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008B1 -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008B1
KR101739008B1 KR1020160155301A KR20160155301A KR101739008B1 KR 101739008 B1 KR101739008 B1 KR 101739008B1 KR 1020160155301 A KR1020160155301 A KR 1020160155301A KR 20160155301 A KR20160155301 A KR 20160155301A KR 101739008 B1 KR101739008 B1 KR 10173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it
fixing pin
po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한
Original Assignee
김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한 filed Critical 김덕한
Priority to KR102016015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08B1/ko
Priority to PCT/KR2017/012131 priority patent/WO20180930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는 플랜지(F)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포켓부(111); 상기 제1포켓부(111)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113); 상기 관통공(113)에 관통되어 결합하는 고정핀(112)으로 이루어진 원터치수용부(110);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부(121);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홀(122); 상기 슬라이드홀(122)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홀(123)로 이루어진 조절부(120); 플랜지(F)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포켓부(131); 상기 제2포켓부(131)의 상단에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미세조절부(132);로 이루어진 수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One-touch type flexible joint connection tube fixtures}
본 발명은 펌프의 시공 시 펌프에 연결되는 후렉시블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후렉시블 연결관을 펌프의 시공 시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배관은 수명 증대를 위해 강재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배관 자체의 수명은 증대되나, 펌프의 구동 또는 수압 등 외부의 요인에 의해 배관이 쉽게 요동하게 되며, 이는 배관 간 연결부의 결합을 약화시키고, 배관이 장착된 구조물에 손상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강성을 가지는 두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을 완화시키는 후렉시블 연결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으로는 일반적으로 후렉시블 조인트, 고무커넥터 등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모두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에 대한 변형 허용량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렉시블 연결관(20)은 한 쌍의 배관(10) 사이에 구비되며, 가요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20)은 배관(10) 전체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20)은 특정한 어느 하나의 제품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용 배관을 모두 포함한다. 즉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후렉시블 조인트, 고무 커넥터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은 모두 대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20)의 양단에는 연결플랜지(14)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4)는 배관(10)의 플랜지(12)에 체결되어 접속된다. 다만,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20)을 이와 같이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후렉시블 연결관은 그 특성상 설치 시 필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을 고정하기 위한 장비가 요구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의 플랜지에 철근 등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을 고정하였으며, 이는 용접을 위한 장비를 항상 상비하고 있어야 하며,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렉시블 연결관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용접된 철근을 제거하는 과정에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용접에 의한 플랜지의 변색, 변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31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후렉시블 연결관의 설치 과정에서 상기 후렉시블 연결관을 플랜지 사이에 간편하고,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식 고정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는 플랜지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포켓부; 상기 제1포켓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결합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원터치수용부;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홀; 상기 슬라이드홀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홀로 이루어진 조절부; 플랜지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포켓부; 상기 제2포켓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미세조절부;로 이루어진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포켓부와 미세조절부의 사이에는 공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핀의 양 끝단의 단면에는 공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공의 한쪽은 고정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암나사가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 또는 고정핀의 양끝단에 수나사를 모두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하고, 관통공의 양쪽 내부에 모두 암나사를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하는 것 또는 고정핀을 관통공에 삽입하고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결부와 공구결합부의 외형은 6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는 스패너 등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만 탈,부착하므로, 쉽고, 빠르고, 간편하게 후렉시블 연결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접에 의한 배관의 변색,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 후렉시블 연결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고정기구의 분해도 및 요부확대도
도3은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고정기구의 확장 결합도
도4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고정기구의 축소 결합도
도5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고정기구의 실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고정기구의 실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조절부의 사시도 및 조절부 원통부분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의 분해도 및 요부확대도이고, 도3은 확장 결합도. 도4는 축소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100)는 원터치수용부(110), 조절부(120), 수용부(130)로 대별된다.
원터치수용부(110)는 플랜지(F)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포켓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포켓부(111)의 하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113)이 제1포켓부(11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가 형성된 고정핀(112)이 관통되어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포켓부(111)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13)은 고정핀(11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암나사가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고정핀(112)과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2)의 양끝단에 수나사를 모두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양쪽 관통공(113)의 내부에 모두 암나사를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핀(112)을 관통공(113)에 삽입하고 용접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112)의 양 끝단의 단면에는 육각렌치홈 또는 'ㅡ'자홈 또는 '+'자홈 등의 공구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위와 같이 나사결합된 고정핀(112)으로 원터치수용부(110)와 조절부(120)를 결합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인하여 원터치수용부(110)와 조절부(120)의 분리, 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므로, 플랜지(F)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1포켓부(111)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원터치수용부(110)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기능이 생긴다.
조절부(120)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100)의 전체길이를 원터치수용부(110)에 구비되어 있는 제1포켓부(111)와 연동하여 원터치식으로 한번에 축소 또는 확장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조절부(12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수용부(130)의 상단에 구비된 미세조절부(132)와 나사체결되어, 조절부(120)과 수용부(130) 사이의 간격을 나사 회전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결부(121)는 조절부(120) 내부에 암나사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조절부(120)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돌출된 체결부(121)의 외형은 6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어 스패너 등의 공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120)의 양측에는 상하로 슬라이드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슬라이드홀(122)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홀(123)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어, 원터치수용부(110)의 하단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112)이 삽입되어 슬라이드홀(122) 내에서는 상하로 이동하고, 고정홀(123) 내에서는 좌우로 이동한다
수용부(130)는 플랜지(F)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포켓부(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포켓부(131)의 상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미세조절부(132)가 구비되어 있다, 제2포켓부(131)와 미세조절부(132)의 사이에는 공구결합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구결합부(133)의 외형은 6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어 스패너 등의 공구로 공구결합부(13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인하여, 수용부(130)가 회전되어, 조절부(120)과 수용부(130)의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의 실시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의 실시 단면도이다.
상기의 구성에 관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조절부(120)과 수용부(130)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원터치수용부(110)에 고정핀(112)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부(120)를 원터치수용부(110)의 내부로 삽입하고, 원터치수용부(110)의 외부에서 고정핀(112)을 일측 관통공(113)으로부터 조절부(120)의 슬라이드홀(123) 또는 고정홀(123)을 관통하여 타측 관통공(113)에 나사결합 한다.
나사결합된 고정핀(112)은 슬라이드홀(122) 및 고정홀(123)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고정핀(112)과 결합되어 있는 원터치수용부(110)가 슬라이드홀(122)을 따라 상,하로 한번에 이동될 수 있고, 원터치수용부(1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인하여 고정핀(111)을 고정홀(123) 내로 이동시켜 원터치수용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부(130)를 하측 플랜지(F)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슬라이드홀(122) 내에 고정핀(112)이 위치된 상태에서 원터치수용부(110)에 구비된 제1포켓부(111)를 상승시켜 상측 플랜지(F)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제1포켓부(111) 내로 삽입한 후 제1포켓부(111)를 고정홀(123) 쪽으로 회전시켜 원터치수용부(110)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상,하 플랜지(F)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하플랜지(F)의 미세간격의 조절은 수용부(130)를 회전시켜 미세조절부(132)와 체결부(121) 사이를 나사 이동에 의하여 간격을 조절한다.
도7은 본 발명 조절부의 사시도 및 조절부 원통부분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20)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홀(122)과 고정홀(123)이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홀(122)과 고정홀(123)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고정핀(112)이 슬라이드홀(122) 내에서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홀(123) 내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110; 원터치수용부 120; 조절부 130; 수용부 111; 제1포켓부 112; 고정핀 113; 관통공 121; 체결부 122; 슬라이드홀 123; 고정홀 131; 제2포켓부 132; 미세조절부 133; 공구결합부

Claims (7)

  1. 플랜지(F)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포켓부(111);
    상기 제1포켓부(111)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113);
    상기 관통공(113)에 관통되어 결합하는 고정핀(112)으로 이루어진 원터치수용부(110);
    상기 고정핀(112)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홀(122)과; 상기 슬라이드홀(122)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홀(123)로 이루어지되,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부(121)가 하단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조절부(120);
    플랜지(F)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포켓부(131);
    상기 제2포켓부(13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미세조절부(132)로 이루어진 수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제2포켓부(131)와 미세조절부(132)의 사이에는 공구결합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12)의 양 끝단의 단면에는 공구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3)의 한쪽은 고정핀(112)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암나사가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12)의 양끝단에 수나사를 모두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13)의 양쪽 내부에 모두 암나사를 형성하거나, 한쪽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12)을 관통공(113)에 삽입하고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7.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1)와 공구결합부(133)의 외형은 6각형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KR1020160155301A 2016-11-21 2016-11-21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KR10173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01A KR101739008B1 (ko) 2016-11-21 2016-11-21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PCT/KR2017/012131 WO2018093066A1 (ko) 2016-11-21 2017-10-31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301A KR101739008B1 (ko) 2016-11-21 2016-11-21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008B1 true KR101739008B1 (ko) 2017-05-23

Family

ID=590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301A KR101739008B1 (ko) 2016-11-21 2016-11-21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9008B1 (ko)
WO (1) WO201809306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65A (ja) 2001-03-21 2002-09-25 Osaka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マーキング治具
KR101266144B1 (ko) 2012-09-26 2013-05-21 류승호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JP2014096933A (ja) 2012-11-09 2014-05-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先端工具取付用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9788U (ko) * 1988-04-04 1989-10-17
JPH0673536U (ja) * 1993-03-26 1994-10-18 ニチアス株式会社 フッ素樹脂製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
JPH0783353A (ja) * 1993-09-17 1995-03-28 Sankei Giken:Kk 可撓性継手の配管取付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865A (ja) 2001-03-21 2002-09-25 Osaka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マーキング治具
KR101266144B1 (ko) 2012-09-26 2013-05-21 류승호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JP2014096933A (ja) 2012-11-09 2014-05-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先端工具取付用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3066A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180A1 (en) Pipe joint locking device
US20170356576A1 (en) Conduit body with super fitting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739008B1 (ko) 원터치식 후렉시블 연결관 고정기구
US3643986A (en) Pipeline saddle assembly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CN202165726U (zh) 蒸汽管路l形旋转接头管路防转器
US20130255064A1 (en) Industrial-piping system attachment devices for seismic bracing and methods of use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20190116789A (ko) 걸림턱 관 체결용 후크볼트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CN209140726U (zh) 一种管道安装机械扳手
KR101722187B1 (ko) 밀폐식 하수관
CN104723250B (zh) 一种可控制穿芯螺栓伸出长度的扳手
KR20160000042U (ko) 더미 파이프
CN104696639A (zh) 软管接头
KR20150004076U (ko) 실링 너트를 구비한 압력게이지
KR100385348B1 (ko) 스프링클러헤드용 배관연결장치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RU189931U1 (ru) Муфта для ремонта поверхностных и сквозных дефектов надземных нефте- и продуктопроводов
CN210135338U (zh) 连接组件及具有其的压力表组件
KR101573203B1 (ko)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US1891193A (en) Meter hanger
CN202452025U (zh) 太阳能热水器防扭接头
KR200472713Y1 (ko) 유체관 이음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