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785B1 -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785B1
KR101748785B1 KR1020150176355A KR20150176355A KR101748785B1 KR 101748785 B1 KR101748785 B1 KR 101748785B1 KR 1020150176355 A KR1020150176355 A KR 1020150176355A KR 20150176355 A KR20150176355 A KR 20150176355A KR 101748785 B1 KR101748785 B1 KR 10174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a
touch sensor
film
roll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담
박정훈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터치센서 공급롤, 롤 단위의 OCA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OCA 공급롤, 터치센서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OCA 필름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하는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 그리고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에 의해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합지하는 상하부 합지롤을 포함하고,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에 의한 상기 정렬은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OCA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정렬용 핀이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 터치센서와 OCA가 롤 상태에서 서로 합지됨으로써 종래에 시트 단위로 합지될 때에 비해 공정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AMINATING A TOUCH SENSOR AND OCA}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시에 터치센서와 OCA를 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스크린의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 위치를 인지하여 시스템에 전달하는 입력장치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SAW(Surface Acoustic Wave) 방식, 적외선(IR) 방식, 광학(Optical) 방식 등으로 분류되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는 대부분 정전용량 방식이 사용된다.
정전용량 방식은 베이스 기판(PET 등의 투명필름이나 글래스)에 ITO(Indium Tin Oxide)층이 코팅되어 있는 ITO 필름에서 ITO층에 투명전극을 형성하여 일정량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터치할 때 생기는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ITO 필름에 손가락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된 것을 터치센서라 한다. ITO 필름에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하여 터치센서로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GFF 방식, GF2 방식, GF1 방식이 있다.
GFF 방식은 Rx 센서와 Tx 센서를 단면 ITO 필름 두 장에 각각 따로 패터닝하여 Rx 터치센서와 Tx 터치센서를 생성하고, 이 두 장의 터치센서들을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으로 합착하는 방식이다.
GFF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Rx 터치센서와 Tx 터치센서를 OCA 필름으로 합착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하고, 강화유리 또는 PMMA 재질의 윈도우 형태로 만들어진 상판에 부착하며, 이와 같이 제작된 터치 패널에 제어 IC를 부착하여 이용자의 손이 터치 패널과 접촉할 때 미세 전하량 변화를 감지해 동작하게 된다.
도1은 종래의 GFF 방식 터치 패널 제조시의 합지공정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시트(sheet) 단위의 Rx 터치센서(112)와 시트 단위의 OCA(114)를 합지하고 시트 단위의 Tx 터치센서(116)와 시트 단위의 OCA(118)를 합지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Rx 터치센서(112)가 OCA(114)의 하부에 합지됨으로써 제1 합지시트(123)가 형성되고, Tx 터치센서(116)가 OCA(118)의 하부에 합지됨으로써 제2 합지시트(127)가 형성된다.
터치센서와 OCA는 애초에 롤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터치센서(112, 116)와 OCA(114, 118)의 합지단계(S110)가 수행되기 전에 롤 형태의 터치센서와 OCA를 시트 단위로 컷팅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제1 합지시트(123)와 제2 합지시트(127)가 형성되고 나면, 제1 합지시트(123)와 제2 합지시트(127)를 합지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제1 합지시트(123)의 하부에 제2 합지시트(127)가 합지됨으로써 GFF 방식 터치 패널(135)이 형성된다. GFF 방식 터치 패널(135)은 상부의 OCA(114)를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GFF 방식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 터치센서(112, 116)와 OCA(114, 118)의 합지단계(S110)가 시트 단위로 진행되었다. 그래서, 터치센서(112, 116)와 OCA(114, 118)의 합지단계(S110)를 수행하기 위한 시트 개별작업이 요구되었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GF2 방식은 Rx 센서와 Tx 센서를 양면 ITO 필름 한 장의 양쪽 면에 패터닝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방식이고, GF1 방식은 Rx 센서와 Tx 센서를 단면 ITO 필름 한 장의 한쪽 면에 패터닝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GF2 방식 및 GF1 방식에서는 그와 같이 제작된 터치 패널이 OCA를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판에 부착되고, 그러한 부착을 위해 터치 패널 제조시에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단계가 수행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GF2 방식 및 GF1 방식의 터치 패널 제조시에도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단계가 시트 단위로 진행되었다. 그래서, GFF 방식 터치 패널 제조시의 전술한 문제점들은 GF2 방식 및 GF1 방식의 터치 패널 제조시에도 적용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를 위한 공정수를 감소시켜서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터치센서 공급롤; 롤 단위의 OCA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OCA 공급롤; 상기 터치센서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OCA 필름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하는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에 의해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합지하는 상하부 합지롤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에 의한 상기 정렬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정렬용 핀이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OCA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OCA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지장치는 상기 상하부 합지롤에 의해 합지된 필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상하부 가이드롤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사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검사용 핀이 서로 맞물려 접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각각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려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사용 핀은 스프링에 의해 유격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지장치는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의 일 실시예는: 터치센서 공급롤이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고, OCA 공급롤이 롤 단위의 OCA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단계;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OCA 가이드롤이 상기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하부 합지롤이 상기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정렬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정렬용 핀이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OCA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OCA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지방법은 상하부 가이드롤이 상기 합지된 필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검사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검사용 핀이 서로 맞물려 접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각각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려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지방법은 제어부가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지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을 불량으로 판정하면, 상기 상하부 합지롤의 합지가 중단되고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제조시에 터치센서와 OCA가 롤 상태에서 서로 합지됨으로써 종래에 시트 단위로 합지될 때에 비해 공정 개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은 GFF 방식을 비롯하여 GF2 방식이나 GF1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필름 타입 터치 패널 제조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GFF 방식 터치 패널 제조시의 합지공정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요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터치센서 필름의 부분평면도이다.
도4는 도2의 OCA 필름의 부분평면도이다.
도5는 도2의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6은 도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800)의 일 실시예의 주요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지장치(800)는 롤투롤 합지장비이다. 합지장치(800)는 터치센서 공급롤(510), OCA 공급롤(610), 터치센서 박리롤(520), OCA 박리롤(620), 터치센서 가이드롤(530), OCA 가이드롤(630), 터치센서 스티키롤(Sticky Roll)(540), OCA 보조롤(640), 제1 상하부 합지롤(710-1, 710-2),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 제2 상하부 합지롤(730-1, 730-2), 합지필름 보조롤(740), 및 되감기롤(750)을 포함한다.
터치센서 공급롤(510)은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터치센서 공급롤(510)에는 터치센서 공급롤(51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제공된다.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은 센서가 패터닝되어 있는 센서면이 보호필름(210)으로 덮여있는데, 이 보호필름(210)은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의 권취해제 과정에서 박리되어 별도로 터치센서 박리롤(520)에 권취된다.
터치센서 공급롤(510)에 의해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2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의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이다.
도3은 도2의 터치센서 필름(220)의 부분평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터치센서 필름(220)에는 터치센서(202)들이 규칙적으로 패터닝되어 있다. 터치센서(202)들의 각각은 FPC 본딩 단자부(204)를 포함한다.
터치센서 필름(22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터치센서 필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이드홀(206)이 형성된다. 터치센서 필름(220)의 길이 방향은 합지장치(800)의 M.D (Machine Direction) 방향에 해당한다. 가이드홀(206)은 터치센서(202)의 패터닝시 형성된 정렬 마크(Align Mark)(208)를 기준으로 하여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으로 가공된다.
가이드홀(206)의 크기는 후술할 정렬용 핀(532) 및 검사용 핀(722-2)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렬용 핀(532, 632) 및 검사용 핀(722-1, 722-2)의 크기와 연계하여 설계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홀(206)의 직경은 2~4 mm 로 형성된다.
터치센서 필름(220)에서 가이드홀(206)들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M.D 방향 간격)은 거리 D1으로 일정하고 폭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T.D(Transverse Direction) 방향 간격)은 거리 D2로 일정하다.
터치센서의 모델별로 정렬 마크의 거리 및 노광시의 피딩 거리가 상이하므로, 거리 D1은 다양한 타입의 모델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거리 D1은 200~400 mm 로 형성된다. 거리 D1도 역시 다양한 타입의 모델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어, 거리 D2는 300~500 mm 로 형성된다.
가이드홀(206)의 가공장비로는 비젼 홀(Vision Hole) 가공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비젼 홀 가공장치는 터치센서(202)의 패터닝시 형성된 정렬 마크(208)를 인식하여 가이드홀(206)을 가공한다. 가공장비로는 레이저(Laser), 톰슨(Tomson), 오토 프레스(Auto Pre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OCA 공급롤(610)은 롤 단위의 OCA 필름(300)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OCA 공급롤(610)에는 OCA 공급롤(61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제공된다.
롤 단위의 OCA 필름(300)은 양면이 보호필름으로 덮여있는데, 이 보호필름들 중에서 터치센서 필름(200)과 접착될 쪽의 보호필름(310)은 롤 단위의 OCA 필름(300)의 권취해제 과정에서 박리되어 별도로 OCA 박리롤(620)에 권취된다.
OCA 공급롤(610)에 의해 공급되는 OCA 필름(320)은 터치센서 필름(220)과 서로 정렬된 상태로 합지되는 경우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과 겹쳐지게 되는 영역마다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이다.
도4는 도2의 OCA 필름(320)의 부분평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OCA 필름(320)의 가이드홀(306)은 터치센서 필름(220)에 가공된 가이드홀(206)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가공된다. OCA 필름(320)의 가이드홀(306)은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과 마찬가지로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으로 가공된다.
OCA 필름(320)에서는 터치센서 필름(220)의 터치센서 FPC 본딩 단자부(204)를 위한 영역(304)이 추가로 노출된다. 이 영역(304)은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이 서로 정렬된 상태로 합지되었을 때 OCA 필름(320)에서 터치센서 FPC 본딩 단자부(204)와 겹쳐지는 영역이다. 이 영역(304)의 노출은 가이드홀(306)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공된다.
OCA 필름(320)에 가이드홀(306)을 가공하는 공정은 터치센서 필름(220)에 가이드홀(206)을 가공했을 때 입력했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홀이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OCA 필름(320)에서 터치센서 FPC 본딩 단자부(204)를 위해 노출되는 영역(304)은 비젼 슬롯(Vision Slot) 장치를 이용해서 가이드홀(306)의 위치를 인식하여 가공될 수 있다. 가공장비로는 레이저(Laser), 톰슨(Tomson), 오토 프레스(Auto Pres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은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한다. 이 정렬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와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532, 632)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5는 도2의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측면도(a), 정면도(b), 및 사시도(c)이다. 도5를 참조하면,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외주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원주방향 간격은 터치센서 필름(220)에 형성된 가이드홀(206)들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M.D 방향 간격)인 D1으로 형성된다.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들 사이의 폭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T.D 방향 간격)은 터치센서 필름(220)에 형성된 가이드홀(206)들 사이의 폭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T.D 방향 간격)인 D2로 형성된다.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회전에 따라 터치센서 필름(220)의 연속적인 가이드홀(206)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정렬용 핀(532)의 직경은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의 직경이 3 mm 인 경우에, 정렬용 핀(532)의 직경은 3 mm 보다는 작고 2.9 mm 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용 핀(532)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터치센서 필름(220)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높으면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렬용 핀(532)의 높이는 터치센서 필름(220)에 제대로 삽입되어 터치센서 필름(220)을 제대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정렬용 핀(532)의 높이 L은 3~4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용 핀(532)은 SUS(Steel Use Stainless)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은 OCA 가이드롤(630)의 외주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거리 D1을 간격으로 형성되고,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들 사이의 폭방향 간격(합지장치(800)의 T.D 방향 간격)은 D2로 형성되고,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은 OCA 가이드롤(630)의 회전에 따라 OCA 필름(320)의 연속적인 가이드홀(306)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 중의 적어도 하나는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정렬용 핀(532, 632)이 형성된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은,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의 합지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가공된 가이드홀(206, 306)을 기준으로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고, 합지작업의 진행중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의 정렬이 불량으로 판단되어 합지작업을 중단했을 때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과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이 각각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과 OCA 필름(320)의 가이드홀(306)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터치센서 스티키롤(Sticky Roll)(540)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에 의해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의 센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터치센서 필름의 텐션을 유지하고 터치센서 필름의 센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OCA 보조롤(640)은 OCA 가이드롤(630)에 의해 가이드된 OCA 필름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OCA 필름의 텐션을 유지한다.
제1 상하부 합지롤(710-1, 710-2)은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합지한다. 제1 상부 합지롤(710-1)과 제1 하부 합지롤(710-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사이로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통과시키면서 합지한다.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은 제1 상하부 합지롤(710-1, 710-2)에 의해 합지된 필름(400)을 가이드하면서 합지된 필름(400)에서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의 정렬상태를 검사한다. 이 검사는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의 검사용 핀(722-1, 722-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은 상부 가이드롤(720-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거리 D1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하부 가이드롤(720-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거리 D1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6은 도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려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롤(720-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합지된 필름(400)을 사이로 통과시킨다.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과 OCA 필름(320)의 가이드홀(306)은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이 서로 정렬된 상태로 합지된 경우에는 겹쳐져서 통합 가이드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그러한 통합 가이드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서로간의 간섭에 의해 터치센서 필름(220)의 터치센서(202)가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스프링(724-1, 724-2)에 의해 유격조정이 가능하다.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B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형성된다. 합지장치(800)는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합지된 필름(400)에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이 제대로 정렬되어 터치센서 필름의 가이드홀(206)과 OCA 필름의 가이드홀(306)이 제대로 겹쳐지면 터치센서 필름의 가이드홀(206)과 OCA 필름의 가이드홀(306)에 의해 통합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그러한 통합 가이드홀을 관통하면서 서로 맞물려 접촉하게 되며,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이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부는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이 정렬되었다고 판단하고, 합지장치(800)는 합지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이 제대로 정렬되지 않아서 통합 가이드홀이 형성되지 않으면,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서로 맞물려 접촉해야 할 타이밍에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고,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은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할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하지 않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부는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불량으로 판단한다.
제어부는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의 정렬을 불량으로 판정하면 합지장치(800)의 합지작업을 중단시킨다. 합지가 중단되면,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은 합지장치(800)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의 지시에 의해 기계적 전자적 메커니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가이드롤(720-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은 각각 상하로 이동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롤(720-1)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하부 가이드롤(720-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에 의한 정렬상태 검사가 수행될 수 없다. 제어부는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을 주기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에 의한 정렬상태 검사가 주기적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제2 상하부 합지롤(730-1, 730-2)은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에 의해 가이드된 필름을 재차 합지하여 합지의 확실성을 강화한다. 제2 상하부 합지롤(730-1, 730-2)에 의해 재차 합지된 필름은 합지필름 보조롤(740)를 통해 텐션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을 전환한 후 되감기롤(750)에 권취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지방법은 터치센서 공급롤(510)에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을 장착하고 OCA 공급롤(610)에 롤 단위의 OCA 필름(300)을 장착한 후에 터치센서 필름(220)의 가이드홀(206)을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에 걸어맞추고 OCA 필름(320)의 가이드홀(306)도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에 걸어맞춰서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의 정렬을 맞춘 상태에서 시작된다.
도7을 참조하면, 터치센서 공급롤(510)은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고, 동시에 OCA 공급롤은 롤 단위의 OCA 필름(300)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한다(S810).
이 때,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200)의 센서면을 덮고 있던 보호필름(210)은 박리되어 별도로 터치센서 박리롤(520)에 권취되고, 롤 단위의 OCA 필름(300)에서 터치센서 필름(200)과 접착될 쪽을 덮고있던 보호필름(310)도 박리되어 별도로 OCA 박리롤(620)에 권취된다.
이어서,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은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정렬한 상태로 가이드한다(S820). 이러한 가이드중에,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정렬용 핀(532)은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의 회전에 따라 터치센서 필름(220)의 연속적인 가이드홀(206)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OCA 가이드롤(630)의 정렬용 핀(632)은 OCA 가이드롤(630)의 회전에 따라 OCA 필름(320)의 연속적인 가이드홀(306)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터치센서 가이드롤(530)에 의해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은 터치센서 스티키롤(Sticky Roll)(540)을 거치게 되고, 터치센서 스티키 롤(540)은 터치센서 필름의 센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터치센서 필름의 텐션을 유지하고 터치센서 필름의 센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OCA 가이드롤(630)에 의해 가이드된 OCA 필름은 OCA 보조롤(640)을 거치게 되고, OCA 보조롤(640)은 OCA 필름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OCA 필름의 텐션을 유지한다.
이어서, 제1 상하부 합지롤(710-1, 710-2)은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합지한다(S830).
이어서,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은 합지된 필름(400)을 가이드하면서 합지된 필름(400)에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의 정렬상태를 검사한다(S840). 이 검사는 상하부 가이드롤(720-1, 720-2)의 검사용 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어부는 합지된 필름(400)에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50). 이 판단은 상부 가이드롤(720-1)의 검사용 핀(722-1)과 하부 가이드롤(720-2)의 검사용 핀(722-2)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어부가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의 정렬을 불량으로 판정하면(S860), 제1 상하부 합지롤(710-1, 710-2)은 합지를 중단한다(S870). 이 중단은 제어부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지가 중단되면, 터치센서 필름(220)과 OCA 필름(320)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터치센서 가이드롤(530)과 OCA 가이드롤(630)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독립적으로 회전한다(S880). 이러한 회전은 합지장치(800)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의 지시에 의해 기계적 전자적 메커니즘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가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을 정상으로 판단하면, 합지장치(800)는 합지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상으로 판정된 필름이 제2 상하부 합지롤(730-1, 730-2)에 의해 재차 합지되고 합지필름 보조롤(740)를 통해 텐션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이 전환된 후 되감기롤(750)에 권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2: 시트 단위의 Rx 터치센서 114: 시트 단위의 OCA
116: 시트 단위의 Tx 터치센서 118: 시트 단위의 OCA
123: 제1 합지시트 127: 제2 합지시트
135: GFF 방식 터치패널 200: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
202: 터치센서 204: FPC 본딩 단자부
206: 가이드홀 208: 정렬 마크
210: 보호필름 220: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
300: 롤 단위의 OCA 필름 304: 노출영역
306: 가이드홀 310: 보호필름
320: 공급되는 OCA 필름 400: 합지된 필름
510: 터치센서 공급롤 520: 터치센서 박리롤
530: 터치센서 가이드롤 532: 정렬용 핀
540: 터치센서 스티키롤 610: OCA 공급롤
620: OCA 박리롤 630: OCA 가이드롤
632: 정렬용 핀 640: OCA 보조롤
710-1: 제1 상부 합지롤 710-2: 제2 하부 합지롤
720-1: 상부 가이드롤 720-2: 하부 가이드롤
722-1, 722-2: 검사용 핀 724-1, 724-2: 스프링
730-1: 제2 상부 합지롤 730-2: 제2 하부 합지롤
740: 합지필름 보조롤 750: 되감기롤

Claims (12)

  1.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터치센서 공급롤;
    롤 단위의 OCA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OCA 공급롤;
    상기 터치센서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공급롤에 의해 공급된 OCA 필름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하는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로서, 상기 정렬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정렬용 핀이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 및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 및 OCA 가이드롤에 의해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합지하는 상하부 합지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OCA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OCA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합지롤에 의해 합지된 필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상하부 가이드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검사용 핀이 서로 맞물려 접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각각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려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핀은 스프링에 의해 유격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7. 터치센서 공급롤이 롤 단위의 터치센서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고, OCA 공급롤이 롤 단위의 OCA 필름을 권취해제하여 공급하는 단계;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OCA 가이드롤이 상기 공급되는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정렬하여 각각 가이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렬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정렬용 핀이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하부 합지롤이 상기 가이드된 터치센서 필름과 OCA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OCA 가이드롤의 정렬용 핀은 상기 OCA 가이드롤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하부 가이드롤이 상기 합지된 필름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에 각각 형성된 검사용 핀이 서로 맞물려 접촉하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각각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롤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려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은 서로 맞물려 접촉했을 때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합지된 필름에서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이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과 상기 하부 가이드롤의 검사용 핀이 전기적으로 도통해야 하는 타이밍에 전기적으로 도통했는지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의 정렬을 불량으로 판정하면, 상기 상하부 합지롤의 합지가 중단되고 상기 터치센서 필름과 상기 OCA 필름을 서로 정렬하기 위해 상기 터치센서 가이드롤과 상기 OCA 가이드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방법.
KR1020150176355A 2015-12-10 2015-12-10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KR10174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355A KR101748785B1 (ko) 2015-12-10 2015-12-10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355A KR101748785B1 (ko) 2015-12-10 2015-12-10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785B1 true KR101748785B1 (ko) 2017-06-21

Family

ID=5928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355A KR101748785B1 (ko) 2015-12-10 2015-12-10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04B1 (ko) 2022-05-26 2023-06-05 주식회사 내산 툴마킹이 제거된 광학용 양면테이프의 이형필름 교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65B1 (ko) 2014-05-16 2014-11-12 에스맥 (주) 터치 스크린 패널 제작용 라미네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65B1 (ko) 2014-05-16 2014-11-12 에스맥 (주) 터치 스크린 패널 제작용 라미네이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04B1 (ko) 2022-05-26 2023-06-05 주식회사 내산 툴마킹이 제거된 광학용 양면테이프의 이형필름 교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35B1 (ko) 위치 보정 장치 및 광학 필름 첩부 시스템
TWI621579B (zh) 光學膜連續供給裝置以及光學膜連續供給方法
CN105321866B (zh) 向挠性薄膜结构的显示元件贴合光学功能膜的方法
EP224424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unit and manufacturing system of optical display unit
TWI638995B (zh) 缺陷檢查裝置、光學部件之製造系統及光學顯示裝置之生產系統
JP2008526042A (ja) レーザ切断を用いるウェブの位置合わせラミネーション
TWI693999B (zh) 對觸控感測器單元貼附光學膜之方法
WO2014077040A1 (ja) 光学的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5954549B2 (ja) 可撓性薄膜構造の表示セルを取り扱う方法
TWI471772B (zh) 觸控面板之自動化製程
CN103035552B (zh) 异物检查装置及半导体制造装置
KR101713880B1 (ko) 필름 텐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시스템
KR20150017663A (ko) 광학 부재의 검사 방법, 광학 제품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부재의 검사 장치
KR101748785B1 (ko) 터치센서와 oca의 합지장치 및 합지방법
JP2012194475A (ja)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040914A (ja) 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5321835B (zh) 挠性薄膜结构的显示元件的光学检查方法及虚拟端子单元
TW201512711A (zh) 光學組件貼合體之製造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4130286A (ja) 光学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JP6161853B1 (ja) 位置補正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貼付システム
KR10169701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49718B1 (ko) 라미네이팅 장치
US20150059161A1 (en) Touch panel producing method
CN110226191B (zh) 输送具有切缝的长条的光学薄膜的输送装置和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系统
KR101236698B1 (ko) 다열 라미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