by pipes and pipe arrangement
JP2008231979A (ja) 消音チャンバーダクト
JP2014218924A (ja) 消音器遮音構造
CN103443862A (zh) 采用声歧管谐振器的核反应堆的噪声及振动消减系统
JP2010058591A (ja) 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の整流板,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の整流板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
JP5590752B2 (ja) 遮音構造および遮音カバー
JP5978304B2 (ja) パイプ及び配管によって生じる騒音を減衰させるための方法
WO2018014482A1 (zh) 制冷装置
KR100925938B1 (ko) 배기 방사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KR200441754Y1 (ko) 원적외선 히터의 소음기
CN207761924U (zh) 水泵
CN206206121U (zh) 压缩机减振隔音罩
CN113374695B (zh) 一种旋转机械管路消声器
JPS5822679B2 (ja) 管路の防振装置
US11536487B2 (en) Diffusion muffling device, diffusion resonance muffling device, full-frequency diffusion muffling device, muffling system for ventilation channel, and muffl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9209856A (ja) 消音器及び消音器の製造方法
JP2008232492A (ja) 浴室換気空調装置
JP7304174B2 (ja) 消音器
KR20180092451A (ko) 공명형 소음 저감 장치
KR101829253B1 (ko) 머플러의 구조
KR200470896Y1 (ko) 파이프 동흡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