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761B1 - 용접용 콘덴서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콘덴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761B1
KR101739761B1 KR1020150091347A KR20150091347A KR101739761B1 KR 101739761 B1 KR101739761 B1 KR 101739761B1 KR 1020150091347 A KR1020150091347 A KR 1020150091347A KR 20150091347 A KR20150091347 A KR 20150091347A KR 101739761 B1 KR101739761 B1 KR 10173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pair
elements
welding
capacitor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409A (ko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102015009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2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6Mounting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 이상 각 쌍별로 묶음(grouping)되고, 개별적으로 제1, 2전극부를 가진 콘덴서, 상기 각 쌍의 콘덴서는 상기 제1 전극부가 각 전극마다 하나의 선(line)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는 하나의 선(line)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 그 경우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에 맞춰 콘덴서 장치의 구성 변경을 통해 그 여러 개의 콘덴서가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콘덴서 장치{Condenser apparatus used in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기에는 용접부로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전류를 극대화시켜 공급하는 트랜스부에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콘덴서가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콘덴서와 관련하여 선행문헌(국내출원번호 제20-2001-0018059호, 발명의 명칭 : "스포트 용접기")에는 다음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포트 용접기는 접합면의 저항열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합면을 융착시키는 것으로 주로 소단위 부품을 접합하는데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포트 용접기는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전류는 증폭시켜 접합하고자하는 부품의 접합면에 저항열을 발생시켜 접합시키는 트랜스부로 전원공급을 단속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트랜스부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시켜 실시하는 방법은 전원 단속과정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전류가 소모되므로 인하여 다른 기계장치로의 전원공급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전류의 충전이 서서히 곡선을 이루며 이루어지는 콘덴서에 미리 전류를 충전시키는 용접과정에 있어 상기 콘덴서의 전류를 사용하여 용접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제1, 2전극을 가지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에 전원부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 전극에 트랜스부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각 용접용 콘덴서 장치별로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방식의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 장치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위해, 새로운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이 요구되며, 그에 맞는 콘덴서 장치의 구성 변경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 그 경우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에 맞춰 콘덴서 장치의 구성 변경을 통해 그 여러 개의 콘덴서가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용 콘덴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제1, 2전극부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를 가지고, 상기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는 쌍별로 묶음(grouping)되고,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며,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1 전극부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상기 제2 전극부가 해당 쌍의 소자 형성된 각 콘덴서를 테이핑(taping)하고 경계부위를 컷팅하여 융착해 전원 케이블의 심선을 분기 붙임시켜 몰딩하여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덴서 소자가 한 쌍인 경우,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는 용접기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브래킷(bracket)을 가지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는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되어 일체로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덴서 소자가 적어도 두 쌍인 경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마다 용접기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브래킷(braket)을 가지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일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는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되며, 상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타단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콘덴소 소자를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제1, 2전극부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를 쌍별로 묶음(grouping)시키고 해당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1 전극부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제2 전극부는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그 경우에 맞게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은 종래 용접용 콘덴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사용되는 제1 브래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사용되는 제2 브래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 그 경우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에 맞춰 콘덴서 장치의 구성 변경을 통해 그 여러 개의 콘덴서가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제1 전극부(101-1, 101-2)와 제2 전극부(102)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를 쌍별로 묶음(grouping)시키고 해당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1 전극부(101-1, 101-2)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110-2, 110-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102)는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110-1)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용접기에 많은 용접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콘덴서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에 있어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콘덴서 장치는 적어도 한 쌍 이상 각 쌍별로 묶음(grouping)되고, 개별적으로 제1 전극부(101-1, 101-2)와, 제2 전극부(102)를 가진다. 이때, 각 쌍의 콘덴서는 제1 전극부(101-1, 101-2)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110-2, 110-3)의 심선(112-1, 112-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102)는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110-1)의 심선(111)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상기 제2 전극부(102)가 해당 쌍의 소자 형성된 각 콘덴서를 테이핑(taping)하고 상기 각 콘덴서 간의 경계부위를 컷팅하여 융착해 도 2의 오른쪽 부분 내용대로 일체로 형성하고, 전원 케이블의 심선을 분기 붙임시켜 몰딩(도 5과 도 6의 몰딩 내용 참조)해서 도 2의 왼쪽 부분과 같이,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된 해당 쌍의 소자 형성된 각 콘덴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며, 해당 쌍의 소자 형성된 각 콘덴서 전원을 공통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각 콘덴서로 각기 분기하는 것이다. 상기 콘덴서 장치는 용접기에 있어서, 용접부로 상호유도작용에 의하여 전류를 극대화시켜 공급하는 트랜스부에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용접용 콘덴서에 사용된다. 상기 콘덴서 장치 즉, 이러한 용접전류를 공급하는 콘덴서 장치는 전원을 전원부로부터 공급받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부는 전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트랜스부와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장치는 쌍별로 개별 전원 구성을 가진 제1 전극부를 통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서서히 곡선을 이루며 미리 전류를 충전시키고, 용접시 쌍별로 각 쌍의 제2 전극부들이 공통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통해 그 충전된 전류를 트랜스부로 공급하여, 용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여러 개의 콘덴서가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제1, 2 전극부를 가진 콘덴서 소자를 적어도 한 쌍 이상 각 쌍별로 묶음(grouping)시킨다.
그리고,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1 전극부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쌍별로 개별 전원 구성을 가진 제1 전극부를 통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서서히 곡선을 이루며 미리 전류를 충전시킨다.
그런 다음, 용접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각 쌍의 콘덴서는 각 쌍의 제2 전극부들이 공통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통해 쌍별로 각기 충전된 전류를 트랜스부로 공급한다.
그렇게 하여, 콘덴서의 전류를 사용해 용접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 결과, 여러 개의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사용되는 제1 브래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한 쌍의 콘덴서 소자인 경우 그 한 쌍의 콘덴서 소자를 연결하고 용접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브래킷(2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1 브래킷(200)은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한 쌍의 콘덴서 소자인 경우,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는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도 5에서는 위쪽의 부분 확대도 상 상단 절곡부와 아래쪽의 부분 확대도 상 하단 절곡부 모두 가지는 예임), 상기 절곡부는 몰딩이나 고정시 등에 제1 브래킷으로부터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되어 일체로 몰딩된다(도 5의 위쪽 부분 확대도와 아래쪽 부분 확대도 참조).
이때, 상기 제1 브래킷(200)은 상기 절곡부가 대응되는 콘덴서의 끝단면과 동일 높이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1 브래킷(200)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콘덴서 소자가 부착되어 용접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4와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사용되는 제2 브래킷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콘덴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두 쌍 이상의 콘덴서 소자인 경우 각 콘덴서 소자를 연결하고 용접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브래킷(300-1, 300-2)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2 브래킷(300-1, 300-2)은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적어도 두 쌍인 경우에는 쌍으로 묶음되어 연결된 용접용 콘덴서 장치들의 양 끝단부 용접용 콘덴서 장치 마다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브래킷(300-1, 300-2)은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일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도 6에서는 위쪽 부분 확대도 상의 상단 절곡부를 가지는 예임), 상기 절곡부는 몰딩이나 고정시 등에 브래킷으로부터 용접용 콘덴서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된다(도 6의 부분 확대도 참조).
그리고, 상기 제2 브래킷(300-1, 300-2)은 상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타단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콘덴서 소자를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를 가진다(도 7의 제2 브래킷(300-1) 하단 참조).
이때, 상기 제2 브래킷(300-1, 300-2)은 상기 절곡부와 상기 이격지지부가 대응되는 콘덴서의 끝단면과 동일 높이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브래킷(300-1, 300-2)이 구비된 용접용 콘덴서 장치는 용접기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 101-2 : 제1 전극부 102 : 제2 전극부
110-2, 110-3, 110-1 : 전원 선
112-1, 112-2, 111 : 심선 200 : 제1 브래킷
300-1, 300-2 : 제2 브래킷

Claims (4)

  1. 제1, 2전극부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
    를 가지고,
    상기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는 쌍별로 묶음(grouping)되고,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며,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1 전극부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 각각마다 서로 다른 전원 선(line)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별(individual)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제2 전극부가 쌍으로 묶음된 두 개의 소자들이 하나의 전원 선(line)이 분기되어 공통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가지고,

    상기 각 쌍의 콘덴서 소자는,
    상기 제2 전극부가 해당 쌍의 각 콘덴서 소자를 테이핑(taping)하고 상기 각 콘덴서 소자 간의 경계부위를 컷팅하여 융착해 일체로 형성하고, 전원 케이블의 심선을 분기 붙임시켜 몰딩해서 공통으로 전기적 연결된 해당 쌍의 각 콘덴서 소자간에 공통(common) 전원 구성을 구비하여, 해당 쌍의 각 콘덴서 소자 전원을 공통으로 상기 전원 케이블로부터 입력받아 해당 각 콘덴서 소자로 각기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콘덴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전극부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가 한 쌍인 경우,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는 용접기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브래킷(bracket)을 가지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한 쌍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는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되어 일체로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콘덴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전극부를 가진 다수 개의 콘덴서 소자가 적어도 두 쌍 이상인 경우,
    상기 적어도 두 쌍 이상인 콘덴서 소자로 된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마다 용접기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 브래킷(braket)을 가지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일단부가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는 해당 콘덴서 소자 방향으로 꺽어져 몰딩부에 내설되며, 상기 양 끝단부의 콘덴서 소자와 결합되는 타단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콘덴소 소자를 이격시키는 이격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콘덴서 장치.
KR1020150091347A 2015-06-26 2015-06-26 용접용 콘덴서 장치 KR10173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347A KR101739761B1 (ko) 2015-06-26 2015-06-26 용접용 콘덴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347A KR101739761B1 (ko) 2015-06-26 2015-06-26 용접용 콘덴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09A KR20170001409A (ko) 2017-01-04
KR101739761B1 true KR101739761B1 (ko) 2017-06-08

Family

ID=5783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347A KR101739761B1 (ko) 2015-06-26 2015-06-26 용접용 콘덴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2928B (zh) * 2020-06-24 2020-12-08 湖州达立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更换的电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60Y1 (ko) * 2001-06-16 2001-10-17 오운영 스포트 용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60Y1 (ko) * 2001-06-16 2001-10-17 오운영 스포트 용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09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4408B2 (en) Motor stator with improved connection member
JP5811130B2 (ja) 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US9590324B2 (en) Terminal-equipped electrical wire
KR101739761B1 (ko) 용접용 콘덴서 장치
TWM484783U (zh) 電子元件座
US1371094A (en) Means for electric-arc welding, cutting, and the like
JP2015521456A5 (ko)
RU201414679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ей посредством магнитной индукции
WO2014077144A1 (ja) 端子金具付き電線
US4518445A (en) Method for making electrical cables
CN108015422A (zh) 激光加工组件及其加工工艺
EP3139703B1 (en) Induction-heating device and induction-heating cooker
JP2017153198A (ja) 回転電機
KR20170066946A (ko)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전기 매트
JP6561931B2 (ja) 温度センサのエレメント線と延長用のリード線との接続方法
KR101002868B1 (ko) 스포트용접 타임래그 퓨즈
KR860009574A (ko) 고압 변압기
US11170911B2 (en) Wiring member
JP2002336968A (ja) 抵抗溶接機及びその溶接機を用いた被覆導線の溶接方法
CN205280808U (zh) 一种悬挂点焊机故障检测装置
JP2015029999A (ja) コイル接合方法
JP5826305B2 (ja) 制御装置の端子の溶接方法
JP2013196989A (ja) 電線の接合構造
JP5179631B2 (ja) 電力用半導体装置
CN204366228U (zh) 应变片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