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155B1 -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 Google Patents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155B1
KR101968155B1 KR1020170034443A KR20170034443A KR101968155B1 KR 101968155 B1 KR101968155 B1 KR 101968155B1 KR 1020170034443 A KR1020170034443 A KR 1020170034443A KR 20170034443 A KR20170034443 A KR 20170034443A KR 101968155 B1 KR101968155 B1 KR 10196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plate
cover
protrusio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313A (ko
Inventor
박용광
남태석
Original Assignee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라인드팩토리 filed Critical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to KR102017003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7Lamellae suspensions ; Bottom weights; Bottom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튼은 특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연장판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된 상기 연장판과 포개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Rope and curtai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대형 창고, 모텔, 호텔 및 주차장 등의 출입문을 사용상의 편의성으로 자동문 또는 도어 가림막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대형 건물뿐만 아니라, 음식점, 슈퍼마켓 등의 일반상가에도 자동문이 보급이 확산되어 있다.
상기 도어 가림막은 출입문에 설치되어 단순히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가림막은 사람이나 차량이 접촉함과 동시에 개폐되어 통과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도어 가림막의 접촉에 따른 사물이나 차량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도어 가림막은 주로 로프를 다수개 늘어뜨린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로프는 로프를 고정하는 구조체에 바느질 등을 통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바느질을 작업자가 일일이 직접해야 하므로 제작시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를 이용하여 도어 가림막을 형성할 때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로프를 중복하여 덧대어 설치해야 하므로, 도어 가림막을 형성할 때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가림막으로 로프를 사용하다 보니 로프의 단부가 풀려서 엉킴현상이 발생하고 차량 출입시 차량에 걸리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의 단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부에 풀림방지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는 자외선 등에 약하게 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색이 바래거나 삭아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눈이나 비가 오면 로프로 물이 흡수되어 무게가 무거워지고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외선 등에 노출되더라도 내구성과 색을 유지할 수 있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커튼을 케이스에 쉽게 고정하여 장착할 수 있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림막을 형성할 때 적은 개수로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풀림이나 엉킴 동작이 없어 커튼을 유지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눈이나 비가 오더라도 커튼의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은 특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연장판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몸체의 타단에서 연장된 상기 연장판과 포개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는 상기 커튼구조체는 복수개의 커튼과, 상기 복수개의 커튼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커튼을 일체화하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튼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커튼와 맞대어지도록 하는 연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커튼의 전면에 위치하는 수용커버와, 상기 커튼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커버와 결합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커버는 상기 커튼의 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상면을 덮는 덮개판과, 상기 전면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와 맞대어지는 제1바닥판과, 상기 덮개판에서 상기 제1바닥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덮개판에서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커버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제1바닥판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상기 제1바닥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함께 상기 커튼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커튼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후면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대응되는 제2바닥판과,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안착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튼을 가압하는 제1가압돌기와,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커튼을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와, 상기 제1가압돌기와 상기 제2가압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커튼을 상기 고정커버에 고정하는 고정철물이 체결되는 제1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를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커버는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가로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철물이 체결되는 제2체결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커튼이 회전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튼은 특수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에 의하면, 자외선 등에 노출되더라도 내구성과 색을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커튼을 케이스에 쉽게 고정하여 장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을 형성할 때 적은 개수로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풀림이나 엉킴 동작이 없어 커튼을 유지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눈이나 비가 오더라도 커튼에 물이나 먼지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게 세척할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10)는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건축물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튼구조체(10)는 복수개의 커튼(100)와 복수개의 커튼(100)를 일체화하는 케이스(200)를 구비할 수 있다.
커튼(100)는 특수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되고,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튼(100)이 고무로 제작됨으로써 자외선에 강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탄성을 가지므로 커튼(100)끼리 부딪쳤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커튼(100)의 폭은 커튼구조체(10)가 설치되는 위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커튼(100)는 몸체(110)와 연장판(120)으로 이루질 수 있다.
몸체(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무늬 또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원형을 비롯한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120)은 몸체(110)에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또 다른 커튼(100)와 맞대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판(12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일단에 위치하는 연장판(120)은 상대적으로 몸체(110)의 전면과 동일선상을 이루고, 몸체(110)의 타단에 위치하는 연장판(120)은 상대적으로 몸체(110)의 후면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일단에 위치하는 연장판(120)은 일단 측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몸체(110)의 타단에 위치하는 연장판(120)과 포개어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커튼(100)가 포개어지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커튼(100) 사이사이에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에서 건축물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튼(100)이 설치되는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케이스(2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커튼(100)를 일체화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복수개의 커튼(10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다음은 복수개의 커튼(100)를 일체화하는 케이스(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10)는 복수개의 커튼(100)를 일체화하는 케이스(200)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일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제작되고, 커튼(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커튼(100)의 전면, 후면 및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커튼(100)의 상부 일부가 케이스(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200)는 커튼(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수용커버(210)와 커튼(100)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용커버(210)와 결합하는 고정커버(22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커버(2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수용커버(210)는 전면판(211), 덮개판(212), 제1바닥판(213), 지지돌기(214), 삽입돌기(215), 가로바(216) 및 수용돌기(217)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판(211)은 커튼(100)의 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덮개판(212)은 전면판(211)의 일단 즉, 전면판(211)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커튼(100)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제1바닥판(213)은 전면판(211)의 타단 즉, 전면판(21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커튼(100)의 일부와 맞대어질 수 있다.
수용커버(210)는 전면판(211), 덮개판(212) 및 제1바닥판(213)에 의해 고정커버(220) 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돌기(214)는 덮개판(212)의 내측면에서 제1바닥판(213)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200)에 커튼(100)의 상부가 삽입될 시 커튼(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돌기(215)는 덮개판(212)의 양단 중 고정커버(220)와 근접한 위치의 일단에서 고정커버(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커버(220)에 삽입될 수 있다.
가로바(216)는 전면판(21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고 제1바닥판(213)과 덮개판(2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216)에는 케이스(200)에 커튼(100)의 상부가 삽입될 시 커튼(100)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16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돌기(217)는 전면판(211)의 내측면에서 연장되고 가로바(216)와 제1바닥판(2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돌기(217)에는 케이스(200)에 커튼(100)의 상부가 삽입될 시 커튼(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지지돌기(214), 삽입돌기(215), 가로바(216) 및 수용돌기(217)는 커튼(100)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길이 또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수용커버(210)와 결합하는 고정커버(220)는 후면판(221), 삽입홈(222), 가이드돌기(223), 제2바닥판(224), 제1가압돌기(225), 제2가압돌기(226) 및 제1체결홈(227)을 구비할 수 있다.
후면판(221)은 커튼(100)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고, 후면판(221)의 일단 즉, 후면판(221)의 상부에는 상기의 삽입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22)은 수용커버(210)의 삽입돌기(2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돌기(215)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돌기(215)가 삽입홈(222)에 삽입됨으로써 수용커버(210)와 고정커버(22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끼움방식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결합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3)는 삽입홈(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삽입돌기(215)가 삽입홈(222)에 삽입될 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삽입돌기(215)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삽입돌기(215)가 삽입홈(222)에 삽입된 후에는 삽입돌기(2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223)의 상면에는 경사면(미부호)을 형성하여 삽입돌기(215)가 삽입홈(222)에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바닥판(224)은 후면판(221)의 타단 즉, 후면판(221)의 하부에서 제1바닥판(213)과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고정커버(220)는 후면판(221)과 제2바닥판(224)에 의해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커버(210)와 결합하여 수용커버(2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제1가압돌기(225)는 후면판(221)의 내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돌기(225)는 가로바(216)의 안착홈(216a)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안착홈(216a)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튼(100)를 가압하여 가압된 커튼(100)의 일부가 안착홈(216a)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가압돌기(226)는 제1가압돌기(225)와 마찬가지로 후면판(221)의 내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압돌기(226)는 수용공간(217a)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용공간(217a)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튼(100)를 가압하여 가압된 커튼(100)의 일부가 수용공간(217a)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가압돌기(225)와 제2가압돌기(226)에 의해 커튼(100)의 일부가 각각 안착홈(216a)과 수용공간(217a)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커튼(100)와 케이스(200)의 결합력을 높여 커튼(100)가 케이스(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체결홈(227)은 제1가압돌기(225)와 제2가압돌기(226)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판(22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홈(227)에는 고정철물(30)이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철물(30)에 의해 커튼(100)가 고정커버(2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10)는 고정프레임(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300)은 케이스(200)의 수용커버(210)와 결합할 수 있으며, 케이스(200)를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프레임(3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수용커버(210) 및 고정커버(220)와 맞대어지도록 케이스(200)를 덮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200)는 고정프레임(300)에 의해 보호를 받게 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직접적인 타격이나 충격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연한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프레임(3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커버(210)는 케이스(200)를 고정프레임(300)에 고정하는 고정철물(30)이 체결되는 제2체결홈(218)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홈(218)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4)와 가로바(216)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면판(211)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10)는 링크(400)를 구비할 수 있다.
링크(400)는 케이스(200)와 연결되어 커튼(100)가 회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00)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어 커튼(100)가 용이하게 회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튼(100)가 링크(400)에 의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출입구가 개폐될 수 있어 사람이나 차량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람이나 차량의 접촉에 의한 커튼구조체(1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구조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커튼구조체 100: 커튼
110: 몸체 120: 연장판
200: 케이스 210: 수용커버
220: 고정커버 300: 고정프레임
400: 링크

Claims (10)

  1. 삭제
  2.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커튼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커튼구조체는 복수개의 커튼과,
    상기 복수개의 커튼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커튼을 일체화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커튼과 맞대어지도록 하는 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커튼의 전면에 위치하는 수용커버와, 상기 커튼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커버와 결합하는 고정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커버는 상기 커튼의 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상면을 덮는 덮개판과,
    상기 전면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와 맞대어지는 제1바닥판과,
    상기 덮개판에서 상기 제1바닥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덮개판에서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커버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제1바닥판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상기 제1바닥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함께 상기 커튼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커튼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후면판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닥판과 대응되는 제2바닥판과,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안착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커튼을 가압하는 제1가압돌기와,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튼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커튼을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와,
    상기 제1가압돌기와 상기 제2가압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커튼을 상기 고정커버에 고정하는 고정철물이 체결되는 제1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를 건축물의 출입구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커버는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가로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철물이 체결되는 제2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커튼이 회전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특수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구조체.
KR1020170034443A 2017-03-20 2017-03-20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KR10196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3A KR101968155B1 (ko) 2017-03-20 2017-03-20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3A KR101968155B1 (ko) 2017-03-20 2017-03-20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3A KR20180106313A (ko) 2018-10-01
KR101968155B1 true KR101968155B1 (ko) 2019-04-11

Family

ID=6387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43A KR101968155B1 (ko) 2017-03-20 2017-03-20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795B1 (ko) * 2023-02-22 2023-05-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후크 연결부의 지그 표면에의 도장 방지를 위한 분체 도장용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95Y1 (ko) * 1996-07-29 1999-07-15 심효섭 버티컬 블라인드용 플라스틱 가림부재
KR100953105B1 (ko) *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795Y1 (ko) * 1996-07-29 1999-07-15 심효섭 버티컬 블라인드용 플라스틱 가림부재
KR100953105B1 (ko) * 2009-09-08 2010-04-19 임병기 로프를 이용한 모텔 차량 출입구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3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0178B1 (en) Door sill arrangement for an elevator car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999086B1 (ko) 레일 내장형 미닫이 창호
EP2074273B1 (en) A method for securing a screening device to a window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968155B1 (ko) 커튼 및 이를 이용한 커튼구조체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1788778B1 (ko)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방충망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200389361Y1 (ko) 롤식 방충망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053652B1 (ko)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832034B1 (ko) 방충망 프레임용 프로파일
KR102106667B1 (ko) 슬라이딩 도어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
KR101470486B1 (ko) 방충망 이탈을 방지하는 창틀용 우수 배수장치
KR101754956B1 (ko) 방범방충창
KR101905932B1 (ko)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101369469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070051535A (ko) 아파트 베란다 창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