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09B1 - 변속기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09B1
KR101808709B1 KR1020160034236A KR20160034236A KR101808709B1 KR 101808709 B1 KR101808709 B1 KR 101808709B1 KR 1020160034236 A KR1020160034236 A KR 1020160034236A KR 20160034236 A KR20160034236 A KR 20160034236A KR 101808709 B1 KR101808709 B1 KR 10180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ace plate
plate
clamp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963A (ko
Inventor
김상태
박영호
박종백
홍춘의
조상욱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디티 filed Critical (주)에이디티
Priority to KR102016003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705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using masses driven in reciprocating rotary motion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68Method or means for testing of transmission control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변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대상물인 변속기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베드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스톡; 상기 헤드스톡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변속기와 면 접촉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용 기준핀; 상기 변속기의 모델 종류를 판별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 상기 변속기를 파지하는 상기 클램프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를 마련하여 컨베이어에 설치된 ID 리더기에 의해 변속기의 일련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변속기의 테스트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된 장착용 기준핀이 변속기에 먼저 접촉되어 헤드스톡이 변속기에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고, 장착용 기준핀에 의해 헤드스톡의 이동을 정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되며, 변속기 및 헤드스톡이 서로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어 변속기 및 헤드스톡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변속기 장착장치{Transmission Mounting Device for Transmission Test}
본 발명은 변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대상물인 변속기를 안정되게 파지하는 변속기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토크(torque)는 회전속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며, 출력은 회전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동차가 주행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은 승객과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 도로상황 및 주행속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서 토크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필요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장치를 변속장치라고 한다.
상기 변속장치는 수동 변속장치, 자동 변속장치, 자동화 수동 변속장치로 크게 나뉘어진다.
상기 수동 변속장치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기어를 바꾸는 변속기이다. 변속시에는 클러치(clutch)로 변속 액츄에이터(actuator)와 엔진을 분리시킨 다음 기어를 바꾼 후 다시 클러치로 동력을 전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숙달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 변속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자동변속기가 구비된 차에 비해 엔진의 능력을 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응답성을 원하거나 높은 연비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수동 변속장치를 선호한다.
상기 자동 변속장치는 말 그대로 자동으로 변속을 시켜주는 변속기이다. 그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동력의 단속과 토크의 증대를 하는 장치이다.
자동변속장치는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와 차속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변속 패턴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단을 바꾸어 주는 것으로 유압 장치에 의해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수동 변속장치와 자동 변속장치의 장점을 취합한 더블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제공되고 있다.
더블클러치 변속기는 종래 단판클러치 변속기 시스템과 달리 2개의 클러치로 구성되어, 제1클러치는 홀수단 기어를 단속하며, 제2클러치는 짝수단 기어를 단속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변속 시스템으로서 자동변속기처럼 운전이 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변속기 차량보다도 더 높은 연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블클러치 변속기는 단판클러치 변속기에서 발생되는 가속정지감 현상이 없기 때문에 변속감 또한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유수의 자동차 업체에서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개발과 더불어 양산을 시작하고 있고, 자동이나 수동 변속기 생산라인에서와 같이 최종 조립 후 성능시험장치의 소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성능 시험장치에서 변속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변속기와 맞물려 회전되는 입력측 구동장치와 상기 변속기에 차량의 주행 상태와 같은 부하를 가해 주기 위한 출력측 동력흡수용 모터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속기 시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기 시험장치는 베드(1)의 상면에 변속기(10)를 구동시키는 입력측 모터(20)와 변속기(10)에 부하를 가해주는 출력측 동력흡수용 모터(30)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베드(1)의 상면에는 입력측 모터(20)와 변속기(10)를 파지하는 헤드스톡(22)이 설치되며, 이들 입력측 모터(20)와 헤드스톡(22)은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5)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헤드스톡(22)에는 컨베이어(2)를 따라 이동된 변속기(10)를 파지하는 클램프(미도시)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베드(1)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컨베이어(2)가 설치되고, 컨베이어(2)에는 시험대상물인 변속기(10)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변속기 시험장치는 입력측 모터(20) 및 출력측 동력흡수용 모터(30)가 변속기(10)를 향해 이동하여 변속기(10)를 장착하게 되며, 헤드스톡(22)에 변속기(10)에 면 접촉됨과 함께 변속기(10)를 파지하는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기 시험장치는 헤드스톡이 변속기에 접촉됨을 판별할 수 없어 변속기와 헤드스톡이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변속기에 부분적으로 충격력이 가해져 변속기의 파손 우려가 있으며, 충격에 의한 헤드스톡의 변형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헤드스톡이 변속기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않게 되어 변속기의 장착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69604호(2014년 2월 25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스톡이 변속기에 안정되게 접촉됨을 감지하는 변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속기의 모델 또는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변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속기를 안정되게 파지하는 변속기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는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대상물인 변속기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베드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스톡; 상기 헤드스톡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변속기와 면 접촉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용 기준핀; 상기 변속기의 모델 종류를 판별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 상기 변속기를 파지하는 상기 클램프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기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변속기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표시하는 ID 태그; 상기 변속기의 ID 태그를 인식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ID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용 기준핀은 일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핀; 상기 머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슬리브; 상기 이동핀이 탄성을 갖도록 상기 머리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구멍에 형성되는 단턱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기준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기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은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 피스톤의 전진 및 후진을 감지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상기 변속기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파지되는 고정블록;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와 소정 각도만큼 틀어지게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2개의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설치된 ID 리더기에 의해 변속기의 일련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변속기의 테스트에 따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된 장착용 기준핀이 변속기에 먼저 접촉되어 헤드스톡이 변속기에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고, 장착용 기준핀에 의해 헤드스톡의 이동을 정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되며, 변속기 및 헤드스톡이 서로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어 변속기 및 헤드스톡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클램프에 의해 변속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클램프의 이동 및 회전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클램프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에 의해 변속기의 종류 및 모델을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변속기 시험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일측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타측에서 도시한 일부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장착용 기준핀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클램프 및 판별용 기준핀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클램프 및 판별용 기준핀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일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타측에서 도시한 일부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는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대상물인 변속기(10)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베드(1)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스톡(440), 상기 헤드스톡(44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45), 상기 변속기(10)와 면 접촉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445)의 일면에 설치되는 페이스 플레이트(510),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5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용 기준핀(520), 상기 변속기(10)의 모델 종류를 판별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540), 상기 변속기(10)를 파지하는 상기 클램프(53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클램프(530)에 설치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536)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속기용 장착장치는 컨베이어(2)를 따라 이동되는 변속기(10)를 안전하면서 안정되게 파지한다.
도 2에는 베드(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컨베이어(2)가 설치되며, 시험대상물인 변속기(10)는 컨베이어(2)를 따라 이동되고, 변속기(10)는 컨베이어(2)를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변속기(10)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되며, 변속기(10)의 일련번호는 ID 태크(160)로 부착되고, 컨베이어(2)에는 ID 태크(160)의 일련번호를 인식하는 ID 리더기(165)가 설치된다.
상기 베드(1) 상면에는 변속기(10)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모터(110)에는 변속기(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1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10) 및 제1 동력전달부재(112)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베드(1)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유닛(460b)에 의해 이동된다.
아울러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의 상면에는 차량의 주행 저항과 유사한 부하를 변속기(10)에 가해주도록 제2 구동모터(130)가 베드(1)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고, 제2 구동모터(130)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131)가 설치된다.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에는 제1 구동모터(110), 제1 동력전달부재(112), 제2 동력전달부재(13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정 테이블(150)이 설치되고,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에는 제2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또 베드(1)의 상면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는 변속기(10)에 면 접촉되는 헤드스톡(440)이 고정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제1 수직프레임(441)과 제2 수직프레임(442)이 고정되며, 제1 수직프레임(441)과 제2 수직프레임(442) 사이에는 제3 수직프레임(443)이 고정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유닛(460a)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제3 수직프레임(443)의 전면, 즉 변속기(10)와 접하는 면에는 고정플레이트(445)가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장착용 기준핀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클램프 및 판별용 기준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45)에는 변속기(10)에 면 접촉되는 페이스 플레이트(510), 변속기(1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장착용 기준핀(520), 변속기(10)를 안정되게 파지하는 클램프(530) 및 변속기(10)의 종류 또는 모델을 판별하는 판별용 기준핀(540)이 설치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는 고정플레이트(445)에 설치되는 플레이트(511), 상기 플레이트(51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원형플레이트(512), 상기 제1 원형플레이트(512)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2 원형플레이트(513)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관통되는 삽입구멍(514)이 형성되며, 삽입구멍(514)에는 이동핀(521)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단턱홈부(5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용 기준핀(520)은 일단에 머리부(521a)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핀(521), 상기 머리부(521a)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 고정되는 슬리브(522), 상기 이동핀(521)이 탄성을 갖도록 상기 머리부(521a)와 상기 슬리브(52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523)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용 기준핀(520)은 헤드스톡(440)이 변속기(10)에 면 접촉되어 헤드스톡(44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이동핀(521)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스프링(523)이 지지되는 머리부(52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동핀(521)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스토퍼(524)가 고정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단턱홈부(515)에는 중공의 슬리브(522)가 끼워져 고정되고, 슬리브(522)의 일측에는 중공슬리브(522a)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핀(521)의 머리부(521a)와 중공슬리브(522a) 사이에는 스프링(523)을 설치하며, 이동핀(521)에는 페이스 플레이트(5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플레이트(511) 배면에 플랜지(524a)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511)의 배면에는 이동핀(521)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센서(525)가 설치되며, 장착감지센서(525)는 브래킷(526)에 안정되게 설치된다.
또 플레이트(511)에는 변속기(10)를 파지하는 클램프(530)가 다수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530)는 컨베이어(2)에 의해 이동된 변속기(10)를 안정되게 파지하며, 변속기(10)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클램프 및 판별용 기준핀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530)는 플레이트(511)에 설치되는 실린더(531), 상기 실린더(5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32) 및 상기 회전축(532)의 선단에 변속기(10)를 파지하는 고정블록(53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533)에는 고정블록(533)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제1 센서(534)와 제2 센서(535)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532)의 회전 및 이동을 감지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536)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회전감지센서(536)는 고정블록(533)의 이동되기 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536a)와 고정블록(533)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 및 고정블록(533)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53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회전감지센서(536a)는 고정블록(533)이 실린더(531)에 밀착되어 이동되기 전 상태를 감지하며, 제2 회전감지센서(536b)는 고정블록(533)이 변속기(10)를 향해 이동되어 회전된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540)이 설치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페이스 플레이트(510)에 설치되어 변속기(10)의 종류 또는 변속기(10)의 모델을 판별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기준핀(541)과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타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기준핀(54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기준핀(541)은 변속기(10)의 기준홈(미도시)에 접촉되어 변속기(10)의 종류, 즉 자동변속기, 수동변속기, 더블클러치변속기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제2 기준핀(542)은 변속기(10)에 접촉되어 변속기(10)의 모델을 판별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플레이트(511) 배면에 설치되는 공압실린더(544), 상기 공압실린더(544)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피스톤(545), 상기 제1 피스톤(545)의 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피스톤(546), 상기 제1 피스톤(545)과 제2 피스톤(546)을 연결하는 연결부(547), 상기 제1 피스톤(545)의 전진 및 후진을 감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511)의 배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감지센서(548)을 포함한다.
상기 공압실린더(544)는 플레이트(511) 배면에 설치되고, 공압실린더(544)에는 제1 피스톤(545)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피스톤(545)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제2 피스톤(546)이 설치된다.
상기 제1 피스톤(545)과 제2 피스톤(546)은 연결부(547)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공압실린더(544)에는 피스톤(545, 546)의 이동을 감지하는 피스톤 감지센서(548)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 감지센서(548)는 제1 피스톤(545)의 전진 되기 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548a)와 제1 피스톤(545)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548b)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제2 피스톤(546)을 안정되게 설치하도록 결합플랜지(549)가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 장착장치는 변속기(10)에 부연된 일련번호를 표시하는 ID 태그(160)를 부착하고, 변속기(1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2)에는 ID 태그(160)를 인식하는 ID 리더기(165)를 설치한다. 상기 ID 리더기(165)는 변속기(10)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베드(1)에는 변속기(10)에 접촉되는 헤드스톡(440)을 설치하며, 헤드스톡(440)의 저면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이동유닛(460a)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헤드스톡(44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수직프레임(441)과 제2 수직프레임(442) 및 상기 제1 수직프레임(441)과 제2 수직프레임(4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3 수직프레임(443)으로 이루어진다.
또 베드(1)의 상면에는 변속기(10)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110)를 설치하며, 제1 구동모터(110)에는 변속기(10)에 결합되는 제1 동력전달부재(112)를 설치한다.
이들 제1 구동모터(110)와 제1 동력전달부재(112)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 상면에 설치하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는 제2 구동모터(130)가 설치된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에는 제1 구동모터(110), 제1 동력전달부재(112) 및 제2 동력전달부재(13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정 테이블(150)을 설치하고,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에 제2 구동모터(130)를 설치한다.
이러한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와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는 조인트로 연결되고,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 일측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420) 및 제3 베이스 플레이트(430)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460b)을 설치한다.
상기 제3 수직프레임(443)의 전면, 즉 변속기(10)와 접촉되는 면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고정플레이트(445)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45)에는 페이스 플레이트(510), 장착용 기준핀(520), 클램프(530) 및 판별용 기준핀(540)을 설치한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는 고정플레이트(445)에 플레이트(511)를 설치하며, 플레이트(511)에는 제1 원형플레이트(512)와 제2 원형플레이트(512)를 설치한다. 상기 플레이트(511)는 고정플레이트(445)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원형플레이트(512)는 플레이트(5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삽입구멍(514)을 형성하고, 삽입구멍(514)에는 장착용 기준핀(520)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단턱홈부(515)를 형성한다.
상기 장착용 기준핀(520)은 일측에 머리부(521a)가 형성된 이동핀(521)을 삽입구멍(5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단턱홈부(515)에는 중공의 슬리브(522)를 고정한다.
상기 슬리브(522)는 삽입구멍(514)에 억지끼움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하며, 슬리브(522) 일측에는 스프링(523)을 지지하는 중공슬리브(522a)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이동핀(521)의 머리부(521a)와 중공슬리브(522a) 사이에는 스프링(523)을 설치하며, 스프링(523)은 이동핀(521)의 머리부(521a)가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탄성을 부여한다.
상기 이동핀(521)의 타측에는 이동핀(521)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스토퍼(524)가 고정되며, 고정플레이트(445)의 배면에는 이동핀(521)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착감지센서(525)가 브래킷(526)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는 이동유닛(460a)에 의해 이동되며, 헤드스톡(44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에 의해 변속기(10)를 향해 이동된다.
이렇게 헤드스톡(440)은 변속기(10)에 접촉하게 되는데,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으로 돌출된 장착용 기준핀(520)이 변속기(10)에 접촉된다.
상기 장착용 기준핀(520)의 이동핀(521)은 변속기(10)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퇴하게 되며, 플레이트(5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감지센서(525)는 이동핀(521)의 후퇴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이동유닛(46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이동을 정지시키며, 페이스 플레이트(510) 및 헤드스톡(440)은 변속기(10)에 안정되게 면 접촉된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변속기(10)를 파지하는 클램프(530)가 다수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530)는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함은 물론 변속기(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클램프(530)는 플레이트(511)에 고정되는 실린더(531), 상기 실린더(5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변속기(10)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축(532), 상기 회전축(532)에 의해 회전되어 변속기(10)를 파지하는 고정블록(5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블록(533)에는 서로 다른 면에 제1 센서(534)와 제2 센서(535)를 설치하며, 이들 센서(534, 535)는 고정블록(533)의 회전을 감지하여 변속기(10)의 파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530)에는 제1 센서(534)와 제2 센서(545)를 감지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536)를 설치하며, 상기 제1 회전감지센서(536a)는 제2 원형플레이트(513)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회전축(532)의 후퇴를 감지하고, 제2 회전감지센서(536b)는 변속기(10) 쪽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회전축(532)의 전진을 감지한다.
즉, 제1 회전감지센서(536a)와 제2 회전감지센서(536b)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회전축(532)의 전진 및 후퇴를 감지함은 물론 고정블록(533)이 변속기(10)에 파지됨을 감지한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변속기(10)의 모델 또는 변속기(10)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용 기준핀(540)을 설치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기준핀(540)이 변속기(10)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변속기(10)의 종류 및 모델을 판별하도록 한다.
즉, 변속기(10)는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더블클러치변속기 등으로 크게 구분되고,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변속기(10)를 사용하며, 변속기(10)에 따라 그 종류 및 모델을 파악할 수 있는 기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페이스 플레이트(510)에는 2개 또는 3개의 판별용 기준핀(54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 2개 또는 3개의 기준핀(540)이 결합됨에 따라 변속기(10)의 종류 또는 모델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제1 기준핀(541)은 변속기(10)의 종류, 즉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듀얼클러치변속기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홈에 접촉됨에 따라 변속기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제2 기준핀(542)과 제3 기준핀(543)은 차종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변속기(10)의 모델을 판별할 수 있다. 즉, 2개의 기준핀(542, 543)이 기준홈에 접촉되는 여부에 따라 해당 변속기(10)의 모델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핀(541)은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기준핀(542)과 제3 기준핀(543)은 페이스 플레이트(51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핀(540)은 시험대상인 변속기(10)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플레이트(511)의 배면에는 공압실린더(5444)를 설치하며, 공압실린더(544)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피스톤(545)을 출몰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 피스톤(545)과 동일하게 이동되는 제2 피스톤(546)을 연결한다.
상기 제1 피스톤(545)과 제2 피스톤(546)은 연결부(547)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플레이트(511)의 배면에는 제1 피스톤(545)의 이동을 감지하는 피스톤 감지센서(548)을 설치한다.
상기 피스톤 감지센서(548)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548a)와 제2 감지센서(548b)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 피스톤(545)이 전진한 위치 및 후퇴한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 원형플레이트(513)에는 제2 피스톤(546)의 출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결합플랜지(549)가 고정된다.
상기 헤드스톡(440)은 이동유닛(460)에 의해 변속기(10)를 향해 이동되며, 이때 클램프(530)의 고정블록(533)은 플레이트(511) 쪽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고, 판별용 기준핀(540)도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헤드스톡(44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460)에 의해 변속기(10)에 접촉되고, 클램프(530)의 회전축(532)은 변속기(10)를 향해 전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32)은 실린더(531)에 의해 설정된 길이만큼 전진하게 되고, 전진이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축(532)은 회전되어 변속기(10)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530)의 고정블록(533)은 전진하기 전 상태에서 제1 센서(534)와 제1 회전감지센서(536a)에 의해 후퇴한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또 회전축(532)의 전진 후 회전됨에 따라 제2 센서(535)와 제2 회전감지센서(536b)에 의해 고정블록(533)이 변속기(10)에 파지됨을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530)는 제1 센서(534)와 제1 회전감지센서(536a), 제2 센서(535)와 제2 회전감지센서(536b)에 의해 회전축(532)의 전진 및 후퇴, 고정블록(533)의 회전 전후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아울러 헤드스톡(440)이 변속기(10)에 접촉됨에 따라 시험대상물인 변속기(10)의 모델 또는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변속기(10)의 기준홈 결합 여부에 따라 변속기(10)의 모델 또는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판별용 기준핀(540)은 공압실린더(544)에 의해 피스톤(545, 546)이 전진하여 변속기(10)의 기준홈에 접촉되고, 이들 3개의 기준핀(540)의 결합 개수 또는 결합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변속기(10)의 모델 또는 종류를 판별하기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60: ID 태그 155: ID 리더기6
440: 헤드스톡 441: 제1 수직프레임
442: 제2 수직프레임 443: 제3 수직프리임
445: 고정플레이트 510: 페이스 플레이트
511: 플레이트 512: 제1 원형플레이트
513: 제2 원형플레이트 514: 삽입구멍
515: 단턱홈부 520: 장착용 기준핀
521: 이동핀 521a: 머리부
522: 슬리브 522a: 중공슬리브
523: 스프링 524: 스토퍼
524a: 플랜지 525: 장착감지센서
526: 브래킷 530: 클램프
531: 실린더 532: 회전축
533: 고정블록 534: 제1 센서
535: 제2 센서 536: 클램프 회전감지센서
536a: 제1 회전감지센서 536b: 제2 회전감지센서
540: 판별용 기준핀 541: 제1 기준핀
542: 제2 기준핀 543: 제3 기준핀
544: 공압실린더 545: 제1 피스톤
546: 제2 피스톤 547: 연결부
548: 피스톤 감지센서 548a: 제1 감지센서
548b: 제2 감지센서 549: 결합플랜지

Claims (8)

  1.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대상물인 변속기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베드 상면에 설치되는 헤드스톡;
    상기 헤드스톡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변속기와 면 접촉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설치되는 페이스 플레이트;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용 기준핀;
    상기 변속기의 모델 종류를 판별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별용 기준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를 파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변속기를 파지하는 상기 클램프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는 클램프 회전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변속기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표시하는 ID 태그;
    상기 변속기의 ID 태그를 인식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ID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기준핀은 일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핀;
    상기 머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슬리브;
    상기 이동핀이 탄성을 갖도록 상기 머리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멍;
    상기 슬리브가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구멍에 형성되는 단턱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기준핀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기준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기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용 기준핀은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을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제1 피스톤의 전진 및 후진을 감지하도록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다수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상기 변속기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파지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와 소정 각도만큼 틀어지게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2개의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장착장치.
KR1020160034236A 2016-03-22 2016-03-22 변속기 장착장치 KR10180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36A KR101808709B1 (ko) 2016-03-22 2016-03-22 변속기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36A KR101808709B1 (ko) 2016-03-22 2016-03-22 변속기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63A KR20170109963A (ko) 2017-10-10
KR101808709B1 true KR101808709B1 (ko) 2018-01-18

Family

ID=6019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36A KR101808709B1 (ko) 2016-03-22 2016-03-22 변속기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8647B (zh) * 2019-04-08 2024-04-23 浙江万里扬新能源驱动科技有限公司 一种变速器下线检测台半轴更换装置及方法
CN110125664B (zh) * 2019-06-19 2024-01-09 菲斯达排放控制装置(苏州)有限公司 一种执行器限位块自动装配装置
CN112643323A (zh) * 2020-12-21 2021-04-13 湖南兵器建华精密仪器有限公司 自动底螺拧紧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7508A1 (en) 2003-05-13 2004-11-18 Saeed Shafiyan-Rad Sensor for power clamp arm
JP2010091405A (ja) 2008-10-08 2010-04-22 Akebono Brake Ind Co Ltd ブレーキダイナモメ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7508A1 (en) 2003-05-13 2004-11-18 Saeed Shafiyan-Rad Sensor for power clamp arm
JP2010091405A (ja) 2008-10-08 2010-04-22 Akebono Brake Ind Co Ltd ブレーキダイナモメ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63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709B1 (ko) 변속기 장착장치
US7992276B2 (en) Fixture exchange rail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4942731B (zh) 多型号换挡器总成换挡力检测定位夹紧装置
KR101664875B1 (ko) 변속기 시험장치
CN107223099A (zh) 用于制动单元的活塞冲程传感器布置
CN105223027A (zh) 汽车座椅两侧一致性检测设备
KR20160046098A (ko) 스플라인 샤프트의 찍힘 검사 장치
KR101735480B1 (ko) 변속기의 기종 감지장치
US6655227B2 (en) Control device applied in a synchromesh-type transmission
CN110405462B (zh) 一种用于汽车双离合变速器驱动盘毂的自动校正装置
KR101795571B1 (ko) 변속기의 장착 감지장치
CN103168218A (zh) 用于在转鼓试验台中固定车辆的方法
KR101189776B1 (ko) 고무 호스의 마킹 및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872086A (zh) 一种换挡器提拉芯杆检测装置
KR101231368B1 (ko) 자동 변속기의 시험 장치
KR101768059B1 (ko) Dct의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5138797U (zh) 一种汽车座椅两侧一致性检测设备
CN210293706U (zh) 一种高精度车辆对中装置
CN106931882B (zh) 用于叶轮旋转部件的缓冲减震件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061967A (zh) 底盘测功机系统
CN105675292B (zh) 一种变速箱空载试验惯量加载机构
CN206056953U (zh) 用于检测组合凸轮轴扭矩力的扭力检测装置
JP4498008B2 (ja) モータリング装置
KR100507124B1 (ko) 코어부품 이재기용 사양 감지 장치의 제어방법
JP200512790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のパーキングポール作動力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