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922B1 -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922B1
KR101744922B1 KR1020160146495A KR20160146495A KR101744922B1 KR 101744922 B1 KR101744922 B1 KR 101744922B1 KR 1020160146495 A KR1020160146495 A KR 1020160146495A KR 20160146495 A KR20160146495 A KR 20160146495A KR 101744922 B1 KR101744922 B1 KR 10174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impregnated
eva
coating layer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구
조석만
Original Assignee
조민구
조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구, 조석만 filed Critical 조민구
Priority to KR102016014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infl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materials for flexible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하수관에 보강을 위해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 함침수지층 및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 순으로 구성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로서, 상기 EVA 필름 코팅층은, 다층의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 상기 함침수지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기존 하구관로에 대한 세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하수관에 CCTV 카메라를 진입하여 파손 등에 의해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형태를 포함하여 점검하고 장애물을 확인한 후, 고압의 젯트 크리너로 하수관 속의 보수하려는 구역의 토사와 슬러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청소하는 제 2 단계; 보강재료로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유압장치를 이용해 유압 견인하는 제 3 단계; 및 온수 분출호스를 이용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EVA 필름 코팅층이 기존관인 하수관에 밀착하여 수축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의류에 사용될 정도로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재료인 EVA 수지를 함침튜브 코팅용으로 사용하여 접착성이 우수하여 기존관과의 일체화를 손쉽게 가능한 효과가 있고, 복원률이 탁월하여 비틀림 응력이 뛰어나 시공부위의 내구적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양생시 코팅으로 보호되어 열손실이 많지 않으므로 더 균질한 상태로 관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IMMERSION TUBE FOR NON-EXCAVATION REINFORCEMENT OF SEWER POPE WITH ETHYLENE VINYL ACETATE FILM COATING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 EVA 필름으로 외면을 코팅하여 표면 접착력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수관 보강 보수용 비굴착용 함침튜브 시공시 보일러 및 콤프레셔의 공기압을 제거시 수축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기온이 낮아질수록 심해진다.
이런 원인 발생요인으로 함침튜브 외면에 코팅된 필름의 요인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비닐(Vinyl, Vinylon) 등 PVA(PolyVinyl-Acetate)계 필름이 기존관에 삽입하기에는 마찰 저항성이 낮아 시공성이 우수하나, 보일러 및 콤프레셔의 공기압을 제거시 튜브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제어하기에는 역부족으로 지적되어 왔다.
종래의 기술 1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84428호 "폐타이어 미세 분말을 이용한 하수관거 코팅구조"는 하수관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침투성 방수층,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방수층 및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층으로 이루어지는 코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 2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45259호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연질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상ㆍ하수관 보수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ㆍ하수관 보수를 위해 시공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양호한 연질성에 의해 열을 가하고 경화시킨 후 냉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축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수관 내면과의 밀착성 및 접착성이 매우 뛰어나 보수관 내면과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는 등 만족할만한 시공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연질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1은 침투성 방수층은 친수성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며, 탄성 방수층은 무용제 에폭시수지와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지므로, 환경 호르몬이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2에서도 마찬가지로 환경 호르몬이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66247호 "하이브리드 원단을 이용한 상하수관거 보강보수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관거 보강보수 공법"은 일면에 필름이 코팅된 펠트로 이루어지는 관형의 보강 튜브(20)와; 상기 보강 튜브의 외부에 형성되며 관거의 내면에 지지되는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30)와; 비닐에스테르,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페놀수지 및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상기 보강 튜브와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30)에 함침되는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라이닝 튜브는, 부직포, 유리섬유, 폴리에틸렌, 카본섬유, 아라미드섬유 중 2개 이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층상 구조의 하이브리드 원단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3은 원단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오래 걸리며, 친환경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 4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76273호 "비굴착식 배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은 노후된 하수관 등의 보수를 위하여 굴착을 하지 않고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라이너를 별도의 탄소발열튜브와 함께 배관 내에 주입하고 탄소발열튜브에 전원을 인가하여 경화시킨 후 탄소발열튜브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4는 열경화성 수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84428호 "폐타이어 미세 분말을 이용한 하수관거 코팅구조(STRUCTURE OF SEWAGE PIPE COATING LAYERS USING FINE POWDER PRODUCED BY SCRAP TIRE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45259호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연질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SOFT COMPONENT EPOXY RESIN COMPOSITION FOR REPARING NON-EXCAVATING SEWER PIP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66247호 "하이브리드 원단을 이용한 상하수관거 보강보수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관거 보강보수 공법(REINFORCING-REPAIRING TUBE OF WATER AND SEWAGE CONDUIT USING HYBRID MATERIAL AND REINFORCING-REPAIRING METHOD OF WATER AND SEWAGE CONDUIT USING THI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76273호 "비굴착식 배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NON EXCAVATE TYPE PIPE REPAIRING)"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의류에 사용될 정도로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재료인 EVA 수지를 함침튜브 코팅용으로 사용하여 접착성이 우수하여 기존관과의 일체화를 손쉽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률이 탁월하여 비틀림 응력이 뛰어나 시공부위의 내구적 안정성이 뛰어나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생시 코팅으로 보호되어 열손실이 많지 않으므로 더 균질한 상태로 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수관에 보강을 위해 하수관의 내면에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 함침수지층 및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 순으로 구성되는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로서, 상기 EVA 필름 코팅층은, 다층의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 및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은, 상기 함침수지층 상부면에 패턴롤을 이용하여 EVA 수지를 프리즘, 스트라이프, 렌티큘라, 또는 돗트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후 100 내지 170℃ 사이에서 열경화시켜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PE 필름 코팅층은, 압출기 내에서 170℃ 내지 210℃의 온도에서 PE(폴리에틸렌) 소재를 가열하여 PE 수지로 용융한 뒤, 용융되는 170 ℃ 내지 210 ℃ 온도를 유지하여 PE 수지로 압출된 것을 사용하여 상기 함침수지층의 배면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함침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펠트(부직포)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EVA 필름 코팅층은, 상기 함침수지층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펠트에 EVA 복합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기존 하구관로에 대한 세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하수관에 CCTV 카메라를 진입하여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형태를 점검하고 장애물을 확인한 후, 고압 젯트 크리너로 하수관 속의 보수하려는 구역의 토사와 슬러지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청소하는 제 2 단계;
보강재료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유압장치를 이용해 유압 견인하는 제 3 단계; 및
온수 분출호스를 이용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EVA 필름 코팅층이 기존관인 하수관에 밀착하여 수축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의류에 사용될 정도로 안전하며 친환경적인 재료인 EVA 수지를 함침튜브 코팅용으로 사용하여 접착성이 우수하여 기존관과의 일체화를 손쉽게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원률이 탁월하여 비틀림 응력이 뛰어나 시공부위의 내구적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생시 코팅으로 보호되어 열손실이 많지 않으므로 더 균질한 상태로 관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 중 하수관(1)에 보강된 함침수지층(110),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시공시 사용되는 온수 분출호스(2)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으로 외면을 코팅한 표면 접착력이 우수한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이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 중 하수관(1)에 보강된 함침수지층(110),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1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는 하수관(1)에 형성되기 위해 함침수지층(110),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120),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함침수지층(110)은 폴리에스테르 펠트(부직포)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로 이루어진다. 함침수지층(110)의 부직포 층 두께는 보통 2 내지 4.5mm 정도로 함침 수지액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여기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수관 보강 보수용 비굴착용 함침튜브용 수지의 대표적인 것으로, 보일러 등으로 직접열을 가해야만 하는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resin)에 해당한다.
한편, 열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는 함침수지층(110) 위에 EVA 복합수지를 코팅한 후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함침수지층(110) 배면에 PE 복합수지를 코팅한 후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EVA 필름 코팅층(120)에 사용되는 EVA 복합수지는 탄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열경화가 가능한 EVA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를 활용하여, 상하로 2개의 패턴을 포함하는 다층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굴곡 가공성도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열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를 이용한 하수관(1) 보수 시공시, 도 2와 같이, 하수관(1),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3),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122),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1), 함침수지층(110)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함침수지층(110) 상부면에 패턴롤을 이용하여 EVA 수지를 프리즘, 스트라이프, 렌티큘라, 또는 돗트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후 100 내지 170℃ 사이에서 열경화시켜 패턴을 형성하여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1)을 형성함으로써, 형태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후,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1) 위에 열경화 개시제 및 광경화 개시제를 모두 포함하는 EVA 복합수지를 핫멜트 방식으로 2차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패턴롤을 이용하여 EVA 수지를 프리즘, 스트라이프, 렌티큘라, 또는 돗트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후 100 내지 170℃ 사이에서 열경화시켜 패턴을 형성하여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3)을 형성함으로써, 형태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소프트한 EVA 필름 코팅층(120)으로 인해 최종 열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신율이 확보되어 굴곡가공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한편, EVA 패턴층인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1) 및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123)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이 패턴층은 각각 함침수지층(110)과 하수관(1)에 대해서 맞닿는 면에 위치하므로 상, 하층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EVA 필름 코팅층(120)의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122)을 형성하는 EVA 복합수지에 열경화제, 가교조력제, UV 개시제 및 광경화형 모노머를 첨가하여 핫멜트 혼합한 후 이 복합수지를 함침수지층(110) 위에 코팅하고 열경화를 시킬 경우 형태안정성이 증가되어 상부의 패턴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EVA 필름 코팅층(120)에서의 비닐아세테이트(VA) 함량이 20 내지 70 중량%인 통상의 EVA 이면 되고 두께는 5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130)은 압출기 내에서 170℃ 내지 210℃의 온도에서 PE 소재를 가열하여 PE 수지로 용융한 뒤, 용융되는 170 ℃ 내지 210 ℃ 온도를 유지하여 PE 수지로 압출된 것을 사용하여 함침수지층(110)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융 수지인 PE 수지는 압출기와 연결된 배출 금형기 내로 이송된다. 냉각롤러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게 하게 되는데, 이는 냉각롤러의 온도가 높아 함침수지층(110)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압출기에서 용융된 PE 소재는 이송되는 EVA 필름 코팅층(120)이 형성된 함침수지층(110)의 배면이 위로 향하는 상태에서 상부 존재하는 배출 금형기 내로 이송되며, 배출 금형기에서 미리 설정된 두께와 폭을 가지는 PE 수지로 인출되어 EVA 필름 코팅층(120)이 형성된 함침수지층(110)의 배면 위로 랩핑되면서 바로 냉각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접합된다.
다음으로, 추가 냉각 과정으로 EVA 필름 코팅층(120) 및 PE 필름 코팅층(130)이 형성된 함침수지층(110)을 냉각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냉각롤러에 의해 이중 층으로 코팅된 함침수지층(110)을 냉각시키면서 평탄화 처리한다.
이렇게 냉각시키면서 평탄화된 이중 층으로 형성된 함침수지층(110)은 절단 과정으로 연이어져 절단기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함침수지층(110)에 PE 필름 코팅층(130)을 열융착 접합으로 제작함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온도차에 의해 탈리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제조 방법에 의한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는 기존 함침튜브의 내면은 PU(polyurethane)나 PE(polyethylene) 수지로 코팅하고 외면은 부직포를 비닐안에 넣어서 함침하여 생산하는 방식 아닌, EVA 필름 코팅층(120)을 부직포에 압출(본딩)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현장 시공시 제품 일체화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 등을 가동하여 온도가 80 ℃이상 도달시 외면 EVA 코팅 필름층(120)에 접착력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기존관에 부착되어 양생이 끝난 후에 보일러 및 에어공급이 중단되어도 수축변형이 거의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EVA 필름의 특성상 내탄성이 우수하여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가 높고 비강도가 우수하며, 외면이 한번 더 압출코팅으로 보호되기에 현장시공시 요철 및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한 찢겨짐 등이 거의 없고 함침 수지가 밖으로 새지 않으며, 반응개시후 반응 가속기가 빨라 초기 강성도 우수하지만 완전 경화후 성형물의 강성이 높은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함침수지층(110)은 우레탄, 에폭시 및 아크릴 복합수지를 이용한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함침수지의 성분은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원재료 명칭 구성비율 비고
에폭시 수지(epoxy resin) 5 ~ 25
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12 ~ 35
아크릴 수지(acrylic acid resin) 10 ~ 25
경화제 15 ~ 25 촉매, monomer
기타 첨가물
[반응지연제, 양생촉진제(경화촉진제), 外]
8 ~ 15
즉, 함침수지를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는 경화제에 의해 경화하며, 또는 액상의 에폭시 수지가 경화제에 의해 경화함과 동시에 이 경화 후의 가열 처리에 의해 에폭시 수지가 탄화한다.
에폭시 수지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지방족 에폭시 수지·지환식 에폭시 수지 등에서의 각각의 액상의 에폭시 수지이다. 그리고, 이들 액상 에폭시 수지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액상 에폭시 수지 또는 비스페놀 AD형 액상 에폭시 수지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보다 더욱 저점도인 비스페놀 F형 액상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는 저융점 금속보다 경화 수축률이 낮고 폴리에스테르보다 접착력이 강하다. 여기서, 저융점 금속은 예를 들어 아연, 주석, 납 등이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 수축률은 0.1%이고, 저융점 금속(합금) 예를 들어 땜납 등의 경화(응고) 수축률은 1 내지 2% 정도이므로 에폭시 수지가 저융점 금속보다 경화 수축률이 낮다. 에폭시 수지의 접착력은 약 20mPa 내지 40mPa이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접착력은 약 10mPa 내지 20mPa이다. 즉, 에폭시 수지는 접착력이 우레탄 수지 등보다 약 2배 정도 강하다.
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는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우레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제 3 급 알코올을 적용하여 우레탄 원료의 뛰어난 용해성 및 균일한 우레탄프레폴리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래의 MMP를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작업환경을 개선한 상태로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계와 지방족계 또는 지환식계가 있다. 예컨대,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 4,4'-디페닐메탄(diphenyl-metha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등이 있다. 또한,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헥사 메틸렌(methyl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트리메틸(trimethyl) 헥사 메틸렌(methyl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등이 있다.
그리고 지환식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isophoro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시클로헥산(hexane)-1,4-디이소시아네이트, 4,4'-지시크로헤키시르메탄지 이소시아네이트, TDI의 수소첨가물 등이 있다.
특히, 이들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3량체 또는 트리메티롤프로판 등과의 반응물인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소량 병행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폴리올로서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폴리에테르폴리올(polyetherpolyol), 폴리에스테르폴리올(polyester polyol),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polycarbonate polyol), 폴리 부타디엔 폴리올(poly butadiene polyol) 등이 있다.
이러한, 폴리올의 평균분자량은 통상적으로 500 내지 6,000인데,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의 혼합비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올로서의 기능이 발휘되지 않고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성되는 우레탄 프레폴리머의 물 분산성이 저하되고 수분산시에 응집물의 발생이나 전산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며, 수지의 기계적 물성 및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우레탄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우레탄에 자기 유화성을 부여하기 위한 이온 형성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온기 형성화합물이란 분자 중에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활성 수소기를 통상 2개 이상 가지는 것으로 이온기가 우레탄 프레폴리머의 분자사슬에 포함되어 물에 의해 쉽게 유화될 수 있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온기 형성화합물은 카르복실을 포함한 화합물, 술폰산 염기를 갖는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이온형의 이온기 형성 화합물 또는 N-메틸 디에탄올 아민, N-메틸 에틸 알코올 아민, 트리 에틸 알코올 아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양이온형의 이온 형성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이온기 형성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형의 이온기 형성 화합물 중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디메틸롤 프로피온산, 디메티롤 초산, 디메티롤 부탄산, 지메치롤부탄 산, 디메티롤 노난산 등의 디메티롤 알칸산, 1-카르복시-1,5-펜치레인지 아민, 디히드록시 안식향산, 폴리옥시 프로필렌 트리올과 무수 말레인산이나 무수 프탈산과의 에스테르화합물, 리신, 아르기닌 등의 다가 아미노산 화합물 등이 있다.
여기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카르복실 염기를 형성하고 이온화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트리에틸아민, 에틸알코올아민, 디에탄올아미, 트리에틸알코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디메틸아미노에틸알코올 등의 아민류나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화합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 카르복실기에 대한 중화율은 통상 50 내지 120 몰(mole)%이다.
또한, 술폰산 염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2-술포-1, 4-부탄디올 나트륨 염기, 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 에틸 술폰산 테트라메틸암모늄염, N,N-비스(2-히드록시 에틸) 아미노 에틸 술폰산 테트라에틸암모늄염, N-N-비스(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에틸 술폰산 벤질 트리에틸 암모늄 염기 등이 있다.
술폰산 염기를 함유한 화합물은 유기용제에 의해 녹기 어렵기 때문에 프레폴리머 제조시 우레탄에 도입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사슬 연장시에 술폰산 염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용해시켜 프레폴리머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우레탄 수지 중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 술폰산 염기는 이미 염기가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중화과정은 필요치 않다.
그리고 양이온형의 이온기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N-메틸 디에탄올 아민, N-에틸 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있다. 이들 3급 질소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화제로서 염산, 초산, 프로피온산, 유산 등을 사용한다,
또한, 3급 질소를알킬 할라이드 등으로 4급화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우레탄 프레폴리머의 반응시에 용제로서 사용하는 제 3 급 알코올로서는 tert-부틸 알코올(응고점 25.5℃, 비점 82.8℃), tert-아밀 알코올(응고점 -8.4℃, 비점 102℃), 디아세톤 알코올(응고점 -44℃, 비점 167.9℃), α-테르피네올(응고점 38 내지 40℃, 비점 219 내지 221℃)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응고점이 낮으면서 비점이 용제가 우레탄 수지 원료의 용해성 및 수성 우레탄 수지의 조막성이 좋기 때문에 디아세톤 알코올이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제 3 급 알코올은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우레탄 프레폴리머의 점도가 저하됨은 물론, 조막성 부여 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수분안정성 및 도막 건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크릴 수지(acrylic acid resin)는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성형시 생산성이 우수하고, 내충격제의 분산성이 우수하며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제작시에도 투명성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크릴 수지는 충격보강제가 캡슐화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래스상 중합체로 구성되는 내각층과 내각층에 그라프트 되어있는 고무상 공중합체인 중간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의 충격보강제, 그리고 이러한 2층 구조의 충격보강제 상에 글래스상 중합체(메트릭스 수지)인 외각층이 그라프트 된 3층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보강제가 캡슐화된 아크릴 수지는 외각층의 중량비 또는 두께비(평균입자경)가 내각층 및 중간층에 비해 높거나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아크릴 수지 시이트나 사출물 성형시 별도의 아크릴 수지 칩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성형 공정이 간편해 지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보강제가 캡슐화된 아크릴 수지는 외각층에 체인 트란스퍼 에이전트(Chain Transfer Agent)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체인 트란스퍼 에이전트는 충격강도의 저하 없이도 외각층의 분자량 및 용융점도를 조절(증가 혹은 감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충격보강제가 캡슐화된 아크릴 수지는 고무상 중합체인 중간층이 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타디엔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와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충격보강제가 캡슐화된 아크릴 수지는 내충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분산성이 우수하여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성형시에도 투명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가공성이 양호하여 가공시 분말 형태로 직접 사용하여도 물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 경화제는, 적어도 메타자일릴렌디아민, 파라자일릴렌디아민, 아크릴산, 아크릴산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제 1 반응생성물과, 적어도 메타자일릴렌디아민, 파라자일릴렌디아민, 불포화 카르본산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제 2 반응생성물에 변성 폴리아민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제 1 반응생성물, 제 2 반응생성물, 그리고 변성 폴리아민의 중량비는 10 내지 8 : 4 내지 10 : 1 내지 6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변성 폴리아미드아민·변성 지방족 폴리아민·변성 지환식 폴리아민 등이 포함된다. 이 변성 폴리아민은 액상이 되어 에폭시 수지의 점도를 낮게 하여 상온에서 경화시킨다.
한편, 제조된 경화제는 실험 결과로부터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전체 혼합물에 대해 15 내지 2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계 경화제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는 1급 아민의 활성 수소와 에폭시기가 반응하여 2급 아민이 에폭시기와 반응하여 진행된다.
그리고, 이 경화물이 가교 고분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화제는 1분자 중에 활성 수소가 3개 이상 필요하고 아미노기가 2개 이상 필요하다. 즉, 에폭시 수지는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진 화합물(주요제)과, 분자 중에 활성 수소(-NH2, -NH, -CONH- 등)를 2개 이상 가진 화합물(경화제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등)이 부가 반응 중합하여 입체 구조(3차원 그물형 구조)를 형성하여 경화한다. 또, 아민에 의한 경화 속도는 아민의 종류·배합량·에폭시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다.
기타 첨가물로 반응지연제, 양생촉진제(경화촉진제), 그 밖의, 착색 안료, 염료,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광택제거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도막의 부착성 향상을 위한 인의 산소산 또는 그의 유도체나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한편, 기타 첨가물의 혼합물은 전체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서 8 내지 1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촉진제로서는, 예컨대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착색 안료, 염료로서는, 예컨대 내후성이 양호한 카본 블랙, 산화 타이타늄 등의 무기 안료, 예컨대 프탈로사이아닌 블루, 프탈로사이아닌 그린, 퀴나크리돈 레드, 인단트렌 오렌지, 아이소인돌리논계 옐로 등의 유기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자외선흡수제를 들 수 있다.
광안정제로서는, 예컨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아데카 스타브 LA62, 아데카 스타브 LA67(이상, 아데카아거스화학사제, 상품명), 티누빈 292, 티누빈 144, 티누빈 123, 티누빈 440(이상, 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제,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광택제거제로서는, 예컨대 초미분 합성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광택제거제를 배합하면, 우아한 반(半)광택, 광택제거 마무리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우레탄, 에폭시 및 아크릴 복합수지를 이용한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수지로 형성선 함침수지층(110)은 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복합수지를 특수 합성함으로써, 각각의 수지만의 톡특한 장점을 극대화하여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중인 열경화성 수지 단점을 보완하여, 4 내지 40℃에서는 열을 가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탄성이 우수하여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가 높고 비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식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점도 조절이 자유로워 함침성이 우수하여 튜브 제작시 고른 제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반응개시 후 반응 가속기가 빨라 초기 강성도 우수하고, 완전 경화 후 성형물의 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섬유 및 기타 부직포 재질에 대한 함침속도 및 함침성이 우수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기존 하구관로에 대한 세정 작업을 수행한다(S110).
단계(S110) 이후,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하수관(1)에 CCTV 카메라를 진입하여 파손 등에 의해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형태 등을 점검하고 토사 등의 장애물을 확인한 후, 고압의 젯트 크리너로 하수관 속의 보수하려는 구역의 토사와 슬러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깨끗이 청소한다(S120).
단계(S120) 이후, 보강재료로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를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유압장치를 이용해 유압 견인한다(S130).
이 경우, 보강재료로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를 보수하고자 하는 하수관로 내부의 손상된 크기와 형태보다 폭을 넓게 하고 기장은 하수관로의 내측면의 주위둘레의 기장보다 약간 긴 것을 이용하여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30) 이후, 온수 분출호스를 이용해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를 가열함으로써,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EVA 필름 코팅층(120)이 기존관인 하수관(1)에 밀착하여 수축하도록 한다(S140).
여기서 사용되는 온수 분출호스(2)는, 도 4와 같이 관 라이닝재 가열용 온수 분출호스로, 호스 몸체(2a)와, 호스 몸체(2a)의 폭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2개 위치에 형성된 제 1 온수분출구(2-1)와, 2개의 위치의 제 1 온수분출구(2-1)로부터 호스 몸체(2a)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양측으로 편각이 다르도록 편향된 위치에 이격되게 형성된 2개의 제 2 온수분출구(2-2)를 구비한다.
여기서 호스 몸체(2a)는 송수되는(공급되는 온수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섬유재질을 관상으로 엮어서 관상 보강재를 형성시킨 뒤, 그 관상 보강재의 내면과 외면 각각에 연질의 플라스틱을 코팅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여 형성된다. 섬유재질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연질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염화비닐(PVC)을 사용하는 것이 저렴하면서도, 내열성 및 내압력성이 높은 재질이라는 특성상 온수 분출호스의 재질로서 가장 접합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여 관상 보강재의 내면 및 외면에 코팅형성시킨 두께의 합은 2.00mm 이상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10mm인 것이 좋다.
한편, 상술한 상온 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수지를 이용한 함침수지층(110)을 활용한 경우 단계(S140)에서는 압축공기를 보강 시공된 상온 경화형 함침튜브 조성물로 주입함에 따라, 표면에 장착한 보강재료로 상온 경화형 함침튜브 조성물으로 압력을 가하여 팽창하고 확대시킴으로써, 하수관로의 내측면과 접합을 하면서 2 내지 4㎏/㎠의 압착을 받은 상태로 1 내지 2 시간 동안 거치하면 파손된 하수관로 내부와 상온 경화형 함침튜브 조성물이 서서히 팽창하면서 견고히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140) 이후, 육안 또는 CCTV 카메라를 시공 부위에 진입시켜, 시공 상태 최종점검을 수행한 뒤(S150), 현장 정리 및 마무리를 수행한다(S160).
한편, 하기의 [표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경화성 함침튜브과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의 차이점을 나타낸다.
기존 함침튜브 열경화형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100)
차이점 ① 내면만 코팅(PE, PU) 총 1회 코팅 ① 내면(PE)과 외면(EVA) 코팅(총 2회 코팅)
② 기존관에 삽입시 외면이 찢어지기가 쉬어 함침수지가 밖으로 새어나올 수 있음 ② EVA 필름으로 압출 코팅 하므로 외면의 안정성이 우수함
③ 비닐수지는 환경유해물질로 분류될 정도로 사용을 자제하는 추세 ③ EVA 수지 및 필름은 대표적인 친환경수지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하수관
2 : 온수 분출호스
2a : 호스 몸체
2-1 : 제 1 온수분출구
2-2 : 제 2 온수분출구
100 :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110 : 함침수지층
120 :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
121 :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
122 :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
123 :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
130 :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

Claims (6)

  1. 하수관에 보강을 위해 하수관의 내면에 EVA(Ethylene Vinyl Acetate) 필름 코팅층, 함침수지층 및 PE(polyethylene) 필름 코팅층 순으로 구성되는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로서,
    상기 EVA 필름 코팅층은, 다층의 코팅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의 내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 EVA 복합수지 필름 코팅층 및 제 1 패턴 EVA 필름 코팅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턴 EVA 필름 코팅층은, 상기 함침수지층 상부면에 패턴롤을 이용하여 EVA 수지를 프리즘, 스트라이프, 렌티큘라, 또는 돗트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후 100 내지 170℃ 사이에서 열경화시켜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E 필름 코팅층은, 압출기 내에서 170℃ 내지 210℃의 온도에서 PE 소재를 가열하여 PE 수지로 용융한 뒤, 용융되는 170 ℃ 내지 210 ℃ 온도를 유지하여 PE 수지로 압출된 것을 사용하여 상기 함침수지층의 배면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펠트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VA 필름 코팅층은, 상기 함침수지층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펠트에 EVA 복합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6.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기존 하구관로에 대한 세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보수시공 하고자 하는 하수관에 CCTV 카메라를 진입하여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형태를 점검하고 장애물을 확인한 후, 고압 젯트 크리너로 하수관 속의 보수하려는 구역의 토사와 슬러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청소하는 제 2 단계;
    보강재료로서 청구항 1에 따른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보수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유압장치를 이용해 유압 견인하는 제 3 단계;
    온수 분출호스를 이용해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를 가열하여 상기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EVA 필름 코팅층이 기존관인 하수관에 밀착하여 수축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의 시공 방법.
KR1020160146495A 2016-11-04 2016-11-04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KR10174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95A KR101744922B1 (ko) 2016-11-04 2016-11-04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495A KR101744922B1 (ko) 2016-11-04 2016-11-04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922B1 true KR101744922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495A KR101744922B1 (ko) 2016-11-04 2016-11-04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908B1 (ko) * 2017-07-20 2018-02-06 윤택규 구리분말이 함침된 탄성보수튜브와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공법
CN117264366A (zh) * 2023-08-31 2023-12-22 上海管康技术有限公司 一种二元管道的局部应急修复材料及其修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761A (ja) 2005-12-15 2007-06-28 Ashimori Ind Co Ltd 管路の内張り材
JP2012126129A (ja) 2010-11-24 2012-07-05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761A (ja) 2005-12-15 2007-06-28 Ashimori Ind Co Ltd 管路の内張り材
JP2012126129A (ja) 2010-11-24 2012-07-05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908B1 (ko) * 2017-07-20 2018-02-06 윤택규 구리분말이 함침된 탄성보수튜브와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공법
CN117264366A (zh) * 2023-08-31 2023-12-22 上海管康技术有限公司 一种二元管道的局部应急修复材料及其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7744B (zh) 聚合物多层膜
KR101534668B1 (ko) 현장 경화 파이프 라이너
US20060266472A1 (en) Vacuum bagging methods and systems
CN103079822B (zh) 紫外线辐射可穿透的多层薄膜
KR101744922B1 (ko) 친환경 eva 필름 코팅 타입의 비굴착 하수관 보강용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KR101772149B1 (ko) 스티렌 배리어를 지니는 현장 경화 파이프 라이너
EP1298267B1 (en)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reinforcing structure material and reinforced structure
CS265203B2 (en) Layered material of hose schape for lining of culverts, esp. for reparation of sewer pipes and method therefor
JP2016125193A (ja) 繊維シート積層体の施工方法
KR101942962B1 (ko)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장치
EP3251827B1 (en) Combined carbon- and 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amide composites and its manufacturing
US7691481B2 (en) Composite article
KR101744919B1 (ko) 비굴착 하수관 보강을 위한 상온 경화형 함침튜브,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KR102590879B1 (ko) 수작업이 가능한 우레탄 우레아 하이브리드 친환경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방법
JP2016203517A (ja) コンクリート積層体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2104881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상하수도관의 비굴착 갱생공법
KR102097273B1 (ko) 저수축형 비굴착용 함침튜브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전체보수 및 부분보수 공법
JP2016172983A (ja) 構造物
US20230256703A1 (en) Composite sleeve for forming a cure in place pipe, composite pipes, and materials and methods thereof
KR102486478B1 (ko) 현장제조의 이음매 없는 구조 맞춤형 우레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CN111372760A (zh) 使用多模具拉挤设备形成异种材料的多层结构的拉挤工艺
JP2002088176A (ja) 光硬化性プリプレグ及び防水材
JP2011042164A (ja) 既設管の更生工法
KR20060014004A (ko) 상하수도관 보수용 라이너 및 전면 보수용 라이너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