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244B1 -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 Google Patents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244B1
KR101177244B1 KR1020110136199A KR20110136199A KR101177244B1 KR 101177244 B1 KR101177244 B1 KR 101177244B1 KR 1020110136199 A KR1020110136199 A KR 1020110136199A KR 20110136199 A KR20110136199 A KR 20110136199A KR 101177244 B1 KR101177244 B1 KR 10117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 member
winding drum
coupled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
Original Assignee
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 filed Critical 정국
Priority to KR102011013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244B1/ko
Priority to PCT/KR2012/010988 priority patent/WO201308952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7Transparent slats or transparent sections in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38Slats directly connected
    • E06B2009/1544Engaging section has curved articulatio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상측에 설치되고, 내측 중심으로 요입형성되어 셔터부재 일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권취걸이(140)가 구비된 권취결합요홈(112)이 형성된 권취드럼(110)이 마련되며, 상기 권취드럼(110) 외주연에 권취드럼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탄성코일스프링(120)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 일단 외측으로 권취드럼(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회전디스크(130)에 수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줄(132)로 형성된 셔터박스(100)와;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좌우의 상기 셔터박스(100) 좌우 직하로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200)과; 다수의 방충타공이 형성되고, 권취 가능한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태로 되어 상기 셔터박스(100) 내에 권취드럼(110)의 권취결합요홈(112)에 상측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측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경량의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셔터부재(3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셔터부재(300)의 좌우측에 다수 설치되는 조합형 이탈방지브라켓(400)과; 상기 셔터부재(300) 최하단의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 하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유해 해충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Lightweight shutter for Prevention of Insects and Crimes}
본 발명은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셔터부재에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타공하여 방충 및 방범 기능을 수행하고, 경량의 금속재로 경량셔터부재를 구성함에 따라 화재위험성으로 인한 별도의 방염가공을 할 필요 없으며, 경량셔터부재에 의해 일반가정에서 블라인드 기능도 함께 수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우 가이드레일과 마지막단의 경량셔터부재에 일물질 유입방지 및 방충이 가능한 방충부재가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방충이 가능하고, 스프링조절장치가 권취박스 일측에 구비되어 권취력이 향상된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는 상가의 점포나 건축물 등의 출입구 또는 디스플레이 창 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침입하여 내부 물건을 절도를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용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셔터는 평상시에는 점포나 건축물 등의 출입구 또는 디스플레이 창측 상부의 셔터박스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에 의해 셔터박스의 내부로 권취하여 수납시키거나, 사용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롤 타입의 것이 대부분이며, 비교적 공간이 좁은 셔터박스 내에 셔터를 권취하여 보관해야 하므로 폭이 좁은 다수의 플레이트형 셔터부재를 상호 결속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셔터는 우선 점포나 건축물의 출입고 또는 디스플레이 창 좌우측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셔텨부재를 권취하기 위한 셔터박스와 구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셔터는 상호 결속된 셔터부재가 좌우측의 가이드레일상에 좌우측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상부의 셔터박스상으로 권취되거나 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종래의 셔터들은 사용시 건물 내부를 완전히 차단하는 플레이트 타입이 대부분이므로 방범측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광고효과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상가 점포의 경우에는 이러한 완전 차단타입의 셔터는 비효율적이다. 또한, 외관상으로도 답답하고 보기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고, 외압에 의해 셔터부재 간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등 내구성 측면에서도 취약한 단점과 바람이 많이 부는 등의 외부환경요인으로 인해 소음발생이 많다. 또한, 점포나 건축물의 내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여 대형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광고효과를 위해 내부가 보이는 파이프 타입의 셔터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이것 역시 외부에서 돌 등이 튀어 내부의 유리 등이 파손되거나, 또는 안쪽으로 손 등을 쉽게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도난사고로부터 완벽한 보호수단으로서의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미흡한 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셔터는 모두가 중량물로 점포 또는 건축물의 출입구나 디스플레이 창 정도에 설치되는 것에 국한되고, 최근 강력범죄 등의 발생이 많아짐에 따라 가정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방범과 방충이 가능한 셔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란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25775호와 같이 개시하여 가정에서도 셔터를 사용하여 블라인드와 같은 역할과 방충 및 방범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0525775호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수단(22) 및 드럼(23)을 갖는 셔터박스(16)와, 상기 셔터박스 내에 권취가능한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태로 되어 있는 셔터부재(10)를 포함하는 셔터에 각각의 셔터부재(10)는 전체 면적에 걸쳐서 다수의 홀(11a),(11b)이 형성되어 있는 타공망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셔터부재(10) 간의 측단 연결부위는 1세트의 조합형 브라켓(12)으로 마감되고, 상기 브라켓(12)은 셔터부재(10)의 위아래 연결부위를 막아줄 수 있는 커버체(13)를 가지면서 셔터부재(10)의 전면에 밀착되는 브라켓 숫부재(12a)와, 셔터부재(10)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전면의 브라켓 숫부재(12a)와 함께 체결되는 브라켓 암부재(12b)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 숫부재(12a)와 브라켓 암부재(12b)는 셔터부재(10)를 사이에 두고 셔터부재(10)를 관통하면서 서로 끼워 맞춤될 수 있는 돌부(14)와 홈부(15)를 각각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셔터는 플레이트 타입과 파이프 타입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방충용 및 방범용으로 제작한 셔터로서, 방범효과와 광고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쉽게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기존 방충망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고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일반 가정용 방충망으로도 효과적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셔터의 설치시 좌우측에 가이드레일상과 셔터부재의 하단의 공극을 통해 이물질이나 유해 해충 유입이 용이하여 방충 기능은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상부에 설치되는 셔터박스의 크기가 커지고, 이로 인해 설치면적이 크며,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셔터박스 내부의 권취롤러에 권취되는 셔터부재가 권취롤러 외주연으로 용접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셔터부재의 수평유지가 힘들고, 셔터부재를 권취하고 인출하는 과정에서 셔터부재의 유동이 발생되어 권취 및 인출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셔터를 가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타입과 파이프 타입의 장점을 취합하여 경량으로 셔터부재를 형성하고, 셔터부재의 방범효과와 함께 기존 방충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며, 셔터부재의 권취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셔터부재의 수평유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형성한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는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상측에 설치되고, 내측 중심으로 요입형성되어 셔터부재 일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권취걸이(140)가 구비된 권취결합요홈(112)이 형성된 권취드럼(110)이 마련되며, 상기 권취드럼(110) 외주연에 권취드럼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탄성코일스프링(120)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 일단 외측으로 권취드럼(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회전디스크(130)에 수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줄(132)로 형성된 셔터박스(100)와;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좌우의 상기 셔터박스(100) 좌우 직하로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200)과; 다수의 방충타공이 형성되고, 권취 가능한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태로 되어 상기 셔터박스(100) 내에 권취드럼(110)의 권취결합요홈(112)에 상측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측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경량의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셔터부재(3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셔터부재(300)의 좌우측에 다수 설치되는 조합형 이탈방지브라켓(400)과; 상기 셔터부재(300) 최하단의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 하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유해 해충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셔터박스(100)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110)과 동일축선상에 결합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에 감기는 셔터부재(300)의 회전장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수단(14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200) 내측으로 해충차단브러쉬(210)가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결합된 부분의 공극을 차단하여 해충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은 "ㅗ" 형상의 중량체(510)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510) 하부면에 T형 요홈(512)이 형성되며, 상기 T형 요홈(512)에 끼움결합되는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510)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의 하단에 걸이결합하도록 마련된 걸이부재(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셔터를 가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타입과 파이프 타입의 장점을 취합하여 경량으로 셔터부재를 형성하고, 셔터부재의 방범효과와 함께 기존 방충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며, 셔터부재의 권취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셔터부재의 수평유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해충차단브러쉬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해충차단브러쉬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하단부의 해충유입방지수단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하단부의 해충유입방지수단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셔터박스의 구조를 나타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가이드레일과 결합된 방충부재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하단부의 방충부재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셔터박스의 구조를 나타난 정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의 셔터박스내의 권취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는 셔터를 가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타입과 파이프 타입의 장점을 취합하여 경량으로 셔터부재를 형성하고, 셔터부재의 방범효과와 함께 기존 방충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며, 셔터부재의 권취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셔터부재의 수평유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박스(100), 가이드레일(200), 셔터부재(300), 이탈방지브라켓(400), 해충유입방지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셔터박스(100)는 후술되는 셔터부재가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상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셔터박스00)에는 내측 중심으로 요입형성되어 셔터부재 일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권취걸이(140)가 구비되는 권취결합요홈(112)이 형성된 권취드럼(110)이 마련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110)의 권취걸이(140)에는 후술되는 셔터부재 일단이 끼움결합되고, 권취결합요홈 공간내에서 선회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셔터부재의 수평유지 또는 유지보수 시, 종래와 같이 용접으로 결합된 것이 아닌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셔터부재의 일단이 권취드럼(110) 외주연 내측으로 위치됨에 따라 셔터부재의 권취시 보다 용이하게 권취가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권취드럼(110) 외주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탄성코일스프링(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코일스프링(120)은 장력제어수단(140)에 의해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제어수단(140)은 상기 셔터박스(100)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110)과 동일축선상에 결합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에 감기는 셔터부재(300)의 회전장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장력제어수단(140)은 탄성코일스프링(120)을 압축하거나 해제하여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피치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탄성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에 따라 권취드럼(110)의 회전력을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이 크게되면 권취드럼(110)의 회전력이 강하게 형성되어 셔터부재의 권취가 빠르게 되고, 탄성력이 작게되면 상술한 바와 반대로 권취가 느르게 진행된다. 그러므로, 적당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을 상기 장력제어수단(140)에 의해 제어함에 따라 수동회전되는 권취드럼(110)의 회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상기 장력제어수단(140)을 통해 탄성력을 제어하여 오랜시간 동안 사용하여도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사용수명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셔터부재(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110)을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권취드럼(110) 일단 외측으로 권취드럼(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회전디스크(130)에 수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줄(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디스크(130)는 외주연을 따라 다수의 홈(부호없음)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기어의 치차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동력줄(132)은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무한 회전하게 결합됨에 따라 어느 한측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디스크(130)는 치차결합과 같이 결합된 동력줄(132)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디스크(130)와 결합된 권취드럼(110)이 회전한다. 그리고, 반대편측으로 사용자가 다시 잡아당기면 회전디스크(130)는 역회전하고, 권취드럼(110)도 역회전한다. 즉, 정역회전에 따라 셔텨부재가 권취되고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셔터부재의 좌우측이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좌우의 상기 셔터박스(100) 좌우 직하로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ㄷ" 형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셔터부재의 좌우를 잡아 수직선상으로 셔터부재가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함과 함께, 외부 침입자가 좌우측의 공간을 통해 침투하지 못하도록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00) 내측으로 해충차단브러쉬(210)가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결합된 부분의 공극을 차단하여 해충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해충차단브러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00)과 후술되는 셔터부재 사이로 작은 해충,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셔텨부재가 권취드럼(110)에 권취시 좌우측을 통해 셔터박스(100)측으로 수직상승될 수 있는 이물질 내지는 해충을 상기 해충차단브러쉬(210)에 의해 떨어뜨릴 수 있어 셔터박스 내부로 이물질,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셔터부재(300)는 외부침입자의 침투를 방지하고, 해충의 침투를 차단하여 방범 및 방충이 가능하고, 화재로부터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다수의 방충타공이 형성되고, 권취 가능한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태로 되어 상기 셔터박스(100) 내에 권취드럼(110)의 권취결합요홈(112)에 상측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측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셔터부재(300)는 경량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셔터부재(300)를 최소화함에 따라 가정에서 브라인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방충 및 방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량소재로는 엔지니어플라스틱 등과 같이 외부충격에 강하면서 내구성이 높고 형태성형이 용이하여 금속을 대체하여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셔터부재(3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셔터부재(300)의 좌우측에 다수 설치되는 조합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브라켓(400)은 암수로 형성되어 셔터부재(300) 좌우측의 전후로 맞대어 결합한 후, 상기 가이드레일(200) 내측에 끼움결합하여 셔터부재(300)의 상하이동시 함께 이동되고, 상하 이동과정이나 외부충격으로 상기 셔터부재(300)의 좌우측이 상기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레일에 걸림된다.
상기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부재(300) 최하단의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 하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유해 해충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ㅗ" 형상의 중량체(510)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510) 하부면에 T형 요홈(512)이 형성되며, 상기 T형 요홈(512)에 끼움결합되는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가 수평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가 중량체(510) 상부면에 걸이부재(530)가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의 하단에 걸이결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는 셔터부재(300)의 바닥측 말단과 출입문 및 건축물의 바닥 내지는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바닥측 사이에 미세공간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빗자루로 쓰레기를 쓸어 담는 것과 같이 상기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는 바닥 공간에 밀착되고, 셔터부재의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바닥에 밀착된 해충유입방지브러쉬는 전후 유동되면서 상술한 빗자루를 쓰는 것과 같이 작용되게 되어 해충의 유입,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는 걸이부재(530)에 의해 걸이결합하는 것으로서,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가 마모되거나 중량체(510)가 손상될 경우 전체 교체가 용이하고,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만 교체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100 : 셔터박스 110 : 권취드럼
112 : 권취결합요홈 120 : 탄성코일스프링
130 : 회전디스크 132 : 동력줄
140 : 장력제어수단 200 : 가이드레일
210 : 해충차단브러쉬 300 : 셔터부재
400 : 이탈방지브라켓 500 : 해충유입방지수단
510 : 중량체 512 : T형 요홈
520 : 해충유입방지브러쉬

Claims (4)

  1.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상측에 설치되고, 내측 중심으로 요입형성되어 셔터부재 일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권취걸이(140)가 구비된 권취결합요홈(112)이 형성된 권취드럼(110)이 마련되며, 상기 권취드럼(110) 외주연에 권취드럼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탄성코일스프링(120)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 일단 외측으로 권취드럼(11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회전디스크(130)에 수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줄(132)로 형성된 셔터박스(100)와;
    건물의 출입문 또는 건축물의 디스플레이창, 가정의 창 좌우의 상기 셔터박스(100) 좌우 직하로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200)과;
    다수의 방충타공이 형성되고, 권취 가능한 다수의 플레이트 조합형태로 되어 상기 셔터박스(100) 내에 권취드럼(110)의 권취결합요홈(112)에 상측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측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경량의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좌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셔터부재(300)가 상기 가이드레일(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는 셔터부재(300)의 좌우측에 다수 설치되는 조합형 이탈방지브라켓(400)과;
    상기 셔터부재(300) 최하단의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 하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유해 해충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박스(100)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110)과 동일축선상에 결합형성되고, 상기 권취드럼(110)에 감기는 셔터부재(300)의 회전장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탄성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수단(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0) 내측으로 해충차단브러쉬(210)가 결합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와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결합된 부분의 공극을 차단하여 해충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유입방지수단(500)은 "ㅗ" 형상의 중량체(510)가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510) 하부면에 T형 요홈(512)이 형성되며, 상기 T형 요홈(512)에 끼움결합되는 해충유입방지브러쉬(520)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체(510)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형성되어 상기 셔터부재(300)의 하단에 걸이결합하도록 마련된 걸이부재(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KR1020110136199A 2011-12-16 2011-12-16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KR10117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99A KR101177244B1 (ko) 2011-12-16 2011-12-16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PCT/KR2012/010988 WO2013089523A2 (ko) 2011-12-16 2012-12-17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99A KR101177244B1 (ko) 2011-12-16 2011-12-16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244B1 true KR101177244B1 (ko) 2012-08-24

Family

ID=4688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199A KR101177244B1 (ko) 2011-12-16 2011-12-16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7244B1 (ko)
WO (1) WO201308952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469B1 (ko) * 2017-06-16 2018-01-18 추선엽 조립식 파티션
JP7165457B1 (ja) 2022-04-12 2022-11-04 株式会社バーテック 隠蔽板付き隙間用ブラ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0117A (zh) * 2021-08-25 2022-04-12 广东力尊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型防火门及制造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52Y1 (ko) 2001-09-12 2001-12-24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3511590A (ja) 1999-10-01 2003-03-25 パク キーヨング 無レール型の窓及び戸装置
JP2003514154A (ja) 1999-11-03 2003-04-15 パク キーヨング レール隠蔽形窓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23B2 (ja) * 1994-01-27 2000-06-05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ガイドレール構造
JPH11247547A (ja) * 1998-02-27 1999-09-14 Kei Ichii すきまシャッター
KR100525775B1 (ko) * 2002-08-20 2005-11-03 정국 다기능 셔터
KR20060043881A (ko) * 2004-11-10 2006-05-16 우용준 전기쇼크 방충셔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1590A (ja) 1999-10-01 2003-03-25 パク キーヨング 無レール型の窓及び戸装置
JP2003514154A (ja) 1999-11-03 2003-04-15 パク キーヨング レール隠蔽形窓戸装置
KR200256852Y1 (ko) 2001-09-12 2001-12-24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469B1 (ko) * 2017-06-16 2018-01-18 추선엽 조립식 파티션
JP7165457B1 (ja) 2022-04-12 2022-11-04 株式会社バーテック 隠蔽板付き隙間用ブラシ
JP2023156193A (ja) * 2022-04-12 2023-10-24 株式会社バーテック 隠蔽板付き隙間用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523A2 (ko) 2013-06-20
WO2013089523A3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244B1 (ko) 방범 및 방충을 위한 경량셔터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1856158B1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KR20190086986A (ko) 미닫이문 연동형 방충장치
US20060124255A1 (en) Combination Security and Insect Guard Insert
CN105657383A (zh) 潜望式隐蔽监控装置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2184997B1 (ko) 공동주택용 방충망 자동청소장치
GB2462928A (en) Blind with tear resistant fabric
KR101827906B1 (ko) 미세먼지 차단용 창구조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20160041719A (ko) 갤러리용 수직 회전 창호구조
KR102223590B1 (ko)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KR102399172B1 (ko) 위치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슬라이딩도어 부착형 잠금장치
KR101985213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KR102118111B1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용 설치구조
KR102628503B1 (ko) 탈거 방지형 방충망 구조체
CN112311924A (zh) 安防隔音防盗门用智能对讲机
KR101748838B1 (ko) 건축물의 방범창 구조
KR102622622B1 (ko) 창살 설치형 방충망 구조체
KR101558513B1 (ko)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KR101957679B1 (ko) 미세먼지 차단 스크린 창
JP7066500B2 (ja) 防水扉
KR101968155B1 (ko)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JP3194690U (ja) 防犯機能を備えたマグネット式網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