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779B1 - 조리용기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779B1
KR101741779B1 KR1020150173216A KR20150173216A KR101741779B1 KR 101741779 B1 KR101741779 B1 KR 101741779B1 KR 1020150173216 A KR1020150173216 A KR 1020150173216A KR 20150173216 A KR20150173216 A KR 20150173216A KR 101741779 B1 KR101741779 B1 KR 10174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d switch
permanent magnet
pipe
magnetic bod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008A (ko
Inventor
구니오 카타오카
유키 미노우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7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작업을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조리용기검지장치를 제공한다.
조리용기에 의해 눌러내려지는 맞닿음부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을 삽통파이프에 삽통하고, 케이블에 취부된 자성체가 맞닿음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삽통파이프내를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삽통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삽통파이프와 영구자석의 취부부와 리드스위치의 취부부를 일체로 한 검지유닛을 비자성재료로 형성하고, 맞닿음부가 내려가 있지 않은 상태의 자성체에 대한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가능한 조정부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은, 조정부에 의해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조리용기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조리용기검지장치{Cooking Container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곤로의 용기받침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져있는 것을 검지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곤로에서는, 용기받침상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연소를 회피하기 위해서,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리용기검지장치로서는, 용기받침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맞닿음부가 조리용기의 바닥부에서 눌러내려짐으로써, 용기받침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진 것을 검지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또한, 맞닿음부가 눌러내려진 것을 검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우선, 환형상의 곤로버너의 내측에 입설된 금속(스테인리스강 등)제의 지지파이프 상단에 맞닿음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취부되어 있고, 맞닿음부에 접속된 케이블이 지지파이프 내를 통해서 지지파이프의 개방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이 케이블의 도중에는 자성체가 취부되어 있고, 맞닿음부의 상하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성체가 지지파이프 내를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맞닿음부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자성체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자기를 받아서 ON상태가 되는 리드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받침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지 않다면,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자성체에 의해 자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리드스위치는 OFF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용기받침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바닥부에서 맞닿음부가 눌러내려지면, 케이블이 지지파이프 내를 이동하는 동시에,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사이로부터 자성체가 이동하기 때문에, 영구자석의 자기를 받아서 리드스위치가 ON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리드스위치의 ON/OFF에 의해 용기받침상의 조리용기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특허문헌 1).
JP 2010-25420 A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리용기검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제조에 매우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우선, 자성체는 케이블에 취부되어 있고, 지지파이프 내에서의 케이블의 구부림 상태나 비틀림 상태에서 자성체의 위치에 불규칙한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리드스위치에는 개체차가 있고,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사이를 자성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리드스위치의 ON/OFF가 전환되는 위치가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리드스위치에는, 영구자석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제의 지지파이프를 통하여 도달하는 자기의 미묘한 변화로 ON/OFF가 전환되도록 정밀도가 높은(움직임감지값과 개방치와의 차이가 작은) 것이 이용되지만,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위치관계의 근소한 어긋남에 의해 ON/OFF가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검지장치의 제조시에는, 지지파이프의 외측에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를 각각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맞닿음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리드스위치의 ON/OFF가 전환되는 적절한 위치를 찾아내고, 그 위치에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를 지지파이프에 고정한다고 하는 매우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과제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작업을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조리용기검지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리용기검지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적용했다. 즉,
곤로의 용기받침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는 것을 검지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상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부에 맞닿아서 눌러내려지는 맞닿음부와,
상기 맞닿음부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부세스프링과,
상기 맞닿음부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삽통되는 삽통파이프와,
상기 케이블에 취부되고, 상기 맞닿음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삽통파이프내를 이동하는 자성체와,
상기 삽통파이프의 측면에 취부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삽통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구자석이 향하는 측에 취부되고, 해당 영구자석의 자기에 의해 오프상태와 온상태가 전환되는 리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파이프와, 상기 영구자석의 취부부와, 상기 리드스위치의 취부부를 일체로 한 검지유닛이 비자성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자성체에 대한 상기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가능한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검지유닛에 이용되는 비자성재료로서는, 영구자석의 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라면 좋고, 예를 들면, 수지재료라도 좋으며, 동이나 알루미늄이나 아연 등의 비투자율이 1.0전후의 금속, 혹은 이들의 합금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검지장치에서는,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삽통파이프를 비자성재료로 형성해 둠으로써, 영구자석의 자기가 직접적으로 리드스위치로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성체가 이동하면, 영구자석으로부터 리드스위치에 도달하는 자기가 크게 변화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드스위치로서는, 특별히 정밀도가 높은(움직임감지값과 개방치와의 차가 작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범용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리드스위치의 정밀도로 좋다면, 영구자석과 리드스위치와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이 미리 고정해 두기 때문에, 영구자석의 취부부 및 리드스위치의 취부부를 검지유닛에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은, 조정부에 의해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위치맞춤작업을 대폭으로 간소화하여, 조리용기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검지장치에서는, 검지유닛을 투명한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와 자성체와의 대략적인 위치관계를 눈으로 보며 확인하면서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맞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렇게 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검지장치에서는, 검지유닛에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상방을 덮는 피복부를 설치해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받침상에 놓여진 조리용기로부터 끓어 넘쳤을 경우에도, 영구자석이나 리드스위치를 끓어 넘친 국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검지장치에서는, 삽통파이프의 양단에, 삽통파이프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를 설치해도 좋다.
검지유닛이 설치된 곤로내에는, 다양한 금속제부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들 금속제부재가 영구자석의 자기를 받아서 자기화 되면 리드스위치가 영향을 받아서 오프상태와 온상태가 올바르게 전환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삽통파이프의 양단에 플랜지부를 설치해 두면, 플랜지부가 주위의 금속제부재로 접촉함으로써, 영구자석이나 리드스위치와 금속제부재와의 이격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제부재의 자기화에 의한 리드스위치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작업을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조리용기검지장치를 제공한다.
조리용기에 의해 눌러내려지는 맞닿음부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을 삽통파이프에 삽통하고, 케이블에 취부된 자성체가 맞닿음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삽통파이프내를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삽통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를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삽통파이프와 영구자석의 취부부와 리드스위치의 취부부를 일체로 한 검지유닛을 비자성재료로 형성하고, 맞닿음부가 내려가 있지 않은 상태의 자성체에 대한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가능한 조정부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자성체에 대한 영구자석 및 리드스위치의 위치맞춤은, 조정부에 의해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조리용기검지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를 재치한 가스곤로(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맞닿음부(11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이동검지부(15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이동검지부(150)가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을 검지하는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의 위치맞춤에 손이 많이 가는 종래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 자성체(152)에 대하여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간단히 위치맞춤이 가능한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를 탑재한 가스곤로(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스곤로(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곤로본체의 상면을 덮어 설치된 천판(2)과, 천판(2)에 형성된 관통공(3)으로부터 상부를 돌출시켜서 곤로본체내에 설치된 곤로버너(10)와, 곤로버너(10)의 상방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두기 위해서 천판(2)의 상면에 설치된 용기받침(4)과, 용기받침(4)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는 것을 검지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1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곤로버너(10)는, 원환형상의 혼합실(11a)이 내부에 형성된 버너바디(11)와, 혼합실(11a)과 연통하여 버너바디(11)로부터 연장설치된 혼합관(12)과, 혼합실(11a)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버너바디(11)에 재치된 원환형상의 버너헤드(13)와, 버너헤드(13)의 상방에 취부된 원환형상의 버너커버(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버너바디(11)로부터 연장설치된 혼합관(12)의 상류측개구(12a)를 향하여 연료가스가 분사되면, 연소용 1차공기가 감겨들어가면서 혼합관(12)에 유입된다. 그리고, 혼합관(12)을 통과하는 연료가스와 1차공기가 혼합되어, 혼합실(11a)에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버너헤드(13)의 외주벽의 하면(버너바디(11)에 재치된 면)에는, 복수의 홈(염구홈)이 버너헤드(13)의 중앙에 대해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버너헤드(13)를 버너바디(11)에 재치하면, 복수의 염구홈과 버너바디(11)의 상면에 의해, 혼합실(11a)에 연통하는 복수의 염구(13a)가 형성된다. 혼합실(11a)에 공급된 혼합가스는, 복수의 염구(13a)로부터 분출되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점화플러그로 불꽃을 날리면 혼합가스의 연소가 개시된다. 또한, 버너헤드(13)의 중앙에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의 공급통로(13h)가 형성되어 있다. 버너커버(14)는, 용기받침(4)상에 놓여진 조리용기로부터 끓어 넘친 경우에, 끓어 넘친 국물이 버너헤드(13)에 묻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달성하고 있다.
버너헤드(13)의 공급통로(13h) 내에는, 조리용기검지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는, 조리용기를 검지하는 것만이 아닌,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온도센서를 내장한 맞닿음부(110)가 버너커버(14)의 중앙개구(14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맞닿음부(1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하겠지만, 용기받침(4)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면, 조리용기의 저면에 맞닿음부(110)가 맞닿아서 눌러내린다. 이 맞닿음부(110)는, 공급통로(13h) 내에 입설된 지지파이프(13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취부되어 있다.
또한, 지지파이프(130)는, L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맞닿음부(110)와는 반대측의 단부(개방단)에는,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을 검지하기 위한 이동검지부(150)가 접속되어 있다. 이동검지부(150)의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는,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에 의거하여, 용기받침(4)상의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한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30) 및 이동검지부(150)에 삽통된 케이블(120)을 통하여, 맞닿음부(110)의 온도센서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맞닿음부(11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맞닿음부(110)는, 거의 원통형상의 홀더(111)와, 홀더(111)의 상단에 취부된 거의 원판형상의 집열부재(112)와, 홀더(111)보다 큰 지름의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111)의 외주를 덮는 커버(1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집열부재(112)의 하면에는 온도센서(115)가 취부되어 있고, 온도센서(115)로부터는 2개의 리드선(116)이 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온도센서(115)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 전기저항이 변하는 서미스터가 이용되고 있고, 조리용기에 맞닿은 집열부재(112)의 하면에 전달되는 온도를 온도센서(115)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110)는, 지지파이프(130)의 상부에 취부되어 있고, 지지파이프(130)의 상단에는, 홀더(111)보다 작은 지름인 원환형상의 좌금(132)이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코킹고정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지지파이프(130)가 홀더(111)에 삽입되어 있고, 홀더(111)의 하단측에는 좌금(132)보다 작은 지름으로 축경된 세경부(11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111)가 지지파이프의 축방향(도면 중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해도, 홀더(111)로부터 좌금(132)이 빠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홀더(111)의 내부에는, 집열부재(112)와 좌금(132)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114)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이 코일스프링(114)이 맞닿음부(110)를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가 용기받침(4)상에 놓여지면, 코일스프링(11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진다. 그리고, 온도센서(115)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116)을 피복한 케이블(120)이, 코일스프링(114)의 내측 및 지지파이프(130)의 내측에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코일스프링(114)은, 본 발명의 「부세스프링」에 해당한다.
그리고, 홀더(111), 커버(113), 및 지지파이프(130)는, 곤로버너(10)의 열로 고온이 되거나, 강도가 요구되거나 하는 것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판 등의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집열부재(112)는, 온도센서(115)에 의한 조리용기의 검출온도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놋쇠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이동검지부(15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동검지부(150)는, 자성재료(예를 들면 SUS430)로 형성된 거의 원통형상의 자성체(152)와, 거의 직방체형상의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를 내장한 스위치모듈(155)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수지재료(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yndiotactic Polystyrene: SPS)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검지유닛(15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검지유닛(151)에는, 투명한 수지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검지유닛(151)은, 케이블(120)이 삽통되는 삽통파이프(151a)와, 영구자석(153)이 끼워넣어지는 자석취부부(151b)와, 스위치모듈(155)이 끼워넣어지는 스위치취부부(15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삽통파이프(151a)를 끼운 자석취부부(151b)와 스위치취부부(151c)가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통파이프(151a)의 양단에는, 삽통파이프(151a)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151d)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검지부(150)는, 지지파이프(130)의 개방단(맞닿음부(110)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삽통파이프(151a)의 지지파이프(130)측의 단부에는, 지름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고정나사(157)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나사(157)가 설치된 단부의 내측에 지지파이프(130)의 개방단을 삽입한 상태로, 고정나사(157)가 조여짐으로써, 지지파이프(130)에 대해서 검지유닛(151)이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고정나사(157)는, 본 발명의 「조정부」에 해당한다.
자성체(152)는, 맞닿음부(110)의 온도센서(115)에 접속된 케이블(120)의 외주에 취부되어 있고,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성체(152)가 삽통파이프(151a)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취부부(151b)에 끼워들어간 영구자석(153)과, 스위치취부부(151c)에 끼워들어간 스위치모듈(155) 내의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에 자성체(152)가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한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와 자성체(152)와의 위치관계는, 삽통파이프(151a)로의 지지파이프(130)의 삽입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모듈(155)의 리드스위치(154)로부터는 2개의 리드선(156)이 인출되어, 제어부(170)(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이동검지부(150)가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을 검지하는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검지유닛(151)이나 스위치모듈(155)의 외장에 대해서의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4(a)에는,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모듈(155)에 내장된 리드스위치(154)는, 주지의 리드스위치와 마찬가지로, 2개의 강자성체의 리드편(154a)이, 소정의 겹침과 간격을 갖게 한 접점부(154b)를 통하여 상대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성체(152)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영구자석(153)의 자기가 자성체(152)에 의해 차단되어 리드스위치(154)로 도달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리드편(154a)이 자기화(磁化)되는 일이 없고, 접점부(154b)는 열린 채로 있기 때문에, 리드스위치(154)는 OFF로 되어 있다.
한편, 도 4(b)에는,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받침(4)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지면, 도면 중에 백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120)이 삽통파이프(151a)내를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자성체(152)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로부터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영구자석(153)의 자기가 리드스위치(154)로 도달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리드편(154a)이 자기화되어 자기흡인력으로 접점부(154b)가 닫히고, 리드스위치(154)는 ON으로 된다.
또한, 용기받침(4)으로부터 조리용기를 떼어내면, 코일스프링(114)의 부세력으로 맞닿음부(110)가 밀어올려지는 것에 수반하여, 자성체(152)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다시 영구자석(153)의 자기가 차단되어 리드스위치(154)에 도달하기 어렵다. 그러면, 리드편(154a)의 자기화가 없어져 리드편(154a)의 탄성력으로 접점부(154b)가 열리고, 리드스위치(154)는 OFF로 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에 연동하여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전환되기 때문에, 리드스위치(154)의 상태(ON인지 OFF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용기받침(4)상의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에 연동하여 자성체(152)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방식을 적용한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자성체(152)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위치관계가 어긋나 있으면,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정확하게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조시에 자성체(152)에 대해서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위치맞춤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삽통파이프(151a)와 자석취부부(151b)와 스위치취부부(151c)를 일체로 한 검지유닛(151)이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검지유닛(151)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위치맞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우선 준비로서,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의 위치맞춤에 손이 많이 가는 종래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의 위치맞춤에 손이 많이 가는 종래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맞닿음부(110)의 도면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종래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맞닿음부(110)의 상하움직임에 연동하여, 케이블(120)에 취부된 자성체(152)가 지지파이프(130)내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는, 맞닿음부(110)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파이프(130)의 외측으로부터 자성체(152)를 끼우도록 취부된다.
지지파이프(130)의 외주에는,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놓기 위한 대좌(台座)(190)가 취부되어 있다. 이 대좌(190)는, 스테인리스강판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파이프(130)의 자성체(152)가 이동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는, 대좌(190)에 놓여져도 위치결정된 것은 아니고, 지지파이프(130)의 축방향(도면 중에 파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자성체(152)에 대해서 위치맞춤을 실시한 후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리드스위치(154)로서 정밀도가 높은(움직임감지값과 개방치와의 차가 작은)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에서 자성체(152)가 이동하더라도, 스테인리스강제의 지지파이프(130)나 대좌(190)의 개재에 의해 영구자석(153)으로부터 리드스위치(154)로 도달하는 자기의 변화는 극히 작고, 그 미묘한 변화로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전환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움직임감지값이란, 표준코일을 이용한 여자(勵磁)에 의해 리드스위치가 ON으로 되는 것에 필요한 전류값(A)과 코일감김수(T)와의 곱이고, 개방치란, 표준코일을 이용한 여자에 의해 리드스위치가 OFF로 되는 전류값(A)과 코일감김수(T)와의 곱이다. 이 움직임감지값과 개방치와의 차는, 작을수록 높은 정밀도인 것을 나타내고, 3AT이하가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고정밀도인 리드스위치(154)를 이용해도,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위치관계가 어긋나 있으면,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자성체(152)가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전환되는 위치는, 리드스위치(154)의 개체차에 의해 불규칙한 변형이 있다. 따라서, 종래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의 제조시에는, 대좌(190)에 놓여진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의 위치를 각각 지지파이프(130)의 축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맞닿음부(110)를 상하움직이게 하여 리드스위치(154)의 ON과 OFF가 전환되는 적절한 위치를 발견해 낸다고 하는 매우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접착제 등으로 대좌(190)에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한번 고정하면,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 자성체(152)에 대해서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를 간단하게 위치맞춤을 할 수 있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수지재료로 형성된 검지유닛(151)에 삽통파이프(151a)와 자석취부부(151b)와 스위치취부부(151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영구자석(153)은, 검지유닛(151)의 측방으로부터 자석취부부(151b)에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결정되고, 리드스위치(154)를 내장한 스위치모듈(155)은, 검지유닛(151)의 하방으로부터 스위치취부부(151c)에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자석취부부(151b)에는 영구자석(153)에 계합하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계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영구자석(15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취부부(151c)에는 스위치모듈(155)에 계합하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계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모듈(155)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지지파이프(130)를 통한 케이블(120)은 검지유닛(151)의 삽통파이프(151a)에 삽통되고, 케이블(120)에 취부된 자성체(152)는, 삽통파이프(151a)내에 수용된다. 삽통파이프(151a)는, 지지파이프(130)측의 단부에 고정나사(15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부의 내측에 지지파이프(130)의 개방단을 삽입한 상태로 고정나사(157)를 조이면, 지지파이프(130)에 대해서 검지유닛(151)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스테인리스강제의 지지파이프(130)를 통하는 일이 없이 영구자석(153)의 자기가 직접적으로 리드스위치(154)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사이에서 자성체(152)가 이동하면, 영구자석(153)으로부터 리드스위치(154)에 도달하는 자기가 크게 변화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리드스위치(154)로서는, 종래예와 같은 정밀도가 높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듈화된 범용의 것(예를 들면, 움직임감지값과 개방치와의 차가 5AT이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리드스위치(154)의 정밀도로 좋은 것이라면, 영구자석(153)과 리드스위치(154)와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도,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이 미리 고정해 두기 때문에, 자석취부부(151b) 및 스위치취부부(151c)를 검지유닛(151)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자성체(152)에 대한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의 위치맞춤은, 고정나사(157)를 조인상태에서, 검지유닛(151)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삽통파이프(151a)로의 지지파이프(130)의 삽입량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좋기 때문에, 위치맞춤작업을 대폭으로 간소화하여, 조리용기검지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지유닛(151)은, 투명한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영구자석(153) 및 리드스위치(154)(스위치모듈(155))와 자성체(152)와의 대략적인 위치관계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검지유닛(151)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맞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서는, 검지유닛(151)이 지지파이프(130)에 대해서 고정나사(157)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드스위치(154)가 고장난 경우라도, 조리용기검지장치(100)의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검지유닛(151) 혹은 스위치모듈(155)만을 교환하여 간단하게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지유닛(151)에서는, 삽통파이프(151a)의 양단에 플랜지부(151d)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이동검지부(150)가 설치되는 가스곤로(1)내부에는, 스테인리스강판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다양한 금속제부재(예를 들면,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끓어 넘친 국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등)가 탑재되어 있고, 이들 금속제부재가 영구자석(153)의 자기를 받아서 자기화 되면, 리드스위치(154)가 영향을 받아서 ON과 OFF가 정확하게 전환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삽통파이프(151a)의 양단에 플랜지부(151d)를 설치해 두면, 플랜지부(151d)가 주위의 금속제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영구자석(153)이나 리드스위치(154)와 금속제부재와의 이격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제부재의 자기화에 의한 리드스위치(154)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검지유닛(151)은, 측방으로부터 자석취부부(151b)에 끼워들어간 영구자석(153), 및 하방으로부터 스위치취부부(151c)에 끼워들어간 스위치모듈(155)(리드스위치(154))의 상방을 덮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용기받침(4)상에 놓여진 조리용기로부터 끓어 넘친 경우라도, 영구자석(153)이나 리드스위치(154)를 끓어 넘친 국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자석취부부(151b)의 상면, 및 스위치취부부(151c)의 상면은, 본 발명의 「피복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석취부부(151b)의 상면, 및 스위치취부부(151c)의 상면은, 수평인 평면이 아닌, 중앙부분이 상방으로 돌출한 단면산형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해 둠으로써, 자석취부부(151b)의 상면이나 스위치취부부(151c)의 상면에 끓어 넘친 국물이 묻는 경우라도, 경사에 따라 흘러내려가기 쉽기 때문에, 끓어 넘친 국물의 고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검지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지유닛(151)이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검지유닛(151)의 재질은, 영구자석(153)의 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비자성재료)이라면, 수지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이나 알루미늄이나 아연 등의 비투자율이 1.0 전후인 금속, 혹은 이들의 합금이라도 좋다. 그리고,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표면에 도금이나 산화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가스곤로 2: 천판 3: 관통공
4: 용기받침 10: 곤로버너 11: 버너바디
11a: 혼합실 12: 혼합관 13: 버너헤드
13a: 염구 13h: 공급통로 14: 버너커버
100: 조리용기검지장치 110: 맞닿음부 111: 홀더
112: 집열부재 113: 커버 114: 코일스프링
115: 온도센서 116: 리드선 120: 케이블
130: 지지파이프 132: 좌금 150: 이동검지부
151: 검지유닛 151a: 삽통파이프 151b: 자석취부부
151c: 스위치취부부 151d: 플랜지부 152: 자성체
153: 영구자석 154: 리드스위치 154a: 리드편
155: 스위치모듈 156: 리드선 157: 고정나사
170: 제어부 190: 대좌

Claims (5)

  1. 곤로의 용기받침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는 것을 검지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상에 놓여진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부에 맞닿아서 눌러내려지는 맞닿음부와,
    상기 맞닿음부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부세스프링과,
    상기 맞닿음부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과,
    상기 맞닿음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태로 상단측에 취부되어 상기 케이블이 삽통되는 금속제의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기 맞닿음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상기 케이블이 삽통되는 삽통파이프와,
    상기 케이블에 취부되고, 상기 맞닿음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삽통파이프내를 이동하는 자성체와,
    상기 삽통파이프의 측면에 취부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삽통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영구자석이 향하는 측에 취부되고, 해당 영구자석의 자기에 의해 오프상태와 온상태가 전환되는 리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삽통파이프와, 상기 영구자석의 취부부와, 상기 리드스위치의 취부부를 일체로 한 검지유닛이 비자성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리드스위치와의 사이에 상기 지지파이프를 개재시키지 않고, 상기 맞닿음부가 눌러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자성체에 대한 상기 검지유닛의 고정위치를 조정가능한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유닛은 투명한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유닛에는, 상기 영구자석 및 상기 리드스위치의 상방을 덮는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유닛에는, 상기 영구자석 및 상기 리드스위치의 상방을 덮는 피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파이프의 양단에는, 해당 삽통파이프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검지장치.
KR1020150173216A 2014-12-09 2015-12-07 조리용기검지장치 KR101741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9173A JP6129148B2 (ja) 2014-12-09 2014-12-09 調理容器検知装置
JPJP-P-2014-249173 2014-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008A KR20160070008A (ko) 2016-06-17
KR101741779B1 true KR101741779B1 (ko) 2017-05-30

Family

ID=5612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216A KR101741779B1 (ko) 2014-12-09 2015-12-07 조리용기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29148B2 (ko)
KR (1) KR101741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9883B2 (ja) * 2017-04-20 2021-08-18 株式会社パロマ コンロセンサ、コンロバーナ、及びガスコンロ
JP2019203671A (ja) *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用の温度検出装置
JP7085604B2 (ja) * 2020-10-14 2022-06-16 株式会社芝浦電子 温度センサおよび調理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024A (ja) * 2004-06-04 2005-12-15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
JP2007333262A (ja) 2006-06-13 2007-12-27 Nec Tokin Corp 被加熱容器検知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ロ
JP2010025420A (ja) * 2008-07-18 2010-02-04 Tateyama Kagaku Kogyo Kk ガス調理器用センサ
JP2013253759A (ja) * 2012-06-08 2013-12-19 Rinnai Corp 加熱調理器用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5024A (ja) * 2004-06-04 2005-12-15 Rinnai Corp 鍋底温度センサ
JP2007333262A (ja) 2006-06-13 2007-12-27 Nec Tokin Corp 被加熱容器検知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ロ
JP2010025420A (ja) * 2008-07-18 2010-02-04 Tateyama Kagaku Kogyo Kk ガス調理器用センサ
JP2013253759A (ja) * 2012-06-08 2013-12-19 Rinnai Corp 加熱調理器用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09383A (ja) 2016-06-20
JP6129148B2 (ja) 2017-05-17
KR20160070008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779B1 (ko) 조리용기검지장치
US7472491B2 (en) Measuring probe, especially for a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thin layers
US7363824B2 (en) Flow sensor
KR102312878B1 (ko) 조리용기검지장치
US20110036165A1 (en) Contactless liquid level sensor
US10139009B2 (en) Electromagnetic valve
EP2657651B1 (en) Position sensor
US20150000398A1 (en) Liquid surface detecting apparatus
JP2019060488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US20150338263A1 (e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JP5057473B2 (ja) ガス調理器用センサ
US10544874B2 (en) Coil capture apparatus and pilot operated water valve incorporating same
JP5644664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CN102835031A (zh) 传感器
JP6831199B2 (ja) 加熱調理器具
JP2007218524A (ja) ガステーブル用センサ
US7246787B2 (en) Solenoid valve assembly
JP6842266B2 (ja) 加熱調理器具
JP6532388B2 (ja) 調理容器検知装置
JP5763012B2 (ja) 加熱調理器用の検出装置
US11536225B2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634414B2 (ja) 調理容器検知装置
JP6228453B2 (ja) 調理機器
JP2016518679A (ja) 素早く取り外せ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0015764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