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08B1 -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 Google Patents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08B1
KR101746708B1 KR1020140051087A KR20140051087A KR101746708B1 KR 101746708 B1 KR101746708 B1 KR 101746708B1 KR 1020140051087 A KR1020140051087 A KR 1020140051087A KR 20140051087 A KR20140051087 A KR 20140051087A KR 101746708 B1 KR101746708 B1 KR 10174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t air
film
discharge por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6708B9 (ko
KR20150124565A (ko
Inventor
황중국
Original Assignee
황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중국 filed Critical 황중국
Priority to KR102014005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708B1/ko
Priority to CN201510207279.5A priority patent/CN105013679B/zh
Publication of KR2015012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08B1/ko
Publication of KR10174670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0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Abstract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팅액이 일정두께로 도포된 필름이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건조로 ; 상기 건조로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풍이 채워지는 내부챔버 ; 상기 내부챔버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열풍공급구와 제1유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챔버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노즐 ; 상기 제1노즐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토출구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제1유입구가 대응삽입되고, 상기 제1노즐과 연통연결되어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필름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노즐 및 상기 제1노즐에 관통형성된 제1조절공에 배치된 제1조절나사를 상기 제2노즐에 구비하여 상기 제2노즐과 필름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노즐에 대하여 상기 제2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Hot Air Drier having a Variance Nozzle}
본 발명은 코팅필름에 도포된 코팅액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조로 내부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동안 발생하는 코팅필름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름에 대하여 노즐의 토출구 위치 및 토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고, 노즐 노후시 챔버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팅필름 열풍 건조기는 필름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코팅된 코팅액을 고온의 열풍으로 건조시켜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코터설비의 출측에 설치되어 덕트를 통해 내부 유입된 열풍이 필름과 마주하도록 노즐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노즐을 통해 고온의 열풍을 분사시킴으로써 일정 속도로 통과하는 필름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액을 건조하여 일정한 두께의 막을 필름표면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기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필름은 그 직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노즐의 각 토출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일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진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2012-0037224 A
특허문헌 1에는 코팅액이 일정두께로 도포된 필름이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건조로와, 상기 건조로 내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메인챔버와, 상기 메인챔버의 하부면과 연통되어 열풍을 공급받는 분배챔버와, 상기 분배챔버의 하부면과 연통되도록 분배챔버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받고, 필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토출구를 통하여 필름의 상면과 하면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코팅필름 건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팅필름 건조기에서 필름에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키도록 열풍을 분사하는 노즐은 상기 분배챔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건조대상물인 코팅필름의 코팅액의 조건이나 코팅필름의 진행속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노즐을 교체하여 장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노즐은 분배챔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건조대상물인 코팅필름과 노즐의 토출단간의 상하간격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코팅필름에 도포된 코팅액 건조조건이나 코팅필름이 통과속도의 변화에 따라 노즐의 토출단을 필름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켜 분사조건을 변경할 수 없어 코팅액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코팅필름이 건조로 내부를 통과하면서 코팅액이 건조되는 동안, 상기 노즐의 토출단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이 코팅필름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팅필름의 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조조건에 따라 작업자가 노즐의 토출단과 코팅필름의 표면간의 상하조절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노즐구조에서는 상하조절이 불가능하여 코팅필름의 떨림현상에 기인하는 제품불량을 방지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로 내부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동안 발생하는 코팅필름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름에 대하여 노즐의 토출구 위치 및 토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고, 노즐 노후시 챔버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코팅액이 일정두께로 도포된 필름이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건조로 ; 상기 건조로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풍이 채워지는 내부챔버 ; 상기 내부챔버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열풍공급구와 제1유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챔버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노즐 ; 상기 제1노즐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토출구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제2유입구가 대응삽입되고, 상기 제1노즐과 연통연결되어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필름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노즐 및 상기 제1노즐에 관통형성된 제1조절공에 배치된 제1조절나사를 상기 제2노즐에 구비하여 상기 제2노즐과 필름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노즐에 대하여 상기 제2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절부는 상기 제2노즐의 제2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삽입판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플랜지에 단부가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조절나사와, 상기 제1노즐의 제1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판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플랜지에 관통형성되는 제1조절공과, 상기 제1조절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나사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및 상기 수평플랜지와 제2플랜지사이에 양단이 접하도록 상기 제1조절나사에 배치되어 위치조절된 제2노즐이 제1노즐에 대하여 흔들리거나 위치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수평플랜지에 일측면이 면접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타측면과 면접하도록 상기 수평플랜지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안내플랜지 및 상기 수평플랜지와 안내플랜지사이에 개재된 이동판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플랜지의 수직면에 관통형성된 제2조절공을 통해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제2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한 열풍의 토출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노즐은 상기 필름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제1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과, 상기 필름측으로 폭이 일정한 단면상을 갖는 일정길이의 제1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경사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판 및 상기 제1유입구와 제1토출구의 개방된 좌우양측을 밀폐하는 한쌍의 제1밀폐판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노즐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판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간격유지봉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노즐은 상기 경사판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챔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체결공을 관통형성한 제1플랜지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열풍이 공급되어 채워지는 내부챔버에 고정설치된 제1노즐의 제1토출구에 제2노즐의 제2유입구를 안내이동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제2토출구를 통해 열풍을 분사하는 제2노즐과 필름간의 상하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제2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로에서의 건조조건에 따라 필름에 열풍이 부딪히는 압력 및 필름에 분사되는 열풍 토출량을 제2노즐의 상하위치변화 및 제2토출구 근방에 배치된 좌우한쌍의 이동판의 수평이동에 의해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2) 건조로에서 일방향 진행하는 필름의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떨림현상에 기인하는 제품불량을 방지하고, 제품수율을 높일 수 있다.
(3) 내부챔버에 설치되는 제1노즐의 노후시 이를 간편하게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노후설비에 대한 관리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에 채용되는 제1노즐, 제2노즐 및 노즐조절부에 제1조절나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에 채용되는 제1노즐, 제2노즐 및 노즐조절부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에 채용되는 제1노즐, 제2노즐 및 노즐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에 채용되는 제1노즐, 제2노즐 및 노즐조절부에 제1,2조절나사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F)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터설 비와, 상기 코팅액이 건조되어 코팅층을 갖는 필름(F)을 권취하거나 후공정으로 안내하는 설비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F)의 표면에 도포된 액상의 코팅액을 고온의 열풍으로서 건조할 수 있도록 건조로(110), 내부챔버(120), 제1,2노즐(130,140) 및 노즐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챔버(120), 제1,2노즐(130,140) 및 노즐조절부(150)는 상기 필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건조로(110)의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름(F)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로의 내부공간에 상하대칭구조로 구비되어 서로 동일한 작용할 수 있는바, 상기 필름의 상측에 구비되는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필름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건조로(110)는 코팅액이 도포된 필름(F)이 인입되는 입구(111)와, 열풍에 의해서 코팅액이 건조된 필름(F)이 인출되는 출구(11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내부챔버(120)와 같은 구조물이 내장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이다.
상기 건조로(110)의 내부에는 상기 입구(111)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출구(112)로 인출되는 필름의 하부처짐을 방지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롤(113)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챔버(120)는 상기 필름의 코팅액을 건조시키는 열원인 열풍을 미도시된 열풍발생기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제1노즐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로(1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풍이 채워지는 챔버구조물이다.
이러한 내부챔버(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름(F)이 진행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길게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열풍공급구(125)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열풍공급구(125)는 상기 필름의 폭방향과 대응하여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열풍공급구(125)는 상기 제1,2노즐(130,140)을 상기 지지롤(113)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하여 열풍의 분사영역을 지지롤(113)과 일치시킴으로써 열풍 분사시 필름의 불필요한 하부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롤(113)과 일대일 대응하는 내부챔버(12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130)은 상기 내부챔버(120)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열풍공급구(125)와 제1유입구(131)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챔버(120)의 하부면에 조립된다.
이러한 제1노즐(130)은 상기 필름과 근접하는 제2노즐(140)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제1유입구(S1)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131)과, 상기 제2노즐(140)측으로 연장되고 폭이 일정한 단면상을 갖는 일정길이의 제1토출구(S2)를 형성하도록 상기 경사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판(132) 및 상기 제1유입구와 제1토출구의 개방된 좌우양측을 밀폐하는 한쌍의 제1밀폐판(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130)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131)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판(131)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간격유지봉(13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즐(130)은 상기 경사판(13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챔버(120)의 하부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31c)가 배치되는 체결공(131b)을 관통형성한 제1플랜지(131a)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내부챔버(120)의 저면에 교체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노즐(140)은 상기 제1노즐(13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토출구(S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활주이동가능하도록 대응삽입되는 제2유입구(S3)를구비하고, 상기 필름(F)과 근접하는 제2유입구(S3)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노즐(130)과 연통연결되어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필름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토출구(S4)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노즐(140)은 상기 필름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폭이 일정한 단면상을 갖는 내부통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삽입판(141)과, 상기 삽입판(14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랜지(142) 및 상기 제2유입구(S3)와 제2토출구(S4)의 개방된 좌우양측을 밀폐하는 한쌍의 제2밀폐판(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플랜지(142)의 단부에는 일방향 진행하는 필름과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단(142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노즐(140)은 상기 제1노즐(130)의 제2토출구(S2)를 통하여 상기 제2유입구(S3)가 삽입배치됨으로써 상기 내부챔버(120)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된 제1노즐(130)에 대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노즐조절부(150)는 상기 제1노즐(130)에 관통형성된 제1조절공(152)에 배치된 일정길이의 제1조절나사(151)를 상기 제2노즐(140)에 구비하여 상기 제2노즐(140)과 필름(F)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노즐(130)에 대하여 상기 제2노즐(14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조절부(150)는 상기 제2노즐의 제2토출구(S4)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삽입판의 단부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플랜지(142)에 단부가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제1조절나사(151)와, 상기 제1노즐(130)의 제1토출구(S2)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수직판(13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132a)에 관통형성되는 제1조절공(152) 및 상기 제1조절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나사(151)에 결합되는 조절너트(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절나사(151)의 외경은 상기 제1조절공(15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조절공내에서 제1조절나사의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1조절나사(151)에는 상기 수평플랜지(142)와 제2플랜지(132a)사이에 양단이 접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154)를 구비함으로써 위치조절된 제2노즐(140)이 제1노즐(130)에 대하여 흔들리거나 위치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절나사(151)의 단부에 체결된 조절너트(153)를 잠김방향이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노즐(140)의 수평플랜지(142)에 단부가 고정된 제1조절나사(151)가 상방으로 당겨져 상승되거나 하방으로 밀려져 하강되면서 상기 제1조절나사(151)와 일체로 연결된 제2노즐(140)을 제1노즐(130)에 대하여 간편하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필름의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F)과 상기 제2노즐(140)간의 상하간격을 건조조건에 따라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노즐(140)은 상기 필름측으로 토출되는 열풍의 통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를 통한 열풍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플랜지(142)에 일측면이 면접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이동판(155)과, 상기 이동판(155)의 타측면과 면접하도록 상기 수평플랜지(142)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안내플랜지(156) 및 상기 수평플랜지와 안내플랜지사이에 개재된 이동판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플랜지(156)의 수직면에 관통형성된 제2조절공(156a)을 통해 상기 이동판(155)에 형성된 암나사공(155a)에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제2조절나사(157)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토출구(S4)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양측으로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제2조절나사(157)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조절공(156a)에 길이중간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암나사공(155a)에 단부가 나사결합된 제2조절나사(157)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수평플랜지(142)와 안내플랜지(156)사이에 개재된 이동판(155)을 제2토출구(S4)측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한쌍의 이동판(155)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2토출구(S4)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2토출구가 이동판(155)의 단부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이를 통한 열풍 토출면적을 줄여 상기 필름측으로 분사되는 열풍공급을 건조조건에 맞추어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2조절나사(15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우한쌍의 이동판(155)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수평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토출구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간격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필름측으로 분사되는 열풍공급을 초기상태로 간편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건조로
120 : 내부챔버
125 : 열풍공급구
130 : 제1노즐
131 : 경사판
131a : 제1플랜지
132 : 수직판
132a : 제2플랜지
133 : 제1밀폐판
134 : 간격유지봉
140 : 제2노즐
141 : 연장판
142 : 수평플랜지
143 : 제2밀폐판
150 : 노즐조절부
151 : 제1조절나사
152 : 제1조절공
153 : 조절너트
154 : 스프링부재
155 : 이동판
156 : 안내플랜지
157 : 제2조절나사
F : 필름

Claims (7)

  1. 코팅액이 일정두께로 도포된 필름이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건조로 ;
    상기 건조로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열풍이 채워지는 내부챔버 ;
    상기 내부챔버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열풍공급구와 제1유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챔버의 하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노즐 ;
    상기 제1노즐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토출구에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제2유입구가 대응삽입되고, 상기 제1노즐과 연통연결되어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코팅액이 도포된 필름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노즐 및
    상기 제1노즐에 관통형성된 제1조절공에 배치된 제1조절나사를 상기 제2노즐에 구비하여 상기 제2노즐과 필름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노즐에 대하여 상기 제2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조절부는 상기 제2노즐의 제2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삽입판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플랜지에 단부가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조절나사와, 상기 제1노즐의 제1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판의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플랜지에 관통형성되는 제1조절공과, 상기 제1조절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나사에 결합되는 조절너트 및 상기 수평플랜지와 제2플랜지사이에 양단이 접하도록 상기 제1조절나사에 배치되어 위치조절된 제2노즐이 제1노즐에 대하여 흔들리거나 위치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수평플랜지에 일측면이 면접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타측면과 면접하도록 상기 수평플랜지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되는 안내플랜지 및 상기 수평플랜지와 안내플랜지사이에 개재된 이동판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플랜지의 수직면에 관통형성된 제2조절공을 통해 상기 이동판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일정길이의 제2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한 열풍의 토출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상기 필름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제1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과, 상기 필름측으로 폭이 일정한 단면상을 갖는 일정길이의 제1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경사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수직판 및 상기 제1유입구와 제1토출구의 개방된 좌우양측을 밀폐하는 한쌍의 제1밀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경사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판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간격유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은 상기 경사판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챔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체결공을 관통형성한 제1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51087A 2014-04-28 2014-04-28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KR10174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87A KR101746708B1 (ko) 2014-04-28 2014-04-28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CN201510207279.5A CN105013679B (zh) 2014-04-28 2015-04-28 具有排出口可变型喷嘴的热风干燥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87A KR101746708B1 (ko) 2014-04-28 2014-04-28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565A KR20150124565A (ko) 2015-11-06
KR101746708B1 true KR101746708B1 (ko) 2017-06-15
KR101746708B9 KR101746708B9 (ko) 2021-07-14

Family

ID=5440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87A KR101746708B1 (ko) 2014-04-28 2014-04-28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6708B1 (ko)
CN (1) CN10501367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79B1 (ko) * 2020-02-19 2020-10-16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원단 수축 건조기의 노즐구조체
KR102399283B1 (ko)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794B (zh) * 2017-01-20 2023-07-18 贵州大学 一种机械加工用不锈钢方管风干装置
CN110926175A (zh) * 2019-11-26 2020-03-27 山东宏旺实业有限公司 一种铜带酸洗线烘干装置
WO2022029861A1 (ja) * 2020-08-04 2022-02-10 株式会社 東芝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CN112444115A (zh) * 2020-11-24 2021-03-05 宁波玻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绒毛功能的毛纺织布料烘干装置
CN113465336B (zh) * 2021-08-13 2023-04-21 江苏江大源生态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硒加维生素软胶囊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5143762A (zh) * 2022-06-30 2022-10-04 浙江宏涛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风向可调节的印染烘箱
CN116329051B (zh) * 2023-02-17 2023-12-29 南京工程学院 带有干燥组件的涂布模头
KR102609580B1 (ko) 2023-06-28 2023-12-05 배규상 코팅필름 건조기용 노즐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86B1 (ko) 2008-01-04 2008-05-27 차순호 열풍 분사노즐
JP2013108648A (ja) * 2011-11-18 201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67A (ja) * 1991-06-28 1993-01-26 Toshiba Corp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86B1 (ko) 2008-01-04 2008-05-27 차순호 열풍 분사노즐
JP2013108648A (ja) * 2011-11-18 201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乾燥装置および乾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79B1 (ko) * 2020-02-19 2020-10-16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원단 수축 건조기의 노즐구조체
KR102399283B1 (ko)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708B9 (ko) 2021-07-14
KR20150124565A (ko) 2015-11-06
CN105013679A (zh) 2015-11-04
CN105013679B (zh)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708B1 (ko) 토출구 가변형 노즐을 갖는 열풍건조기
US20190152233A1 (en) High Height Ink Jet Printing
RU2705045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нагрев и тепловое управление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в процессах проката металла и их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US6126095A (en) Ultraviolet curing apparatus using an inert atmosphere chamber
WO1998030337A1 (en) Self-sealing slot nozzle die
CN203567344U (zh) 一种用于紫外光固化涂料印刷机上的干燥设备
US7809253B2 (en) Compact air drying system
JPWO2021225047A5 (ko)
KR20100037224A (ko) 코팅필름 건조기
KR100711430B1 (ko) 에어가열장치를 갖는 방청유 분사용 오일러
EP0931878B1 (en) Fountain coating applicator
JP6440899B2 (ja) 印刷ユニット
JP6440900B2 (ja) 印刷ユニットおよび印刷ユニットに少なくとも1つのサクションボックスを配置する方法
JP6440898B2 (ja) 印刷ユニット
KR20160085811A (ko) 표면 처리 장치
KR20170024447A (ko) 필름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시스템
EP3778034B1 (en) Gas blowout nozzle and furn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film
KR102221258B1 (ko) 약액 토출 장치
JP2018523600A (ja) 印刷ユニット
KR101650438B1 (ko) 필름 가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컬 제어 방법
KR102141630B1 (ko) 필름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시스템
EP3033453A1 (en)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s, cellulosic and the like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TWI480416B (zh) 大氣電漿前趨物供料裝置
JP2006223988A (ja) 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KR101211778B1 (ko) 핫멜트 멀티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