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451B1 -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451B1
KR101752451B1 KR1020170048309A KR20170048309A KR101752451B1 KR 101752451 B1 KR101752451 B1 KR 101752451B1 KR 1020170048309 A KR1020170048309 A KR 1020170048309A KR 20170048309 A KR20170048309 A KR 20170048309A KR 101752451 B1 KR101752451 B1 KR 10175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ugarcane
seawe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균
Original Assignee
에스폴리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폴리오(주) filed Critical 에스폴리오(주)
Priority to KR102017004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부작용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해조류 추출물 중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피부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며,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및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가려움증이란 여러 피부질환의 두드러진 증상으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피부질환에는 옴, 이, 벌레물림, 두드러기, 염증성 피부질환, 건선, 피부 건조증, 노인 가려움증, 피부의 악성 림프종인 균상식육종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가려움, 부종, 홍반, 벗겨짐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아토피성 피부염(atopic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지루성 피부염(seborrhea) 및 여드름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유발원인이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한 유전적 질환으로서, 그 발증과 악화에는 환경인자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큰 고민사항은 가려움증, 염증 그리고 만성적 재발(Chronic relapsingdermatitis)이다. 가려움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긁는다(scratch)'는 행위에 의해 가려움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재발되는 경향이 높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으로는 주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IgE, mast cells, eosinophils, lymphocytes에 의해 유도되는 알레르기성 염증) 및 피부의 방어기능의 저하(barrier dysfunction)를 들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염증성 피부질환에서 비롯된 가려움증은 신경섬유의 직접적 자극에 의한 것이거나, 히스타민을 제외한 화학적 매개체(TNF-α, ECP, MBP, IL-1, IL-2, IL-5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염증의 완화를 위하여,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와 같은 치료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심한 경우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제공하고, 항염증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가려움증 및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해조류에는 다량의 다당류, 비타민, 미네랄 등의 피부에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중에서 다당류의 대부분은 알긴산으로서 다시마, 미역 등의 갈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이며, 중금속의 흡착능력이 우수하여 노폐물 제거능이 뛰어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다당류는 알긴산 외에서 푸코이단, 라미나란 등의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또한 암세포를 자멸화시키는 성분이라는 것이 학계에 널리 알려질 만큼 우수한 효능을 가진 성분들이다. 또한, 해조류에는 특히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서 탁월한 노화 방지 및 미백작용을 나타내는 비타민 E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다시마, 미역 등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이러한 다시마, 미역 등의 추출물은 젤 상태의 끈적끈적한 성상의 성분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피부 흡수력 등의 이유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 내 과량 함유시키기 어려웠는바, 소량 첨가로 인해 그 노화 방지 및 미백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다시마, 미역 등의 해조류 추출물은 항염활성은 갖지 못하였다.
KR 10-0728443 B1 KR 10-2006-0013168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 추출물 중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해조류 추출물의 소량 첨가만으로 가려움증을 완화하면서도 우수한 항염증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 효과 역시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물, 에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수용액, 알칼리 수용액 중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1:0.5~1.5:0.5~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되, 상기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은, 쌍별귀뚜라미를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건조된 쌍별귀뚜라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분말을 에틸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부작용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해조류 추출물 중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한다.
종래 다시마, 미역 등의 해조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조류 추출물은 항염활성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였는바,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 추출물 중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해조류 추출물의 소량 첨가만으로 우수한 항염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 추출물은, 즉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각각의 해조류를 해수에 10~24시간 침지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세척한 후 탈수하며, 이를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수용액, 알칼리 수용액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 수용액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의 수용액으로서, 예시적으로 2~4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해조류에 2~10부피배의 20~30℃의 해수를 가하고, 10~24시간 침지하여 염분을 제거한 후, 물로 2~3회에 걸쳐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세척한다. 그리고 이를 탈수하여 수분함유율을 낮춰준 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탈수방법은 제한하지 않으며, 탈수 후 수분함유율 역시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통상 15% 이내의 수분함유율이면 족하다. 그리고 이를 종래 개시된 천연재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출한다. 그 예로서 20~40℃에서 추출용매에 해조류를 침지하여 추출하는 방법, 60~90℃에서 추출용매에 해조류를 넣고 환류하여 추출하는 방법, 20~70℃에서 추출용매에 해조류를 넣고 초음파를 조사하여 추출하는 방법, 추출용매에 해조류를 투입하고 8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며, 상기한 방법 이외의 방법을 통해서 추출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로서 물을 이용하는 경우, 탈수한 해조류에 10~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2~10시간 추출하고, 에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수용액 및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할 경우, 탈수한 해조류에 추출용매를 1~10중량배로 투입한 후, 15~35℃에서 40~72시간 교반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 농축함은 당연하며, 필요에 따라 이를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조류 각각, 즉 납작파래, 스피룰리나 및 우뭇가사리를 추출한 후,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납작파래, 스피룰리나 및 우뭇가사리를 혼합한 후, 이 혼합재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이유는, 각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항염활성이 미미하나, 3종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현저히 우수한 항염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100중량%)을 기준으로, 0.01~3.00중량%만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그 함량이 0.01중량 % 미만이면 충분한 항염활성을 갖지 못하고, 3.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성 및 피부침투력 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잔부는 화장료 제형에 따른 통상적인 수상, 유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1:0.5~1.5:0.5~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 중량비인 것인바, 이러한 배합비에서 가장 우수한 항염활성을 갖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해조류 추출물로서,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더 포함하면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앞서 설명된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및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더 포함할 경우, 해조류 추출물은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1:0.5~1.5:0.5~1:0.5~1:0.5~1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1 중량비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해조류 추출물 이외에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면 더욱 우수한 항염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100중량%)을 기준으로, 0.01~1.0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은, 쌍별귀뚜라미를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건조된 쌍별귀뚜라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분말을 에틸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쌍별귀뚜라미를 -80~-40℃의 냉동고에서 20~30시간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서 수분이 5% 이하로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그리고 이를 분쇄한다. 이때, 그 분쇄 입도는 제한하지 않는바 50~300mesh 정도면 족하다. 다음으로, 분쇄된 분말을 3~10중량배의 50~8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15~35℃에서 40~72시간 교반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이를 여과, 농축하고, 필요에 따라 동결건조한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해조류 추출물 및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이외에 사탕수수 발효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탕수수 발효물은 우수한 보습작용을 통해 피부보습 효과를 높여준다.
상기 사탕수수 발효물은 사탕수수 부산물의 열수추출물에 효모를 접종하고, 발효하여서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탕수수 부산물이란 사탕수수 줄기를 압착하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탕수수의 부산물에 8~20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80~100℃로 3~10시간 가열하고, 냉각, 여과하여서 열수추출물을 수득한다. 그리고 이 추출물에 효모를 접종하고, 온도 30~40℃, 습도 60~80%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농축한다. 그리고 이 역시 필요에 따라 건조한다. 여기서, 여과, 농축 또는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아울러, 상기 효모 발효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데, 각 균주의 특징에 따라 통상적인 조건 및 호기적 또는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에서 배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효모는 105~108cfu/g의 농도로 접종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시조사카로마이세스 속(Shizosaccharomyces sp.) 등을 사용할 수 있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cerevisiae), 시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클루레로마이세스 락티스(Klureromyceslactis),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탕수수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100중량%)을 기준으로, 0.01~1.00중량%만큼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한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기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미용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미용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기제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기제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기제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기제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기제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납작파래 500g에 25℃의 해수 5000g을 가하고, 15시간 침지하여 염분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물로 상기 염분을 제거한 납작파래를 3회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손으로 가볍게 탈수하고, 탈수한 납작파래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0g을 가하고, 25℃에서 60시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스피롤리나와 우뭇가사리 역시 상기 납작파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롤리나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1:1: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방법으로,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롤리나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3: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쌍별귀뚜라미를 -60℃에서 20시간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서 수분이 5% 이하로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그리고 이를 100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분쇄된 분말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500g을 가한 후, 25℃에서 60시간 교반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와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에 사탕수수 발효물을 3:1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사탕수수 발효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사탕수수 잔여물 1kg에 10kg의 증류수를 가하고 90~92℃로 5시간 가열한 후, 이를 25℃ 정도로 냉각하고, 250mesh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이 추출물 1000ml에 효모를 106cfu/g로 접종하고, 온도 32℃, 습도 75%에서 48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를 250mesh 여과포 및 0.5㎛ 필터페이퍼로 여과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상기 효모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사탕수수 발효물을 3:1:1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여기서, 상기 쌍별귀뚜라미 추출물, 사탕수수 발효물은 각각 실시예 3,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납작파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12시간 동안 기아상태를 유지시킨 후, LPS 10ng/mL과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reaction(RT-PCR)을 통해 TNF-α의 발현억제율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억제율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을 사용하였다.
TNF-α발현억제율(%) = 100-[(시료 TNF-α발현양 / 음성대조군 TNF-α발현양)×100]
시험예 1 결과
구분 농도(㎍/㎖) TNF-α 발현억제율(%)
실시예 1
100 43.4
200 61.1
실시예 2
100 44.5
200 62.1
실시예 3
100 58.5
200 78.6
실시예 4
100 44.5
200 62.3
실시예 5
100 58.6
200 77.0
비교예 1 100 21.2
200 30.2
비교예 2
100 24.6
200 32.5
비교예 3
100 24.5
200 31.9
대조군(덱사메타손) 400 63.0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TNF-α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실시예 1 내지 5 모두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TNF-α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덱사메타손과는 유사한 수준의 TNF-α 발현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내지 5)
하기 표 2와 같은 배합비로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5의 배합비.
원료 No. 원료명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20 0.20 0.20 0.20 0.20
3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4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6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7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0.50 0.50 0.50 0.50
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20 1.20 1.20 1.20 1.20
9 폴리소르베이트60 0.30 0.30 0.30 0.30 0.30
10 에칠헥실팔미테이트 7.00 7.00 7.00 7.00 7.00
11 코코넛오일 4.00 4.00 4.00 4.00 4.00
12 쉐어버터 2.00 2.00 2.00 2.00 2.00
13 비즈왁스 1.50 1.50 1.50 1.50 1.50
14 세테아릴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15 실시예 1 3 - - - -
16 실시예 2 - 3 - - -
17 실시예 3 - - 4 - -
18 실시예 4 - - - 4 -
19 실시예 5 - - - - 5
먼저, 원료 7 내지 14로 이루어지는 유상 파트를 별도 용기에 넣고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분산시켜 친유형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원료 1 내지 6의 수상 파트 중 원료 1에 원료 2를 미리 분산하고, 이에 원료 3 내지 6의 원료를 투입하여 고르게 분산하면서 75℃로 가열하여 용해, 수화시켰다. 그리고 여기에 상기 친유형 혼합물을 첨가하고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70℃에서 2,000rpm으로 5분간 유화시켰다. 다음으로, 시료 15 내지 19 중 필요로 되는 추출물을 첨가하여 3분간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2,000rpm으로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탈기 장치를 이용하여 에멀젼에 있는 기포를 제거한 후, 에멀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Cooling Unit)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비교제조예 1 내지 4)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비교제조예 1은 실시예 1을 대신하여 비교예 1을, 비교제조예 2는 비교예 2를, 비교제조예 3은 비교예 3을 혼합하였으며, 비교제조예 4는 실시예 1을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2)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위해 상기 제조예들에서 제형한 화장료 조성물을 불투명 초자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품의 변색 정도는 다음 6등급 (0 :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4: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들의 조성물들은 모두 변색 및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0등급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성인 여드름을 갖는 30대 여성 80명(그룹당 1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제조예 1 내지 5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12주간 얼굴의 왼쪽에만 사용토록 한 후,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전체적인 만족도를 오른쪽과 비교하여 9점 척도로 평가토록 하였다. 오른쪽 얼굴은 비교제조예 4를 사용토록 하였다.(오른쪽 얼굴의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전체적인 만족도를 기준(4.5점)으로 하여 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으로 평가) 시험결과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보습 항염 전체적 만족도
제조예 1 5.5 7.0 7.1
제조예 2 6.8 7.1 7.3
제조예 3 6.3 8.2 8.1
제조예 4 7.2 7.2 7.5
제조예 5 7.5 8.5 8.5
비교제조예 1 4.8 5.2 5.0
비교제조예 2 4.9 5.5 5.1
비교제조예 3 5.2 5.3 5.3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들 모두 비교제조예들에 비해 보습, 항염(여드름 완화), 전체적인 만족도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해조류 추출물 0.01~3.00중량%,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 0.01~1.00중량% 및 사탕수수의 발효물 0.01~1.00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납작파래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1:0.5~1.5:0.5~1:0.5~1.5:0.5~1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물, 에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수용액, 알칼리 수용액 중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이고,
    상기 사탕수수 발효물은 사탕수수 부산물의 열수추출물에 효모를 접종하고, 발효하여서 되는 것이고,
    상기 쌍별귀뚜라미의 추출물은,
    쌍별귀뚜라미를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건조된 쌍별귀뚜라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분말을 에틸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탕수수 발효물은,
    사탕수수의 부산물에 물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물을 가한 사탕수수 부산물을 80~100℃로 3~10시간 가열하고, 냉각, 여과하여 열수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열수추출물에 효모를 접종하고, 30~40℃의 온도 및 60~80%의 습도 조건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48309A 2017-04-14 2017-04-14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09A KR101752451B1 (ko) 2017-04-14 2017-04-14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09A KR101752451B1 (ko) 2017-04-14 2017-04-14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451B1 true KR101752451B1 (ko) 2017-07-03

Family

ID=5935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09A KR101752451B1 (ko) 2017-04-14 2017-04-14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4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6486A (zh) * 2018-10-16 2019-01-29 高丽雅娜化妆品(天津)有限公司 一种保湿抗衰老的酵母发酵提取物的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138094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익스플즌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119825B1 (ko) * 2019-10-15 2020-06-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768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662A (ko) 2020-01-20 2021-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2203228A1 (ko) * 2021-03-25 2022-09-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3B1 (ko)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3B1 (ko)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94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익스플즌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069641B1 (ko) 2018-06-04 2020-01-23 주식회사 익스플즌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CN109276486A (zh) * 2018-10-16 2019-01-29 高丽雅娜化妆品(天津)有限公司 一种保湿抗衰老的酵母发酵提取物的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19825B1 (ko) * 2019-10-15 2020-06-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7689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3238B1 (ko) 2019-10-22 2022-02-1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662A (ko) 2020-01-20 2021-07-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7991A (ko) * 2020-12-02 2022-06-1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26287B1 (ko) 2020-12-02 2023-04-27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2203228A1 (ko) * 2021-03-25 2022-09-2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45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149A (ko) 청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230277B1 (ko)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20293B1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4568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00097673A (ko) 모르티에렐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611931B1 (ko) 해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방법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9954B1 (ko)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4179B1 (ko) 더위지기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4323A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8908B1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5904B1 (ko) 니파야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5672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596836B2 (ja) Mif分泌抑制剤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0917053A (zh) 一种抗炎组合物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256467B1 (ko)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45032B1 (ko) 모르티에렐라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