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178B1 -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178B1
KR101104178B1 KR1020090075833A KR20090075833A KR101104178B1 KR 101104178 B1 KR101104178 B1 KR 101104178B1 KR 1020090075833 A KR1020090075833 A KR 1020090075833A KR 20090075833 A KR20090075833 A KR 20090075833A KR 101104178 B1 KR101104178 B1 KR 10110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ase
activity
strain
enzyme
bacillus amyloliquefaci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173A (ko
Inventor
강대경
이세형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나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나,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나
Priority to KR102009007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고, 최적온도가 50~60℃이며, 최적 pH가 4~5인 셀룰라아제 및 상기 균주 또는 상기 셀룰라아제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는 사료의 난소화성 탄수화물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곰팡이보다 생육속도가 빠르므로, 대량생산을 위한 발효공정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산성 셀룰라아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사료첨가제

Description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Bacillus amyloliquefaciens producing acidic cellulas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고, 최적온도가 50~60℃이며, 최적 pH가 4~5인 셀룰라아제 및 상기 균주 또는 상기 셀룰라아제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체에는 난소화성 탄수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는 식물체 건조 중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주된 다당류로서, 글루코스가 β-1,4-glycosidic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제 곡물가격의 급등에 따라 사료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난소화성 탄수화물, 특히 셀룰로오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셀룰라아제가 사료첨가용 효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가축의 장내에서 곡물 사료의 이용성을 높임으로써 사료효율 및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Beguin 과 Aubert, 1994. FEMS Microbiol. Rev. 13:25-58), 가축분뇨의 퇴비화 촉진 (Kim 등, 1999. Kor. J. Microbiol. 35:277-282)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혐기성 섬유소분해세균 배양액을 한우에 급여할 경우 반추위 발효에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등, 2009. J. Anim. Sci. & Tech. (Kor). 51(1):45-52).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곰팡이 중에서는 주로 Trichoderma 속이나 Aspergillus 속에서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Oh 등, 2003. J. Microbiol. Biotechnol. 31(3):42-45), 재래산양과 한우의 장내에서도 셀룰라아제 활성이 있는 혐기성 곰팡이가 분리된 바 있다 (Kim 등, 2003. J. Anim. Sci. & Tech. (Kor). 45(6):1007-1018). 세균으로부터는 Bacillus 속, Clostridium 속, Streptomyces 속 등이 보고되었다 (Kim 등, 1999. Kor. J. Microbiol. 35:277-282). Jeong 등 (2003.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4): 383-388)은 사료첨가용 셀룰라아제 및 자일라나아제 효소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 및 배양조건을 보고한 바 있다.
셀룰라아제는 각각의 효소마다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pH 영역이 다른데, 곰팡이가 분비하는 셀룰라아제는 일반적으로 약산성 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는 반면, 세균 유래의 셀룰라아제는 중성 또는 알칼리 조건에서 최대 활성을 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Kim 등, 1999. Kor. J. Microbiol. 35:277-282). 동물용 사료에 첨가하는 효소의 경우에는 동물 위 내의 낮은 pH를 통과하면서 작용해야 하므로, 최적 pH가 산성이거나 내산성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곰팡이보다 생육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을 위한 발효공정 적용이 용이한 세균으로부터 분리한 셀룰라아제 중에서 산성 조건에서 최적 활성을 가진 예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18554호에는 중성 셀룰라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속 79-23 균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426930호에는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셀룰라제, 리파제 효소활성이 있고 대장균, 살모넬라, 스타필로코커스, 캔디다에 길항능이 있으며 경구독성이 없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키페이시엔스 비4(Bacillus amyloliquefaciens B4) 균주 KCTC 18083P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503678호에는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및 리파아제 효소활성을 가지며 음식물쓰레기 분해 활성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0701-5 (Bacillus subtilis N0701-5) 균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449170호에는 셀룰라아제와 자일란아제를 생산하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KK2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료곡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과 분리한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고, 최적온도가 50~60℃이며, 최적 pH가 4~5인 셀룰라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상기 셀룰라아제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는 사료의 난소화성 탄수화물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곰팡이보다 생육속도가 빠르므로, 대량생산을 위한 발효공정 적용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가 분비하는 상기 셀룰라아제는 산성으로서, 최적 pH가 4~5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적 pH가 4.5이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ATC6 (기탁번호: KACC 91487P)이다.
사료곡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ATC6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ATC6 균주의 형태, 당 이용성 및 16S rRNA 유전자 서열분석 등을 통해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B. amyloliquefaciens ATC6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2009년 8월 3일자로 기탁하였다 (기탁번호: KACC 91487P).
B. amyloliquefaciens ATC6가 분비하는 셀룰라아제 효소의 활성은 대수생장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균의 생장이 정체기에 이르면 효소의 활성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의 최적 pH를 조사한 결과, pH 4.5에서 최대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 4.0에서도 최고 활성의 8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 4.0~pH 8.0까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최대 활성의 60% 이상을 유지하였다. 셀룰라아제 활성의 최적 온도는 55℃ 이었고 75℃의 고온에서도 최대 활성의 50%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의 열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45℃ 및 55℃에서는 2시간 후에도 효소의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나, 65℃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효소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ATC6 균주로부터 생산되고, 최적온도가 50~60℃이며, 최적 pH가 4~5인 셀룰라아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룰라아제는 최적온도가 55℃이며, 최적 pH가 4.5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또는 상기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셀룰라아제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 및 상기 셀룰라아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동물용 사료에 첨가하는 셀룰라아제의 경우에는 동물 위 내의 낮은 pH를 통과하면서 작용해야 하므로, 최적 pH가 산성이거나 내산성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셀룰라아제는 최적 pH가 4.5의 산성이므로 동물용 사료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1. 균주 분리 및 배지
축사 부근의 토양, 돈분, 퇴비 등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멸균된 생리식염수(0.85% NaCl)에 현탁시켰으며, 각 단계별 희석액을 0.5% Na-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Sigma, USA)를 함유한 Nutrient agar (Difco, USA)에 도말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각 배지에서 얻은 단일 균주의 replica plate를 만들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0.35% congo red (Sigma, USA) 용액으로 염색하였으며, 1 M NaCl로 세 척한 후에 나타나는 투명환이 큰 균주들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를 CNY (0.5% Na-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5% NaCl, 0.5% yeast extract, 0.3% peptone, 0.2% (NH4)2SO4, 0.05% MgSO4·7H2O, 0.2% K2HPO4, pH 6.8)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여 pH 4의 조건에서 활성이 높은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라아제(CMCase)의 활성도는 DNS 환원당 정량법으로 측정하였다 (Miller 등, 1960. Anal. Biochem. 2:127-132).
2. 분리균주의 동정
선발된 균주의 동정을 위해 형태,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균주를 최종적으로 동정하였다. 형태학적인 특성은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관찰하였으며, Sohn 등 (2004. Int. J. Syst. Evol. Microbiol. 54:675-680)의 방법에 준하였다. 생화학적 특성 조사는 API 50 CHB kit(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실시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genomic DNA 추출 키트(Qiagen, Germany)을 이용하여 분리 균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였으며, 정방향 프라이머 (5'-AGA GTT TGA TCC TGG CTC AG-3'; 서열번호 1)와 역방향 프라이머 (5'-AAG GAG GTG ATC CAG CC-3'; 서열번호 2) 세트를 사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PCR)을 수행하였다. 50 pmole 프라이머, 50ng 주형 DNA, 10X Taq DNA 중합효소 버퍼 5㎕, 2.5mM dNTP 혼합물 4㎕, Taq DNA 중합효소(TaKara, Japan) 1 ㎕가 포함된 PCR 혼합물 50㎕을 95℃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에 95℃에서 1분, 55~60℃에서 1분, 72℃에서 1분간 30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PCR을 수행하였다. PCR 산물을 pSTBlue-1(Novagen, USA)에 클로닝한 다음, BigDyeTM-terminator 시퀀싱 키트와 ABI PRISM377 sequencer (Perkin-Elmer, USA)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3. 배양시간에 따른 균주의 생장과 효소 생산
균의 생장 및 효소생산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Nutrient broth (Difco, USA)에 접종하고, 37℃, 150rpm에서 진탕 배양하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생장 정도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600nm에서 배양액의 흡광도로 측정하였으며, 균주를 배양하면서 채취한 상등액을 사용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4. 조효소액의 조제 및 효소 활성 측정
선발된 균주를 Nutrient broth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10,000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Amicon Ultra 10K(Milipore, USA)를 사용하여 10배 정도 농축한 후에 효소활성 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라아제(CMCase)의 활성도는 DNS 환원당 정량법으로 측정하 였다 (Miller 등, 1960. Anal. Biochem. 2:127-132). 즉, 증류수에 녹인 1.0% CMC 600㎕, 200mM citrate-NaOH 버퍼(pH 4.5) 250㎕와 조효소액 100㎕, 증류수 50㎕를 혼합하고 55℃에서 1시간 30분 반응시킨 후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로부터 유리된 글루코스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도 1.0 unit는 위의 조건하에서 1분 동안 CMC로부터 1 μmol의 글루코스에 상응하는 환원당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5.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 및 온도 효과
셀룰라아제의 활성 및 반응에 미치는 pH 및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선발된 균주가 생산하는 조효소액을 반응에 사용하였다. 효소의 최적 pH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조효소액을 아래의 각 pH 별 완충용액에 넣고 55℃에서 반응시킨 후, 활성을 비교하였다. 사용한 완충용액으로서, pH 3.0~5.0 사이는 50 mM citrate-NaOH 버퍼, pH 6.0~8.0 사이는 50 mM potassium phosphate 버퍼, pH 9.0~10.0 사이는 50 mM glycine-NaOH 버퍼를 각각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의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해, 50 mM citrate-NaOH 버퍼(pH 4.5)에서 1.0% CMC 용액을 기질로 사용하여 15℃에서 75℃까지 구간별로 반응시킨 후, 상기 서술한 효소활성 측정법으로 효소 활성을 비교하였다.
6. 셀룰라아제의 온도 안정성
효소의 온도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50 mM citrate-NaOH 버퍼(pH 4.5)에 조효소액을 첨가하여 35℃에서 65℃까지의 각 온도에서 120분간 처리한 후에 효소의 잔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축사 주변의 토양, 돈분, 퇴비 등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한 후에, 0.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MC) (Sigma, USA)를 포함한 Nutrient agar(Difco, USA)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고체 배지를 0.35% congo red (Sigma, USA)로 염색하였으며, 노란색 투명환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도 1). 최종적으로 선발된 ATC6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특성을 조사한 결과, Gram 양성의 간균으로서(도 2), 호기성의 포자 형성균이었다. ATC6 균주의 당 발효/이용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뢰도 99.9%).
표 1. 분리된 균주 ATC6의 특성
Figure 112009050132273-pat00001
또한, ATC6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에 NCBI의 BLAST search program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99.9%의 신뢰도로 B. amyloliquefaciens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선발한 균주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B. amyloliquefaciens) ATC6로 명명하였다. 한편, B. amyloliquefaciens ATC6가 생산하는 셀룰라아제계 효소를 조사한 결과, avicelase 및 β-glucosidase 활성은 유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B. amyloliquefaciens ATC6가 생산하는 효소는 endo-β-1,4-glucanase인 CMCas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타 미제시).
실시예 2. 배양시간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 ATC6 의 생장과 효소 생산
B. amyloliquefaciens ATC6 균주의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외 효소의 생산량을 분석하였다(도 3). 셀룰라아제 효소 활성은 대수생장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균의 생장이 정체기에 이르면 효소의 활성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Bacillus 속 유래의 탄수화물 분해효소는 세포의 생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정체기에 이르러 최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Kim 등, 2008. J. Anim. Sci. & Technol. (Kor). 50(3):1-10), B. amyloliquefaciens ATC6가 분비하는 셀룰라아제는 이러한 경향과 일치하였다.
실시예 3. 셀룰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pH 의 영향
B. amyloliquefaciens ATC6가 생산하는 셀룰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Amicon Ultra 10K(Milipore, USA)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에 효소활성 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으며, pH 3.0~10.0 범위로 조정한 후에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pH 4.5에서 최대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4). 또한 pH 4.0에서도 최고 활성의 8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4.0~pH 8.0까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최대 활성의 60% 이상을 유지 하였다. B. subtilis CH 10이 분비하는 셀룰라아제의 최적 pH는 9.5 이었고 (Kim 등, 1999. Kor. J. Microbiol. 35:277-282), Cellulomonas 유래의 셀룰라아제의 최적 pH는 6.0 이었다 (Emtizi, G. and Nahvi, I. 2004. J. Microbiol. Biotechnol. 14:1196-1199). 한편, 곰팡이 유래의 셀룰라아제는 산성에서 활성이 높은 경우가 많은데, Trichoderma sp. SO-571의 최적 pH는 5.0 이었으며 (Sohail 등, 2009. New Biotechnol. Epub ahead of print), 최근 들어 Aspergillus fumigatus로부터 산성 셀룰라아제가 분리된 바 있다 (Grigorevski-Lima 등, 2009. Appl Biochem Biotechnol. 155:321-329).
실시예 4. 셀룰라아제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B. amyloliquefaciens ATC6이 세포 외로 분비하는 셀룰라아제가 기질을 가수분해하는데 있어서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Amicon Ultra 10K(Milipore, USA)를 사용하여 농축시킨 후에 효소활성 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으며, 반응온도를 달리하여 셀룰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셀룰라아제 활성의 최적 온도는 55℃이었으며, 37℃~65℃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37℃ 이하의 온도에서는 셀룰라아제 활성이 급격히 감소한 반면, 75℃의 높은 온도에서도 최고 활성의 50% 정도에 해당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5). 세균 유래의 셀룰라아제는 내열성을 가진 경우가 많으나, Trichoderma sp. SO-571의 최적 반응온도는 60℃ 이었으며 (Oh 등, 2003. J. Microbiol. Biotechnol. 31(3):42-45), Aspergillus niger MS82의 최적 반응온도는 35℃ 이었 다 (Sohail 등, 2009. New Biotechnol. Epub ahead of print).
실시예 5. 셀룰라아제의 온도 안정성
B. amyloliquefaciens ATC6 균주가 분비하는 셀룰라아제의 열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조효소액을 각 온도에서 시간별로 방치한 후 남아있는 효소의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45℃ 및 55℃에서는 2시간 후에도 효소의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나 65℃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효소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도 1은 0.5% CMC를 함유하는 nutrient plate의 congo-red 염색에 의한 셀룰라아제 활성의 검출을 보여준다.
도 2는 분리된 균주 ATC6의 주사전자현미경 (SEM) 사진 (X20,000)을 보여준다.
도 3은 B. amyloliquefaciens ATC6의 성장 및 효소 생산을 보여준다. B. amyloliquefaciens ATC6를 격렬하게 진탕하면서 37℃에서 nutrient broth에서 키웠다. 세포 성장을 세포 배양물의 OD600 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을 배양물 상층액으로 측정하였다.
도 4는 B. amyloliquefaciens ATC6 유래의 셀룰라아제의 활성에 대한 pH의 효과를 보여준다. 조효소(crude enzyme)의 최대 비활성을 100%로 정하였다. 이용한 버퍼 용액은 50mM citrate-NaOH (pH 3-5), 50mM potassium phosphate 버퍼 (pH 6-8), 및 50mM glycine-NaOH 버퍼 (pH 9-10)이었다.
도 5는 B. amyloliquefaciens ATC6 유래의 셀룰라아제의 활성에 대한 온도의 효과를 보여준다. 조효소(crude enzyme)의 최대 비활성을 100%로 정하였다. 분석을 50mM citrate-NaOH 버퍼 (pH 4.5)에서 수행하였다.
도 6은 B. amyloliquefaciens ATC6 유래의 셀룰라아제의 안정성에 대한 온도의 효과를 보여준다. 분석을 2시간 동안 상이한 온도에 노출 후에 수행하였다. 개개의 플롯 옆의 숫자는 노출 온도를 나타낸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nkook University <120> Bacillus amyloliquefaciens producing acidic cellulase and uses thereof <130> PN09163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aaggaggtga tccagcc 17

Claims (5)

  1.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ATC6(기탁번호: KACC 91487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아제의 최적 pH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ATC6.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미생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KR1020090075833A 2009-08-17 2009-08-17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KR10110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33A KR101104178B1 (ko) 2009-08-17 2009-08-17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33A KR101104178B1 (ko) 2009-08-17 2009-08-17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73A KR20110018173A (ko) 2011-02-23
KR101104178B1 true KR101104178B1 (ko) 2012-01-12

Family

ID=4377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33A KR101104178B1 (ko) 2009-08-17 2009-08-17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603A1 (ko) * 2013-11-15 2015-05-21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ebn-tk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제
CN107475223B (zh) * 2017-09-22 2020-10-02 宜昌东阳光生化制药有限公司 一种酸性纤维素酶的生产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resource Technology(제99권, 제378-386면, 2008년).*
J. Biochem.(제77권, 제1호, 제33-42면, 1975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73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dav et al. Morphological, enzymatic screen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rmophilic bacilli isolated from five hot springs of Myagdi, Nepal
Hussain et al. Optimiza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novel cellulose 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Egyptian environment
Singh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ulolytic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SS35 from rhinoceros dung
Stackebrandt et al. The family cellulomonadaceae
Rawway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ellulose degrading bacteria from different sources at Assiut Governorate (Upper Egypt)
KR101380516B1 (ko) 바실러스 섭틸리스 in-5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bt-77 및 이를 이용한 사일리지 제조방법
Nimisha et al. Amylase activity of starch 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soil
Listyaningrum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cellulase produced by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solid waste of carrageenan
KR101444196B1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km-1,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 및 양어용 사료의 제조방법
Govender et al. Isolation of hydrolase producing bacteria from Sua pan solar salterns and the production of endo-1, 4-bxylanase from a newly isolated haloalkaliphilic Nesterenkonia sp.
Singh et al.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rmo-alkali tolerant xylanase producing bacteria from thermal springs of Manikaran
Wang et 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diversity of a wheat straw-colonizing microbial community
KR101104178B1 (ko) 산성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및 이의 용도
KR101351539B1 (ko) 알긴산 및 라미나린 분해능을 가지는 복합 미생물
Onilude et al. Properties of alpha-amylase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cassava waste samples
Shakoor et al.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degrading bacterium Bacillus megaterium S3, isolated from indigenous environment
KR101062309B1 (ko) 셀룰라아제 및 자일라나아제를 분비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및 이의 용도
Rattanasuk et al. Chryseobacterium indologenes, novel mannanase-producing bacteria
Ubalua The use of corn starch for growth and production of α-amylase from Bacillus subtilis
KR20110078609A (ko) 효소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저영양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시엔스 b4-4 균주
KR101803073B1 (ko) 섬유소 분해효소 생성능을 가지는 페니실륨 베루쿨로슘 coke4e
Phuong et 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rmophilic cellulolytic bacteria isolated from sawdust compost
KR101746398B1 (ko) 새로운 자일란 분해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아트로비랜스 wj2
Rav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lytic enzyme 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Salinicoccus roseus from Okha
Sakolvaree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ase producing bacteria from the gut of a higher termite, Termespropinqu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