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897B1 -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897B1
KR101193897B1 KR1020110142635A KR20110142635A KR101193897B1 KR 101193897 B1 KR101193897 B1 KR 101193897B1 KR 1020110142635 A KR1020110142635 A KR 1020110142635A KR 20110142635 A KR20110142635 A KR 20110142635A KR 101193897 B1 KR101193897 B1 KR 10119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fabric
heat insulating
blind pocke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범
Original Assignee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로 된 커튼의 블라인드 포켓에 단연재를 삽입하여 커튼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단열효과의 향상을 가져오는 커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은 레일과 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번갈아 형성되는 복수의 블라인드포켓부와 복수의 연결부를 갖는 직물부 및 상기 레일과 상기 직물부의 블라인드포켓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rotatable curtain type blind with adiabatic function}
본 발명은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로 된 커튼에 발포성단열재를 삽입하여 유리창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현저히 줄여서 뛰어난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라인드는 주로 창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실내가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창문을 통해서 빼앗기는 에너지손실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에너지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창문에는 방풍지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단열재를 삽입하여 에너지손실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방풍지를 붙이거나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식은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열고 닫는데 단열재가 방해가 되므로 이러한 단열재의 설치를 통해 에너지손실을 줄이려는 방식은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 자체에 단열재를 탑재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주지 않는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레일과, 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번갈아 형성되는 복수의 블라인드포켓부와 복수의 연결부를 갖는 직물부 및 상기 레일과 상기 직물부의 블라인드포켓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포켓부는 2겹의 직물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의 공간에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라인드포켓부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성기게 직조된 직물로 형성되어 광투과성과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의 전면 및 후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필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블라인드포켓부는 상기 연결부에 비해 조밀하게 직조된 직물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부에 비해 명도가 낮은 색상의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형 블라인드에 의하면 블라인드포켓부에 내장된 반사필름이 부착된 단열재들에 의해 블라인드를 통한 열의 이동이 차단되어 단열효과가 향상되고 따라서 창문을 통해 에너지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연결부가 직물로 된 차단막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기 이동으로 인한 열 이동을 막아주고 외부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직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직물부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블라인드포켓부를 개방한 상태와 닫은 상태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를 설치한 창문의 단열효과를 시험한 실험데이터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는 햇볕을 가려주는 스크린부(10), 스크린부(10)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고정부(20), 고정부(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린부(10)는 직물부(12)와 직물부(12)에 탑재되는 단열재(11)로 구성된다.
직물부(12)는 횡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는 블라인드포켓부(13)와 연결부(14)로 구성된다.
블라인드포켓부(13)는 2겹의 직물이 겹쳐져서 양측이 봉제됨으로써 내부에 단열재(11)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블라인드포켓부(13)는 광투과성을 낮게 하기 위해 조밀하게 직조한 직물로 형성되며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광을 흡수하는 성질이 큰 어두운 색상(명도가 낮은 색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14)는 홑겹의 직물로 형성되며 양측이 인접한 블라인드포켓부(13)에 봉제 등의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4)는 광투과성을 크게 하기 위해 성기게 직조된 직물로 형성되며 광을 흡수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밝은 색상으로 형성된다.
단열재(11)는 발포된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폼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열성능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단열재(11)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11)의 전면 및 후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필름(16)이 접착되어 있다. 반사필름(16)은 광반사율이 좋은 반사면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알루미늄필름과 같은 금속필름, 합성수지필름이 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형성되는 2개의 고정판(21)과 고정판(21)들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연장부(25)를 포함하며 연장부(25)에는 후술할 레일(30)과 연결시에 사용되는 회전연결고리(32)가 결합되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1)에는 단열재(11) 및 직물부(12)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핀(27)이 관통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된다. 고정부(20)에 단열재(11)를 끼워서 결합한 상태에서 단열재(11)와 고정부(20)를 직물부(12)의 블라인드포켓부(13)에 삽입하고 블라인드포켓부(13)의 일측 바깥쪽에서 고정핀(27)을 관통시키고 블라인드포켓부(13)의 타측 바깥쪽에서 고정핀(27)과 결합되는 고정링(28)을 고정핀(27)에 결합시킴으로써 단열재(11) 및 직물부(12)가 고정부(20)에 결합된다.
회전연결고리(32)는 고정부(20)를 레일(30)상에 연결시키되 고정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정부(20)를 레일(30)상에서 직선이동시키거나 레일(30)의 특정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블라인드 커튼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레일(30)은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며 레일(30)상에는 회전연결고리(3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일(30)과 회전연결고리(32)는 통상의 블라인드식 커튼에 이미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블라인드식 커튼에 형성된 조작와이어는 통상 2개가 구비되며 1개는 블라인드를 레일(30)의 좌우로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나머지 1개의 조작와이어는 블라인드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를 닫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작와이어의 구성은 본 발명의 회전식 커튼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형 블라인드에 의하면 블라인드포켓부(13)를 완전히 닫는 경우 블라인드포켓부(13)에 내장된 단열재(11)들이 서로 인접하여 일렬로 연결된 단열차단막을 형성한다. 단열재(11)들의 전면 및 후면에는 반사필름(16)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포켓부(13)를 닫아주면 단열재(11)의 반사필름(16)이 블라인드포켓부(13)로 진입하는 광을 반사시켜서 단열효과를 더 높이게 된다. 따라서 창문을 통해 에너지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을 설치한 창문의 단열효과를 시험한 실험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커튼형 블라인드를 창문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커튼형 블라인드(도 6에서 커튼으로 기재된)의 표면온도와 기존의 단열필름을 창문에 부착한 경우 단열필름이 부착된 유리창의 온도를 외기온도가 섭씨 -2~2도이고 실내온도가 섭씨 23~24도인 상태에서 약 섭씨 5~7.7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커튼형 블라인드의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과정에서 온도측정은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하여 얻은 결과값이다.
블라인드포켓부(13)에 설치되는 단열재(11)는 반사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광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여름철 냉방시 에너지손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반사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블라인드포켓부(13)를 완전히 닫을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블라인드포켓부(13)를 조금이라도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블라인드포켓부(13)의 반사면에서 광이 반사되어 실내로 조사되므로 눈부심을 야기하거나 실내로 열을 유입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사면을 갖는 블라인드포켓부(13)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블라인드포켓부(13)에 내장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블라인드포켓부(13)의 재질은 직물이지만 광투과성이 거의 없거나 매우 작은 것을 사용하며 예를 들면 직물의 밀도가 커서 즉 직물이 조밀하게 직조되어 직물의 구멍이 매우 작은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외부의 광이 블라인드포켓부(13)를 통과하여 블라인드포켓부(13)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 자체가 힘들고 혹시 블라인드포켓부(13)의 내부로 침투한 광이 단열재(11)의 반사면에 반사되더라도 반사된 광이 다시 블라인드포켓부(13)를 통과하는 것이 일정 수준 정도 차단되므로 반사된 광이 블라인드포켓부(13)를 투과하여 실내로 진입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광이 블라인드포켓부(13)를 투과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해 블라인드포켓부(13)는 광을 흡수하는 성질이 큰 어두운 색상(명도가 낮은 색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블라인드포켓부(13)를 완전히 개방하거나 일정 수준 개방하는 것은 실내로 햇빛을 받아들이고자 할 때에 수행된다. 종래의 블라인드의 경우 블라인드의 사이가 빈 공간이어서 블라인드를 개방한 경우 햇빛이 통과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본 발명의 경우 블라인드포켓부(13)들의 사이가 연결부(14)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에 햇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연결부(14)가 광투과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창문을 열고 블라인드포켓부(13)를 개방시키는 경우(각도를 틀어주는 개방을 의미함)에도 블라인드포켓부(13)의 연결부(14)를 통해 외부로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14)가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조직을 성기게 하면 직물의 구멍이 크기 때문에 광투과성이 커지고 동시에 통기성 역시 커지게 된다. 연결부(14)가 광투과성과 통기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연결부(14)는 직물로 된 차단막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창문을 연 상태에서 블라인드포켓부(13)를 개방시키더라도 공기 이동으로 인한 열 이동을 막아주고 또한 외부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실내로 진입하는 것을 일정 수준 막아줄 수 있다. 동시에 연결부(14)는 직물이기 때문에 일정 수준 외부에서 실내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해줄 수 있다.
종래의 블라인드 커튼은 블라인드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블라인드들의 두께가 얇아서 각각의 블라인드들의 양측단이 날카로와서 자칫하면 손을 베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포켓부(13)는 블라인드포켓부(13)들의 사이가 직물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블라인드포켓부(13)의 양측의 날카로운 부분이 원천적으로 생략되므로 손을 베일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스크린부, 20: 고정부, 30: 레일

Claims (3)

  1. 삭제
  2. 실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레일;
    횡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교대로 번갈아 형성되는 복수의 블라인드포켓부와 복수의 연결부를 갖는 직물부; 및
    상기 레일과 상기 직물부의 블라인드포켓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포켓부에는 2겹의 직물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의 공간에 발포성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전면 및 후면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필름이 형성된 단열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포켓부는 상기 연결부에 비해 조밀하게 직조된 직물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부에 비해 명도가 낮은 색상의 직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KR1020110142635A 2011-12-26 2011-12-26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KR10119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35A KR101193897B1 (ko) 2011-12-26 2011-12-26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35A KR101193897B1 (ko) 2011-12-26 2011-12-26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897B1 true KR101193897B1 (ko) 2012-10-29

Family

ID=4728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635A KR101193897B1 (ko) 2011-12-26 2011-12-26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469A (ko) 2019-07-16 2021-01-27 김태훈 로이필름 커튼원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69Y1 (ko) * 2006-09-29 2006-12-18 장병철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
KR101027017B1 (ko) *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169Y1 (ko) * 2006-09-29 2006-12-18 장병철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
KR101027017B1 (ko) *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469A (ko) 2019-07-16 2021-01-27 김태훈 로이필름 커튼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1350A (en) Reflective insulating blinds for windows and the like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90320388A1 (en) Double-skin and moveable-sunshade facade system
JP2009511772A (ja) 構成要素
US20200308733A1 (en) Light-blocking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10056135A1 (en) Grate sunshade
US9416590B2 (en) Building envelope solar heat and daylighting control system
JP5467811B2 (ja) サンルーム付き建物
KR101193897B1 (ko) 단열기능을 갖는 회전식 커튼형 블라인드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855173B1 (ko) 차양효과를 가지는 이중창호
US20220205319A1 (en) Temperature sensors in shade array
US20220205314A1 (en) Seal for multiple independent shade array
US20220205315A1 (en) Multiple independent shade array
CN107237590B (zh) 一种复合型保温节能窗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200434169Y1 (ko)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
CN203499480U (zh) 节能中空玻璃
CN105840084A (zh) 一种逆向反光遮阳窗帘
CN206245514U (zh) 一种窗上口构造
CN215761353U (zh) 双层窗
KR102014864B1 (ko) 태양광 발전 일체형 이중 창호 시스템
US20220205313A1 (en) Seal for window covering
JP7121588B2 (ja) 建物の窓構造
CN210564077U (zh) 幕墙开窗结构及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