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03B1 -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 Google Patents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03B1
KR101573203B1 KR1020140048845A KR20140048845A KR101573203B1 KR 101573203 B1 KR101573203 B1 KR 101573203B1 KR 1020140048845 A KR1020140048845 A KR 1020140048845A KR 20140048845 A KR20140048845 A KR 20140048845A KR 101573203 B1 KR101573203 B1 KR 10157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nnection
swivel nut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497A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riority to KR102014004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2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호스 말단부에 구비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 형태의 호스측 연결부와, 상기 호스측 연결부에 결합되어 연결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본체로 공급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형태의 본체측 연결부와, 상기 호스측 또는 본체측 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스위블너트가 구비되어 타측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너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호스측 연결부 말단 또는 본체측 연결부 말단에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 소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연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블너트의 대향측에 해당되는 호스측 연결부 또는 본체측 연결부의 말단 내주면에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연결안내부가 끼워지는 연결안내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Joint for improved ease of fastening}
본 발명은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산업기계나 장치 및 설비 등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연결호스 말단부의 호스측 연결부와 장치 또는 설비에 결합된 본체측 연결부의 초기 결합성을 향상시키고, 스위블너트의 최종 조임시에 호스측 연결부는 물론 연결호스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가 누설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기계나 장치 및 설비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세부 장치들이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산업용기계 및 장치와 설비에 동작유체를 공급하는 연결호스가 기계, 장치 및 설비(이하, ‘본체’라 함)와 연결되어 공급된 유체의 압력으로 특정 부위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종 산업용 기계, 장치 및 설비에 연결되는 연결호스의 말단에는 금속제 연결금구(일반적으로 연결소켓, 커플러, 커플링, 연결조인트, 이음쇠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호스측 연결부’라 칭함)가 취부되어 있고, 이에 결합되는 본체측에도 소정의 금속금구(이하, ‘본체측 연결부’라 칭함)가 취부되어 있어서 호스측 연결부를 본체측 연결부에 결합하여 호스와 본체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 고압의 유체가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결호스와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조인트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일부 발췌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호스측 연결부와 본체측 연결부의 일부 발췌 분리사시도이고, 도 3에는 그 결합상태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고무제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있는 연결호스(10)의 말단에 금속제로 이루어진 호스측 연결부(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호스측 연결부(20)가 결합되는 본체(30)에도 본체측 연결부(32)가 결합되어 있어서 양측 연결부를 접속시킨 후에 일측 연결부에 구비된 암형 연결부를 타측 숫형 연결부에 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종래 연결조인트(40)는 일측, 즉 도면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연결호스(10)측의 호스측 연결부(20)에 내주연에 나사결합부(25)가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스위블너트(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측 연결부(32)에는 상기 스위블너트(22)의 암형 나사결합부(25)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숫형 나사결합부(3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나사결합에 따라 호스측 연결부(20)가 본체측 연결부(32)에 연결되면서 견고한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호스측 연결부(20)과 본체측 연결부(32)의 접속은 금속재 연결금구의 상호간 면 접촉을 통해 중앙에 유로가 형성되면서 테두리가 밀폐되는 구조로, 이의 결합상태에 따른 단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의 결합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측 연결부(20)의 말단부와 본체측 연결부(32)의 말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호스측 연결부(20)에 구비된 스위블너트(22)의 조임에 따라 나사결합되면서 호스측과 본체측이 상호 밀착되어 각 말단에 형성된 경사면(23,33)의 긴밀한 면 접촉을 통해 양단이 밀폐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조인트(40)는 연결호스(10)와 본체(30)의 결합을 유도하는 호스측 연결부(20)에 구비된 스위블너트(22)가 본체(30)에 구비된 본체측 연결부(32)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호스측 연결부(20)와 본체측 연결부(32)가 수평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호 수평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스위블너트(22)의 암나사결합부(25)에 형성된 최외측 나사산을 본체측 연결부(32)의 숫나사결합부(35)에 형성된 최외측 나사산과 잘 맞춘 후에 스위블너트(22)의 회전을 통해 연결호스(10)를 본체(30)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양쪽 연결부의 초기 결합시 양쪽 나사산을 맞추기가 어려워 수회 반복을 하면서 스위블너트의 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하였다.
특히, 그 설치공간이 비좁은 산업용기계나 장치 및 설비의 내부에 연결호스의 타단이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호스 일측단에 구비된 호스측 연결부를 본체측 연결부와 수평을 맞추면서 나사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워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쪽 연결부의 말단이 스위블너트의 조임에 따라 상호간에 면 접촉되어 긴밀한 밀착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므로, 스위블너트의 최종 조임시 본체측 연결부 말단과 면 접촉하고 있는 호스측 연결부가 더 이상 밀려가지 않음으로 인해서 스위블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호스측 연결부 및 연결호스가 일정부분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렇게 설치된 유압호스는 그 내부에 고압의 유체가 압송되어 본체로 공급되므로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고압의 유체 압력을 받은 유압호스가 그 비틀린 부위에서 파열되거나 기계장치의 진동 등에 의해서 비틀어진 부분이 본래 상태로 복원될려는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가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가 누설되거나 기계장치의 고장발생원인으로 작용하며, 비틀린 연결호스가 다른 구성품에 간섭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크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7231호(등록일: 2004.07.14, 고안의 명칭: 스위블 형식의 유니언) -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6038호(등록일: 2004.12.03, 고안의 명칭: 호스 연결구) -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5021호(등록일: 2009.06.17, 고안의 명칭: 비틀림을 방지한 플렉시블 조인트용 호스 접속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호스측과 본체측 사이의 연결금구간 결합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양 부재의 연결금구간 초기 결합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양쪽 연결금구 체결시 호스의 꼬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연결금구에서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는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호스 말단부에 구비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 형태의 호스측 연결부와, 상기 호스측 연결부에 결합되어 연결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본체로 공급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형태의 본체측 연결부와, 내주연에 나사결합부가 구비되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스위블너트가 상기 호스측 또는 본체측 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타측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호스측 연결부 말단 또는 본체측 연결부 말단에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 소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연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안내부가 형성된 대향측의 본체측 연결부 또는 호스측 연결부의 말단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안내부가 끼워지도록 연결안내부의 외주연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의 연결안내수용부가 형성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면 형상은 사각, 육각 또는 팔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안내수용부도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 육각 또는 팔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가 스위블너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결안내부의 길이는 스위블너트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길게 형성되어 스위블너트와 숫나사결합부의 초기 나사결합 전에 연결안내부와 연결안내수용부가 먼저 끼워져 호스측 연결부와 본체측 연결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가 스위블너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스위블너트의 길이보다 다소 작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위블너트의 대향측에 구비되는 숫나사결합부의 외주연 선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스위블너트가 숫나사결합부 외주연으로 일정길이 끼워지면서 연결안내부가 연결안내수용부에 진입되어 호스측 연결부와 본체측 연결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는 호스와 본체간에 초기 결합성을 향상시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켜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위블너트의 최종 조임시에 호스가 스위블너트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지 않아 호스가 꼬이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다른 장치의 조립에 불편함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양쪽 연결금구간 결합이 풀리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호스가 체결되는 부위가 비교적 비좁은 장치 내부인 경우에도 호스 설치가 용이하여 체결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사용중인 연결호스와 본체의 연결조인트에 대한 결합상태 및 일부 분리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호스측 연결부과 본체측 연결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결합상태 및 일부 구성의 분리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결합 과정에 따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분해 및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결합상태도로서, 외관상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는 종래의 연결조인트와 차이가 없다.
즉, 각종 산업기계와 장치 및 설비에 동작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호스(10)의 말단부에 통상 금속제의 호스측 연결부(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호스측 연결부(20)가 결합되는 대향측인 산업기계와 장치 또는 설비에 해당되는 본체(30)에도 호스측 연결부(20)에 나사결합되어 상호간에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본체측 연결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호스(10)와 본체(30) 간의 체결부에 구비되는 상기 호스측 연결부(20)와 본체측 연결부(32)는 상호 간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암수 나사결합구조로 이루어지며, 호스측 연결부(20) 또는 본체측 연결부(32) 중 어느 일측 연결부에는 그 연결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스위블너트(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대향측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스위블너트(22)의 내주면과 이에 결합되는 대향측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암나사결합부(25)와 숫나사결합부(35)가 각각 가공되어 있어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스위블너트(22)의 회전을 통해 상호간에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호스측 연결부(20)와 본체측 연결부(32)로 구성되는 연결조인트는 스위블너트(22)의 체결력에 의해 호스측 연결부(20)와 본체측 연결부(32)의 각 선단부에 곡면처리된 경사면이 상호간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유체가 누설되지 않는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50)는 도 5의 분해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측 연결부(20) 또는 본체측 연결부(32) 중 어느 일측 연결부의 말단,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호스측 연결부(20)의 말단에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소통공(26)이 수평방향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면서 외주연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연결안내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24)가 형성된 호스측 연결부(20)에 대응되는 본체측 연결부(32)의 말단 내주면에는 상기 다각형 형상의 외주연을 갖는 연결안내부(24)가 끼워지는 동일한 다각형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연결안내수용부(34)가 형성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안내부(24)가 스위블너트(22)가 결합된 호스측 연결부(2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안내수용부(34)는 본체측 연결부(32)에 각각 형성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스위블너트(22)와 연결안내부(24)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호스측 연결부(20)가 아닌 본체측 연결부(32)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안내수용부(34)가 호스측 연결부(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에 형성된 다각형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안내부(24)의 외주연 형상에 따라 이에 결합되는 연결안내수용부(34)의 내주연 형상도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안내부(24)의 길이가 스위블너트(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스위블너트(22)보다 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안내부(24)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스위블너트(2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징적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조인트(50)의 결합과정에 대한 단면이 도 6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호스측 연결부(20)를 본체측 연결부(32)에 결합시키기 위해 호스측 연결부(20)의 스위블너트(22) 내측에서 스위블너트(22)보다 길게 형성된 연결안내부(24)를 본체측 연결부(32) 선단에 형성된 연결안내수용부(34) 입구에 맞댄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50)의 경우, 양측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스위블너트(22)의 내측 중심부에 스위블너트(22)보다 길이가 긴 연결안내부(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위블너트(22)의 내측 암나사결합부(25)를 본체측 연결부(32)의 외측 숫나사결합부(35)에 나사결합시키기 전에 연결안내부(24) 선단이 본체측 연결부(32)의 연결안내수용부(34)에 먼저 맞닿게 된다(도 6참조).
따라서, 연결안내부(24)의 선단이 본체측 연결부(32)의 연결안내수용부(34)에 접촉된 상태에서 다각형 형상을 갖는 연결안내부(24)와 연결안내수용부(34)의 형상을 맞춘 후에 호스측 연결부(20)를 본체측 연결부(32)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연결안내부(24)가 연결안내수용부(34)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연결안내부(24)의 외측으로 구비된 스위블너트(22)의 내측 암나사결합부(25)가 본체측 연결부(32)의 외측 숫나사결합부(35)의 선단부와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도 7참조).
즉, 상기 연결안내부(24)가 연결안내수용부(34)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호스측 연결부(20)와 본체측 연결부(32)가 상호 나사결합을 위한 수평상태가 유지되므로 그 상태에서 스위블너트(22)를 회전시켜 본체측 연결부(32)와 나사결합시키면 간단하게 양쪽 연결부의 체결이 완료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50)는 호스측 연결부(20)를 본체측 연결부(32)에 연결하기 위해 스위블너트(22) 보다 길이가 긴 연결안내부(24)를 본체측 연결안내수용부(34)에 삽입시켜 호스측 연결부(20)를 본체측 연결부(32)와 수평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스위블너트(22)의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조인트의 체결이 완료되므로, 종래와 같이 스위블너트(22)의 내측 암나사결합부(25)와 본체측 연결부(32)의 외측 숫나사결합부(35)간의 나사산을 맞추기 위해 애쓰는 불편함이 없앨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 및 결합상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위블너트(22) 측에 구비되는 연결안내부(24)의 길이가 스위블너트(22) 보다 더 길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안내부(24)의 길이가 스위블너트(22)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위블너트(22)의 내주연 암나사결합부(25)가 결합되는 본체측 연결부(32)의 숫나사결합부(35)의 나사산의 선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산부(3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나사산부(36)가 형성된 이유는 스위블너트(22)의 암나사결합부(25) 가 숫나사결합부(35)와 초기 결합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나사산부의 깊이만큼 스위블너트(22)가 숫나사결합부(35) 외주연으로 이동되면서 스위블너트(22)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안내부(24)의 선단이 숫나사결합부(35)의 내주연에 형성된 연결안내수용부(34)의 내측으로 초기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안내부와 연결안내수용부가 상호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면 호스측연결부와 본체측 연결부간에 수평상태가 자동으로 유지되어 스위블너트의(22) 암나사결합부(25)와 본체측 연결부(32)의 숫나사결합부(35) 간에 초기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맞추는 불편이 없게 되어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는 스위블너트(22)를 끝까지 조일 때, 종래의 호스측 연결부 말단을 가압하고 있는 스위블너트의 회전시 호스측 연결부 및 연결호스가 함께 회전되어 발생되었던 꼬임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스위블너트(22)의 최종 조임시에 그 회전력이 호스측 연결부(20)에 작용하더라도 스위블너트(22)의 내측에서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연결안내부(24)가 본체측 연결부(32)의 연결안내수용부(34)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어 호스측 연결부(20) 및 연결호스(10)의 회전이 제어되므로 연결호스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연결호스의 파손과 연결부의 이완에 따른 유체의 누설로 기계장치의 고장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블너트(22)와 연결안내부(24)가 호스측 연결부(20)에 구비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스위블너트(22)와 연결안내부(24)는 설치하는 기계장치의 구조 등에 따라 본체측 연결부(32)에 구비될 수도 있다.
10 : 연결호스 20 : 호스측 연결부
22 : 스위블너트 23,33 : 경사면
24 : 연결안내부 25 : 암나사결합부
26 : 유체소통공 30 : 본체
32 : 본체측 연결부 34 : 연결안내수용부
35 : 숫나사결합부 36 : 무나사산부
40,50 : 연결조인트

Claims (4)

  1. 유체가 공급되는 연결호스 말단부에 구비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 형태의 호스측 연결부와, 상기 호스측 연결부에 결합되어 연결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본체로 공급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형태의 본체측 연결부와, 내주연에 나사결합부가 구비되어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스위블너트가 상기 호스측 또는 본체측 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타측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결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호스측 연결부 말단 또는 본체측 연결부 말단에는 유체가 통과되는 유체 소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연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안내부가 형성된 대향측의 본체측 연결부 또는 호스측 연결부의 말단 내주면에는 상기 연결안내부가 끼워지도록 연결안내부의 외주연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의 연결안내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측 연결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스위블너트의 내주연과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숫나사결합부의 외주연 선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무나사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면 형상은 사각, 육각 또는 팔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안내수용부도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 육각 또는 팔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가 스위블너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결안내부의 길이는 스위블너트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길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나사산부는 상기 연결안내부가 상기 스위블너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블너트의 길이보다 다소 작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KR1020140048845A 2014-04-23 2014-04-23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KR10157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45A KR101573203B1 (ko) 2014-04-23 2014-04-23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45A KR101573203B1 (ko) 2014-04-23 2014-04-23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97A KR20150122497A (ko) 2015-11-02
KR101573203B1 true KR101573203B1 (ko) 2015-12-01

Family

ID=5459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45A KR101573203B1 (ko) 2014-04-23 2014-04-23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038Y1 (ko) *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038Y1 (ko) *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97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40963A (ja) 挿入型配管用連結装置
CN105757367B (zh) 一种卡套接头装置
KR101953094B1 (ko) 전선배관 이음용 커플링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CN101520114A (zh) 管道的连接装置
US6494233B2 (en) Insert with connecting outlet, particularly for flexible hoses for hydraul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CN110735978A (zh) 用于流体管路组件的联接器
JP4923100B2 (ja) 接続部品
KR101573203B1 (ko) 체결편의성을 향상시킨 연결조인트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US20200326021A1 (en) Hose connector
KR101392564B1 (ko) 호스 연결구
TWI624612B (zh) 管接頭
KR20040059793A (ko) 호스 어셈블리용 피팅부 체결구조
KR20100114679A (ko) 고압호스용 커플링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CN205031212U (zh) 一种内窥镜接头连接装置
CN201818842U (zh) 具有内外丝活接的三通万向阀门
US11143348B2 (en) Gas pipe joint
CN210661824U (zh) 用于软管连接的接头结构
JP3216165U (ja) 継手付きホース
CN207830789U (zh) 一种扣压式软管连接装置
JP5875182B2 (ja) ホース用の継手機構
KR101139766B1 (ko) 유압 커플러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