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98B1 -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498B1
KR101751498B1 KR1020160076493A KR20160076493A KR101751498B1 KR 101751498 B1 KR101751498 B1 KR 101751498B1 KR 1020160076493 A KR1020160076493 A KR 1020160076493A KR 20160076493 A KR20160076493 A KR 20160076493A KR 101751498 B1 KR101751498 B1 KR 10175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roximity sensor
enlarged
grip block
rubb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업동
양용환
이재호
이시준
홍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6007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 및 일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타단을 가진 클립의 일단을 파지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의 일단을 클립의 타단 쪽으로 밀어주는 파지 블록; 파지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홈, 및 가이드 홈의 하단에 형성되어 클립의 타단이 안착되는 클립 안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레일; 파지 블록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클립의 일단이 클립의 타단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이 확대되었을 때,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며, 파지 블록에 결합된 제1 근접 센서부; 및 제1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클립 안착부는,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클립의 일단이 클립 안착부에 배치되는 클립을 배출시키는 배출 홈, 및 배출 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클립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하고,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확대된 클립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경우, 파지 블록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클립이 정방향으로만 고무호스에 체결될 수 있게 하면서, 이종 클립이 고무호스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a clip to a rubber hose}
본 발명은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무호스의 종류에 맞는 크기를 가진 클립이 정방향(正方向)으로 고무호스에 체결될 수 있게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는 냉난방 시스템이나 브레이크 시스템 등에 다양한 고무호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무호스는, 클립을 이용하여 다른 고무호스 또는 금속 관과 같은 부품에 연결된다.
도 1은 고무호스에 체결하기 위한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정방향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역방향(逆方向)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클립(10)을 고무호스(20)에 체결하는 종래의 체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클립(10)의 일단(13)과 타단(12)을 수작업으로 서로 가까이 당겨줌으로써, 클립(10)의 직경(D)이 커지도록 클립(10)을 확대하여 변형시킨다. 그 다음에, 작업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이 고무호스(20)에 대하여 정방향이 되도록, 고무호스(20)를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한다. 그 다음에, 작업자는 클립(10)의 일단(13)과 타단(12)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클립(10)이 고무호스(20)의 외주면을 탄성력으로 조여주게 한다.
이러한 클립(10)을 고무호스(20)에 체결하는 종래의 체결방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이 고무호스(20)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체결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역방향으로 클립(10)이 체결된 고무호스(20)는 다른 부품과 연결되도록 조립될 때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결하려는 클립(10)이 고무호스(20)의 종류에 맞는 크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의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 및 고무호스(20)의 종류에 맞지 않는 크기를 가진 클립(10)이 고무호스(20)에 체결된 경우, 이후의 조립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역방향으로 배치된 클립을 자동적으로 배출함으로써, 클립이 정방향으로만 고무호스에 체결될 수 있게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異種) 클립, 즉 고무호스의 종류에 맞지 않는 크기를 가진 클립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이종 클립이 고무호스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 및 일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타단을 가진 클립의 일단을 파지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의 일단을 클립의 타단 쪽으로 밀어주는 파지 블록; 파지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rail),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홈, 및 가이드 홈(guide groove)의 하단에 형성되어 클립의 타단이 안착되는 클립 안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 파지 블록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클립의 일단이 클립의 타단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이 확대되었을 때,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며, 파지 블록에 결합된 제1 근접 센서부; 및 제1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클립 안착부는,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클립의 일단이 클립 안착부에 배치되는 클립을 배출시키는 배출 홈, 및 배출 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클립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하고,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확대된 클립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경우, 파지 블록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근접 센서부는,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가 제 1 기준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1 근접 센서를 파지 블록에 연결하며, 파지 블록에 대하여 탄성이동가능한 제1 근접 센서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의 클립 안착부가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배출 홈, 및 배출 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클립의 일단보다 폭이 넓은 클립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폭이 좁은 클립의 일단이 클립 안착부에 배치되는 경우, 즉 클립이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클립을 배출 홈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폭이 넓은 클립의 타단이 클립 안착부에 배치되는 경우, 즉, 클립이 정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클립의 타단이 걸림 턱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방향으로 배치된 클립만 고무호스에 체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의 일단이 클립의 타단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이 확대되었을 때, 제1 근접 센서부는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제1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의 종류를 판단한다. 또한,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확대된 클립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경우, 파지 블록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이종 클립은, 작업자가 고무호스를 확대된 클립에 삽입하기 전에 다시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기 때문에, 이종 클립이 고무호스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접 센서를 파지 블록에 연결하는 제1 근접 센서 연결부가 파지 블록에 대하여 탄성이동가능하기 때문에, 확대된 클립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더 큰 종류에 속하는 경우, 확대된 클립에 의해 제1 근접 센서 연결부가 제2 근접 센서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제2 근접 센서부와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더 큰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고무호스에 체결하기 위한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정방향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역방향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호스클립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고무호스에 체결하기 위한 클립을,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정방향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이 역방향으로 체결된 고무호스의 사시도이다.
클립(10)은 '一' 자형의 얇은 금속판이 고리 모양을 형성하도록 휘어진 클립 몸체(11)를 포함한다. 클립(10)의 일단(13)은, 클립(10)의 타단(12)으로부터 클립 몸체(11)를 향하여 연장된 개구(14)를 통과하도록,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클립 몸체(11)로부터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다. 또한, 클립(10)의 일단(13)의 폭(W2)은, 클립(10)의 일단(13)이 개구(1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클립(10)의 타단(12)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립(10)의 타단(12)도, 클립(10)의 일단(13)과 마찬가지로,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클립 몸체(11)로부터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경우, 클립(10)이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에 삽입되어 통과된 고무호스(20)의 말단(21)이 클립(1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클립(10)의 일단(13)과 타단(12)을 바라보았을 때, 클립의 일단(13)이 타단(12)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클립(10)이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클립(10)이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에 삽입되어 통과된 고무호스(20)의 말단(21)이 클립(1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클립(10)의 일단(13)과 타단(12)을 바라보았을 때, 클립의 일단(13)이 타단(12)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클립(10)이 체결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3의 경우, 제어부(160) 및 구동 스위치(190)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4의 경우,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구성요소, 즉, 제어부(160), 및 제어부(16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클립(10)이 클립 안착부(123)와 파지 블록(110)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파지 블록(110)이 제2 위치로 이동하여, 클립(10)이 확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 복귀하여, 클립(10)이 고무호스(2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의 경우, 도 3과 비교하였을 때, 터치 센서부(170)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는 파지 블록(110), 가이드 레일(120), 구동부(130), 제1 근접 센서부(140), 제2 근접 센서부(150), 터치 센서부(160), 구동 스위치(170), 구동부 지지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파지 블록(110)은 클립(10)의 일단(13)을 파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파지 블록 몸체(111), 측면 돌출부(112) 및 하단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파지 블록(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10)의 일단(13)을 클립(10)의 타단(12) 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파지 블록(110)의 '제1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블록(110)이 최고 높이에 있을 때의 위치이며, 파지 블록(110)의 '제2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블록(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파지 블록 몸체(111)는,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이 사다리꼴 모양을 가진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로서, 상면이 구동부(130)의 피스톤 로드(132)와 연결되어 있다. 측면 돌출부(112)는 파지 블록 몸체(111)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서, 레일(122a)과 보조 가이드(116)에 의해 측면 돌출부(112)의 이동이 안내되고 있다. 하단 돌출부(113)는 파지 블록 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서, 클립(10)의 일단(13)을 파지한다.
가이드 레일(120)은 파지 블록(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한 쌍의 레일(122a, 122b), 가이드 홈(121) 및 클립 안착부(123)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일(122a, 122b)은 파지 블록(110)의 하단 돌출부(113) 및 측면 돌출부(112)에 인접하여, 파지 블록(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122a)에는 보조 가이드(116)가 나사(116a)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홈(121)은 한 쌍의 레일(122a, 122b) 사이에 위치하여, 파지 블록(110)의 하단 돌출부(11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클립 안착부(123)는 클립(10)의 타단(12)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 홈(12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 홈(124) 및 한 쌍의 걸림 턱(125a, 125b)을 포함한다. 배출 홈(124)은 역방향으로 배치된 클립(10), 즉 클립(10)의 일단(13)이 클립 안착부(123)에 배치되는 클립(10)을 배출시키는 홈으로서, 가이드 홈(121)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홈(124)의 폭(W3)은 클립(10)의 일단(13)의 폭(W2)보다 넓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배치된 클립(10)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 홈(124)의 폭(W3)은 클립(10)의 타단(12)의 폭(W1)보다 좁기 때문에, 정방향으로 배치된 클립(10), 즉, 클립(10)의 일단(13)이 파지 블록(110)을 향하고 클립(10)의 타단(12)이 클립 안착부(123)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클립(10)이 배출 홈(12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턱(125a, 125b)은 클립(10)의 타단(12)이 걸리는 부분으로서, 배출 홈(124)의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한 쌍의 걸림 턱(125a, 125b)의 상면은, 각각, 아래로 갈수록 걸림 턱(125a, 125b)의 정면(126)으로부터 멀어지게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클립(10)을 걸림 턱(125a, 125b)과 파지 블록(110)의 하단 돌출부(113) 사이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구동부(130)는 파지 블록(110)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부(13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132)를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는 실린더 본체(131) 및 피스톤 로드(132)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131)는 지지벽(181)의 정면(181a) 중 위쪽에 배치되도록 지지벽(181)과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32)의 일단은 파지 블록 몸체(111)의 상면과 결합되어 있다. 제어부(160)에 의한 구동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8과 관련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제1 근접 센서부(140)는 클립(10)의 일단(13)이 클립(10)의 타단(12)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10)이 확대되었을 때,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근접 센서(141), 제1 근접 센서 연결부(142), 제 1 가이드 봉(145), 제 2 가이드 봉(146) 및 탄성부재(145a)를 포함한다. 제1 근접 센서(1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이 확대되었을 때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1 근접 센서(141)는,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가 제 1 기준거리 이하임을 의미하는 제 1 감지 신호, 또는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가 제 1 기준거리보다 큼을 의미하는 제 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190)에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기준거리'는 제1 근접 센서(141)가, 감지하려는 대상이 근접해 있음을 인식할 수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제1 근접 센서 연결부(142)는 제1 근접 센서(141)를 파지 블록(110)에 연결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파지 블록(110)에 대하여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근접 센서 연결부(142)는 서로 각을 형성하며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판(144)과 하부판(143)을 포함한다. 상부판(144)은 상부 홀(147) 및 하부 홀(148)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 블록 몸체(111)의 정면과 접촉하고 있다. 제 1 가이드 봉(145) 및 제 2 가이드 봉(146)은 각각 상부 홀(147) 및 하부 홀(148)을 통과하여, 파지 블록 몸체(111)의 정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45a)가 제 1 가이드 봉(145)의 머리와 상부판(144) 사이에 끼워져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1 근접 센서부(140)는 파지 블록(110)에 탄성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판(143)에는 제1 근접 센서(14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판(143)은, 상부판(144)과 비교하여, 제2 근접 센서(151)와 마주보도록 옆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143a)을 가지고 있다.
제2 근접 센서부(150)는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근접 센서(151) 및 제2 근접 센서 연결부(152)를 포함한다. 제2 근접 센서(1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2 근접 센서(151)는,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가 제 2 기준거리 이하임을 의미하는 제 3 감지 신호, 또는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가 제 2 기준거리보다 큼을 의미한는 제 4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기준거리'는 제2 근접 센서(151)가, 감지하려는 대상이 근접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제2 근접 센서 연결부(152)는 제2 근접 센서(151)를 파지 블록(110)에 연결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제2 근접 센서 연결부(152)의 일단은 제2 근접 센서(151)가 고정되어 있고, 제2 근접 센서 연결부(152)의 타단은 파지 블록 몸체(111)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는, 클립 안착부(123)에 안착될 수 있는 클립으로서, i) 미리 정해진 클립과 동일한 종류의 클립(10), ii)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 클립(10), 및 iii)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 클립(10)이 있기 때문에, 근접센서부로서, 2개의 근접센서부, 즉 제1 근접 센서부(140) 및 제2 근접 센서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근접 센서부(140)는, 제어부(190)가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제2 근접 센서부(150)는, 제어부(190)가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미리 정해진 클립"은,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에 의해 체결될 고무호스(20)의 종류에 맞는 클립을 의미한다.
그러나, 클립 안착부(123)에 안착될 수 있는 클립으로서, i) 미리 정해진 클립과 동일한 종류의 클립(10), 및 ii) 미리 정해지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 클립(10)만이 있는 경우, 또는 i) 미리 정해진 클립과 동일한 종류의 클립(10), 및 ii) 미리 정해지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 클립(10)만이 있는 경우에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는, 근접센서부로서, 1개의 근접센서부, 즉 제1 근접 센서부(14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부(160)는,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된 고무호스(20)의 터치 또는 작업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 센서(161) 및 터치 센서 지지부(162)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61)는,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되어 통과된 고무호스(20)의 말단의 터치, 또는 작업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90)로 송신한다. 터치 센서 지지부(162)는, 터치 센서(161)가,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되어 통과된 고무호스(20)의 말단이 터치될 수 있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터치 센서(16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스위치(170)는,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구동 스위치(170)는, 작업자에 의해 버튼이 눌려질 때에, 구동 신호가 제어부(190)로 송신되는 푸쉬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90)가 구동 스위치(1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90)는,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30)가 구동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구동부(130)로 송신한다.
구동부 지지부(180)는, 구동부(13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지벽(181) 및 지지판(182)를 포함한다. 지지벽(181)의 정면(181a) 중 위쪽에는 실린더 본체(131)가 결합되어 있고, 지지벽(181)의 정면(181a) 중 아래쪽에는 가이드 레일(12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82)은 지지벽(181)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지벽(181)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지지벽(181)과 지지판(182)이 이루는 각도(α)는 90°로 되어 있으나, 지지벽(181)과 지지판(182)이 이루는 각도(α)가 60°보다 크면서 90°보다 작게, 지지벽(181)과 지지판(182)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지벽(181)과 지지판(182)이 이루는 각도(α)가 60°보다 크면서 90°보다 작은 경우, 지지벽(181)과 지지판(182)이 이루는 각도(α)가 90°인 경우와 비교할 때, 작업자는 정방향인 클립(10)을 더욱 용이하게 클립 안착부(123)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근접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파지 블록(110)에 의해 클립(10)의 일단(13)이 클립(10)의 타단(12)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 및 제2 근접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된,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10)의 종류를 판단하고, 확대된 클립의 종류(10)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구동 스위치(170)로부터의 구동 신호, 및 터치 센서부(160)로부터의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제어부(160)에 의한 구체적인 제어과정은, 도 8과 관련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210에서, 제어부(190)는, 구동 스위치(17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동 스위치(17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90)는 계속해서 구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동 스위치(170)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단계 220에서, 제어부(190)는,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클립 안착부(123)와 파지 블록(110) 사이에 끼워져 있는 클립(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32)의 하향 이동에 의해, 클립(10)의 일단(13)이 클립의 타단(12)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확대된다.
단계 230에서, 제1 근접 센서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1 근접 센서부(140)는,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가 제 1 기준거리 이하임을 의미하는 제 1 감지 신호, 또는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가 제 1 기준거리보다 큼을 의미하는 제 2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19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90)는,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제1 근접 센서부(140)로부터 상기 제 2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계 290에서, 제어부(190)는, 피스톤 로드(132)가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90)는 제1 근접 센서부(140)로부터 상기 제 1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계 250에서, 제2 근접 센서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제2 근접 센서부(150)는,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가 제 2 기준거리 이하임을 의미하는 제 3 감지 신호, 또는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가 제 2 기준거리보다 큼을 의미하는 제 4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90)는,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제2 근접 센서부(150)로부터 상기 제 3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계 290에서, 제어부(190)는, 피스톤 로드(132)가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90)는 제2 근접 센서부(150)로부터 상기 제 4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계 270에서, 제어부(190)는, 피스톤 로드(132)를 하향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 정지시킴으로써, 파지 블록(110)이 제2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이 때, 작업자는 고무호스(20)를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한다.
단계 280에서, 제어부(190)는, 터치 센서부(160)가 터치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부(160)는, 확대된 클립(10) 내에 삽입되어 통과된 고무호스(20)의 말단의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고, 작업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부(160)가 터치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 270에서, 제어부(190)는, 터치 센서부(160)가 터치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확인한다. 터치 센서부(160)가 터치를 감지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계 290에서, 제어부(190)는, 피스톤 로드(132)를 상향 이동함으로써, 파지 블록(110)이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부(130)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클립(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어 고무호스(20)에 체결되게 된다.
참고로, 도 8의 경우,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하는 단계 230과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250이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하는 과정 및 제1 근접 센서부(140)와 제2 근접 센서부(150) 사이의 거리(L2)를 감지하는 과정이 하나의 단계에서 동시에 행해지고, 그 다음에,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40, 및 확대된 클립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60이 행해질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립(10)의 일단(13)이 클립(10)의 타단(12)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립(10)이 확대되었을 때, 제1 근접 센서부(140)는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를 감지하고, 제어부(190)는, 제1 근접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확대된 클립(10)과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1)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10)의 종류를 판단한다. 또한, 구동부(130)는, 제어부(190)에 의해 판단된 확대된 클립(10)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경우, 파지 블록(110)을 제1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이종 클립은, 작업자가 고무호스(20)를 확대된 클립(10)에 삽입하기 전에 다시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기 때문에, 이종 클립이 고무호스(20)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접 센서(141)를 파지 블록(110)에 연결하는 제1 근접 센서 연결부(142)가 파지 블록(110)에 대하여 탄성이동가능하기 때문에,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더 큰 종류에 속하는 경우, 확대된 클립(10)에 의해 제1 근접 센서 연결부(142)가 제2 근접 센서부(15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제2 근접 센서부(150)와 제1 근접 센서부(140) 사이의 거리(L2)에 근거하여 확대된 클립(10)이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더 큰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클립 20: 고무호스
100: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110: 파지 블록
120: 가이드 레일 130: 구동부
140: 제1 근접 센서부 150: 제2 근접 센서부
160: 터치 센서부 170: 구동 스위치
180: 구동부 지지부 190: 제어부

Claims (8)

  1. 일단, 및 상기 일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타단을 가진 클립의 상기 일단을 파지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클립의 상기 일단을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 쪽으로 밀어주는 파지 블록;
    상기 파지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위치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이 안착되는 클립 안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파지 블록을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클립의 상기 일단이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클립이 확대되었을 때, 확대된 클립과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파지 블록에 결합된 제1 근접 센서부; 및
    상기 제1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확대된 클립과 상기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클립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클립의 상기 일단이 상기 클립 안착부에 배치되는 클립을 배출시키는 배출 홈, 및
    상기 배출 홈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이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확대된 클립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클립의 종류와 다른 경우, 상기 파지 블록을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센서부는,
    상기 확대된 클립과 상기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가 제 1 기준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제1 근접 센서를 상기 파지 블록에 연결하며, 상기 파지 블록에 대하여 탄성이동가능한 제1 근접 센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센서부와 제2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 근접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부와 상기 제2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가 제 2 기준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근접 센서; 및
    상기 제2 근접 센서를 상기 파지 블록에 연결하는 제2 근접 센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확대된 클립과 상기 제1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클립이 상기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 근접 센서부와 상기 제2 근접 센서부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클립이 상기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부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확대된 클립 내에 삽입된 고무호스가 터치될 수 있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터치 센서를 지지하는 터치 센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된 클립이 상기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작은 종류에 속하는 클립,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클립보다 큰 종류에 속하는 클립임을 판단한 경우, 상기 파지 블록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가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파지 블록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위쪽에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어 있고, 아래쪽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벽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구동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KR1020160076493A 2016-06-20 2016-06-20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KR10175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93A KR101751498B1 (ko) 2016-06-20 2016-06-20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93A KR101751498B1 (ko) 2016-06-20 2016-06-20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498B1 true KR101751498B1 (ko) 2017-07-12

Family

ID=5935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493A KR101751498B1 (ko) 2016-06-20 2016-06-20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892A (ja) 2011-02-08 2012-08-30 Honda Sun Co Ltd チューブクリップの装着装置
WO2014136536A1 (ja) 2013-03-06 2014-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クリップ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1892A (ja) 2011-02-08 2012-08-30 Honda Sun Co Ltd チューブクリップの装着装置
WO2014136536A1 (ja) 2013-03-06 2014-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クリップ装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276B2 (en) Fixture exchange rail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684164B1 (ko)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CN102133702B (zh) 用于紧固部件的引导和安装装置
CN109571551B (zh) 一种自动搬运机器人防撞装置
EP1586490A8 (en) Travel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KR101751498B1 (ko) 고무호스 클립 체결장치
CA2405762C (en) Stud welding method and stud welding device especially for stud welding without a support foot
CN103273315B (zh) 夹子组装机的夹片装配机构
KR101808709B1 (ko) 변속기 장착장치
CN205852835U (zh) 机器人手臂
US9149864B2 (en) Rivet setter
US11904442B1 (en) Securing tool
CN106606126A (zh) 滑轨总成及其滑轨套件
US9120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a rivet from a riveting tool
EP1742127A3 (en) Device for judging collision of a die cushion mechanism and system for judging collision
CN107322370B (zh) 多种工件自动判别不动定位机构
US7484283B2 (en) Circular workpiece separation device
KR20170143042A (ko) 와셔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셔 체결 방법
KR101755215B1 (ko) 호스부와 스프링클립 결합시스템 및 그 결합방법
CN211236292U (zh) 卡扣装配到位检测装置
KR20220066756A (ko) 양말 속지 삽입 보조 장치
CN208132842U (zh) 一种软管压装台钻
CN211135879U (zh) 焊枪螺钉缓冲控制组件
JP5430710B2 (ja) クランプ装置
KR20110120612A (ko) 차량용 시트 측면 프레임용 펀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