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51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51B1
KR101748851B1 KR1020150181607A KR20150181607A KR101748851B1 KR 101748851 B1 KR101748851 B1 KR 101748851B1 KR 1020150181607 A KR1020150181607 A KR 1020150181607A KR 20150181607 A KR20150181607 A KR 20150181607A KR 101748851 B1 KR101748851 B1 KR 10174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mponent unit
case
bus ba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39Means for influencing the rupture process of the fusible element
    • H01H85/0047Heating means
    • H01H85/0069Heat reflective or insulating filler, support, or block forming the cas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럭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는 제1베이스(21)가 골격을 형성하고 주로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제2부품유니트(30)는 제2베이스(31)가 골격을 형성하고 주로 고전압용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제1베이스(21)는 케이스(10)에 체결구(40)를 사용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베이스(31)도 상기 케이스(10)에 체결구(40)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31)도 서로 체결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에 설치된 와이어들은 제1커넥터(27)를 통해 제2베이스(31)에 설치된 와이어링(37')에 제2커넥터(37)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부품유니트(30)에 설치된 부품이 손상되면 제2부품유니트(3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용이하게 유지보수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부품의 교체를 보다 쉽게 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이 사용된다. 따라서,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고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차용 블럭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이외에도 다양한 전장품을 위한 상대적인 저전압도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고전압과 저전압 부품이 함께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는 저전압용과 고전압용의 릴레이, 버스바, 저항, 퓨즈 등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이들은 자동차용 블럭의 최초 제조시에 정해진 스펙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의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정해진 스펙을 확인하면서 부품의 교체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자가 정해진 스펙을 정확하게 알지 못해, 유지보수 과정에서 이를 정확하게 지키지 않게 되면 특히 고전압 부품에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고전압용 부품과 관련해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하는 것을 금지하고 자동차용 블럭 전체를 교체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히 고전압용 부품과 관련해서 조립 스펙을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전압용 부품의 교체 대신에 자동차용 블럭 전체를 교체하게 되면 자동차용 블럭에서 극히 작은 부품 하나가 고장났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자동차용 블럭을 교체해야 하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803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 고전압부품과 저전압부품을 분리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서 저전압부품의 개별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베이스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의 표면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제1부품유니트와, 상기 제1부품유니트와 인접하여 상기 제1베이스와 결합되는 제2베이스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베이스의 표면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제2부품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의 일측 단부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에의 체결을 위한 제1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의 양측 단부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에의 체결을 위한 제2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에서 상기 제2베이스에 인접한 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2베이스와의 체결을 위한 제1연결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는 상기 제1연결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연결체결부가 형성되고, 손상된 부품이 제1부품유니트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만 또는 제1부품유니트 전체를 교체하고 상기 제2부품유니트에 손상된 부품이 있는 경우에는 제2부품유니트 전체를 교체한다.
상기 제1베이스에는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되고 제2베이스에는 고전압용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제1베이스에서 일측 표면에는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되고 타측 표면에는 상기 제2베이스에 설치된 제2버스바와 연결되는 제1버스바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베이스에 설치되는 와이어들은 모두 제1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제2베이스에 있는 와이어에 연결된 제2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제1베이스에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단부가 안착되어 서로 체결되는 버스바체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는 상기 버스바체결부가 삽입되는 결합요입부가 측면에 오목하게 요입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제1부품유니트와 제2부품유니트로 나누어서 설치된다. 특히 제1부품유니트에는 저전압 부품들이 제1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제2부품유니트에는 고전압 부품들이 제2베이스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전압 부품중 하나가 손상되면 제2부품유니트 전체를 교체하고 제1부품유니트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비용이 휠씬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부품유니트에 있는 저전압 부품들은 제1부품유니트의 제1베이스가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베이스에서 착탈가능하므로, 제1부품유니트에 있는 저전압 부품들은 개별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역시 자동차용 블럭의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비용이 훨씬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부품유니트와 제2부품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케이스 내측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금속재료를 다이캐스팅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인데, 그 측벽이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시작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2)은 내측보다 입구 쪽이 그 횡단면적이 더 넓게 만들어진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지면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내부공간(12)의 입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커버안착단(14)에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안착단(14)은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안착단(14)에는 시일채널(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채널(16)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눌러져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상기 케이스(10)와 커버 사이를 통해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시일채널(16)에 연통되게 스톱홈(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홈(17)은 상기 시일채널(16)에 안착되는 시일의 스톱돌기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안착단(14)에는 또한 장착브라켓(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8)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블럭을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부호 19는 커버를 케이스(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들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는 각각 다수개의 체결구(40)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부품유니트(20)가 먼저 상기 내부공간(12)에 장착되고, 다음에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의 일측 단부에 제2부품유니트(30)의 일측 단부가 체결되면서 제2부품유니트(30)가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장착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의 골격을 제1베이스(21)가 형성한다. 상기 제1베이스(21)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일측 단부의 양측 모서리에는 제1장착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장착부(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진구(42)가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구(40)가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네 모서리에서 일측 단부의 양측 모서리에만 제1장착부(2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와의 체결을 위한 제1연결체결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체결부(23)에는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체결부(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연결체결부(33)가 겹쳐져서 체결구(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1연결체결부(23)의 사이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버스바체결부(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체결부(24)에는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에 설치된 버스바(36)들의 일측 단부가 설치되어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체결부(24)는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버스바체결부(24)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체결부(24)들은 상기 제1베이스(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설치부(25)가 있다. 상기 부품설치부(25)들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특히, 제1부품유니트(2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대부분이 저전압부품들이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대부분이 저전압부품이지만, 도 5에서 볼 수 있는 제1버스바(26)는 고전압부품이다. 상기 제1버스바(26)는 일단부에서 제2부품유니트(30)의 제2버스바(36)와 연결되고 타단부에서는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커넥터와 연결된다. 상기 제1버스바(26)는 고전압부품이므로 제1베이스(21)에서 부품설치부(25)가 형성된 반대쪽 표면에 설치된다. 즉, 제1베이스(21) 자체가 상기 제1버스바(26)와 나머지 제1베이스(21)에 설치된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베이스(21)에는 제1커넥터(27)에 상기 부품설치부(25)에 설치된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27)는 제1베이스(21)에서 나오는 모든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2부품유니트(30)의 제2커넥터(37)와 결합된다.
상기 제1부품설치부(25)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제1릴레이(28), 퓨즈(29), 전류센서(29'), 저항(29") 등이 있다. 상기 제1릴레이(28)는 저전압용 릴레이이다.
제2부품유니트(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베이스(31)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2베이스(31)도 역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베이스(31)의 네 모서리에는 제2장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장착부(32)도 상기 제1장착부(22)와 유사한 구성으로 상기 제2베이스(31)를 상하로 관통하여 일측이 개방된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에는 방진구(42)가 설치되고, 상기 방진구(42)를 관통하여 체결구(40)가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상기 제2장착부(32)중 상기 제1베이스(21)와 인접하는 쪽의 것에는 각각 제2연결체결부(33)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체결부(33)는 상기 제1베이스(21)의 제1연결체결부(23)와 체결된다. 이를 위해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구(도면 부호 부여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체결부(33)는 사각형의 판상이고 체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체결부(33)의 사이에는 제2베이스(31)의 측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결합요입부(34)가 있다. 상기 결합요입부(34)에는 상기 제1베이스(21)의 일측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버스바체결부(24)가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체결부(24)가 상기 결합요입부(34)에 안착됨에 의해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31) 사이의 상대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31)에는 다수개의 제2부품설치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품설치부(35)에는 모두 고전압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2베이스(31)에는 제2버스바(36)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버스바(36)는 일단부가 상기 제1버스바(26)에 상기 버스바체결부(24)에서 체결된다. 상기 제2버스바(36)의 타단부는 상기 제2부품설치부(36)에 설치된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2베이스(31)에도 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링(37')이 있는데, 상기 와이어링(37')중 하나에는 제2커넥터(37)가 설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부품설치부(35)에는 제2릴레이(38)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릴레이(36)는 고전압릴레이가 사용된다. 이들 제2릴레이(38)는 상기 제2버스바(36)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링(37')에 의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와 제2부품유니트(30)를 상기 케이스(10)에 장착할 때는 체결구(40)와 방진구(42)를 사용한다. 상기 방진구(42)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케이스(10)와 부품유니트(20,30)사이에서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방진구(42)가 상기 제1장착부(22)나 제2장착부(32)의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40)가 방진구(42)를 관통하여 케이스(10)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40)는 일종의 나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럭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방향이 지면을 보도록 자동차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은 도시되지 않은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상기 제1부품유니트(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에는 상기 제1버스바(26), 제1커넥터(27), 제1릴레이(28), 퓨즈(29), 전류센서(29'), 저항(29") 등이 이미 제1베이스(21)에 설치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제1부품유니트(20)는 상기 제1장착부(22) 2군데를 통해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에서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에 인접하게 되는 가장자리 부분은 아직 케이스(10)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는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부품유니트(30)를 상기 케이스(10)에 장착한다. 먼저, 상기 제2베이스(31)의 제2연결체결부(33)가 상기 제1베이스(21)의 제1연결체결부(23)에 안착되도록 하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서로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절한 위치에 있는 제2장착부(32)를 역시 방진구(42)와 체결구(40)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제2부품유니트(30)의 제2장착부(32)가 케이스(10)에 체결되면 상기 제2장착부(32)에 인접해 있는 제2연결체결부가 제1베이스(21)에 체결된 것과 합하여 제1부품유니트(20)가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베이스(21)의 버스바체결부(24)는 돌출되어 있어, 상기 제2베이스(31)의 결합요입부(34)에 들어가게 되면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31)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고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스바(36)들은 상기 제1버스바(26)들에 상기 버스바체결부(24)에서 체결하게 되면, 서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되면 상기 제1버스바(26)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에는 상기 제1버스바(26)를 제외한 부품들이 모두 저전압용이고,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에는 설치된 부품들이 모두 고전압용이다. 여기서 상기 제1버스바(26)는 상기 제1베이스(21)에서 부품설치부(25)들이 있는 반대쪽 표면에 있으므로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저전압 부품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블럭을 사용하다가 상기 제1부품유니트(20)나 제2부품유니트(30)에 있는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부품유니트(30)에 있는 제2릴레이(38)가 손상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 경우에 해당되는 제2릴레이(38)을 교체할 수는 없다. 이는 상기 제2릴레이(38)는 고전압용이기 때문에 부품관련 유지보수를 할 때, 매우 주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부품유니트(30)에 있는 부품이 손상된 경우에는 상기 제2부품유니트(30)를 전부 교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장착부(32)에서 체결구(40)들을 분리해 내어야 하고, 상기 제2연결체결부(33)에서 버스바(26,36) 상의 결합을 분리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체결부(33)를 상기 제1베이스(21)에서 분리하고, 상기 제1커넥터(27)와 제2커넥터(37)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부품유니트(3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부품유니트(3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하고 나면, 새로운 제2부품유니트(30)를 가져와서 설치하면 된다. 새로운 제2부품유니트(30)를 장착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부품유니트(20)에 있는 부품, 예를 들면, 제1릴레이(28), 퓨즈(29), 전류센서(29'), 저항(29") 등이 손상되면, 상기 제1부품유니트(20)가 케이스(1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릴레이(28), 퓨즈(29), 전류센서(29') 및 저항(29")중에서 손상된 것을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장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위의 설명에서는 제2부품유니트(30)의 부품이 손상될 때, 제2부품유니트(30) 전체를 교체하고, 제1부품유니트(20)의 경우 손상된 부품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제1부품유니트(20)의 경우도 다수개의 부품이 손상되었다면 전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10: 케이스 12: 내부공간
14: 커버안착단 16: 시일채널
17: 스톱홈 18: 장착브라켓
19: 체결공 20: 제1부품유니트
21: 제1베이스 22: 제1장착부
23: 제1연결체결부 24: 버스바체결부
25: 제1부품설치부 26: 제1버스바
27: 제1커넥터 28: 제1릴레이
29: 퓨즈 29': 전류센서
29": 저항 30: 제2부품유니트
31: 제2베이스 32: 제2장착부
33: 제2연결체결부 34: 결합요입부
35: 제2부품설치부 36: 제1버스바
37: 제2커넥터 37': 제2와이어링
38: 제2릴레이 40: 체결구
42: 방진구

Claims (6)

  1. 내부공간이 일측으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베이스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베이스의 표면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제1부품유니트와,
    상기 제1부품유니트와 인접하여 상기 제1베이스와 결합되는 제2베이스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베이스의 표면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제2부품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의 일측 단부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에의 체결을 위한 제1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의 양측 단부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에의 체결을 위한 제2장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에서 상기 제2베이스에 인접한 단부 양측에는 상기 제2베이스와의 체결을 위한 제1연결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는 상기 제1연결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연결체결부가 형성되고,
    손상된 부품이 제1부품유니트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만 또는 제1부품유니트 전체를 교체하고 상기 제2부품유니트에 손상된 부품이 있는 경우에는 제2부품유니트 전체를 교체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에는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되고 제2베이스에는 고전압용 부품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에서 일측 표면에는 저전압용 부품이 설치되고 타측 표면에는 상기 제2베이스에 설치된 제2버스바와 연결되는 제1버스바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에 설치되는 와이어들은 모두 제1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제2베이스에 있는 와이어에 연결된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에는 상기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의 단부가 안착되어 서로 체결되는 버스바체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에는 상기 버스바체결부가 삽입되는 결합요입부가 측면에 오목하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6. 삭제
KR1020150181607A 2015-12-18 2015-12-18 자동차용 블럭 KR10174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07A KR101748851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07A KR101748851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51B1 true KR101748851B1 (ko) 2017-06-20

Family

ID=592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607A KR101748851B1 (ko) 2015-12-18 2015-12-18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828A (ja) * 2001-04-03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828A (ja) * 2001-04-03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623B1 (ko) 자동차용 전장박스
US20130095696A1 (en) Fuse unit
KR101734683B1 (ko)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US20140199870A1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US9623816B2 (en) Locking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
KR20140000341A (ko) 차량용 퓨즈 유닛
US11025016B2 (en) Electrical assembly to prevent improper installation
JP4784360B2 (ja) 電気接続構造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KR101748851B1 (ko) 자동차용 블럭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US9887039B2 (en) Motorcycle ignition coil assembly
EP2956659B1 (en) Ignition coil assembly
JP6215580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KR20150133044A (ko) 자동차용 박스
KR20180091260A (ko)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JP7048464B2 (ja) 防水ボックス
US9796346B2 (en) Motor vehicle plastic panel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unit
KR200430826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 고정구조
KR101754872B1 (ko)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