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37B1 -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 Google Patents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437B1
KR101751437B1 KR1020170016991A KR20170016991A KR101751437B1 KR 101751437 B1 KR101751437 B1 KR 101751437B1 KR 1020170016991 A KR1020170016991 A KR 1020170016991A KR 20170016991 A KR20170016991 A KR 20170016991A KR 101751437 B1 KR101751437 B1 KR 10175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tube unit
door
heigh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문산업
신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문산업, 신용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문산업
Priority to KR102017001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0Door leaves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산업용 출입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에어 튜브 유닛과,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위쪽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에어 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제2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은 각각 상기 출입구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자유 경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Air tube swing door for industrial facility}
본 발명은 산업용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에어 튜브를 이용하여 경량의 여닫이문을 형성하면서 사용시 필요한 높이만큼만 에어 튜브를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에너지 절감과 분진 차단의 효과 등이 현저히 향상된 에어 튜브 스윙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출입문은 생산 시설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적절히 격리하는 동시에 지게차 등의 운송 수단이나 사람의 출입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식품 가공 시설이나 청정 환경, 냉장 환경 등이 요구되는 생산 시설 등에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과 해충 등의 침입을 엄격히 방지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어 산업용 출입문이 널리 설치되고 있다.
저온 창고와 같이 냉기 유지가 중요한 시설을 예로 든다면, 냉동실 안으로 출입하기 위한 문에 높이방향을 따라 여러 가닥으로 길게 절개된 비닐 커튼을 설치하거나, 자동식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여 작업차나 사람이 지나가려고 할 때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출입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닐 커튼은 문을 개폐하는 조작 없이 작업차나 사람이 그냥 지나다닐 수 있는 정점이 있기는 하지만, 안팎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나 냉기 배출에 의해 흩날리기 때문에 냉기를 보존하는 차단력이 현저히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흩날리는 비닐 커튼의 모서리에 사람이 베이거나 찔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자동식 스크린 도어는 센서의 도움으로 사람이 일일이 문을 개폐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편리하고 냉기 보존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출입문 근처만 지나가도 센서가 작동하여 불필요하게 문이 여닫힌다는 것과, 열린 문이 다시 자동으로 닫힐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점, 센서의 오작동할 경우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높다는 점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출입문이 가진 여러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4771호 (2013.02.19 공고)
본 발명은 종래의 산업용 출입문이 가진 여러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산업용 출입문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업용 출입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에어 튜브 유닛과,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위쪽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에어 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제2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은 각각 상기 출입구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자유 경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는 전원이 필요 없는 반자동식 도어로서 공기 등의 기체가 충진된 에어 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개폐시에 대기 시간이 없어 종래의 자동문에 비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에너지 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는 출입문 전체가 개폐되지 않고 작업차나 사람이 통과하는 높이만큼만 신속히 개폐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과 분진 차단의 효과 등이 현저히 향상된다.
그리고, 출입문 전체로 보았을 때 종래의 일반적인 여닫이문에 비해 경첩의 개수가 현저히 많기 때문에 풍압에 대항하는 힘이 강해지고 내구성 또한 뛰어나다.
아울러 커다란 산업용 출입문을 저렴한 가격의 에어 튜브로 구성함에 따라 제조 비용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이 현격하게 절감된다는 이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튜브 스윙 도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에어 튜브 유닛이 상하로 접촉하는 측면 구조 및 자유 경첩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작업차가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를 출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사람이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를 출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좌측과 우측의 에어 튜브 유닛 사이의 밀폐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단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좌측의 제1 에어 튜브 유닛을 기준으로 하여 그 폭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전후좌우나 상하방향, 높이방향 또는 폭 방향 등의 상대적인 용어는 출입문을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도면 상에 도시된 방향에 대응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는 크게 두 종류의 에어 튜브 유닛(10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에어 튜브'란 내부에 공기 또는 그 밖의 기체가 충진된 튜브를 의미하며, '에어 튜브 유닛'은 하나씩 분리할 수 있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일 구성요소로서, 서로 개별적이고 독립된 에어 튜브를 의미한다.
두 종류의 에어 튜브 유닛(100)은 출입구(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에어 튜브 유닛(110)과,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위쪽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에어 튜브 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높이는 몇 개의 제2 에어 튜브 유닛(120)을 쌓아올린 높이에 해당할 정도로 상당히 큰데, 그 기술적 구성의 효과 내지 용도에 대해서는 뒤에서 해당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모든 제1 에어 튜브 유닛(110)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120) 각각은 출입구(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한 후 자유 경첩(130)을 통해 설치된다. 자유 경첩(130)의 회동 방향은 전후 양방향이며, 이로써 각 에어 튜브 유닛(100)은 여닫이문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자유 경첩(130)은 각 에어 튜브 유닛(100)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원위치, 즉 출입문이 폐쇄되는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자유 경첩(130)에는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탄성수단을 구비한 경첩은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는 높이가 상당히 큰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을 맨 아래에 배치하고, 그 위로 여러 개의 높이가 작은 제2 에어 튜브 유닛(120)을 배치하고 있다. 이처럼 두 종류의 에어 튜브 유닛(112, 114)을 사용할 경우의 장점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된다.
도 3 및 도 4는 작업차가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를 출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작업차의 높이는 차체의 높이 또는 적재된 화물의 높이인데,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높이가 작업차의 높이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차는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와 함께 작업차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제2 에어 튜브 유닛(120)만 밀어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일부분을 개방하면서 출입을 하게 된다. 출입이 완료되면 자유 경첩(130)의 복원력에 의해 열렸던 제1/제2 에어 튜브 유닛(110, 12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자유 경첩(130)은 전후 양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입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에 비해 작업차보다 키가 작은 사람이 출입하는 경우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높이는 성인 남자의 표준키에 상당하게 설계되어 있다(성인 여성보다 남성의 표준키가 크기 때문에 남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하려는 사람은 제1 에어 튜브 유닛(110)만 여닫으면서 출입하면 된다.
결국,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높이는 출입시 항상 열려야 하는 높이에 대응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는 전원의 도움 없이 자유 경첩(130)의 복원력으로 작동하는 반자동식 도어로서 공기 등의 기체가 충진된 에어 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개폐시에 대기 시간이 없어 종래의 자동문에 비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에너지 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는 출입문 전체가 개폐되지 않고 작업차나 사람이 통과하는 높이만큼만 신속히 개폐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과 분진 차단의 효과 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개개의 에어 튜브 유닛(100)에 자유 경첩(130)이 구비되기 때문에 출입문 전체로 보았을 때 종래의 일반적인 여닫이문에 비해 경첩의 개수가 현저히 많아 풍압에 대항하는 힘이 강해지고 내구성 또한 뛰어나다.
참고로 에어 튜브 유닛(100) 자체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직물을 에어 튜브에 접합하거나 일괄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에어 튜브 유닛(110)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120) 각각의 높이방향 단면을 사다리꼴 형태로 만들면서, 서로 거울 대칭 형상을 이루는 사다리꼴 형태가 높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높이방향으로 배열된 각 에어 튜브 사이의 상하 방향 접촉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하면 밀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에어 튜브 유닛(100)을 밀어서 문을 개폐할 때 경사면을 따라 개폐하는 힘이 각 에어 튜브 유닛(100)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개폐되는 동작이 좀더 안정적이고 균일하고 일어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첨부된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실시형태는 모두 양여닫이 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외여닫이 문으로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만일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가 양여닫이 문으로 구성된다면 밀폐 효과를 더욱 확실히 보장하기 위한 차단 부재(140)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출입구(1)에 대해 제1 에어 튜브 유닛(110)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120)이 좌우로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 양여닫이 문의 높이방향 단면을 도시한 것인데, 좌·우측 중 어느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100)의 전면 자유단과, 다른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100)의 후면 자유단에 각각 좌·우측 에어 튜브 유닛(100) 사이의 연결 면을 가로지르는 차단 부재(140)가 구비되어 있다.
차단 부재(140)에 의해 양여닫이 문의 가운데 틈이 가려지기 때문에 외기의 침투나 냉기의 유출 등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좌·우측 중 어느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100)의 전면 자유단 및 다른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100)의 후면 자유단에 각각 차단 부재(1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개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중으로 밀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물론 차단 부재(140)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가 필요한 높이만큼만 개폐될 수 있도록 개개의 에어 튜브 유닛(100)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도 8 및 도 9는 좌측의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을 기준으로 하여 그 폭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은 일자형의 에어 튜브(112)를 중심에 두고 그 바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ㄷ'자형 에어 튜브(114)가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도 9와 같이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폭은 설계되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지는데,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의 높이가 대략 1미터 정도만 되어도 부피가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약해진다는 문제, 그리고 작은 구멍만 생겨도 커다란 제1 에어 튜브 유닛(110) 전체가 기능을 상실하여 에어 튜브 스윙 도어(10)가 본래 목적하였던 장점을 상당 부분 잃어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자형의 에어 튜브(112)를 중심에 두고 그 바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ㄷ'자형 에어 튜브(114)가 감싸는 구조의 제1 에어 튜브 유닛(110)을 고안하였다. 일자형의 중심 에어 튜브(112)를 'ㄷ'자형의 외곽 에어 튜브(114)가 감싸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해지며, 여러 개의 에어 튜브(112, 114)가 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제1 에어 튜브 유닛(110) 전체의 공기가 일거에 유출될 염려가 상당히 감소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출입구 10: 에어 튜브 스윙 도어
100: 에어 튜브 유닛 110: 제1 에어 튜브 유닛
112: 일자형 에어 튜브 114: 'ㄷ'자형 에어 튜브
120: 제2 에어 튜브 유닛 130: 자유 경첩
140: 차단 부재

Claims (5)

  1. 출입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에어 튜브 유닛과,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위쪽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에어 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는 상기 제2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보다 크며,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은 각각 상기 출입구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자유 경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 각각의 높이방향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되 서로 거울 대칭 형상의 사다리꼴 형태가 높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 대해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 및 제2 에어 튜브 유닛이 좌우로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양여닫이 문을 이루고,
    어느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의 전면 자유단과, 다른 일 측의 에어 튜브 유닛의 후면 자유단에는 각각 상기 좌·우측 에어 튜브 유닛 사이의 연결 면을 가로지르는 차단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은 일자형의 에어 튜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ㄷ'자형 에어 튜브가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튜브 유닛의 높이는 성인 남자의 표준키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튜브 스윙 도어.
KR1020170016991A 2017-02-07 2017-02-07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KR10175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91A KR101751437B1 (ko) 2017-02-07 2017-02-07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91A KR101751437B1 (ko) 2017-02-07 2017-02-07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437B1 true KR101751437B1 (ko) 2017-06-28

Family

ID=5928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91A KR101751437B1 (ko) 2017-02-07 2017-02-07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4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978A (ja) * 1999-06-02 2000-12-05 Pasoc:Kk エアドーム,仮設テント等に於けるエア中空状の出入口ユニット
KR200286607Y1 (ko) 2002-06-04 2002-08-2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대형작업장용 자동개폐도어구조
JP2003089536A (ja) 2001-09-12 2003-03-28 Espec Corp 小扉式の扉開閉装置
KR200363433Y1 (ko) 2004-06-23 2004-10-01 김수진 터보 하이 스피드 도어
KR200375764Y1 (ko) 2004-11-05 2005-03-11 김수진 스태킹 도어
JP2010070981A (ja) * 2008-09-18 2010-04-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ドア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978A (ja) * 1999-06-02 2000-12-05 Pasoc:Kk エアドーム,仮設テント等に於けるエア中空状の出入口ユニット
JP2003089536A (ja) 2001-09-12 2003-03-28 Espec Corp 小扉式の扉開閉装置
KR200286607Y1 (ko) 2002-06-04 2002-08-22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대형작업장용 자동개폐도어구조
KR200363433Y1 (ko) 2004-06-23 2004-10-01 김수진 터보 하이 스피드 도어
KR200375764Y1 (ko) 2004-11-05 2005-03-11 김수진 스태킹 도어
JP2010070981A (ja) * 2008-09-18 2010-04-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ドア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5854B2 (ja) 開閉装置
KR101751437B1 (ko) 산업용 에어 튜브 스윙 도어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1085060B1 (ko) 창호 프레임 일체형 단열셔터
CN206993552U (zh) 建筑用电气箱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20110053242A (ko) 승강도어
KR20190020955A (ko)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 차단 기능을 갖는 도어
JP2011163085A (ja) 建物の引き戸またはドア
KR101260614B1 (ko) 외풍 및 소음차단기능이 구비된 승강식 도어패널
WO2014098756A1 (en) Sliding shutter arrangement
KR101999115B1 (ko) 단열성이 강화된 승강식 개폐 도어
KR101467244B1 (ko) 건물 외측 여닫이 및 미닫이 겸용 창호
KR20220143354A (ko) 승강식 도어패널 구조체
KR101218254B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BRMU8400198Y1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armário para abrigo de equipamentos de telecomunicações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100711636B1 (ko)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
KR200383871Y1 (ko) 접철식 셔터용 패널
KR200460450Y1 (ko) 회전문의 문틀용 가스켓
KR200423391Y1 (ko) 방화 셔터
KR20140044729A (ko)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 및 이를 구비하는 현관문
CN219795108U (zh) 一种双层卷帘门的侧壁防火构造
JP2007332616A (ja) 開閉体装置
TWM479979U (zh) 開放式冷藏櫃之外掛軌道式捲簾自動啓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