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838B1 -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838B1
KR101748838B1 KR1020170012762A KR20170012762A KR101748838B1 KR 101748838 B1 KR101748838 B1 KR 101748838B1 KR 1020170012762 A KR1020170012762 A KR 1020170012762A KR 20170012762 A KR20170012762 A KR 20170012762A KR 101748838 B1 KR101748838 B1 KR 10174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ixing
groo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1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건축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전면 상·하부에는 수평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 고정돌기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의 사이에는 뾰족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부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동바가 장착되는 측면 고정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의 전방 상·하부에 배치되고, 측면 고정돌기부와 대응하는 배면에 수평 고정결합홈이 형성되며, 수평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평 고정축의 끼움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수평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봉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과 끝단에 위치한 봉 지지홈의 사이에는 유동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평 고정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과 측면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수평 고정 프레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동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봉 지지홈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원활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 ㄴ "자 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수평 유동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과 수평 고정 프레임 및 수평 유동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수평 고정 프레임의 봉 지지홈과 수평 유동 프레임의 유동 봉 지지홈에 고정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뾰족돌기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고무마개가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수평동일선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지지봉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줄로 구성되는 차단틀; 및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이 지지홈과 밀착 부재에 고정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일시적으로 창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내부나 외부로 물건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WINDOW BOXING STRUCTURE FOR PREVENTING CRI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고, 필요시에 일시적으로 창문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범창은 도둑이나 침입자로부터 재산 및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창문 외벽이나 창문과 창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붙박이형 고정방범창과 자바라식방범창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일 예로, 종래의 붙박이형 고정방범창은 통상 상·하 창틀프레임에 다수개의 봉부재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한 방범창을 창문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고정앙카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조립하여 안정성을 높인 방범창이다.
또한, 자바라식 방범창은 다수개의 접철부재를 링크형식으로 연결한 것이어서 방범창을 한쪽방향으로 밀어내는 경우 전방 시야 확보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방범창은 창문이 상시 폐쇄되는 창살형인 관계로 외부와 격리되어 비상시 창문을 통해 사람들이 대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바라식 방범창은 창문의 전면 일부가 개방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지만 다수개의 접철부재가 링크식으로 연결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방범창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창살형 보다 더 많이 전방시야를 가리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빈번한 조작은 고장과 더불어 이를 수리하는데 따른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9-124841호(2009.12.03.)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73149호(2007.10.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일시적으로 창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건축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전면 상·하부에는 수평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 고정돌기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의 사이에는 뾰족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측면 고정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의 전방 상·하부에 배치되고, 측면 고정돌기부와 대응하는 배면에 수평 고정결합홈이 형성되며, 수평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평 고정축의 끼움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수평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봉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과 끝단에 위치한 봉 지지홈의 사이에는 유동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평 고정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과 측면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수평 고정 프레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동 결합홈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봉 지지홈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원활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 ㄴ "자 형상의 지지홈이 돌출형성되는 수평 유동 프레임;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과 수평 고정 프레임 및 수평 유동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이 수평이 수평 고정 프레임의 봉 지지홈과 수평 유동 프레임의 유동 봉 지지홈에 고정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뾰족돌기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고무마개가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수평동일선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지지봉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줄로 구성되는 차단틀; 및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이 지지홈과 밀착 부재에 고정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의 배면에는 내부가 함몰되고 일 측이 개방되는 배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 공간부에는 회전작동을 통해 고리가 구비된 커텐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배면 공간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정역 모터와 상기 정역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커텐이 감기는 원통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 조절기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동바로 구성되는 회동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고, 필요시에 일시적으로 창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내부나 외부로 물건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법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측면 고정 프레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수평 고정 프레임과 수평 유동 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차단틀을 나타낸 정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법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측면 고정 프레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수평 고정 프레임과 수평 유동 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구성하는 차단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100)는 측면 고정 프레임(200), 수평 고정 프레임(300), 수평 유동 프레임(400), 차단틀(500), 보조망(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은 건축물의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체결구를 통해 건축물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을 고정결합하는 체결구는 공지된 나사, 볼트, 앵커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은 전면 상·하부에 수평 관통공(220)이 형성된 측면 고정돌기부(2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210)의 사이에는 뾰족돌기(23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은 전방 상·하부에 수평 유동 프레임(4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220)이 구비된 측면 고정돌기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210)의 사이에는 방법 및 보안을 위하여 뾰족돌기(230)를 소정구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은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전방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은 측면 고정돌기부(210)와 대응하는 배면에 수평 고정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관통공(22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평 고정축(330)의 끼움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수평 결합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봉 지지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과 끝단에 위치한 봉 지지홈(340)의 사이에는 유동 결합홈(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하고, 배면에는 측면 고정돌기부(210)와 결합을 위한 수평 고정결합홈(310)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의 사이에는 차단틀(500)의 지지봉(5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봉 지지홈(340)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봉 지지홈(340)은 방범 및 보안을 위하여 10㎝ 이내로 형성되는 것는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봉 지지홈(340)과 끝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 결합홈(350)은 수평 유동 프레임(400) 등의 무게에 따라 다수개수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은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은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후방 상·하부에 상기 유동 결합홈(350)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410)이 형성되고, 상기 봉 지지홈(34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42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배면에는 원활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430)와 상·하부에는 " ㄴ "자 형상의 지지턱(440)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은 수평 고정 프레임(3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동 결합홈(350)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410)를 대향되게 형성하고, 봉 지지홈(34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420)을 각각 형성하여 봉 지지홈(340)과 함께 차단틀(500)의 지지봉(5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430)는 이사 또는 화재 등의 필요시 차단틀(50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지턱(440)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망(60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차단틀(500)은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수평 고정 프레임(300) 및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사이 공간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틀(500)은 상·하부 끝단이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봉 지지홈(340)과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유동 봉 지지홈(420)에 고정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뾰족돌기(520)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510)과 상기 지지봉(510)의 수평 동일선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지지봉(510)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줄(5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51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되고,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뾰족돌기(520)는 방범 및 보안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틀(500)은 다수개의 지지봉(510)을 봉 지지홈(340, 420)의 간격에 맞게 배치시킨 후 고정줄(530)을 통해 고정한 후, 상기 지지봉(510)을 봉 지지홈(340, 420)에 장착한 것이다.
상기 보조망(600)은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후방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망(600)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 끝단이 지지홈(440)과 밀착 부재(620)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보조망(600)은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지지홈(440)에 삽입장착된 후, 밀착 부재(620)를 통해 고정하여, 상기 차단틀(400)과 더불어 방범 및 보안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100)는 도시된 도 7 및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7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100)는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일 측으로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커텐(800)과 구동수단(7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배면에는 내부가 함몰되고, 일 측이 개방되는 배면 공간부(250)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 공간부(250)에는 회전작동을 통해 고리(820)가 구비된 커텐(800)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70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700)은 배면 공간부(250)의 하부에 장착되는 정역 모터(720)와 상기 정역 모터(7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740) 및 상기 회전축(740)의 외부에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커텐(800)이 감기는 원통롤러(7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700)의 작동을 통해 원통롤러(760)에 감긴 커텐(800)을 감기고 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커텐(800)은 끝단에 형성되는 고리(820)를 사용자가 반대 측에 위치한 측면 고정 프레임(200)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8의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900)는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내측에 회동부(900)를 장착하여, 옷걸이를 지지하고, 빨래 등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부(900)는 상부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조절기(920)와 상기 회전 조절기(920)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동바(9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900)는 회전 조절기(920)를 중심으로 회동작동하면서 공지된 스토퍼를 통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양측으로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전면 상·하부에는 수평 관통공(220)이 형성된 측면 고정돌기부(21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210)의 사이에는 뾰족돌기(23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부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동바(240)가 장착되는 한 쌍의 측면 고정 프레임(2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전방 상·하부에 측면 고정돌기부(210)와 대응하는 배면에 수평 고정결합홈(310)이 형성되며, 수평 관통공(220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평 고정축(330)의 끼움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수평 결합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봉 지지홈(34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과 끝단에 위치한 봉 지지홈(340)의 사이에는 유동 결합홈(350)이 형성되는 수평 고정 프레임(3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후방 상·하부에 상기 유동 결합홈(350)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410)가 형성되며, 상기 봉 지지홈(34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420)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원활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430)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 ㄴ "자 형상의 지지홈(440)이 형성되는 수평 유동 프레임(4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수평 고정 프레임(300) 및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사이 공간으로 양측 끝단이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봉 지지홈(340)과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유동 봉 지지홈(420)에 고정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뾰족돌기(520)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510)과 상기 지지봉(510)의 수평동일선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지지봉(510)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줄(530)로 구성되는 차단틀(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후방으로 상·하부 끝단이 지지홈(440)과 밀착 부재(620)에 고정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망(600)을 장착하면,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100)는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 또는 외부의 물건을 이동시키고자 차단틀(500)과 보조망(60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지지턱(440)에 장착되는 밀착 부재(620)를 제거한 후, 상기 지지턱(440)에 위치한 보조망(600)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과 결합된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손잡이(430)를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유동 결합홈(350)에 결합된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유동 결합돌기(410)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봉 지지홈(340)에 위치한 차단틀(500)의 지지봉(510)을 각각 분리한 후 차단틀(500)을 제거하면, 상기 수평 고정 프레임(300)과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로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 또는 외부의 물건을 이동시키고자 차단틀(500)과 보조망(6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리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200 : 측면 고정 프레임,
210 : 측면 고정돌기부, 220 : 수평 관통공,
230 : 뾰족돌기, 240 : 회동바,
300 : 수평 고정 프레임, 310 : 수평 고정결합홈,
320 : 수평 결합공, 330 : 수평 고정축,
340 : 봉 지지홈, 350 : 유동 결합홈,
400 : 수평 유동 프레임, 410 : 유동 결합돌기,
420 : 유동 봉 지지홈, 430 : 손잡이,
500 : 차단틀, 510 : 지지봉,
520 : 뾰족돌기, 530 : 고무마개,
540 : 고정줄, 600 : 보조망,
620 : 밀착 부재, 700 : 구동수단,
720 : 정역 모터, 740 : 회전축,
760 : 원통롤러, 800 : 커텐.

Claims (3)

  1.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건축물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되고, 전면 상·하부에는 수평 관통공(220)이 형성된 측면 고정돌기부(21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측면 고정돌기부(210)의 사이에는 뾰족돌기(230)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측면 고정 프레임(200);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전방 상·하부에 배치되고, 측면 고정돌기부(210)와 대응하는 배면에 수평 고정결합홈(310)이 형성되며, 수평 관통공(22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수평 고정축(330)의 끼움 결합 및 고정을 위해 수평 결합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봉 지지홈(34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고정결합홈(310)과 끝단에 위치한 봉 지지홈(340)의 사이에는 유동 결합홈(350)이 형성되는 수평 고정 프레임(300);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동 결합홈(350)과 대응하는 부분에 유동 결합돌기(410)가 형성되며, 상기 봉 지지홈(34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유동 봉 지지홈(420)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원활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하여 손잡이(430)가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 ㄴ "자 형상의 지지홈(440)이 돌출형성되는 수평 유동 프레임(400);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과 수평 고정 프레임(300) 및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이 수평이 수평 고정 프레임(300)의 봉 지지홈(340)과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유동 봉 지지홈(420)에 고정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뾰족돌기(520)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고무마개(530)가 끼움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봉(510)과 상기 지지봉(510)의 수평동일선상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지지봉(510)을 일체로 구성하는 고정줄(530)로 구성되는 차단틀(500); 및
    상기 수평 유동 프레임(4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하부 끝단이 지지홈(440)과 밀착 부재(620)에 고정되며,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망(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배면에는 내부가 함몰되고 일 측이 개방되는 배면 공간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 공간부(250)에는 회전작동을 통해 고리(820)가 구비된 커텐(800)을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700)이 장착되되,
    상기 구동수단(700)은 배면 공간부(250)의 하부에 장착되는 정역 모터(720)와 상기 정역 모터(7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740) 및 상기 회전축(740)의 외부에 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고 커텐(800)이 감기는 원통롤러(7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 프레임(200)의 내측에는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 조절기(920)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회동바(940)로 구성되는 회동부(90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20170012762A 2017-01-26 2017-01-26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1748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62A KR101748838B1 (ko) 2017-01-26 2017-01-26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62A KR101748838B1 (ko) 2017-01-26 2017-01-26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838B1 true KR101748838B1 (ko) 2017-06-20

Family

ID=5928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62A KR101748838B1 (ko) 2017-01-26 2017-01-26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64B1 (ko) * 2018-07-24 2019-03-0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79B1 (ko) 2005-08-24 2005-11-2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빨래 건조대를 일체화한 건축용 창문틀 구조
KR100722970B1 (ko) 2007-03-13 2007-05-31 주식회사화인기술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KR100905923B1 (ko) 2009-03-26 2009-07-02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선반과 방충망 기능을 겸한 공동주택의 방범창
KR101613239B1 (ko)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창문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79B1 (ko) 2005-08-24 2005-11-2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빨래 건조대를 일체화한 건축용 창문틀 구조
KR100722970B1 (ko) 2007-03-13 2007-05-31 주식회사화인기술단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탈출이 가능한 방범창
KR100905923B1 (ko) 2009-03-26 2009-07-02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선반과 방충망 기능을 겸한 공동주택의 방범창
KR101613239B1 (ko)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건축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창문자동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64B1 (ko) * 2018-07-24 2019-03-0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356B2 (en) Blast resistant window framework and elements thereof
KR101748838B1 (ko)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1253617B1 (ko) 롤 셔터
JP2001517280A (ja) 安全バーアッセンブリ
KR102464988B1 (ko) 창문용 추락방지장치
JP2006022585A (ja) 浸水防止機能を備えたシャッタ装置
JP4060286B2 (ja) 連結枠組足場
KR101177244B1 (ko)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JP4870417B2 (ja) 開閉装置
JP6765755B2 (ja) 軽量止水パネルを備えた止水装置
CN106121482B (zh) 轨道交通用铝蜂窝板间壁门
KR10103586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20150066731A (ko) 탈부착식 방수판이 구비된 셔터
JP2008531890A (ja) 防犯窓を備えた引き窓組立体
KR102296953B1 (ko) 내풍압 단열 셔터
KR20150085615A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20090002461U (ko) 스크린방화셔터의 피난문
KR20240028838A (ko) 방화벽용 스크린 롤업셔터의 방화벽원단 끼임 방지장치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JP2746544B2 (ja) 連動扉のローラーのロック防止装置
JP7409021B2 (ja) 引戸サッシ、及び引戸サッシの改修方法
JP2000303762A (ja) 建物用シャッター
CN101133226B (zh) 具有安全窗格单元的滑动窗组件
JP2008285890A (ja) ブラインド式雨戸
JP4489627B2 (ja) 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