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73B1 -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 Google Patents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73B1
KR101746773B1 KR1020160051745A KR20160051745A KR101746773B1 KR 101746773 B1 KR101746773 B1 KR 101746773B1 KR 1020160051745 A KR1020160051745 A KR 1020160051745A KR 20160051745 A KR20160051745 A KR 20160051745A KR 101746773 B1 KR101746773 B1 KR 10174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disposed
space
frame
pl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5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는, 수용공간에 도금용액을 수용하는 도금욕조; 및 상기 도금용액에 투입되는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Apparatus for supplying pating material and pl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금욕조에 효과적으로 도금원료를 공급 가능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에 관한 것이다.
용융도금설비는 스트립(strip)의 표면에 아연 등을 포함하는 도금용액을 도금하는 설비로서, 도금욕조에 수용된 도금용액에 스트립을 침지시킴으로써 스트립의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4685호(2005.06.2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욕조에 효과적으로 도금원료를 공급 가능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는, 수용공간에 도금용액을 수용하는 도금욕조; 및 상기 도금용액에 투입되는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도금원료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도금욕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에 배치되어 승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측 선단부에 배치되는 리미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출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원료 공급장치는 상기 승강유닛이 배치되는 투입공간 및 상기 도금용액에 피도금재가 침지되는 침지공간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차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입공간 내의 도금용액은 상기 차단프레임에 형성된 공급홀을 통해 상기 침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홀은 도금욕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프레임은 상기 투입공간에 대향되는 상기 차단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투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보조차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차단프레임은 상기 공급홀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설비는, 수용공간에 도금용액을 수용하는 도금욕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도록 상기 피도금재를 이동시키는 씽크롤; 상기 도금용액에 투입되는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피도금재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도금욕조의 일측벽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용액은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도금욕조의 일측벽과 대향되는 상기 도금욕조의 타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도금욕조의 타측벽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보조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커버프레임은 상기 유입홀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는, 승강유닛에 의해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도금원료가 직접 도금욕조의 하부면에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바, 도금원료가 도금용액 내에서 하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유물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는, 차단프레임을 포함하여 도금원료가 투입됨에 따라 도금용액 내에서 부상되는 부유물이 씽크롤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는, 내부에 씽크롤이 배치되는 커버하우징을 구비하여, 씽크롤에 의해 도금용액에 형성되는 와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금용액 내에서 부유하는 물질이 피도금재에 부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는, 도금용액 내에서 유동하는 부유물에 의한 도금품질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용융도금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차단프레임을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차단프레임에 배치된 보조차단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용융도금설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욕조(10)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2)에 도금용액(3)이 수용된다. 씽크롤(20)은 수용공간(12)에 수용된 도금용액(3)에 잠기도록 수용공간(12)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의해 피도금재(S)를 도금용액(3) 내부로 이동시킨다. 도금욕조(10)의 상부에는 스타우트공간(62)이 형성된 스타우트(60)가 배치되며, 피도금재(S)는 스나우트공간(62)을 통해 도금용액(3)에 침지된다. 스나우트(62)의 선단부는 도금용액(3)에 잠겨 있으며, 그에 따라 피도금재(S)가 외부의 대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금용액(3)에 침지된 피도금재(S)는 씽크롤(20)에 의해 진행방향이 상부측으로 전환되며, 씽크롤(20)의 상부측에 배치된 스테빌라이저롤(40) 및 콜렉팅롤(30)을 거친 후 도금용액(3)으로부터 배출된다. 도금용액(3)의 상부측에는, 배출되는 피도금재(S)의 일측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피도금재(S)의 도금량을 조절하는 에어나이프(50)가 배치된다.
도금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도금욕조(10)에 수용된 도금용액(3)은 그 유량이 감소며, 작업자는 수용공간(3) 내부로 도금용액(3)을 보충해야 한다. 도금용액(3)을 보충하는 방법으로는, 잉곳(ingot)과 같은 도금원료(5)를 도금용액(3)에 직접 투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고온의 도금용액(3)에 도금원료(5)를 투입하는 경우, 도금원료(5)는 도금용액(3)으로 용융되면서 도금욕조(10)의 하부를 향해 하강하게 되며, 용융된 도금원료(5)는 도금용액(3)을 형성한다. 도금욕조(10)에 수용된 도금용액(3)의 내부에는 드로스(dross) 등의 이물질이 부유물(7)의 형태로 도금용액(3)의 하부측에 침전되며, 도금용액(3) 내에서 하강하는 도금원료(5)에 의해 형성되는 도금용액(3)의 유동에 의해 부유물(7)이 도금용액(3)의 상부측으로 부상하게 된다. 특히, 도금원료(5)가 삼원계(Zn, Al, Mg)로 조성된 고내식 아연 잉곳인 경우 각각의 용융점과 비중이 상이하여 도금원료(5)의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깨진 도금원료(5)는 빠르게 하강하여 도금욕조(10)의 바닥면에 충돌하므로 부유물(7)이 도금용액(3)의 상부측으로 부상되는 것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씽크롤(20)은 도금용액(3) 내에서 회전하여 피도금재(S)를 일측으로 이송하는바, 씽크롤(20)의 회전에 의해 씽크롤(20) 주변의 도금용액(3)에는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씽크롤(20)에 의해 도금용액(3)에 형성된 와류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 비중인 Al 또는 Mg으로 구성된 부유물(7)이 씽크롤(20) 주변으로 딸려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금용액(3)의 하부측으로부터 부상되는 부유물(7) 또는 씽크롤(20)의 주변으로 딸려오는 부유물(7) 등은 피도금재(S)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제품의 표면에 치명적인 도금결함(D)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유물(7)에 의한 도금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금원료 공급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를(105)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는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용공간(112)에 도금용액(103)을 수용하는 도금욕조(110) 및 수용공간(112)에 배치되어 도금용액(103)에 투입된 도금원료(5)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는 승강유닛(200)을 구비한다. 씽크롤(120)은 도금용액(103)의 내부에 잠길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에 배치되며, 씽크롤(120)의 상부측으로는 콜렉팅롤(130), 스테빌라이저롤(140) 및 에어나이프(15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나우트공간(162)이 형성된 스나우트(160)는 도금욕조(1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스나우트공간(160)을 통해 피도금재(S)를 도금용액(103)으로 공급하므로 피도금재(S)가 외부의 대기와 접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승강유닛(200)은 수용공간(11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금욕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바(220) 및 수용공간(112)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승강프레임(210)을 포함한다. 가이드바(220)는 승강프레임(210)에 형성된 가이드홀(21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승강프레임(210)의 승강이동은 가이드바(220)에 의해 안내된다. 승강프레임(210)의 상부에는 도금원료(5)를 지지 가능한 지지면(210a)이 구비되며, 도금원료(5)는 지지면(210a)에 지지되어 도금용액(103) 하부로 하강이동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210)은 지지면(210a)은 지지면(210a)에 지지되는 도금원료(5)의 일면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210)은 도금용액(103) 내에서 도금원료(5)와 함께 하강하는바, 도금원료(5)에 부력을 제공하여 도금원료(5)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승강유닛(200)은 가이드바(220)에 배치되어 승강프레임(210)을 상부측으로 가압 가능한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도금욕조(11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승강프레임(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30)에 의해 도금원료(5)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210)의 하강 속도는 현저히 감속되며, 그에 따라 승강프레임(210)에 지지된 도금원료(5)의 하강 속도가 현저히 감속된다. 도금원료(5)는 도금용액(103) 내에서 하강하면서 용융되며, 도금원료(5)의 질량이 감소함에 따라 탄성부재(230)에 의해 승강프레임(210)은 승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는 승강유닛(200)에 의해 도금원료(5)의 하강 속도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도금원료(5)가 직접 도금욕조(110)의 하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바, 도금원료(5)가 도금용액(103) 내에서 하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유물(7)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는 수용공간(112)을 도금원료(5)가 투입되는 투입공간(112a) 및 피도금재(S)가 도금용액(103)에 침지되는 침지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차단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공간(112a) 내에는 승강유닛(200)이 배치되며, 침지공간(112b) 내에는 씽크롤(120)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300)에는 투입공간(112a)과 침지공간(112b)을 연통하는 공급홀(30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투입공간(112a) 내의 도금용액(103)은 공급홀(302)을 통해 침지공간(112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급홀(302)은 도금욕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h1)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급홀(302)이 형성된 높이(h1)는 고 비중의 부유물(7)이 부상하여 도달할 수 없는 높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차단프레임(300)을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복수의 공급홀(302)이 행과 열을 이루어 서로 이격되어 차단프레임(300)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프레임(300)에 의해 수용공간(112)이 투입공간(112a) 및 침지공간(112b)으로 구획되므로, 도금원료(5)의 투입에 의해 투입공간(112a)에서 부상되는 부유물(7)이 침지공간(112b)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공급홀(302)은 도금욕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h1)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바, 고 비중의 부유물(7)이 침지공간(112b)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차단프레임(300)에 배치된 보조차단프레임(3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보조차단프레임(310)은 투입공간(112a)에 대향되는 차단프레임(300)의 일면으로부터 투입공간(112a)을 향해 돌출되도록 공급홀(302)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차단프레임(310)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차단벽(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공간(112a)에 도금원료(5)가 투입되는 용융되는 경우, 저 비중의 부유물(7)이 도금용액(103)의 상부측으로 부상될 수 있으나, 보조차단프레임(310)은 투입공간(112a) 내에서 부상하는 부유물(7)의 유동 경로를 변경시켜 투입공간(112a) 내에서 부상하는 부유물(7)이 침지공간(112b)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승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210)은 가이드바(220)를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탄성부재(230)는 승강프레임(210)을 상부측으로 가압하도록 승강프레임(210) 하부측의 가이드바(220)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220)의 상부측 선단부에는 리미터링(222)이 배치되어 가이드바(220)로부터 승강프레임(21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승강유닛(200)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승강프레임(210)은 배출홀(214)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승강프레임(210')으로 대체될 수 있다. 배출홀(214)들은 승강프레임(210')의 승강이동시 도금용액(103)이 유동 가능한 경로를 제공하며, 배출홀(214)을 따라 도금용액(103)이 유동함에 따라 승강프레임(210')의 이동에 의해 도금용액(103)이 급격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프레임(210')의 이동에 의해 도금용액(103) 내부의 부유물(7)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슬릿 현상의 배출홀(214)이 도시되었으나, 배출홀(214)들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배출홀(214)의 형상은 도금용액(103)의 유동 경로를 제공 가능한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도금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의한 도금설비(105)는 전술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금원료 공급장치(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설비(105)는 수용공간(112)으로부터 피도금재(S)가 이동하는 이동경로(405)를 구획하도록 수용공간(112) 배치되는 커버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커버하우징(400)의 내부에는 스나우트공간(162)과 연통되는 이동경로(405)가 형성되며, 커버하우징(400)의 내부에는 씽크롤(120)이 배치된다. 콜렉팅롤(130) 및 스테빌라이저롤(140) 역시 커버하우징(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400)의 일측면에는 커버하우징(400)의 외부로부터 커버하우징(400) 내부의 이동경로(405)로 도금용액(103)이 유입되는 유입홀(40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402)은 승강유닛(200)이 일측에 배치된 도급욕조(110)의 일측벽(110a)과 대향되는 타측벽(110b)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402)은 도금욕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h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홀(402)은 씽크롤(120)의 상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씽크롤(120)의 회전에 의해 도금용액(103)에 형성된 와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커버하우징(400) 내에 씽크롤(120)이 배치됨으로써 씽크롤(120)의 회전에 의한 와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금욕조(110) 내에서 부유하는 부유물(7)이 커버하우징(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입홀(402)이 형성된 커버하우징(400)의 일측면에는 도금욕조(110)의 타측벽(110b)을 향해 돌출되는 보조커버프레임(410)이 배치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410)은 유입홀(402)의 직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커버벽(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커버프레임(410)은 유입홀(420)의 직하부에 배치되는바, 승강유닛(200) 측에서 부상되어 부유하는 부유물(7)이 커버하우징(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금원료 공급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210)에 도금원료(5)를 거치시킴으로써 도금원료(5)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도금원료(5)의 자중에 의해 도 7의 (b)와 같이 승강프레임(210)이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금원료(5)는 승강프레임(210)과 함께 도금용액(103)의 하부측을 향해 하강이동한다. 도금원료(5)는 도금용액(103) 내에서 용융되어 질량이 감소하며, 도금원료(5)가 일정량 이상 용융되는 경우 탄성부재(20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프레임(210)은 도 7의 (c)와 같이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게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용융도금설비 3,103: 도금용액 5: 도금원료
7: 부유물 10,110: 도금욕조 12,112: 수용공간
20,120: 씽크롤 30,130: 콜렉팅롤 40,140: 스테빌라이저롤
50,150: 에어나이프 60,160: 스나우트 62,162: 스타우트공간
100: 도금원료 공급장치 112a: 투입공간 112b: 침지공간
200: 승강유닛 210: 승강프레임 212: 가이드홀
214: 배출홀 220: 가이드바 222: 리미터링
230: 탄성부재 300: 차단프레임 302: 공급홀
310: 보조차단프레임 312: 차단벽 400: 커버하우징
402: 유입홀 405: 이동경로 410: 보조커버프레임
412: 커버벽

Claims (12)

  1. 수용공간에 도금용액을 수용하는 도금욕조; 및
    상기 도금용액에 투입되는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도금원료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도금욕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측 선단부에 배치되는 리미터링을 더 포함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출홀들이 형성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원료 공급장치는 상기 승강유닛이 배치되는 투입공간 및 상기 도금용액에 피도금재가 침지되는 침지공간으로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차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투입공간 내의 도금용액은 상기 차단프레임에 형성된 공급홀을 통해 상기 침지공간으로 공급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은 도금욕조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프레임은 상기 투입공간에 대향되는 상기 차단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투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보조차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차단프레임은 상기 공급홀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도금원료 공급장치.
  10. 수용공간에 도금용액을 수용하는 도금욕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도록 상기 피도금재를 이동시키는 씽크롤;
    상기 도금용액에 투입되는 도금원료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피도금재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도금원료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승강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도금욕조의 일측벽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금용액은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유입홀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도금욕조의 일측벽과 대향되는 상기 도금욕조의 타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도금욕조의 타측벽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보조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커버프레임은 상기 유입홀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도금설비.
KR1020160051745A 2016-04-27 2016-04-27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KR10174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45A KR101746773B1 (ko) 2016-04-27 2016-04-27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45A KR101746773B1 (ko) 2016-04-27 2016-04-27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773B1 true KR101746773B1 (ko) 2017-06-13

Family

ID=5921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45A KR101746773B1 (ko) 2016-04-27 2016-04-27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7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43Y1 (ko) * 1996-09-24 2000-09-01 이구택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101493863B1 (ko) * 2013-10-30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장치 및 강판 도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43Y1 (ko) * 1996-09-24 2000-09-01 이구택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101493863B1 (ko) * 2013-10-30 2015-02-1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도금장치 및 강판 도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2962B (zh) 电镀槽
US46017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electroplating of alloys
CN109440038A (zh) 非接触式金属液面渣层电磁自动处理装置及其方法
KR101746773B1 (ko) 도금원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설비
CN100386474C (zh) 用流体接触物体的喷泉床
JP4734081B2 (ja) 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US4294691A (en) Hydrodynamic blueberry sorting
KR101442630B1 (ko) 도금욕 레벨 측정 장치
KR101487631B1 (ko)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제조 장치 및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제조 방법
SE462980B (sv)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ontinuerlig elektroplaetering av metaller vid hoeg stroemtaethet i vertikala celler
CN217173869U (zh) 一种热镀锌钝化池
JP3580241B2 (ja) 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の製造装置
KR101341738B1 (ko) 외판용 도금강판의 애쉬 혼입개선을 위한 잉곳장입장치 및 잉곳장입방법
KR20050008772A (ko) 편평한 가요성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216006A (ja) 噴流式めっき方法および装置
CN211319081U (zh) 一种镀金槽用补水装置
CN1511977A (zh) 圆片级封装中阳级、阴极和匀流板的间距可调的电镀杯
JP4487386B2 (ja) 鋼帯の溶融金属めっきにおけるめっき浴の清浄化方法および溶融金属めっき装置
JP7111068B2 (ja) めっき装置およびめっき方法
KR100448920B1 (ko) 금속판의 연속용융도금을 위한 용융금속 부양장치
JPH05222500A (ja) 連続溶融メッキ設備
KR101461723B1 (ko) 스나우트의 오염원 제거장치
JP2003231958A (ja) 溶融金属めっき鋼板の製造装置
JPH04308070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法
US2328949A (en) Galvaniz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