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770B1 -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770B1
KR101752770B1 KR1020160006115A KR20160006115A KR101752770B1 KR 101752770 B1 KR101752770 B1 KR 101752770B1 KR 1020160006115 A KR1020160006115 A KR 1020160006115A KR 20160006115 A KR20160006115 A KR 20160006115A KR 101752770 B1 KR101752770 B1 KR 10175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ilage
present
lignocellulose
lactobacillus plant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식
김혜선
김삼철
이성신
한옥규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1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8Endo-1,4-beta-xylanase (3.2.1.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14Chitinase (3.2.1.14)
    • C12R1/2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r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인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능이 뛰어나며, 동시에 산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어 사일리지 제조시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다른 곰팡이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목질이 저감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고품질의 사일리지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축 사료 산업에 매우 유용하며, 그 파급 효과가 클 것이다.

Description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strain having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secretion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반추가축은 조사료를 이용함으로 인간과 식량경합을 하지 않는 인류의 중요한 동물자원이다. 생육기에 과잉생산되는 조사료는 건조 또는 발효되어 동절기 중 반추가축에 급여되는데, 발효가 이루어진 조사료는 사일리지(Silage, 담근먹이)라 불린다. 일반적으로, 사일리지란 목초나 사료작물을 절단하여 사일로에 넣고 공기가 없는 혐기적 조건하에서 유산발효로 생성된 유산에 의해 pH 4.0의 낮은 산도를 유지함으로써 불량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장기저장이 가능한 다즙질 조사료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논에서 벼를 재배하여 왔으나 최근 생산량 감소와 쌀 시장의 개방으로 인하여 벼 재배면적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되며 따라서 논의 타용도 활용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논은 쌀 생산 기반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가지며 이런 기능을 계속 확보하기 위해서는 논을 논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이유로 인하여 논에서 가축의 사료로 쓸 수 있는 총체벼의 재배 이용이 필요하며 향후 재배면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총체벼는 일시에 다량 생산이 되며 조사료(풀사료)가 부족한 시기를 대비하여 저장을 해야 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이 사일리지(silage, 담근먹이)이다. 사일리지의 원리는 전통적인 김치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젖산균에 의한 자연 발효에 의존을 하게 되나 사일리지 조제시의 작물의 생육상태, 기상상태 등에 따라 균일한 품질의 사일리지를 얻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것이 사일리지용 첨가제(Inoculant, 이노큐란트)이며 이 이노큐란트를 첨가함으로써 사일리지의 품질이 개선되고 가축의 생산성(유 및 육생산)도 향상된다.
근래 많이 이용되는 사일리지용 첨가제인 이노큐란트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외국의 제품들이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당분함량이 낮은 식물체의 사일리지 발효에 적합한 균주"로서 이노큐란트가 개발되었고 "보리 사일리지용 미생물 첨가제 및 옥수수 사일리지용 미생물 첨가제" 등이 개발되어 산업화가 이루어져 있다. 최근 이노큐란트는 처리하기 쉽고 부작용이 없으며 가격도 낮은 장점 때문에 근래 각광을 받고 있다. 국외에서는 수십 내지 수백 종의 이노큐란트가 개발되어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9825호에는 '총체벼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총체벼 사일리지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80516호에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IN-5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T-77 및 이를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고자 시도한 결과,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가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인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능이 뛰어나며, 동시에 산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어 사일리지 제조시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다른 곰팡이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목질이 저감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고품질의 사일리지의 제조를 가능케할 수 있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질섬유소 분해효소(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균주(기탁번호: KCCM11788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일리지용 이노큐란트(Inoculant)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조사료에 처리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인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능이 뛰어나며, 동시에 산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어 사일리지 제조시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다른 곰팡이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목질이 저감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고품질의 사일리지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축 사료 산업에 매우 유용하며, 그 파급 효과가 클 것이다.
도 1은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를 사일로에 발효 후 0일, 1일, 4일, 7일, 48일, 100일에서 분리된 우점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의 cfu(colony forming unit)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선발된 R48-27 균주의 목질섬유소 분해 능력을 검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선발된 R48-27 균주의 pH 감소 능력을 검정한 그래프이다. CK :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대조구, R0-5 및 R0-36은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R48-27 : 본 발명에서 선발된 균주.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리된 목질섬유소 분해 능력이 뛰어난 R48-27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선발된 R48-27 균주의 16S rR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질섬유소 분해효소(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균주(기탁번호: KCCM11788P)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인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능이 뛰어나며, 동시에 산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일리지 제조시 산도가 높아 다른 곰팡이 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목질이 저감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고품질의 사일리지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2015년 11월 24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11788P).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목질섬유소 분해효소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또는 에스터라제(Esteras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목질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당류이자, 자연계에서 석탄에 이어 다량으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이며,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탄소원이다. 목질섬유소 분해효소는 섬유소 분해효소뿐만 아니라, 자일라네이즈, 펙티네이즈 등 목질섬유소를 분해하는 여러가지 효소의 혼합물을 일컫는다.
또한, 식물체의 세포벽은 순수한 섬유소와 달리 다양한 구조와 화학결합을 가진 다당류의 다양한 기질이 얽혀져 있기 때문에 식물체를 분해하는 것은 순수한 섬유소를 분해하는 것보다 매우 훨씬 더 복잡하다. 식물체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엔도글루카네이즈와 엑소글루카네이즈 외에 베타글루카네이즈, 자일라네이즈, 그리고 펙티네이즈와 같은 다양한 식물세포벽분해 효소들이 필요하다. 베타글루카네이즈는 다른 섬유소분해효소들의 작용을 억제하는 셀로바이오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자일라네이즈와 펙티네이즈 같은 효소들은 섬유소의 섬유질을 싸고 있는 비섬유소성 다당류를 제거함으로써 섬유소를 노출시켜 섬유소분해를 촉진시켜 준다. 이와 같이 자연계에 있는 섬유소는 비섬유성 다당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섬유소분해효소라고 하기보다는 목질섬유소분해효소(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를 분비하며, 산도를 증진시키는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질섬유소는 셀룰로스, 키틴 또는 자일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의 배양 방법 및 목질섬유소 분해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일리지용 이노큐란트(Inoculant) 제제를 제공한다. 이노큐란트는 불량 미생물이 생장할 기회를 줄이고 젖산발효를 증진시키거나 또는 목질섬유소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식물체 사일리지에 미생물을 접종하는데, 이런 미생물을 일반적으로 이노큐란트(Inoculant)라 하며, 이 이노큐란트를 첨가함으로써 사일리지의 품질이 개선되고 가축의 생산성(유생산 및 육생산)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를 분비하며, 산도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사일리지용 이노큐란트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조사료에 처리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사일리지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식물체의 발효를 위한 복수의 발효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발효 단계들은, 예를 들어 혐기성균인 초산균의 발효 단계 및 이후 젖산균의 발효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조사료에 처리하여 발효하는 방법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조사료에 접종하여 발효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사일리지는 식물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대상이 되는 식물체는, 예를 들어 볏짚, 라이그라스(ryegrass), 총체보리, 총체벼, 호밀 또는 옥수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축의 사료로 이용될 수 있는 식물체라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일리지는 바람직하게는 호밀 사일리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험 방법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 발효액으로부터 균주 분리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를 사일로에서 발효를 시작한 2013년 5월 30일부터 0일, 1일, 4일, 7일, 48일, 그리고 100일 동안의 발효 기간별로 생성된 사일리지 배양액을 희석한 후, MRA 아가 배지 (카제인 10g, 비프 10g, 이스트 5g, 글루코스 20g, K2HPO4 2g, 아세테이트 5g, 시트레이트 2g, MgSO4 0.2g, MnSO4 0.05g, Tween80 100㎕, 아가 15g, pH 6.2-6.5: 1L 기준) 상에서 단일 콜로니 R48-27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48 -27 균주의 섬유소 분해 능력 검증
분리된 R48-27 균주의 섬유소 분해 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효소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이다. 섬유소 분해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셀룰라제(이스트: 1g, CMC: 1g, KH2PO4: 4g, MgSO4: 1g, MnSO4: 0.05g, FeSO4: 0.05g, CaCl2: 2g, NH4Cl: 2g, 아가: 18g), 키티나제(키틴: 5g, 효모: 5g, KH2PO4: 0.7g, K2HPO4: 0.5g, MgSO4: 0.3g, FeSO4: 0.1g, NaCl: 0.1g, 아가: 18g), 자일라나제(펩톤: 5g, 효모: 2g, MgSO4: 0.5g, NaCl: 0.5g, CaCl2: 0.1g, 자일란: 5g, 아가: 20g), 에스터라제(MRS medium+ ethyl ferulate)를 배지 상에서 효소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양 온도는 27℃에서 실시하였다.
분리된 R48 -27 균주의 pH 특성 연구
분리된 균주의 pH 감소 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MRS 액체 배지(pH7)에 본 발명에서 분리된 R48-27 균주와 R0-5, R0-36의 락토바실러스 종을 OD값이 0.1이 되게 배양한 후, 8시간마다 배지의 pH를 측정하였다.
분리된 R48 -27 균주의 동정
분리된 미생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프라이머는 27F(5'-AGAGTTTGATCMTGGCTCAG-3', 서열번호 2) 및 1492R (5'-GGTTACCTTGTTACGACTT-3', 서열번호 3)을 사용하였다. 도 4와 같이 확보된 16S rRNA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대상으로 NCBI의 BLAST 검색을 수행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1.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 발효액에서의 락토바실러스 cfu( colony forming unit ) 확인 및 호밀 사일리지 발효액에서 미생물 분리
본 발명자들은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기간 별로 락토바실러스의 cfu를 확인하기 위하여 출수기 후 호밀 사일리지를 2013년 5월 30일부터 발효 0일, 1일, 4일, 7일, 48일, 그리고 100일차의 발효액을 대상으로 락토바실러스 cfu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발효 기간별로 제조된 사일리지 액을 희석한 후 MRS 배지에 도말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효과적인 섬유소 분해균 선발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의 발효 0일 차부터 100일차에 걸쳐 호밀 사일리지에서 총 176 균주의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리그닌 콤플렉스를 분해하는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 플레이트 효소 분석한 결과, 발효 후 48일차에 분리된 균주가 리그닌 콤플렉스를 분해하는 모든 효소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도 2), 이 균주를 R48-27이라고 명명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서 분리한 R48 -27 균주의 산성화 능력 분석
출수 후 호밀 사일리지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산성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R48-27, R0-5, R0-36 균주를 이용하여 산성화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비교하여 8시간마다 액체 배지의 pH를 측정하였다. 4가지 효소에 대하여 활성을 지닌 균주인 R48-27 균주가 R0-5, R0-36 균주보다 액체 배지의 pH를 빠르게 감소시켰다(도 3).
실시예 4. 본 발명에서 분리한 R48 -27 균주의 동정
본 발명의 R48-27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해 게놈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시퀀싱 분석에는 16S rRNA의 V1 내지 V9 영역을 타켓으로 하는 프라이머 27F(5'-AGAGTTTGATCMTGGCTCAG-3', 서열번호 2) 및 1492R (5'-GGTTACCTTGTTACGACTT-3', 서열번호 3)를 사용하여 솔젠트(대전, 한국) 사에서 분석을 하였고,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분석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 사이트의 BLAST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동정하였다. 도 4와 같은 염기서열을 대상으로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로 동정되어 본 발명에서 분리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균주로 명명하였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2015년 11월 24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CM11788P).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788P 20151124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strain having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secretion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PN15347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061 <212> DNA <213> Lactobacillus plantarum <400> 1 ggtgctataa tgcagtcgaa cgactctggt attgattggt gcttgcatca tgatttacat 60 ttgagtgagt ggcgaactgg tgagtaacac gtgggaaacc tgcccagaag cgggggataa 120 cacctggaaa cagatgctaa taccgcataa caacttggac cgcaggtccg agtttgaaag 180 atggcttcgg ctatcacttt tggatggtcc cgcggcgtat tagctagatg gtggggtaac 240 ggctcaccat ggcaatgata cgtagccgac ctgagagggt aatcggccaa ttgggactga 300 gacacggccc aa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cttccacaat ggacgaaagt 360 ctgatggagc aacgccgcgt gagtgaagaa gggtttcggc tcgtaaaact ctgttgttaa 420 agaagaacat atctgagagt aactgttcag gtattgacgg tatttaacca gaaagccacg 480 gctaactacg tgccagcagc cgcggtaata cgtaggtggc aagcgttgtc cggatttatt 540 gggcgtaaag cgagcgcagg cggtttttta agtctgatgt gaaagccttc ggctcaaccg 600 aagaagtgca tcggaaactg ggaaacttga gtgcagaaga ggacagtgga actccatgtg 660 tagcggtgaa atgcgtagat atatggaaga acaccagtgg cgaaggcggc tgtctggtct 720 gtaactgacg ctgaggctcg aaagtatggg t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780 cataccgtaa acgatgaatg ctaagtgttg gagggtttcc gcccttcagt gctgcagcta 840 acgcattaag cattccgcct ggggagtacg gccgcaaggc tgaaactcaa aggaattgac 900 gggggcccgc acaagcggtg gagcatgtgg tttaattcga agctacgcga agaccttacc 960 aggtcttgac atactatgca aatctaagag attagacgtt cccttcgggg acatggntac 1020 aggtggtgca tggtgtcgtc agctcgtgtc gtgaaatgtt g 106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gttaccttg ttacgactt 19

Claims (9)

  1. 셀룰라제(Cellulase), 키티나제(Chi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에스터라제(Esterase)를 분비하며, 산도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R48-27 균주(기탁번호: KCCM11788P).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 분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일리지용 이노큐란트(Inoculant) 제제.
  7. 제1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조사료에 처리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리지는 호밀 사일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목질섬유소(Lignocellulose)가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된 사일리지.
KR1020160006115A 2016-01-18 2016-01-18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5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15A KR101752770B1 (ko) 2016-01-18 2016-01-18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15A KR101752770B1 (ko) 2016-01-18 2016-01-18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770B1 true KR101752770B1 (ko) 2017-06-30

Family

ID=5927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15A KR101752770B1 (ko) 2016-01-18 2016-01-18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7166A1 (en) * 2019-02-01 2020-08-06 Universiteit Antwerpen Lactobacillus mudanjiangensis strains and cellulase derived therefrom
KR20220030842A (ko) 2020-09-03 2022-03-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4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rais 등. Biotechnology for Biofuels. Vol. 7, No. 112, 페이지 1-15 (2014.07.2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7166A1 (en) * 2019-02-01 2020-08-06 Universiteit Antwerpen Lactobacillus mudanjiangensis strains and cellulase derived therefrom
KR20220030842A (ko) 2020-09-03 2022-03-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4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516B1 (ko) 바실러스 섭틸리스 in-5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t-77 및 이를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방법
SARI et al. Cellulolytic and hemicellulolytic bacteria from the gut of Oryctes rhinoceros larvae
CN107235753A (zh) 一种作物秸秆的降解方法
CN108728373A (zh) 一种高效降解藜麦秸秆的复合菌及应用
KR101752770B1 (ko) 목질섬유소 분해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r48-27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8823102A (zh) 寒地秸秆腐熟真菌被孢霉菌株及其在水稻秸秆腐熟中的应用
Anuradha Jabasingh et al.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cellulase from Aspergillus nidulans AJSU04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coir pith
Kumar et al. Isolation and screening of cellulase producing fungi from forest waste
US20150118718A1 (en) Strain of bacillus subtili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0607287B (zh) 一种工业化利用杏鲍菇菌糠固体发酵生产漆酶和联产动物饲料的方法
CN101638645A (zh) 一种固态机械发酵生产木聚糖酶方法
CN108893414B (zh) 寒地小麦秸秆腐熟真菌产红青霉菌株及其发酵培养方法和应用
CN108841743A (zh) 寒地秸秆腐熟细菌菌株及其制备方法和应用
Sattar et al. Breeding of Agaricus bisporus: Strains, spawns, and impact on yield
Chang Microbial biotechnology—Integrated studies on utilization of solid organic wastes
KR101137401B1 (ko)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는 신균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cs47 및 그의 배양액
AJIJOLAKEWU et al. Cellulase production potentials of the microbial profile of some sugarcane bagasse dumping sites in Ilorin, Nigeria
KR20110076337A (ko)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는 신균주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 cs48 및 그의 배양액
CN114507614A (zh) 一种降解秸秆并抑制植物病原真菌的芽孢杆菌及其应用
CN108823103B (zh) 寒地玉米秸秆腐熟真菌雷斯青霉菌株及其发酵培养方法和应用
KR101104178B1 (ko)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Hidayanti et al. Role of bacteria and mold as agent plant litter composting
KR102346589B1 (ko) 옥수수 사일리지 첨가제용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5m2 및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 6m1 및 이를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방법
KR101453000B1 (ko) 섬유소 분해 활성을 가지는 신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s21 및 이의 배양액
KR100575522B1 (ko)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