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937B1 - 의류 운송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의류 운송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937B1
KR101751937B1 KR1020170057994A KR20170057994A KR101751937B1 KR 101751937 B1 KR101751937 B1 KR 101751937B1 KR 1020170057994 A KR1020170057994 A KR 1020170057994A KR 20170057994 A KR20170057994 A KR 20170057994A KR 101751937 B1 KR101751937 B1 KR 10175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protrusion
vertical suppor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배
Original Assignee
김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배 filed Critical 김승배
Priority to KR102017005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5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운반용 캐리어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 상기 수직 지지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지지바들을 지지하는 받침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바들 간을 연결하고,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평 지지바; 및 의류가 거치 또는 고정된 옷걸이가 걸리도록 상기 수평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바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바; 상기 외측바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측바; 상기 외측바 및 상기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운송용 캐리어{Carrier for carrying of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 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내에 의류를 적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 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수납되는 물품의 보관이나 운반을 목적으로 하며 박스에 의류를 수납하는 경우 보관이나 운반 과정에서 의류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제조 공장에서 완성된 의류를 의류매장으로 운반하거나 포장이사 시에 의류를 박스에 수납하여 운반하는 경우, 의류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된다.
종래에는 박스에 의류를 수납하는 경우 특별한 구성없이 박스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겉옷 같이 부피가 큰 옷들은 접어서 보관해야 하므로 옷에 구김이 많이 생겨 뒷손질이 필요했으며, 심한 경우에는 옷이 손상되어 입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의류, 특히 자켓류의 경우에는 도1과 같이 차량에 적재가능한 행거 형태의 캐리어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캐리어의 경우 콘테이너 몸체(14) 양측 내벽면에 취부되는 고정몸체(20)와, 이 고정몸체(20)에 결합분리되는 행거몸체(3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몸체(20)는 양단의 플랜지(21)로부터 중앙부가 일측으로 편평하게 돌출된 평탄면(22)이 형성되고 이 평탄면(22)에는 상단에 확공부(23a)를 갖는 장공(2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몸체(30)는 직선형 바(31)의 양단에 ㄱ자형의 브라켓트(32)가 취부되고 이 브라켓트(32)에는 일측단에 장공(23) 상단의 확공부(23a) 직경보다 작고 걸고리의 몸체 직경보다 큰 헤드부를 갖는 걸고리(33)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캐리어의 경우 직선형 바(31)에 옷걸이를 거는 방식으로 의류를 수용하게 되는데, 의류의 운송 과정에서 옷걸이와 함께 의류가 일 측으로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형 바(31)에 돌출된 걸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옷걸이가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운송이 끝난 후 의류를 회수하는 과정에서는 오히려 복수의 의류들을 일측으로 모으기가 어려워 개별적인 의류를 낱개로 회수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운송과정에서의 수용된 의류들이 한쪽으로 치우침으로써 구김이 발생하거나 손상될 수 있는 우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운송 후 캐리어로부터의 회수과정에서의 회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의 보관 또는 캐리어만의 운송 과정에서 공간적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운반용 캐리어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 상기 수직 지지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지지바들을 지지하는 받침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바들 간을 연결하고,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평 지지바; 및 의류가 거치 또는 고정된 옷걸이가 걸리도록 상기 수평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바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바; 상기 외측바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측바; 상기 외측바 및 상기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걸이바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걸이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이바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걸이바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측바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외측바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바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바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 형상의 돌출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수용부에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내측바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작동상태 및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바의 내부로 수용되는 제2 작동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상기 돌출부와의 접촉면은 상기 돌출부와 형합하도록 오목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지지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 받침 지지부; 상기 중앙 받침 지지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 및 상기 중앙 받침 지지부의 양 단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에 비하여 중앙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받침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바는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연장 받침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와 제2 연장 받침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 간을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다리꼴의 빗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지지바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돌출부들을 구비함으로써 운송과정에서의 수용된 의류들이 한쪽으로 치우침으로써 구김이 발생하거나 손상될 수 있는 우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운송 후 캐리어로부터의 회수과정에서의 회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의 지지부를 비대칭적으로 보관 또는 캐리어만의 운송 과정에서 공간적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의류수납을 위한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중 축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옷걸이가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로부터 옷걸이를 회수하기 용이한 상태로 작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캐리어를 옷걸이 회수가 용이한 상태로 작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캐리어를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중 축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운반용 캐리어(100)는 수직 지지바(120), 받침 지지부(110), 수평 지지바(130) 및 걸이바(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바(1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로 구비된다. 수직 지지바(120)는 받침 지지부(110)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 지지바(120)는 수평 지지바(130)를 지지하기 위하여 총 4개로 구비된다. 다만, 수직 지지바(120)는 구비되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바(130)를 지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4개의 수직 지지바(120) 이외에도 별도의 수직 지지바(120)들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한다.
수평 지지바(130)는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필수적인 수직 지지바(120)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수평 지지바(13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수평 지지바(130)간을 연결하는 걸이바(140)가 구비된다. 걸이바(140)는 의류가 거치 또는 고정된 옷걸이를 걸수 있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걸이바(140)는 돌출부(149)가 복수개 구비된다. 돌출부(149)는 걸이바(140)의 외주면에 구비 또는 노출됨으로써 걸이바(140)에 걸려있는 옷걸이가 수평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걸이바(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바(141)와 외측바(142)를 포함한다. 외측바(14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바(14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바(14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49)는 외측바(142)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돌출부(149)는 외측바(142)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49)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돌출부(149)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작동부(150)는 외측바(14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회전작동부(150)는 외측바(142)를 외측바(14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직각방향으로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작동부(150)의 단부에는 손잡이 등을 형성하여 외측바(14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지지바(130)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바(141)의 일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홈 또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바 수용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나머지 수평 지지바(130)에는 외측바(142)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걸이바 거치부(132)가 형성된다. 걸이바 거치부(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바(142)가 수용가능하도록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걸이바 거치부(132)의 단부(1321)를 통하여 외측바(142)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끝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 지지부(110)는 수직 지지바(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수직 지지바(120)들을 지지한다. 받침 지지부(110)는 중앙 받침 지지부(113),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 및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중앙 받침 지지부(113)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중앙 받침 지지부(113)의 양 단부에는 각각 일정한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가 연장된 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다만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중앙 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캐리어(100)와 타 캐리어를 겹치도록 접근시키는 경우 캐리어(100)의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가 타 캐리어의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의 사이로 수용된다.
한편, 수직 지지바(120)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의 양 단부와,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지지바(13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와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 상에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120) 간을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간의 거리와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간의 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한 쌍의 수평 지지바(130)는 사다리꼴의 빗변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수평 지지바(130)의 연결 각도로 인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캐리어(100)와 타 캐리어를 겹치기 위하여 접근시키는 경우 하나의 캐리어(100)의 수평 지지바(130)와 타 캐리어의 수평 지지바 간에는 간섭없이 위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옷걸이가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로부터 옷걸이를 회수하기 용이한 상태로 작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의류를 운반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9)를 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기 위하여 회전작동부(15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돌출부(149)들의 사이에 옷걸이(200)의 걸이부(210)가 걸린 상태가 되며, 걸이부(210)는 돌출부(149)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의류의 운반이 완료되어 의류를 수거하거나, 캐리어(100)만을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옷걸이(200)의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작동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돌출부(149)가 옷걸이(200)의 걸이부(210)와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부(149)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옷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려움 없이 일측으로 몰 수 있으며, 옷걸이(200)와 해당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 등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캐리어를 옷걸이 회수가 용이한 상태로 작동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49a)는 회전 작동부의 회전 시 외측관(142)의 내측으로 수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내측관(141)에 돌출부(149a)가 구비되며, 회전 작동부는 내측관(141)에 연결되어 내측관(141)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작동부가 회전함에 따라 내측관(141) 및 돌출부(149a)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내측관(141)에는 돌출부(149a)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부 수용부(1411)이 형성되며, 외측관(142)에는 돌출부(149a)가 내측관(141)의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1421)가 형성된다.
돌출부 수용부(1411)의 저면과 돌출부(149a) 사이에는 탄성부재(1493)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493)는 돌출부 수용부(1411) 내에서 돌출부(149a)가 탄성을 가지고 승강하게 된다.
돌출부(149a)는 관통구(142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작동상태 및 회전작동부의 회전에 따라 외측바(142)의 내부로 수용되는 제2 작동상태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돌출부(149a)는 도 9의 제1 작동상태에서 도 10의 제2 작동상태로 전환 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구(1421)의 돌출부(149a)와의 접촉면은 돌출부(149a)에 형성된 호형의 경사면에 형합하도록 오목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49a)와 관통구(1421)의 접촉면이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49a)가 외측관(142)의 내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에예 따른 캐리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복수의 캐리어를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캐리어(100)를 별도로 보관하거나, 의류의 운반 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캐리어들을 중첩시키는 방식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장 받침지지부(112)들은 타 캐리어의 제1 연장 받침지지부(111)들 사이로 수용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바(130)들은 사다리꼴의 빗면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간섭없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의류의 운반 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경우 캐리어(100)들의 수평 지지바(130)들의 높이를 달리하여 의류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지지바(130)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알려진 다양한 높이 조절방식 및 구성을 도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캐리어
110: 받침 지지부
120: 수직 지지바
130: 수평 지지바;
140: 걸이바
149: 구획부

Claims (8)

  1.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
    상기 수직 지지바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 지지바들을 지지하는 받침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바들 간을 연결하고,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평 지지바; 및
    의류가 거치 또는 고정된 옷걸이가 걸리도록 상기 수평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이바;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바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바;
    상기 외측바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측바;
    상기 외측바 및 상기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부착된 외측바 및 내측바 중 어느 하나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바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방사상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바는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 형상의 돌출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수용부에는 탄성부재 및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내측바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작동상태 및 상기 회전작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바의 내부로 수용되는 제2 작동상태로 작동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작동상태에서 상기 제2 작동상태로 전환 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상기 돌출부와의 접촉면은 상기 돌출부와 형합하도록 오목한 호형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지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 받침 지지부;
    상기 중앙 받침 지지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 및
    상기 중앙 받침 지지부의 양 단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에 비하여 중앙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받침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바는 상기 제1 연장 받침지지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연장 받침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평 지지바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연장 받침지지부와 제2 연장 받침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 간을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다리꼴의 빗변 형상으로 형성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의류 운반용 캐리어.
KR1020170057994A 2017-05-10 2017-05-10 의류 운송용 캐리어 KR10175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94A KR101751937B1 (ko) 2017-05-10 2017-05-10 의류 운송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94A KR101751937B1 (ko) 2017-05-10 2017-05-10 의류 운송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937B1 true KR101751937B1 (ko) 2017-06-28

Family

ID=5928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94A KR101751937B1 (ko) 2017-05-10 2017-05-10 의류 운송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9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134A (ja) * 2002-11-13 2004-06-10 Amenity Setsubi:Kk ハンガー掛け衣類運搬用かご台車
JP2004283415A (ja) * 2003-03-24 2004-10-14 Daiichi Fashion Service:Kk ハンガーバー装置
JP6093858B2 (ja) * 2012-10-17 2017-03-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メタロセン化合物、これを含む触媒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オレフィ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134A (ja) * 2002-11-13 2004-06-10 Amenity Setsubi:Kk ハンガー掛け衣類運搬用かご台車
JP2004283415A (ja) * 2003-03-24 2004-10-14 Daiichi Fashion Service:Kk ハンガーバー装置
JP6093858B2 (ja) * 2012-10-17 2017-03-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新規なメタロセン化合物、これを含む触媒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オレフィ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3211Y1 (ko) 행거바
US7967153B2 (en) Compact multi-rack T-shirt bag carousel
US7237687B1 (en) Over the door hanger system
US5033660A (en) Wire hanger to hold hats
KR101751937B1 (ko) 의류 운송용 캐리어
KR100324518B1 (ko) 냉장고의 접철식 병수납 구조
US20110168854A1 (en) Collapsible Frame for Supporting a Bag
KR20120000335U (ko) 접이식 옷걸이
US6520349B2 (en) Garment hanger caddy
JP2023029479A (ja) 洗濯用バッグ
KR20190066526A (ko) 복합 걸이
GB2369351A (en) A Collapsible Container with an Internal Storage Arrangement
EP0532640A4 (en) Hook assembly for portable containers
US6805366B1 (en) Portable shopping cart apparatus
JP3076860U (ja) 物干しハンガー
US20100127029A1 (en) Structure of a removable carrier of a two-wheeled vehicle with stealth-proof function
JP2003081278A (ja) 収納ケース
CN210481811U (zh) 一种收纳效果佳的折叠晾晒架
JP3482617B2 (ja) コンテナ内における梁支持構造
KR200322258Y1 (ko) 의류용 걸이대
JP4738514B2 (ja) 収納かご
JPS5920880Y2 (ja) 物干杆付き洗濯物篭
JP4303493B2 (ja) 物干し器
JP3003518U (ja) 折り畳み式整理棚
KR200161789Y1 (ko) 골프백용 디바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