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755B1 - 한옥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옥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755B1
KR101170755B1 KR1020120071823A KR20120071823A KR101170755B1 KR 101170755 B1 KR101170755 B1 KR 101170755B1 KR 1020120071823 A KR1020120071823 A KR 1020120071823A KR 20120071823 A KR20120071823 A KR 20120071823A KR 101170755 B1 KR101170755 B1 KR 10117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door frame
window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선
Original Assignee
정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공선 filed Critical 정공선
Priority to KR102012007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창호 도어틀과, 창호 도어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창호와, 외부 창호를 닫힌 상태에서 외부벽면에 나란한 자세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과, 창호 도어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동작스위치 및, 동작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개폐유닛을 제어하여 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한옥 창호 시스템{A WINDOWS SYSTEM FOR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을 내부에서 자동으로 개폐동작시킬 수 있는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제는 딱딱한 콘크리트 벽돌집보다는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인 한옥이 미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어 한옥을 선호하는 추세로 가고 있는데, 한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창호지와 목재로 구성된 창호에서 비롯되는데, 한옥의 창호가 단열과 방풍이라는 가옥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그동안 한옥 창호를 개선해보기 위해, 창호지 대신에 유리를 목재프레임에 끼워 넣는 종래 기술들이 있었는데, 유리와 목재의 결합만으로 방풍 성능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전통한옥 외부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는 수동 홑창에 여름철 방충망 창을 내부에 설치된 2중창 구조를 사용할 경우에, 실내 쪽의 방충망을 열고 외부 여닫이 창을 개폐하는 순간 각종, 벌레, 모기가 안으로 들어올 수 있고, 문살에 창호지를 바른 홑창인 경우, 겨울철에 개폐하여 밖을 볼 때 찬바람으로 인하여 내부 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하옥 건물에 투명유리 외부창과 살창에 창호지를 덧대어 내부창으로 하는 2중 슬라이딩 창이 있는데, 외관상 전통한옥 여닫이창 모양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문살에 창호지를 바른 외부여닫이 창과 내부투명유리 이중창을 적용하고, 중간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내부창과 방충망을 개폐한 후, 외부창을 개폐하는 순간 여름철 각종 벌레, 모기가 들어오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게 되며, 겨울철에는 내부창을 개폐한 후 외부창을 개폐하게 되므로, 내부열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의 여닫이 창을 개폐할 경우, 외부벽에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외부로 직접 나가서 문고리나, 줄을 이용하여 고정을 해야 하고, 닫을 때도 외부로 나가서 문고리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한옥 여닫이 창은 열었을 때, 180도로 개폐가 된 상태로 외벽에 창문이 밀착되어 고정장치가 있어야만, 바람이나 돌풍 등에 의해 창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외부에서 볼 때에도, 한옥 창문이 외벽에 밀착되어 있어야만 전통 한옥 외부창 모양으로 보이는데, 현재에는 수동으로 한옥 창문을 외벽에 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방충망창이 포함된 3중창의 외부 창을 내부에서도 자동으로 외부벽에 밀착되도록 개폐동작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은, 창호 도어틀과;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창호와; 상기 외부 창호를 닫힌 상태에서 외부벽면에 나란한 자세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과; 상기 창호 도어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동작스위치; 및 상기 동작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유닛은, 일단이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창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외부 창호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레버의 타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창호 도어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회동레버를 회전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와 일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상기 제1직선부의 타단에서 제1직선부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제2직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θ)는 90 내지 100도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상기 창호 도어틀과 상기 외부 창호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 좋다.
[관계식]
b = 125~135mm, c = a + 55mm
여기서 상기 c는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a는 상기 외부창호가 외부로 18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도록 상기 회동레버의 회전중심(p1)에서 연장되는 x축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회전중심(p1)에서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창호 도어틀 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b는 130mm이고, 상기 각도(θ)는 90도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부창호는 상기 창호 도어틀의 양측 수직틀 각각에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외부창호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1개폐유닛과, 상기 제2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2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외부창호의 닫힘 동작시 상기 제1 및 제2외부창호가 시간차를 두고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을 차별적으로 구동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부창호는,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살과; 상기 창호살의 양측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창호지; 및 상기 창호지의 외측 각각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투명유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 창호틀은 한옥의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창호가 외부측에 설치되고, 실내 쪽으로 방충망 및 실내 유리창호가 차례로 더 설치되며, 상기 벽체는 실외부터 실내 쪽으로 단열재가 충진된 외부벽, 공간을 이루는 중간벽 및 숯이 충진된 내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벽과 내부벽 각각에는 상기 방충망과 실내 유리창호가 슬라이딩 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상기 창호 도어틀의 양측 각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에 의하면, 한옥 창호를 창호 도어틀의 외측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실내에서의 조작에 의해서 외부로 180도 이상으로 개폐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외부 창호를 개폐시키고, 고정하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외부로 나갈 필요가 없게 되고, 내부에서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방충망이나 실내 유리창호를 개방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그로 인하여 여름철 외부의 벌레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겨울철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창호가 외부벽에 밀착되게 180도 이상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한옥창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에서 외부를 보는 시야각을 투명하게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외부창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창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외부창호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외부창호를 닫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10)은, 창호 도어틀(20)과,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제1 및 제2개폐유닛(50)(60), 동작스위치(70) 및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창호 도어틀(20)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서로 나란한 수직틀(21)과, 수평틀(22)을 구비한다. 창호 도어틀(20)은 한옥의 벽체(100)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외부측에 설치되고, 실내 쪽으로 방충망(210)과, 실내 유리창호(220)가 차례로 설치된다. 여기서 벽체(100)는 실외부터 실내 쪽으로 3중벽의 구조, 즉 외부벽(110), 중간벽(120) 및 내부벽(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외부벽(11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중간벽(120)은 단열효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구성을 갖는다. 내부벽(130)은 외부로부터의 유해성분을 흡수 및 차단하고, 실내로는 좋은 성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천연 숯이 내장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벽(120)과 내부벽(130) 각각에는 방충망(210)과 실내 유리창호(220)가 슬라이딩 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21,131)가 창호 도어틀(20)의 양측포켓 각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측에서 실내 유리창호(220)와 방충망(210)을 양측포켓으로 밀어서 개방하면, 수용공간부(121,131)로 수용되어 외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실내에서도 직접 전통 창호모양을 가지는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볼 수 있게 되므로, 실내에서의 미관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는 창호 도어틀(20)의 수직틀(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즉, 여닫이 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는 외관상 전통 한옥의 창호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는 외곽틀(31,41)과, 외곽틀(31,41) 사이의 창호살(32,42)을 가지며, 창호지(33;도 2b 참조)가 창호살(32,42)의 양측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창호지(33)의 외측 각각에 투명유리(34)가 결합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한 쌍의 투명유리(34) 내부에 창호지(33)가 창호살(32,42)에 설치되고, 투명유리(34) 사이는 진공상태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투명유리(34) 사이에 창호지(33)와 창호살(32,42)을 진공상태로 개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한옥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창호지(33)의 변색을 방지하고,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50,60)은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1개폐유닛(50)은 제1회동레버(51)와, 제1가이드레일(53) 및 제1구동부(55)를 구비한다.
제1회동레버(51)는 일단이 창호 도어틀(20)의 수평틀(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회동레버(51)는, 제1직선부(51a)와 제2직선부(5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제1직선부(51a)의 길이(c)가 제2직선부(5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직선부(51a)의 일단은 창호 도어틀(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직선부(5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제2직선부(51b)의 끝단은 제1가이드레일(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직선부(51b)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51c)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도(θ)는 80도 내지 100도 사이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인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53)은 제1외부창호(30)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내부측 외곽틀(31)에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55)는 제1구동모터(55a)와, 제1회동레버(51)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제1종동기어(55b)와, 제1구동모터(55a)의 동력을 제1종동기어(55b)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55c)를 구비한다. 제1구동모터(55a)는 창호 도어틀(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를 위해 창호 도어틀(20)의 수평틀(21)에는 제1구동부(55) 및 제2구동부(65)가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구동모터(55a)는 제어부(80)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하다. 제1종동기어(55b)는 제1회동레버(51)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동력전달부(55c)에 의해 제1구동모터(55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제1회동레버(51)의 회동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55c)는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어열을 포함하며, 기어의 수 및 배열구조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성의 제1구동부(55)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회동레버(51)의 설치위치 즉, 회전중심(p1)의 위치와, 제1회동레버(51)의 제1직선부(51b)의 길이(c)는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b = 125~135mm이고, c = a + 55mm
여기서 c는 제1직선부(51b)의 길이를 나타낸다.
a는 제1외부창호(30)가 외부로 18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일 때, 제1가이드레일(53)과 나란하도록 제1회동레버(51)의 회전중심(p1)에서 연장되는 x축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5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b는 상기 회전중심(p1)에서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도어틀(20) 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b는 바람직하게는 130mm인 것이 좋다.
상기 제1직선부(51b)의 길이(c)를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형성하고, 제1직선부(51b)와 제2직선부(51b)간의 각도(θ)를 90~100도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95도 각도로 형성할 경우에, 상기 제1구동부(55)를 구동제어하여 제1회동레버(51)를 회전시킬 경우, 제1회동레버(51)가 창호 도어틀(20)과 제1외부창호(30)에 간섭되지않으면서, 제1외부창호(30)를 닫힌 상태에서 180도 개방된 상태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외부창호(30)를 외부벽에 밀착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외측에서의 미관을 좋게 하고, 한옥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외부창호(30)가 180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바람이나 돌풍 등에 의해 제1외부창호(30)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외부로의 시야각을 확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개폐유닛(60)은 제1개폐유닛(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2외부창호(40)를 180도 각도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제2개폐유닛(60)은, 제2회동레버(61)와, 제2가이드레일(63) 및 제2구동부(6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회동레버(61)는 제1회동레버(51)와 동일한 구조 즉, 제1직선부(61a)와 제2직선부(61b)가 소정 각도(θ)를 이루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제2가이드레일(63)은 제2외부창호(40)에 설치되며, 앞서 설명한 제1가이드레일(5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구동부(65)는 제1구동부(55)와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구성 즉, 제2구동모터(65a), 제2종동기어(65b) 및 제2동력전달부(65c)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2개폐유닛(60)은 제1개폐유닛(50)과 서로 대칭되며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동작으로 구동되어 제2외부창호(40)를 180도 각도로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개폐유닛(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1개폐유닛(50)의 설명을 통해 대신하기로 하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작스위치(70)는 창호 도어틀(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창호 도어틀(20)의 실내측에 설치된다. 이 동작스위치(70)의 버튼동작신호는 제어부(80)로 전달된다. 이러한 동작스위치(70)는 일반적인 전원스위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에서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의 개폐동작을 동작스위치(70)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동작스위치(70)에서의 스위칭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개폐유닛(50,60)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제어하여 180도 각도로 자동으로 개폐되게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닫힌 상태에서, 열고자 할 경우에는 동작스위치(70)를 조작하여 스위칭시킨다. 그러면, 동작스위치(70)의 스위칭신호가 제어부(80)로 전달된다.
제어부(80)는 스위칭신호를 수신하면,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를 각각 구동제어하여, 제1 및 제2회동부재(51,61)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외부로 180도 각도 회동하여 외벽 쪽에 밀착되도록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즉,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180도 각도로 열린 상태가 되면, 제어부(8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스위칭신호(70)에 따른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의 구동시간은 제1 및 제2회동부재(51,61)의 회동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열린 상태에서, 동작스위치(70)를 조작하면, 제어부(80)는 이번에는 반대로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를 구동제어하여 제1 및 제2회동부재(51,61)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회동시킨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되면서 닫히게 되는데, 제어부(8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의 구동시간에 시차를 두고 제어하거나, 또는 구동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서로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각각의 외측 테두리에는 닫힌 상태에서 서로 간의 틈(G)을 밀폐하기 위한 가스켓쌈지(35,45)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스켓 쌈지(35,45) 간의 접촉이 서로 뒤틀리지 않고, 바르게 겹쳐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는 서로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제어되는 것이 좋다. 즉, 제어부(80)는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여는 동작에서는 동시에 열리도록 제어하고, 닫히는 동작에서는 서로 시차를 두거나 속도에 차이를 두도록 제어함으로써 서로 순서대로 닫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 쌈지(35,45)는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간의 틈(G)을 밀폐함은 물론, 창호 도어틀(20)의 내측면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도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외측 테두리면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스켓 쌈지(35,45)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에 접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작용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실내에 설치된 동작스위치(70)를 조작하여 스위칭한다. 그러면, 동작스위치(70)의 스위칭신호가 제어부(80)로 전달된다.
제어부(8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를 구동 제어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외부로 180도 각도로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한다. 즉,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회동레버(51,61)가 회동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회동레버(51,61)의 끝단이 제1 및 제2가이드레일(53,63)을 타고 이동되면서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연동되어 회전되어 외부벽에 밀착되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외부로 180도 각도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회동부재(51,61)를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도(θ)가 95도 각도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180도 각도로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써, 외부의 바람이나 돌풍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외관으로도 전통한옥의 멋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에서 창호를 통한 외부의 시야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실내에서 동작스위치(70)만을 조작하는 방법에 의해 외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창호 시스템의 중간에 배치된 방충망(210)과 내부의 실내 유리창호(220)를 개폐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 방충망을 열 때, 각종 벌레, 모기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외부의 찬바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닫고자 할 경우에는, 동작스위치(70)를 다시 동작시킨다. 그러면, 동작스위치(70)의 스위칭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8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를 구동제어하여 제1 및 제2회동레버(51,61)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순차적으로 회동되어 초기위치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55a,65a)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시차를 두고 제어하거나, 또는 구동속도를 다르게 제어하여 도 7과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서로 어긋나는 자세로 닫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서로 미세하게 시차를 두고 닫히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의 외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가스켓쌈지(35,45)가 도 7에 확대된 "A" 부분과 같이, 서로 오버랩되도록 겹치게 되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 사이의 틈(G)을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개방시킬 때에는 동일한 속도로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닫을 때에는 서로 다른 속도로 순차적으로 닫히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닫히도록 하고, 틈(G)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닫는 동작도 방충망(210)과 실내 유리창(220)을 열지 않고 닫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과 겨울철에 실내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와 실내 유리창호(220)를 다중 창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에서도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방충망(210)을 중간벽의 수용공간부(121;포켓)로 밀어 넣게 되면, 실내 유리창호(220)를 통해 외부를 보다 투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외부창호(30,40)의 경우에는 창호살에 한지 창호지(33)를 붙이고, 한지 창호지(33)의 외측 각각에 투명유리(34)를 진공상태로 마감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창호지(33)의 변색을 억제하고, 비가 들이칠 때도 창호지나 창호에 하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공이 복층구조가 되므로 단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외부창호가 한 쌍이고, 그에 따라서 개폐유닛이 한 쌍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외부창호 및 개폐유닛이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창호 시스템 20..창호 도어틀
30,40..제1, 제2외부창호 50,60..제1, 제2개폐유닛
70..동작스위치 80..제어부

Claims (9)

  1. 창호 도어틀과;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창호와;
    상기 외부 창호를 닫힌 상태에서 외부벽면에 나란한 자세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과;
    상기 창호 도어틀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동작스위치; 및
    상기 동작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일단이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창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외부 창호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레버의 타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창호 도어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회동레버를 회전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창호 도어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직선부와;
    상기 제1직선부와 일정 각도(θ)를 이루도록 상기 제1직선부의 타단에서 제1직선부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제2직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θ)는 90 내지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상기 창호 도어틀과 상기 외부 창호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관계식]
    b = 125~135mm, c = a + 55mm
    여기서 상기 c는 상기 제1직선부의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a는 상기 외부창호가 외부로 18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도록 상기 회동레버의 회전중심(p1)에서 연장되는 x축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b는 상기 회전중심(p1)에서 상기 x축 방향으로 상기 창호 도어틀 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는 130mm이고, 상기 각도(θ)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호는 상기 창호 도어틀의 양측 수직틀 각각에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외부창호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1개폐유닛과, 상기 제2외부창호를 개폐동작시키는 제2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외부창호의 닫힘 동작시 상기 제1 및 제2외부창호가 시간차를 두고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을 차별적으로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호는
    외곽틀과;
    상기 외곽틀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살과;
    상기 창호살의 양측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창호지; 및
    상기 창호지의 외측 각각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투명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창호틀은 한옥의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창호가 외부측에 설치되고, 실내 쪽으로 방충망 및 실내 유리창호가 차례로 더 설치되며,
    상기 벽체는 실외부터 실내 쪽으로 단열재가 충진된 외부벽, 공간을 이루는 중간벽 및 숯이 충진된 내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벽과 내부벽 각각에는 상기 방충망과 실내 유리창호가 슬라이딩 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가 상기 창호 도어틀의 양측 각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120071823A 2012-07-02 2012-07-02 한옥 창호 시스템 KR10117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823A KR101170755B1 (ko) 2012-07-02 2012-07-02 한옥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823A KR101170755B1 (ko) 2012-07-02 2012-07-02 한옥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755B1 true KR101170755B1 (ko) 2012-08-10

Family

ID=4688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823A KR101170755B1 (ko) 2012-07-02 2012-07-02 한옥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638A (zh) * 2013-07-08 2013-10-16 宁波先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体式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638A (zh) * 2013-07-08 2013-10-16 宁波先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体式窗
CN103352638B (zh) * 2013-07-08 2015-09-30 宁波先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体式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1456A1 (zh) 建筑通用外门窗遮阳一体化系统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US8820384B2 (en) Roller shutter for an opening in a building
KR102002110B1 (ko) 단열 강화 유리가 구비된 루버 창호
KR101377372B1 (ko) 아존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KR101170755B1 (ko) 한옥 창호 시스템
KR101194820B1 (ko) 한옥 벽체 구조물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SI25159A (sl)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CN206468224U (zh) 内置百叶的断桥门窗
CN214035286U (zh) 一种铝合金门窗的组合安装结构
CN206495615U (zh) 设有金刚网的断桥门窗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CN111928405A (zh) 便于室内空气流通的百叶窗
CN206158509U (zh) 两用转动保温三防落地窗
CN220319429U (zh) 一种降噪遮阳型百叶窗
CN215169629U (zh) 一种纱窗可收卷型保温密封门窗
CN216841359U (zh) 一种采光顶遮阳百叶结构
CN208347628U (zh) 一种玻璃百叶隔窗
KR102397830B1 (ko) 성능 가변형 창호 일체형 시스템
CN210948354U (zh) 一种门窗
CN107191117B (zh) 隔音通风窗
CN202706883U (zh) 一种多功能节能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