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461B1 - 모발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461B1
KR101747461B1 KR1020127008882A KR20127008882A KR101747461B1 KR 101747461 B1 KR101747461 B1 KR 101747461B1 KR 1020127008882 A KR1020127008882 A KR 1020127008882A KR 20127008882 A KR20127008882 A KR 20127008882A KR 101747461 B1 KR101747461 B1 KR 10174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mponent
polyethylene glycol
hair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122A (ko
Inventor
이즈미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 (C) 양성 계면활성제와, (D)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티렌에테르(60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0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및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HLB 3 내지 17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 세정제 조성물{HAIR CLEANS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거품 일어남이 빠르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을 억제하고,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여성의 모발은, 청결 지향 및 멋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수반하여, 매일 세발이나 스타일링, 드라이어 등에 의한 물리적 손상이나 염모(染毛), 브리지, 파마 처리 등에 의한 화학적 손상을 받기 쉬워지고 있다. 손상된 모발의 부적당한 점으로서, 샴푸를 헹군 때에 뻑뻑한 느낌이 강해지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매끄러움의 열화, 머리 빗기의 열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적당한 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샴푸 조성물 중에 린스 성분인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나 고급 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모발을 헹군 때에 그 액정(液晶)(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및 고급 알코올의 회합체)가 모발에 흡착하여 매끄러움을 발현하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을 억제하고, 매끈매끈한 감촉을 주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내지 2 참조). 그러나, 이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계에서는,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아니온-카티온 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많으면(약 5질량% 이상이면) 분리되기 쉽고, 거품일기가 나빠지는 점이 문제였다.
또한, 상기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나 고급 알코올을 배합한 모발 세정제는, 헹굼시의 매끄러움이라는 컨디셔닝성에 우수한 것이지만,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으로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인 모발 세정제에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종래에서의 샴푸 조성물의 거품의 개질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의 알칸올아미드, 모노글리세라이드, 각종의 이온성 폴리머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다량으로 배합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또한, 충분히 효과를 갖는 정도의 양을 배합하면, 반복 세발하는 중에, 끈적거림이나 고분자 특유의 따딱함이나 뻣뻣함이 발생하는 등의 점에서 문제였다.
따라서 거품 일어남이 빠르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 있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분리 안정성이 좋은 모발 세척 조성물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30746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1-31109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4-292387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서의 상기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거품 일어남이 빠르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 있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분리 안정성이 좋은 모발 세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A)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 (C) 양성(兩性) 계면활성제와, (D)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티렌에테르(60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0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및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HLB 3 내지 17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거품 일어남이 빠르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 있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분리 안정성이 좋은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종래,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점도 조정제로서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예를 들면,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주 주식회사 : 「아미노 포머(등록상표) 기술 정보(증점성)」 참조), 상기 2쇄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킴에 의해 우수한 거품일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자에 의한 새로운 지견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한 상기 지견에 의거한 것이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A)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 (C) 양성 계면활성제와, (D)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티렌에테르(60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0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및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HLB 3 내지 17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2> (D)성분을 0.05질량% 내지 2질량%함유하고,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의 배합비가, 질량비로, [(A)+(B)]/(D)=4 내지 170인 상기 <1>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3> (A)성분 및 (B)성분의 배합비가, 질량비로, (B)/(A)=1.5 내지 6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4> (E) 실리콘유 및 상온하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또한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5> (A)성분이,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제 4급 암모늄염,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 아민형 계면활성제,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 및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종이며, (C)성분이, 알킬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드베타인형 활성제, 술포베타인형 활성제,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활성제, 포스포베타인형 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노프로피온산형 활성제, 및 아미노산형 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6> 실리콘유의 동점도가 25℃에서 500만㎟/s 이상인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7> (A)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 내지 5질량%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8> (B)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10질량%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9> (C)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 내지 20질량%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서의 상기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거품 일어남이 빠르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 있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분리 안정성이 좋은 모발 세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적어도 (A)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 (C) 양성(兩性) 계면활성제와, (D) 특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필요에 응하여, 또한 (E) 실리콘유 및 상온하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의
적어도 어느 하나 및 기타의 성분을 함유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A)성분 :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A)성분은,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을 억제하고,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A)성분으로서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탄소수 12 이상의 탄화 수소기를 갖는 카티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의 탄소수가 12 미만이면, 피부 자극이 있고,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의 회합체(액정) 형성이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들의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탄소수 12 이상의 탄화 수소기를 갖는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O-, -CONH-, -COO- 등의 관능기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2에는, -CONH-, -COO- 등의 관능기의 탄소수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수 12 이상의 탄화 수소기를 갖는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하기 일반식(4), (6), 및 (8)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제 4급 암모늄염,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 아민형 계면활성제,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알맞게 사용된다.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상기 알킬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젖산염, 호박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지방산염, 피로글루타민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알킬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 제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A)성분은, 통상, 염의 형태로 함유된다.
[화학식 7]
Figure 112012027510237-pct00007
상기 일반식(3)중, R3 및 R4의 적어도 하나는,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R3 및 R4은, 직쇄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3 및 R4의 한쪽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라도 좋다. 상기 R3 및 R4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R3 및 R4의 탄소수로서는, 상기 R3 및 R4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12 내지 28이 바람직하고, 16 내지 24가 보다 바람직하고, 22가 더욱 바람직하다.
R5 및 R6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Z-는, 아니온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CH3SO4 -, C2H5SO4 -, Cl-, B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알킬 제 4급 암모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등울 들 수 있다.
-제 4급 암모늄염-
상기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알맞게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112012027510237-pct00008
상기 일반식(4)중, R7은,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나 내지 3개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상기 R7의 탄소수로서는, 12 내지 26이 바람직하다.
R8은, 메틸기, 에틸기, 및 탄소수 1 내지 4의 히드록시알킬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R8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상기 R7 및 R8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X-는, 아니온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CH3SO4 -, C2H5SO4 -, Cl-, Br-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하나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12027510237-pct00009
상기 일반식(5)중, R9은, 직쇄 또는 분기쇄의, 탄소수 9 내지 23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R9은, 직쇄의 탄소수 13 내지 21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9은,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등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2개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0
상기 일반식(6)중, R7, R8, 및 X-는, 상기 일반식(4)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R7 및 R8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2개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1]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1
상기 일반식(7)중, R9은, 상기 일반식(5)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R9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R9은, 직쇄의 탄소수 13 내지 21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9은,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등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3개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2
상기 일반식(8)중, R7, R8, 및 X-는, 상기 일반식(4)중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R7 및 R8은,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3개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3]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3
상기 일반식(9)중, R9은, 상기 일반식(5)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R9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R9은, 직쇄의 탄소수 13 내지 21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9은,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등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3) 내지 (9)중의 R7, R8, R9, 및 X-와, 다른 식 중의 R7, R8, R9, 및 X-는 각각 독립이다.
상기 R9은, 탄소수 10 내지 24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이고,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직쇄 지방산, 분기 지방산의 어느 하나로부터 유도되는 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R9가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 시스체와 트랜스체가 존재한다. 상기 시스체와 트랜스체의 비율(시스체/트랜스체)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질량비로, 25/75 내지 80/20이 바람직하고, 40/60 내지 80/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R9의 것이 되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라우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부분 수첨 팜유지방산(요오드화 10 내지 60), 부분 수첨 우지지방산(요오드화 10 내지 6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스테아린산 등이 바람직하고, 식물 유래의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등을 소정량 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조합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포화 지방산/불포화 지방산)이, 질량비로, 95/5 내지 50/50이고, 시스체와 트랜스체의 비율(시스체/트랜스체)이, 질량비로, 40/60 내지 80/20이고, 탄소수 18의 비율이, 60질량% 이상이고, 탄소수 20의 지방산을 2질량% 이하, 탄소수 22 지방산을 1질량% 이하가 되도록 조제한 지방산 조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하나 내지 3개 포함하는 제 4급 암모늄염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지방산 조성물 또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조성물과, 트리에탄올아민과의 축합 반응, 계속해서 디메틸황산 등의 4급화 시약에 의한 4급화 반응에 의해 합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
상기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4
상기 일반식(10)중, R10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상기 R10의 탄소수로서는, 11 내지 27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3이 보다 바람직하고, 21이 더욱 바람직하다.
R1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다.
n은, 2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야자유지 지방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통상, 상술한 각종 염의 형태로 함유된다. 이들 중에서도, 산성 아미노산염, 구연산염, 염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화에 사용되는 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아민형 계면활성제-
상기 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등울 들 수 있다.
상기 아민형 계면활성제는, 통상, 염의 형태로 함유된다. 이들 중에서도, 산성 아미노산염, 구연산염, 염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중화에 사용되는 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
상기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으로서는, 하기 일반식(11)으로 표시되는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5]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5
상기 일반식(11)중, R12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
상기 R12의 탄소수로서는, 11 내지 27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21이 보다 바람직하다.
A는, 직쇄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니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A의 탄소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6이 보다 바람직하다.
t는, 1 내지 5의 정수이고, t가 2 이상인 경우, 각 블록 중의 A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R12로서는, 예를 들면, C11H23 -C12H25 -, C13H27 -, C14H29 -, C15H31 -, C16H33 -, C17H35-, (C8H17)2CH-, 4-C2H5C15H3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1)중의 치환기가 되는 A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이소프로필렌기, 2-펜텐일기, 2-에틸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1)으로 표시되는 구아니딘 유도체는, 통상, 상술한 각종 염의 형태로 함유된다. 이들 중에서도, 염산염, 브롬산염, 아세트산염, 글리콜산염, 구연산 및 산성 아미노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모노-N-장쇄(탄소수 12 내지 22)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저급(탄소수 1 내지 8)알킬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를 구성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르니틴, 리신, 아르기닌 등의 천연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α, γ-디아미노낙산과 같은 합성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광학 활성체라도 좋고, 라세믹체라도 좋다.
상기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의 아실기로서는, 탄소수가 12 내지 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급지방산 잔기이다. 상기 아실기는, 천연의 것이라도 좋고, 합성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실기는, 예를 들면, 라우로일기, 미리스틸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등의 단일 지방산 잔기 ; 야자유 지방산 잔기, 우지 고급지방산 잔기 등의 천연의 혼합 고급지방산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급 알킬 에스테르 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펜틸에스테르, 헥실에스테르, 헵틸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급 알킬에스테르 성분은, 통상, 염의 형태로 함유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젖산염, 호박산염, 주석산염, 구연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지방산염, 피로글루타민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염산염, L- 또는 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산성 아미노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으로서는, 상술한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분자 내에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제 4급 암모늄염,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 아민형 계면활성제, 구아니딘 유도체 내지 그 염, 및 아미노산형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의 중에서도, 알킬 제 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고,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이,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상기 (A)성분의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0.5질량%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 있고,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의 매끄러움을 부여한 관점에서, 1질량% 내지 4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 미만이면, 거품일기의 빠름이 뒤떨어지고, 충분한 거품의 양을 얻을 수가 없고,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가 없는 것이 있고, 5질량%를 초과하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이 저하되고, 분리 안정성이 뒤떨어지는 일이 있다.
<(B)성분 :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
상기 (B)성분은,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이고,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B)성분이,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이면,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 상기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12)으로 표시되는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6]
Figure 112012027510237-pct00016
상기 일반식(12)중, R13은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 내지 22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및 알켄일기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R13은, 직쇄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탄소수가 12 미만이면, 분리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일반식(12)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2-헥실데실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실알코올, 아라킬알코올, 베헤닐알코올 경화 유채유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엘라이디일알코올, 리노레일알코올, 카르나우빌알코올, 세릴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분리 안정성의 관점에서, 직쇄의 탄소수 16 내지 22의 알코올(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거품의 양,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 분리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4질량% 내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 분리 안정성 등을 부여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10질량%를 초과하면, 건조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 및 푸석거리지 않음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배합비((B)/(A))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질량비로, 1 내지 7이 바람직하고,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의 관점에서, 1.5 내지 6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1 미만이면, 모발의 매끄러움, 분리 안정성 등을 부여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7을 초과하면, 건조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가 없는 것에 더하여, 분리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C)성분 : 양성 계면활성제>
상기 (C)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킬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드베타인형 활성제, 술포베타인형 활성제,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활성제, 포스포베타인형 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활성제, 아미노프로피온산형 활성제, 아미노산형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라우린산형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C)성분의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5질량%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건조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등의 관점에서, 8질량% 내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C)성분은, 5질량% 미만이면, 세정제 성능으로서 주목적인 거품일기가 저하되기 때문에, 모발에 거품이 골고루 미치지 않고, 건조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등을 부여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C)성분이, 20질량%를 초과하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 분리 안정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D)성분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D)성분은, 주로, 거품일기의 빠름의 향상, 거품의 양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부여된다.
상기 (D)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티렌에테르(60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0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및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HLB 3 내지 17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상기 (D)성분은, 분자 내 2개소에,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불포화 또는 분기쇄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2쇄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또한, 해당 탄화수소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D)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틸렌에테르(60EO, HLB17, 엘파코스GT282S(라이온 아크조 주식회사제), 일본 에멀션 주식회사제로는,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HLB=7, EMALEX300di-L),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HLB=8, EMALEXDEG-di-L),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HLB=10, EMALEX600di-L),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HLB=12, EMALEX1000di-L),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HLB=3, EMALEXTEG-di-S),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HLB=8, EMALEX600di-S),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HLB=8, EMALEX600di-ISEX),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HLB=8, EMALEX600di-O)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HLB는, 3 내지 17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분리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7 내지 17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HLB가, 3 미만이면, 거품일기의 빠름, 분리 안정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17을 초과하면,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을 부여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D)성분의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0.05질량% 내지 2질량%가 바람직하고,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등의 관점에서, 0.2질량% 내지 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D)성분이, 0.05질량% 미만이면,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등을 부여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2질량%를 초과하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분리 안정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의 배합비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질량비로, [(A)+(B)]/(D)=4 내지 170이 바람직하고, 8 내지 43이,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등의 관점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A)+(B)]/(D))가, 4 미만이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분리 안정성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170을 초과하면,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D)성분은, 상기 (A)성분과 상기 (C)성분과의 미셀 형성을 치밀히 하고, 계(系)를 안정화시키고 있음과 함께, 거품일기의 빠름나 거품의 양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추찰된다.
상기 (D)성분의 HLB는, 이하에 나타내는 「가와가미(川上)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HLB 값=7+11.7log(Mw/Mo)
(Mw는, (D)성분의 친수 부분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Mo는, (D)성분의 친유 부분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E)성분 : 실리콘유, 상온하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
(E)성분은, 주로, 건조 후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이 억제하고,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성분은, 실리콘유 및 상온하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실리콘유-
상기 실리콘유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고중함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그 에멀션, 아미노 검 실리콘 종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중함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그 에멀션의 동점도(動粘度)로서는,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함을 억제하고,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점에서, 500만㎟/s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만㎟/s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중함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그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기 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 실란올기 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디메틸실록산중, 25℃에서의 동점도가 500만㎟/s 이상의 것 및 그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리콘유는, 다른 실리콘 화합물(예를 들면, 저동점도의 디메틸폴리실록산, 환상 실리콘, EO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콘유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에멀션 A(일방사 유지 공업 주식회사제 : 실리콘 에멀션(6), 디메틸실리콘 동점도 1,000만㎟/s, 고형 환산 60질량%), 실리콘 에멀션 B(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 KM-903, 실리콘오일 디메틸실리콘, 동점도 2,000만㎟/s, 고형 환산 60질량%)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 검 실리콘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고중함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X-52-2328 :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고형분 12질량%), 고중함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X-52-2362 :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고형분 12질량%), KF-8017(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 고형분 10질량%), KF-8018(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 고형분 10질량%), KF-8020(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 : 고형분 20질량%) 등을 들 수 있다.
동점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g/100㎖ 농도의 실리콘의 톨루엔 용액을 조제하고, 하기 계산식(1)에 의해, 비점도(ηsp)(25℃)를 구한다. 다음에 하기 계산식(2)에 나타내는 Huggins의 관계식에 대입하여, 고유점도[η]를 구한다. Huggins 정수는 나카무다, 일화, 77 588[1956]에 기재된 것을 이용한다. 다음에, [η]를 하기 계산식(3)에 나타내는 A. Kolorlov의 식에 대입하고, 분자량을 구한다. 마지막으로, M을 하기 계산식(4)에 나타내는 A. J. Barry의 식에 대입하여, 실리콘의 동점도(η)를 구할 수 있다.
ηsp=(η/η0)-1 … 계산식(1)
ηsp=[η]+K'[η]2 … 계산식(2)
[η]=0.215×10-4M0 .65 … 계산식(3)
logη=1.00+0.0123M0 .5 … 계산식(4)
상기 계산식(1)중, η0은, 톨루엔의 점도, η은, 용액의 점도를 나타낸다.
상기 η0 및 η은, 화장품 원료 기준 일반 시험법 점도 측정법 제 1 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액상 에스테르유-
상기 상온(15℃ 내지 25℃)에서 액상의 에스테르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카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젖산 옥틸도데실, 라우린산 헥실, 옥탄산 미리스틸, 옥탄산 팔미틸, 옥탄산 스테아릴, 이소옥탄산 세틸,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트리데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미리스틴산 2-옥틸도데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스테아린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 옥틸, 팔미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세틸, 스테아린산 메틸, 스테아린산 부틸, 스테아린산 헥실, 스테아린산 옥틸,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 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옥틸, 올레인산 에틸, 올레인산 올레일,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에이코센산 옥틸,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리놀산 에틸, 리놀산 이소프로필, 호박산 디옥틸, 호박산 디에톡시에틸,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다이머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 디에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구연산 트리2-에틸헥실, 아디핀산 2-헵틸운데실, 호박산 디에톡시에틸, 카프릴산 프로필헵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E)성분은, 이들 중에서도, 모발의 매끄러움,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등의 관점에서, 동점도가 500만㎟/s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1,000만㎟/s 이상의 실리콘 에멀션(6), 아미노 검 실리콘(X=52-2362), 및 카프릴산 프로필헵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E)성분의 사용 형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일,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E)성분의 에멀션화에 있어서의, 유화제나 유화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E)성분의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0.1 질량 내지 3질량%가, 모발의 매끄러움,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0.1 질량 내지 2.5질량%가,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이 향상한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E)성분이, 0.1질량% 미만이면, 건조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매끄러움 등의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3질량%를 초과하면,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기타의 성분>
상기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반적인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범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 성분, 향료, 향료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 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등의 탄화 수소 ; 동백나무유, 아몬드유, 호호바유 등의 식물유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E)성분을 제외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D)성분을 제외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1쇄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몰식자산 유도체, 글리신, 세린, 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 ; 피롤리돈카르본산 및 염, 생약, 비타민,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글리시레틴산 등의 소염제 ; 피록톤올라민, 징크피리티온 등의 비듬 멈춤제 ;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 등의 살균제 ; 타르 색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에탄올 등의 용제 ; 아크릴산형 폴리머 등의 아니온성 폴리머 ; 비닐피롤리돈형 폴리머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 염화 디알릴디메틸암모늄/아크릴산 등의 양성 폴리머 ;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구아고무 등의 카티온성 폴리머 ; 무수 실리카, 마그네시아실리카 등의 무기 분체 ;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유기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첨가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향료, 향료 조성물로서는, 일본 특개2003-300811호 공보의 단락 번호[0021] 내지 [0035]에 기재한 향료 성분 등, 또한 단락 번호[0050]에 기재한 향료용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향료 조성물」이란, 상기한 향료 성분, 용제, 향료 안정화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향료용 용제의 함유량은, 향료 조성물 전량에 대해, 0.1질량% 내지 99질량%가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카테킨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안정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향료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00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0질량%1 내지 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0.005질량%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80℃의 탕욕중에서, 상기 (C)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수상(水相)으로 하고, 이 수상에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및 상기 (D)성분, 또한 필요에 응하여 상기 (E)성분을 포함하는 유상을 첨가하고, 균일 혼합한다. 그 후, 다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함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교반에 이용하는 장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교반자, 교반날개 등을 들 수 있다.
-pH-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pH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25℃에서, 5.0 내지 6.0이 바람직하다.
상기 pH는, 정제수로 10배에 희석한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pH미터(동아 디케케 주식회사제, HM-30G)를 이용하여 25℃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예를 들면, 소망하는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구연산, 호박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모노에탄올아민 등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컬러링이나 파마, 과도의 드라이어 건조의 반복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거품일기에 우수하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분리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표면 클렌징용 샴푸, 데미지 케어용 샴푸, 마일드 샴푸, 린스 인 샴푸 등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및 비교례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례에 있어서, 배합량은 순분(純分) 환산으로 나타낸다. 또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48, 비교예 1 내지 7)
표 1-1 내지 표 1-6 및 표 2-1 내지 표 2-3에 나타내는 조성(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의질량%를 나타낸다.)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얻어진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관능 평가 및 장기 보존 안정성 평가를 행하였다.
<제조 방법>
80℃의 탕욕 중에서, (C)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수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하고, (A)성분, (B)성분, 및 (D)성분(표 1-1 내지 표 1-6), 또한 (E)성분(표 2-1 내지 표 2-3)를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유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한 것을 상기 수상에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였다. 그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향료를 첨가 후, 균일 혼합하였다. 구연산은 pH 조정제로서 사용하여, 냉각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pH5.5로 조정하였다(pH 미터 : 동아 디케케 주식회사제, HM-30G, 측정 온도 : 25℃).
또한, 비교예 5 내지 7은, (D)성분에 대신하여, 표 1 내지 6에 나타내는 (D)성분의 비교 성분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E)성분에 있어서, 실리콘유 1은, 실리콘 에멀션 A(동점도 1,000만㎟/s의 디메틸실리콘 9% 함유, 일방사 유지 공업 주식회사제), 실리콘유 2(아미노 검 실리콘(아미노 프로필메틸시록산·디메틸시록산 공중합체)12%함유, 신에쓰 화학 주식회사제)를 나타낸다.
<관능 평가>
컬러링이나 파마 등의 화학 처리를 3개월 이내에 행하고, 세정제에 의한 세발 후, 모발에 매끄러움이 없고, 푸석거리기 쉽다고 느끼는 30대 내지 40대의 여성 20명을 피험자로 하여, 표 1-1 내지 표 1-6 및 표 2-1 내지 표 2-3에 표시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7일간 사용하고, 거품일기의 빠름, 거품의 양,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의 모발의 푸석거리지 않음 및 매끄러움에 관해, 각각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18명 내지 20명
◎ 내지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14명 내지 17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10명 내지 13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5명 내지 9명
× : 양호라고 회답한 물건이 0명 내지 4명
또한, 상기 평가 기준에서, 「양호」란, 모발이 푸석함이 없고, 매끈매끈한 것을 의미한다.
<장기 보존 안정성 평가>
표 1-1 내지 표 1-6 및 표 2-1 내지 표 2-3에 표시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50㎖을 유리 바이얼병에, 각각 약 40㎖ 충전하고, 50℃, 1개월간 보존하고, 외관에 의해 분리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외관에 변화가 없고, 분리가 인정되지 않는다
○ : 일부 색조에 불균일한 농담이 인정되지만, 분리는 인정되지 않는다
△ : 약간 분리가 인정된다
× : 분리가 인정된다
[표 1-1]
Figure 112015088064017-pct00028
[표 1-2]
Figure 112015088064017-pct00029
[표 1-3]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0
[표 1-4]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1
[표 1-5]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2
[표 1-6]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3
[표 2-1]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4
[표 2-2]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5
[표 2-3]
Figure 112015088064017-pct00036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컬러링이나 파마, 과도의 드라이어 건조의 반복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건조 후의 모발의 부시시함 및 푸석함을 억제하고,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거품일기에 우수하고, 헹굼시의 모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분리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표면 클렌징용 샴푸, 데미지 케어용 샴푸, 마일드 샴푸, 린스 인 샴푸 등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A)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또는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인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2 내지 24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과,
    (C) 아미드베타인형 활성제 또는 알킬베타인형 활성제인 양성(兩性) 계면활성제와,
    (D)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히드록시미리스티렌에테르(60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6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0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3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 및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12E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HLB 3 내지 17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A)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 내지 5질량%이고,
    (B)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10질량%이고,
    (D)성분의 함유량이, 0.05질량% 내지 2질량%이고,
    (A)성분, (B)성분, 및 (D)성분의 배합비가, 질량비로,
    [(A)+(B)]/(D)=4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 및 (B)성분의 배합비가, 질량비로,
    (B)/(A)=1.5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E) 실리콘유 및 상온하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실리콘유의 동점도가 25℃에서 500만㎟/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제 4급 암모늄염이,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17004378543-pct00037

    (단, 상기 일반식(3) 중, R3 및 R4의 적어도 하나는,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상기 R3 및 R4는,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R3 및 R4의 탄소수로서는, 상기 R3 및 R4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12 내지 28이다.
    R5 및 R6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Z-는, 아니온을 나타낸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Figure 112017004378543-pct00038

    (단, 상기 일반식(10) 중, R10은,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
    상기 R10의 탄소수는, 11 내지 27이다.
    R1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다.
    n은, 2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 아미드베타인형 활성제 또는 알킬베타인형 활성제인 양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및 라우린산 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알킬 제 4급 암모늄염 또는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인 카티온성 계면활성제가, 염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및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C)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 내지 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린스 인 샴푸 및 데미지 케어용 샴푸의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20127008882A 2009-09-28 2010-09-16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1747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22174 2009-09-28
JP2009222174A JP5550876B2 (ja) 2009-09-28 2009-09-28 毛髪洗浄剤組成物
PCT/JP2010/066053 WO2011037066A1 (ja) 2009-09-28 2010-09-16 毛髪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22A KR20120081122A (ko) 2012-07-18
KR101747461B1 true KR101747461B1 (ko) 2017-06-14

Family

ID=4379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882A KR101747461B1 (ko) 2009-09-28 2010-09-16 모발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50876B2 (ko)
KR (1) KR101747461B1 (ko)
CN (1) CN102573780B (ko)
HK (1) HK1168045A1 (ko)
WO (1) WO20110370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463A (ja) * 2003-03-26 2004-11-04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7145721A (ja) * 2005-11-24 2007-06-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515A (ja) * 1990-06-29 1992-02-28 Nippon Steel Chem Co Ltd 水稲育苗用成型培地
JP3468332B2 (ja) * 1996-03-29 2003-11-17 株式会社資生堂 洗浄料
JP2002003343A (ja) * 2000-06-26 2002-01-09 Shiseido Co Ltd 毛髪処理剤組成物
JP2002003891A (ja) * 2000-06-26 2002-01-09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3763727B2 (ja) * 2000-07-18 2006-04-05 ホーユー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4292390A (ja) * 2003-03-27 2004-10-21 Lion Corp 毛髪洗浄剤組成物
JP4337585B2 (ja) * 2004-03-10 2009-09-30 新日本理化株式会社 増粘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増粘剤組成物による増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463A (ja) * 2003-03-26 2004-11-04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7145721A (ja) * 2005-11-24 2007-06-1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22A (ko) 2012-07-18
JP5550876B2 (ja) 2014-07-16
JP2011068615A (ja) 2011-04-07
WO2011037066A1 (ja) 2011-03-31
HK1168045A1 (en) 2012-12-21
CN102573780A (zh) 2012-07-11
CN102573780B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2653B2 (en) Composition for cleaning scalp and head hair
JP4912483B2 (ja) 濃縮液状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9645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AU2007292797B2 (en) Skin or hair cleanser composition
JP4627333B2 (ja) 毛髪化粧料
JP2007254355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5748681B2 (ja) 透明液状洗浄料
JP5502408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13216639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5138478B2 (ja) 毛髪化粧料
JP2007084482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6298916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6334508B2 (ja) 粘性洗浄剤組成物
JP2008308415A (ja) 毛髪化粧料
JP2011105633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4790173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7161668A (ja) 毛髪化粧料
JP2016117692A (ja) 毛髪化粧料
KR101747461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JP2012116755A (ja) 水性毛髪化粧料
JP2014129242A (ja) 毛髪化粧料
JP2010013406A (ja) 毛髪化粧料
JP2010013404A (ja) 毛髪化粧料
JP2012167025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