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173B1 -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 Google Patents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5173B1 KR101855173B1 KR1020160096192A KR20160096192A KR101855173B1 KR 101855173 B1 KR101855173 B1 KR 101855173B1 KR 1020160096192 A KR1020160096192 A KR 1020160096192A KR 20160096192 A KR20160096192 A KR 20160096192A KR 101855173 B1 KR101855173 B1 KR 101855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frame
- multilayer glass
- glass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82—Speci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가 개시된다. 본 창호는,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제1 복층 유리 및 상기 제1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창짝; 및 제2 복층 유리 및 상기 제2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창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차량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실내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대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창짝의 위치의 재배열만으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입사되도록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제1 복층 유리 및 상기 제1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창짝; 및 제2 복층 유리 및 상기 제2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창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차량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실내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대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창짝의 위치의 재배열만으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입사되도록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하여 실내가 차양되도록 하는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새롭게 건설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망을 살리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유리로 마감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유리가 가지는 특성상 많은 약점이 있는데, 투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를 통해 태양의 빛이 그대로 실내로 입사되어 시각에 영향을 주게 되며, 건물 사용자들의 사생활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태양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커튼, 블라인드와 같은 다양한 차양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부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열율이 낮은 유리의 특성에 의해 태양으로부터의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아들이게 됨으로써 건물 내의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기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차양장치 없이도 외부로부터 필요에 의해 입사되는 광선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실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제1 복층 유리 및 상기 제1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창짝; 및 제2 복층 유리 및 상기 제2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창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복층 유리의 내면은, 제1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복층 유리의 내면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이에 이격된 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 복층 유리 및 상기 제3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3 창짝; 및 사이에 이격된 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4 복층 유리 및 상기 제4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4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4 창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상기 제1 창짝 또는 상기 제3 창짝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상기 제2 창짝 또는 상기 제4 창짝이 서로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교차시켜 실내가 차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복층 유리를 향해 내입되도록 형성된 요(凹)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이 일렬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창틀의 내측면에서 상기 레일을 향해 돌출형성된 철(凸)부와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실내 공간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내지 제4 창짝 중 적어도 하나의 창짝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평레일;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창짝 중 적어도 하나의 창짝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직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레일은, 상기 제1 창짝 및 상기 제2 창짝으로 구성되는 제1 세트 또는 상기 제3 창짝 및 상기 제4 창짝으로 구성되는 제2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창짝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여 다른 하나의 창짝과 동일한 상기 수평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하나의 창짝의 일측과 상기 다른 하나의 창짝의 일측이 밀착됨으로써 실내 공간이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차량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실내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대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히 창짝의 위치의 재배열만으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입사되도록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창짝과 제2 창짝의 일부분이 교차되어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투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창짝과 제2 창짝의 일부분이 교차되어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투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별도의 차양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창호 자체가 차양효과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창호는, 창틀에 형성된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창호로써 제1 창짝(100), 제2 창짝(200), 제3 창짝(300), 제4 창짝(400) 및 창틀(500)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창짝(100)은 창틀(500) 내부에서 이동되어 실내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거나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창짝(100)은 실내 측에 위치되고, 폐쇄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창짝(200)과 교차되어 실내 공간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창짝(100)은 외부로부터 직사광선이 입사되도록 하거나 창틀(500) 내에서 이동되기 위해 제1 복층 유리(110) 및 제1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제1 복층 유리(110)는 두 장의 유리판으로 마련되며, 두 장의 유리판 사이를 이격시켜 공기층이 형성되어 제1 프레임(13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복층 유리(110)를 구성하는 두 장의 유리판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판은 다른 유리판과 이격된 공간측에 위치된 내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복층 유리(1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방향의 편광축은 제1 창짝(100)이 제2 창짝(200) 또는 제4 창짝(4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복층 유리(110)에 형성되는 제1 방향의 편광축은 제2 창짝(200) 또는 제4 창짝(400)에 형성되는 제2 방향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제2 방향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제1 창짝(100)이 제2 창짝(200) 또는 제4 창짝(4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제1 창짝(100)을 통과한 빛은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창짝 또는 제4 창짝(40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불투명한 상태가 되어 별도의 차양 장치를 요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프레임(130)은 제1 복층 유리(110)의 외면에 위치되어 제1 복층 유리(110)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1 복층 유리(110)가 보호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프레임(130)의 하면 및 상면은 창틀(500)의 수평레일(510)과 결합되어 수평레일(510) 상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1 프레임(130)에는 창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이동되는 경우 창틀(500)의 내측면과 맞물려 밀착되도록 제1 복층 유리(110)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요부(150)가 형성된다.
제1 요부(150)는 철부(550)와 맞물려 밀착됨으로써 제1 창짝(100)이 폐쇄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먼지, 소음 및 바람 등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창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철부(550)와 맞물리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제1 요부(150)는 제1 창짝(100)의 제1 프레임(130) 중 하나의 측면에만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요부(150)는 제1 창짝(100)이 좌우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창틀(500)의 내측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1 창짝(100)의 일측 및 타측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요부(150)와 같이 창틀(500)의 철부(550)와 결합되는 요부들(150, 250, 350, 450)은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2 요부(250), 제3 요부(350) 및 제4 요부(450)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창짝(100)이 창틀(500)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창틀(500)의 내측면에 위치된 철부(550)와 충돌되는 과정에서 제1 창짝(100)은 물론 창틀(500)에도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창짝(100) 또는 창틀(5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170)가 더 마련된다.
완충부재(170)는 각각의 요부들(150, 250, 350, 450)과 철부(550)과 맞물리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요부들(150, 250, 350, 450)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충격 흡수 및 감소를 위해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마련되어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키게 되어 제1 창짝(100)과 창틀(500)이 맞물리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완충부재(170)는 제1 창짝(100)은 물론, 제2 창짝(200), 제3 창짝(300) 및 제4 창짝(400)에도 각각의 완충부재들(270, 370, 470)이 마련되는 바, 이하에서는 각 창짝들(100, 200, 300, 400)에 형성되는 완충부재들(170, 270, 370, 47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창짝(200)은 제1 창짝(100)과 마찬가지로 창틀(500) 내부에서 이동되어 실내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거나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창짝(200)은 후술할 제3 창짝(300) 및 제4 창짝(400)이 한 세트를 이루는 것처럼 제1 창짝(100)과 한 세트로 구성되어 실내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경우 제1 창짝(100)과 일부분이 교차되게 된다.
그리고 제2 창짝(200)은 외부로부터 직사광선이 입사되도록 하거나 창틀(500) 내에서 이동되기 위해 제2 복층 유리(210) 및 제2 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제2 복층 유리(210)는 제1 복층 유리(110)와 마찬가지로 두 장의 유리판으로 마련되며, 두 장의 유리판 사이를 이격시켜 공기층이 형성되어 제1 프레임(13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또한, 제2 복층 유리(210)를 구성하는 두 장의 유리판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판은, 제2 방향의 편광축이 형성된 제2 창짝(200)이 제1 창짝(100) 또는 제3 창짝(3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유리판과 이격된 공간측에 위치된 내면에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방향의 편광축은 제1 복층 유리(110)에 형성되는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창짝(100)을 통과한 빛이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창짝(200)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제2 창짝(200)을 통과한 빛이 제3 창짝(30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투명 상태가 되어 빛이 실내로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복수의 창짝(100, 200, 300, 400)들의 배열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별도의 차양 장치가 없이도 직사광선의 입사는 물론 실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프레임(230)은 제2 복층 유리(210)의 외면에 위치되어 제2 복층 유리(210)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제1 복층 유리(110)가 보호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230)은 창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이동되는 경우 창틀(500)의 내측면과 맞물려 밀착되는 제2 요부(250)가 형성되는데, 제2 프레임(230) 및 제2 요부(25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제1 프레임(130) 및 제1 요부(150)와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3 창짝(300)은 제1 창짝(100)과 마찬가지로 제3 복층 유리(310) 및 제3 프레임(330)을 포함하게 되며, 제3 복층 유리(310)는 복수의 유리판으로 형성되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4 창짝(400)은 제2 창짝(200)과 마찬가지로 제4 복층 유리(410) 및 제4 프레임(430)을 포함하며, 제4 복층 유리(410)는 복수의 유리판으로 형성되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창틀(500)은 창짝들(100, 200, 300, 400)들이 지지 및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이동되는 경로로 하면 및 상면에는 수평레일(510)이 형성되고,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요부들(150, 250, 350, 450)과 결합되어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양 측면에는 철부(550)가 형성된다.
수평레일(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창짝들(100, 200, 300, 400)이 각각의 수평레일(510)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철부(550)는 요부들(150, 250, 350, 45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실내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여 제1 창짝(100) 및 제2 창짝(200)이 각각 창틀(500)의 일측 및 타측을 향해 좌우로 이동되면 제1 창짝(100) 및 제2 창짝(200)의 각 요부들(150, 250)과 맞물려 공간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철부(550)는 창틀(5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수평레일(5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철부(550)는 요부들(150, 250, 350, 450) 내부에 삽입되면 요부들(150, 250, 350, 450)의 양 측면에 위치되는 모헤어와 일측 및 타측이 접촉됨으로써 요부들(150, 250, 350, 450)과의 측면과 철부(550)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모헤어에 의해 충전(充塡)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먼지, 소음 및 바람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요부들(150, 250, 350, 450) 및 철부(550)는 서로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석을 포함하거나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철부(550)가 자석을 포함하거나 자성체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완충부재들(170, 270, 370, 470)의 내면에 자석이 포함되도록 하여 완충부재(170)와 철부(550)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구성 및 창짝들(100, 200, 300, 400) 간의 배열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별도의 차양장치 없이도 실내로 입사되는 광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창짝들(100, 200, 300, 400)은 실내공간이 밀폐되는 경우 보안을 위해 잠금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창짝들(100, 200, 300, 400)은 차양 또는 광선 입사를 위해 위치가 재배열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잠금장치(미도시)로는 보안이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미도시)는 종래의 하나의 창짝에 마련되는 걸쇠와 다른 하나의 창짝에 마련되는 걸림고리의 결합을 이용하지 않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창틀(500)의 철부(550)를 걸림고리로 사용함으로써 창짝들(100, 200, 300, 400)은 별도의 걸림고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창짝들(100, 200, 300, 400)에는 걸쇠만 마련되도록 하여 걸쇠가 철부(55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잠금장치(미도시)의 일부는 프레임들(130, 230, 33, 430)의 외면에 위치되고 일부는 프레임들(130, 230, 33, 430)을 관통하여 요부들(150, 250, 350, 450) 내부에 위치되어, 요부들(150, 250, 350, 450) 내부에 위치된 분분이 철부(550)에 걸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잠금장치(미도시)의 일부는 프레임들(130, 230, 33, 430)의 외면에서 버튼형식의 누름부로 마련되고, 나머지 부분은 누름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기어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걸쇠로 마련되어 누름부가 한번 가압되면 회전식 걸쇠가 90도 회전되어 철부(550)의 고리부분 내로 삽입됨으로써 철부(550)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누름부가 다시 한번 가압되면 회전식 걸쇠가 철부(550)와의 결합을 위해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철부(55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잠금장치(미도시)와 철부(550) 간의 결합을 위해 완충부재들(170, 270, 370, 470)은 요부들(150, 250, 350, 450)의 일부분에만 마련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창짝(100)과 제2 창짝(200)의 일부분이 교차되어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짝(100)과 제2 창짝(200)이 일부분 교차되도록 배열되면 교차된 부분은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제2 방향의 편광축이 직교되게 되므로 광선이 입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교차된 부분은 차광되게 되지만, 교차되지 않은 부분은 직사광선이 입사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창짝(100)과 제2 창짝(200)의 교차 정도를 조절하여 차광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차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재배열되어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1 창짝(100)과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창짝(200)이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창짝(200)과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3 창짝(300)이 마주보도록 위치된 경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창짝들(100, 200, 300, 400)이 배열되면, 제1 창짝(100)이 위치된 곳으로 입사된 빛의 일부는 제1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하더라도 제2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제2 창짝(200)이 위치된 곳으로 입사된 빛의 일부는 제2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하더라도 제1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하게 못하게 됨으로써 창호의 전면이 차광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창호의 전면 차광을 용하지 않고 일부만 차광되도록 하길 원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창짝들(100, 200, 300, 400)이 교차되는 정도를 조절만 하면 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투명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편광축을 가지는 창짝들(100, 200, 300, 400)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로,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1 창짝(100)과 제3 창짝(300)이 마주보게 되고,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제2 창짝(200)과 제4 창짝(400)이 마주보게 되는 경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위치되면, 제1 창짝(100)이 위치된 곳으로 입사되는 빛 중 제1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한 빛이 실내로 입사되게 되고, 제2 창짝이 위치된 곳으로 입사되는 빛 중 제2 방향의 편광축을 통과한 빛이 실내로 입사되게 되므로 창호의 전면으로 빛이 입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500)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창짝(100) 및 제2 창짝(200)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도 6에 도시된 창틀(500)에 제1 창짝(100), 제2 창짝(200) 제3 창짝(0 및 제4 창짝(400)이 모두 위치된다.
도 1 내지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위치에 따라 차광이 되도록 마련되므로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어느 곳에 위치되더라도 실내공간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좌우이동은 물론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광 또는 입사를 선택적으로 하되 실내 폐쇄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현된다.
이를 위해 창틀(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510) 및 수직레일(530)을 포함한다.
수평레일(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창짝들(100, 200, 300, 400)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만큼 마련되어 각각의 창짝들(100, 200, 300, 400)이 개별적으로 좌우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레일(5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오목한 홈으로 구현된다.
한편 수직레일(530)은 창짝들(100, 200, 300, 400) 중 적어도 하나의 창짝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수직레일(5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레일(510) 간에 이격된 공간에서 수평레일(5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레일(530)은 수평레일(510)과 마찬가지로 내부로 오목한 홈으로 구현되되, B'-B'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짝(100)이 이동되는 수평레일(510) 측의 일단 및 제2 창짝(200)이 이동되는 수평레일(510) 측의 타단까지 원호(圓弧)를 이루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레일(530)의 홈의 깊이 중 가장 깊이가 깊은 중심까지는 경사가 지게 되므로 창짝들(100, 200, 300, 400)들의 전후 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수평레일(510) 및 수직레일(530)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창짝들(100, 200, 300, 400)의 하면에는 바퀴(미도시)가 마련되게 된다.
이러한 바퀴(미도시)들이 수평레일(510)에서 수직레일(530)로 이동되거나, 수직레일(530)에서 수평레일(510)로 이동될 때 회전축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짝들(100, 200, 300, 400)의 하면에는 바퀴(미도시)의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용 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용 핀(미도시)에 바퀴(미도시)의 회전축이 결합된다.
따라서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수평레일(510) 상에 위치되어 바퀴(미도시)의 회전축이 수평레일(510)과 평행을 이루어서 좌우이동되다가 수직레일(530)로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레일(530)이 마련된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창짝들(100, 200, 300, 400)이 수직레일(530)을 향해 밀리게 된다.
그러면 바퀴(미도시)의 회전축은 회전용 핀(미도시)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직레일(530)과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되게 되어 바퀴(미도시)는 수직레일(53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제1 창짝(100)과 제2 창짝(200)으로 구성되는 제1 세트, 제3 창짝(300)과 제4 창짝(400)으로 구성되는 제2 세트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세트만 도시되도록 하였다.
만약 실내가 차광된 상태로 폐쇄되어야 하는 경우, 제1 세트에 포함되는 제1 창짝(100) 및 제2 창짝(200) 중 제2 창짝(200)이 이동된다면 도 7(c), 7(b) 및 7(a) 순서대로 제2 창짝(200)이 수직레일(530)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수평레일(510) 상에서 오른쪽으로 밀어 이동되도록 한 후 제2 창짝(200)을 가압하여 수직레일(530)을 향해 끝까지 밀리면 제2 창짝(200)은 제1 창짝(100)과 동일한 수평레일(510) 상에 위치되어 최종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창짝(100)의 일측 및 제2 창짝(200)의 일측이 밀착된다.
그리고 제1 창짝(100) 및 제2 창짝(200)이 이동되는 것과 같이 제2 세트 역시 제3 창짝(300)이 이동된다면 제3 창짝(300)이 수직레일(530) 상에서 제4 창짝(400)이 위치된 수평레일(510)을 향해 끝까지 밀리면 제3 창짝(300)은 제4 창짝(400)과 동일한 수평레일(510) 상에서 위치되어 제3 창짝(300)의 일측 및 제4 창짝(400)의 일측이 밀착되게 되어 실내가 완전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상의 경우에서는 차광을 위해 제1 창짝(100)과 제4 창짝(400)이 서로 마주보고, 제2 창짝(200)과 제3 창짝(3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짝들(100, 200, 300, 400)은 서로가 밀착되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므로 창틀(500)에는 일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철부(550)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500)에는 철부(550)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창짝들(100, 200, 300, 400)의 프레임들(130, 230, 330, 430)의 일측면 역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철부(550)와 결합 및 밀착되는 요부들(150, 250, 350, 450)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창짝들(100, 200, 300, 400)은 잠금장치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창짝들(100, 200, 300, 4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거나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제1 창짝 110 : 제1 복층 유리
130 : 제1 프레임 150 : 제1 요부
170 : 완충부재 200 : 제2 창짝
210 : 제2 복층 유리 230 : 제2 프레임
250 : 제2 요부 270 : 완충부재
300 : 제3 창짝 310 : 제3 복층 유리
330 : 제3 프레임 350 : 제3 요부
370 : 완충부재 400 : 제4 창짝
410 : 제4 복층 유리 430 : 제4 프레임
450 : 제4 요부 470 : 완충부재
500 : 창틀 510 : 수평레일
530 : 수직레일 550 : 철부
130 : 제1 프레임 150 : 제1 요부
170 : 완충부재 200 : 제2 창짝
210 : 제2 복층 유리 230 : 제2 프레임
250 : 제2 요부 270 : 완충부재
300 : 제3 창짝 310 : 제3 복층 유리
330 : 제3 프레임 350 : 제3 요부
370 : 완충부재 400 : 제4 창짝
410 : 제4 복층 유리 430 : 제4 프레임
450 : 제4 요부 470 : 완충부재
500 : 창틀 510 : 수평레일
530 : 수직레일 550 : 철부
Claims (6)
-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제1 복층 유리 및 상기 제1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창짝;
제2 복층 유리 및 상기 제2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창짝;
제3 복층 유리 및 상기 제3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3 창짝; 및
제4 복층 유리 및 상기 제4 복층 유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4 복층 유리를 지지 및 보호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4 창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층 유리 및 상기 제3 복층 유리의 내면은, 제1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복층 유리 및 제4 복층 유리의 내면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상기 제1 창짝 또는 상기 제3 창짝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상기 제2 창짝 또는 상기 제4 창짝이 서로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을 교차시켜 실내가 차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복층 유리를 향해 내입되도록 형성된 요(凹)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의 편광축과 상기 제2 방향의 편광축이 일렬로 위치되는 경우, 상기 창틀의 내측면에서 상기 레일을 향해 돌출형성된 철(凸)부와 맞물려 결합되어 상기 실내 공간이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창짝은,
상기 요부 내에 고무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창짝과 상기 창틀이 맞물리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 및 감소시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되, 내면에 자석이 포함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철부는,
자석을 포함하거나 자성체로 마련되어, 상기 완충부재에 포함된 자석과의 인력으로 인하여,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철부 간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잠금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프레임의 각각의 외면에 버튼형식으로 마련되는 누름부; 및
상기 요부에 마련되되, 상기 누름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기어와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철부는,
상기 걸쇠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실내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가 가압되면 상기 걸쇠가 정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상기 고리 내로 삽입됨으로써, 잠긴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잠긴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가 가압되면 상기 걸쇠가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상기 요부가 상기 철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잠긴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192A KR101855173B1 (ko) | 2016-07-28 | 2016-07-28 |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6192A KR101855173B1 (ko) | 2016-07-28 | 2016-07-28 |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069A KR20180013069A (ko) | 2018-02-07 |
KR101855173B1 true KR101855173B1 (ko) | 2018-06-08 |
Family
ID=6120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192A KR101855173B1 (ko) | 2016-07-28 | 2016-07-28 |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517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8848A (ko) | 2021-01-05 | 2022-07-12 | 김규민 | 빛 투과도 조절 가능한 창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78602B (zh) * | 2021-01-26 | 2022-03-22 | 南京武家嘴门窗装饰有限公司 | 智能遮阳集成系统窗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6787Y1 (ko) * | 2000-07-08 | 2001-03-15 | 주식회사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 등화관제용 창문 |
KR100913167B1 (ko) | 2008-12-22 | 2009-08-19 | 세일건설주식회사 | 소음차단기능이 구비된 교실용 창호 |
KR101526193B1 (ko) * | 2014-08-08 | 2015-06-05 | 주식회사 알프 |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
KR101552857B1 (ko) | 2013-06-17 | 2015-09-15 | 허주범 |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5362A (ko) * | 2003-01-14 | 2004-07-22 | 이향제 | 전후수평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 창 |
KR20100086606A (ko) | 2009-01-23 | 2010-08-02 | (주)엘지하우시스 |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창호 |
KR200462086Y1 (ko) * | 2010-11-29 | 2012-08-27 | 주식회사 대현상공 | 미닫이 창문용 버튼가압식 잠금장치 |
-
2016
- 2016-07-28 KR KR1020160096192A patent/KR101855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6787Y1 (ko) * | 2000-07-08 | 2001-03-15 | 주식회사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 등화관제용 창문 |
KR100913167B1 (ko) | 2008-12-22 | 2009-08-19 | 세일건설주식회사 | 소음차단기능이 구비된 교실용 창호 |
KR101552857B1 (ko) | 2013-06-17 | 2015-09-15 | 허주범 |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
KR101526193B1 (ko) * | 2014-08-08 | 2015-06-05 | 주식회사 알프 |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8848A (ko) | 2021-01-05 | 2022-07-12 | 김규민 | 빛 투과도 조절 가능한 창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069A (ko) | 2018-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5708B1 (ko) |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 |
KR101520149B1 (ko) |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 |
KR101855173B1 (ko) |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 |
KR101085060B1 (ko) | 창호 프레임 일체형 단열셔터 | |
KR101387470B1 (ko) |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 | |
EP3498963B1 (en) | Horizontally sliding window | |
KR101112684B1 (ko) |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 |
KR100518719B1 (ko) | 일방향 투시가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 |
CN107237590B (zh) | 一种复合型保温节能窗 | |
KR101193897B1 (ko) |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 |
KR20130003139U (ko) | 슬라이딩 이중창 | |
KR100571065B1 (ko) | 공동주택용 빗물차단 방충망구조 | |
JP2006090053A (ja) | 開口部構造 | |
JP2020056181A (ja) | ドア装置及び採風採光戸 | |
JP2005105653A (ja) | 二枚ガラスの建具 | |
KR101929704B1 (ko) | 방풍효과가 향상된 창틀 | |
KR101296380B1 (ko) | 지퍼락을 이용한 방풍시스템 | |
JP7433066B2 (ja) | 引戸式ドア装置 | |
KR200310927Y1 (ko) | 일방향 투시가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 |
KR101141188B1 (ko) | 회전 차양판을 갖는 다중 유리창 | |
KR101170755B1 (ko) | 한옥 창호 시스템 | |
JP3635025B2 (ja) | 透光性・透視性を有する断熱日射遮蔽板及びそれを構成する断熱板並びに断熱日射遮蔽装置 | |
CN218581525U (zh) | 一种内置遮阳装置的幕墙门窗框架 | |
JP2010196452A (ja) | 網戸付き窓装置 | |
CN105649492A (zh) | 玻璃可360°旋转的易清洗安全推拉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