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52B1 -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52B1
KR101053652B1 KR1020110018797A KR20110018797A KR101053652B1 KR 101053652 B1 KR101053652 B1 KR 101053652B1 KR 1020110018797 A KR1020110018797 A KR 1020110018797A KR 20110018797 A KR20110018797 A KR 20110018797A KR 101053652 B1 KR101053652 B1 KR 10105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acking
window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정원
Original Assignee
(주)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진 filed Critical (주) 일진
Priority to KR102011001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수단과 밀폐수단이 하나의 복합장치로 이루어져 창틀에 구비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로 유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상기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창틀프레임(200)과;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패킹수단(300)과;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과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510)과,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수단(550)이 구비되는 복합장치(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이탈방지 및 방풍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ESTABLISHMENT STRUCTURE FOR A WINDOW}
본 발명은 창문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어셈블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방풍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구조가 하나의 복합장치로 이루어져 창틀에 구비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섀시 등에는 창문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에는 방풍 및 방음을 위하여 패킹 등이 구비되기도 한다.
특히, 미닫이식 창문에 있어, 방풍 및 방음작용을 하는 융털패킹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창틀 및 창문의 문틀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창틀 및 창문의 문틀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창문과 창틀 사이에 융털이 구비되어 창문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바람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문 설치구조에서는, 창문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서, 장시간 창문을 열고 닫는 경우에는 창문이 창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창문과 창틀 사이에 융털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융털만으로는 창문 틈새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으므로, 방풍과 방음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창문어셈블리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창문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짝을 이루는 창문어셈블리 사이의 틈새 또는 창문어셈블리와 창틀프레임 사이의 틈새가 완벽히 차단되는 창문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는, 좌우로 유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다수의 창문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창문어셈블리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창틀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패킹수단과; 상기 창문어셈블리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창틀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차단하는 브러시와; 상기 창문어셈블리과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이탈방지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접한 창문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복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측 상단과 하단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밀폐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이 상기 창틀프레임에 탄성에 의해 장착되어 걸어지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장착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에는, 상기 밀폐수단의 일단이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수단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홈에 끼워지는 지지편과; 인접한 창틀에 직접 접촉하며, 형상이 변경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 형상의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지지편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수단은, 상기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는 꺽쇠 형상의 걸림고리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패킹지지대와; 상기 패킹지지대의 전후 또는 좌우에 서로 대칭되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부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촉수부가 구비되는 밀폐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에서는 상하로 길게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즉, 창틀프레임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이탈방지수단이 장착된다. 따라서, 창문이 설치된 다음, 창문어셈블리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창문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창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수단이 자체 형상에 의해 탄성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장착단을 창틀프레임에 갖다대고 누르면, 탄성에 의해 장착단이 휘어지면서 창틀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창문어셈블리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이탈방지수단의 장착이 가능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패킹수단과 밀폐수단이 더 구비되어, 창문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완전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밀폐수단이 이탈방지수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창틀프레임에 설치된다. 즉, 밀폐수단이 이탈방지수단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장착된 다음, 밀폐수단과 이탈방지수단이 결합된 복합장치가 창틀프레임에 탄성에 의해 조립된다. 따라서,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합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B-B'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는, 좌우로 유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상기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창틀프레임(200) 등으로 구성된다.
즉, 사각형상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창틀프레임(200)에 의해 상하 좌우가 지지된다.
도 2에는 도 1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창틀프레임(200) 외에도,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패킹수단(300) 및 브러시(400) 그리고,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이탈과 틈새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동시에 차단하는 복합장치(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유동에 따라 창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주로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창틀(110)과, 주로 상기 창틀프레임(200)에 접촉되는 외측창틀(120)과, 상기 내측창틀(110)과 외측창틀(120)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창문(W)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이중으로 설치된 이중창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전후로 2열로 설치된다.
상기 창틀프레임(200)은, 상대적으로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중앙프레임(210)과, 상기 중앙프레임(210)의 좌우에 구비되는 외곽프레임(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창문구조는 이중창 구조이므로, 상기 중앙프레임(210)과 외곽프레임(220)은 각각 전후로 이중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중앙프레임(210)은, 전방(도 2에서)에 구비되는 중앙내측프레임(212)과, 후측에 구비되는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과 중앙외측프레임(214)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I)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과 중앙외측프레임(214)은 전체적으로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과 중앙외측프레임(214)의 중앙 부분의 폭은 후측(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곽프레임(220)은, 전방(도 2에서)에 구비되는 외곽내측프레임(222)과, 후측에 구비되는 외곽외측프레임(224)과, 상기 외곽내측프레임(222)과 외곽외측프레임(224)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I)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내측프레임(222)과 외곽외측프레임(224)은 전체적으로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중앙프레임(210)과 같이, 상기 외곽내측프레임(222)과 외곽외측프레임(224)의 폭은 후측(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I)는,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 및 외곽외측프레임(224)의 냉기나 열기가,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 및 외곽내측프레임(222)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단열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열재(I)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 및 외곽외측프레임(224)과, 상기 중앙내측프레임(212) 및 외곽내측프레임(222)은 서로 완전히 이격되며, 이러한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 사이에 소정 크기의 단열재(I)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열재(I)는 상기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어, 외측프레임(214,224)과 내측프레임(212,222)을 서로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외곽외측프레임(224)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외측프레임(214)과 외곽외측프레임(224)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어셈블리(6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방충어셈블리(600)는, 벌레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충망 설치구조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테두리에는 브러시(4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는 좌우로 조립단(23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좌측과 우측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는 상기 조립단(230)이 수용되는 수용홈(13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홈(130)의 내면에는 전후로 브러시(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400)가 상기 조립단(230)에 접하여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패킹수단(300)은,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프레임(210)의 좌우 및 외곽프레임(2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수단(300)은,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상단과 하단에도 각각 설치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 그리고, 내부프레임(25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공기의 유동을 막게 된다.
상기 패킹수단(300)은, 상기와 같이 창틀프레임(200)의 각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패킹지지대(310)와 밀폐패킹(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지지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좌우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지지대(310)의 끝단에는, 꺽쇠 형상의 걸림고리(312)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지지대(310)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 및 ']' 형상의 걸림고리(312)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밀폐패킹(320)은,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킹지지대(310)의 전후 또는 좌우에 서로 대칭되도록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밀폐패킹(320)은, 상기 걸림고리(312)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부(322)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촉수부(324)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삽입부(322)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걸림고리(312) 전후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평판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촉수부(324)는, 상기 삽입부(322)로부터 '∪' 또는 '∩' 형상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촉수부(324)가 상기 외측창틀(12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접한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촉수부(324)가 상기 외측창틀(120)의 외면에 접하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방풍기능이 한층 향상된다.
한편, 상기 내측창틀(110)에는 상기 복합장치(500)의 설치를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내측창틀(11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에는, 고정단(112) 및 체결단(11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112)은, '『' 또는 '』' 형상으로 이루어져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수단(510)의 장착단(522)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단(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창틀(110)의 끝단으로부터 전후로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수단(510)의 패킹부(53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11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체결돌기(116)가 더 돌출되며, 이러한 체결돌기(116)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수단(510)의 패킹부(530)가 다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복합장치(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과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510)과,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수단(550)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는 상기 복합장치(500)의 분해사시도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은,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내측 상단과 하단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지지부(520)와, 상기 밀폐수단(5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패킹부(5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상단과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530)는 상기 지지부(5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수단(550)의 일단이 끼워져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520)의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이 상기 창틀프레임(200)에 탄성에 의해 장착되어 걸어지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장착단(522)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20)의 좌측단에는 'ㄴ'형상의 장착단(522)이 더 형성되어, 상기 내측창틀(110)에 형성되는 고정단(112)과 결합된다.
상기 패킹부(530)에는, 상기 밀폐수단(550)의 일단이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홈(532)이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킹부(530) 양단에는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가이드단(53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단(534)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슬라이딩홈(532)이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딩홈(532)에 아래에서 설명할 밀폐수단(550)의 지지편(55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밀폐수단(550)은,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의 슬라이딩홈(5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지는 지지편(552)과, 형상이 변경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부(554)와, 상기 접촉부(554)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 형상의 유지부(556)와, 상기 유지부(556)와 지지편(55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55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5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홈(53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554)는, 인접한 내측창틀(110)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 형상이 변경 가능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밀폐수단(550)이 모두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접촉부(554)만이라도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부(556)는, 상기 접촉부(554)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밀폐수단(550)이 고무와 같은 유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강도 보강을 위해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58)는, 상기 유지부(556)와 지지편(55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558)의 폭 크기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가이드단(53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에는 도 1의 B-B'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상하로 이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부와 상하단에 각각 창틀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는 내부프레임(250)이 구비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프레임(250)과 상단프레임(260) 및 하단프레임(270)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패킹수단(300)과 조립단(23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는, 창문(W)과 상하의 상부창틀(150) 및 하부창틀(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창틀(150) 및 하부창틀(160)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브러시(400) 등이 더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창틀프레임(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합장치(500)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에는 상기 밀폐수단(55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의 슬라이딩홈(532)에 상기 밀폐수단(550)의 지지편(552)을 길이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밀폐수단(550)과 이탈방지수단(510)의 조립이 완료되어 복합장치(5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합장치(500)를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내측창틀(110)에 삽입한다. 즉, 상기 복합장치(5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상단프레임(260)과 내부프레임(250)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270)과 내부프레임(250)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므로, 이러한 복합장치(500)를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 장착하면, 창문어셈블리(100,100')의 상하 유동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을 기울여 패킹부(530)가 상기 체결단(114)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내측창틀(110)의 외면과 체결돌기(116) 사이의 공간에 상기 패킹부(530)의 끝단이 위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의 패킹부(530)가 상기 내측창틀(1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520)의 장착단(522)이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고정단(112)을 통과한다. 즉, 외부로부터 강하게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을 내측창틀(110)에 밀착시키면, 상기 장착단(522)이 내측창틀(110)의 외면과 고정단(112) 사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복합장치(500)의 조립이 완료되며, 복합장치(500)의 이탈도 방지된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의 패킹부(530) 끝단은 상기 체결돌기(11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고, 다른 끝단의 장착단(522)은 상기 고정단(112)에 걸어져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단(522)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단(112)을 밀고 있으므로, 상기 복합장치(500)는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합장치(500)가 창문어셈블리(100,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창문어셈블리(100,100')를 모두 닫은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밀폐수단(550)에 의해 제1창문어셈블리(100)와 제2창문어셈블리(100') 사이의 공기 유동이 차폐되며, 상기 브러시(400)와 패킹수단(300) 등에 의해서는 외측창틀(120)과 창틀프레임(2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100'. 창문어셈블리 110. 내측창틀
120. 외측창틀 130. 수용홈
200. 창틀프레임 210. 중앙프레임
220. 외곽프레임 230. 조립단
300. 패킹수단 310. 패킹지지대
320. 밀폐패킹 400. 브러시
500. 복합장치 510. 이탈방지수단
550. 밀폐수단

Claims (5)

  1. 좌우로 유동하여 선택적으로 창을 개폐하는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와;
    상기 다수의 창문어셈블리(100,100')가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창틀프레임(200)과;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패킹수단(300)과;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창틀프레임(200)과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차단하는 브러시(400)와;
    상기 창문어셈블리(100,100')과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수단(510)과,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접한 창문어셈블리(100,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밀폐수단(550)이 구비되는 복합장치(500)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수단(300)은,
    상기 창틀프레임(200)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는 꺽쇠 형상의 걸림고리(312)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패킹지지대(310)와;
    상기 패킹지지대(310)의 전후 또는 좌우에 서로 대칭되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리(312)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부(322)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촉수부(324)가 구비되는 밀폐패킹(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은,
    상기 창틀프레임(200)의 내측 상단과 하단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지지부(520)와, 상기 밀폐수단(5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패킹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20)의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수단(510)이 상기 창틀프레임(200)에 탄성에 의해 장착되어 걸어지도록 하는 갈고리 형상의 장착단(5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530)에는,
    상기 밀폐수단(550)의 일단이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홈(53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55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지는 지지편(552)과;
    인접한 창틀(110)에 직접 접촉하며, 형상이 변경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부(554)와;
    상기 접촉부(554)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환형 형상의 유지부(556)와;
    상기 유지부(556)와 지지편(552)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5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5. 삭제
KR1020110018797A 2011-03-03 2011-03-03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KR10105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97A KR101053652B1 (ko) 2011-03-03 2011-03-03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797A KR101053652B1 (ko) 2011-03-03 2011-03-03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652B1 true KR101053652B1 (ko) 2011-08-02

Family

ID=4493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797A KR101053652B1 (ko) 2011-03-03 2011-03-03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79B1 (ko) * 2012-05-30 2013-02-25 (주) 일진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465549Y1 (ko) * 2012-10-12 2013-02-25 (주) 일진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0465825Y1 (ko) 2012-10-12 2013-03-13 (주) 일진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210055302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581A (ko) * 2006-09-25 2008-03-2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100006050U (ko) * 2008-12-05 2010-06-15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창틀 틈새 밀폐용 보조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581A (ko) * 2006-09-25 2008-03-2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100006050U (ko) * 2008-12-05 2010-06-15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창틀 틈새 밀폐용 보조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79B1 (ko) * 2012-05-30 2013-02-25 (주) 일진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465549Y1 (ko) * 2012-10-12 2013-02-25 (주) 일진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0465825Y1 (ko) 2012-10-12 2013-03-13 (주) 일진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210055302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2344812B1 (ko) * 2019-11-07 2021-12-29 주식회사 경연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KR101053652B1 (ko) 창문의 이탈방지 및 방풍기능이 구비된 창문설치구조
US10443234B2 (en) Curtain wall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101630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커튼월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582459B1 (ko)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101692385B1 (ko)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173170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KR101018004B1 (ko) 크린룸용 조립식 도어틀
KR20170131103A (ko) 창호 프레임 구조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273258B1 (ko) 추락 방지 및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KR101968694B1 (ko) 창문틀용 미세먼지망 고정 어셈블리
KR101226504B1 (ko) 조립식 안전 차단부재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KR101236979B1 (ko)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101813668B1 (ko) 창문틀용 미세먼지망 고정 어셈블리
KR101685608B1 (ko) 건물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이질재의 바를 개선한 커튼 월 시스템
KR200489546Y1 (ko)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200465825Y1 (ko)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