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185B1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185B1
KR101738185B1 KR1020120152891A KR20120152891A KR101738185B1 KR 101738185 B1 KR101738185 B1 KR 101738185B1 KR 1020120152891 A KR1020120152891 A KR 1020120152891A KR 20120152891 A KR20120152891 A KR 20120152891A KR 101738185 B1 KR101738185 B1 KR 10173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lat cable
main body
annular spac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998A (ko
Inventor
야스마사 세리자와
쥰이치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발레오 재팬
Publication of KR2013008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과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티어링 회전시의 슬라이딩 음을 저감한다.
[해결 수단] 회전하는 로터(5)와 고정된 스테이터와의 사이의 환상 공간내에, 플랫 케이블(3)이 감겨져 수납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로터(5)는, PBT 수지제의 로터 본체(6)와, 환상 공간에 면하는 폴리아세탈계 수지제의 로터 커버부(15)를 겹쳐서, 강도를 확보하면서, 플랫 케이블(3)과 로터(5)의 슬라이딩 음을 저감한다. 플랫 케이블(3)을 로터 본체(6)로부터 환상 공간으로 인출하기 위해서 로터 커버부(15)에 개구부(72)가 형성되고,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시의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서 원반부(16)에 오목부(7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ROTATIONAL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steering)에 조립된 에어백 장치의 제어나, 스티어링 상에 마련한 스위치 버튼에 의한 오디오 장치나 정속 주행장치의 제어 등을 위해, 상대 회전 부위에 사용되어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차체 고정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stator)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도중에 감는 방향을 반전시킨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권회(卷回) 상태로 수납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2010-3514호 공보에서는, 플랫 케이블의 일단은 로터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테이터측에 고정되어, 로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플랫 케이블이 로터의 통벽면으로부터 되감아져 스테이터의 통벽면으로 감겨 붙여지거나, 혹은 스테이터의 통벽면으로부터 되감아져 로터의 통벽면으로 감겨 붙여지는 것을 반복하여, 로터와 스테이터 간의 상대 회전에 의한 각도 변화를 플랫 케이블의 감기 상태의 변화로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터와 스테이터의 사이에는 플랫 케이블의 경로를 규제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가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10-3514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스티어링 회전시에, 플랫 케이블과 로터의 슬라이딩 음이나, 케이스와 로터의 슬라이딩 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로터의 부재에 슬라이딩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스티어링 회전시의 로터와 플랫 케이블의 슬라이딩 음을 저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성이 좋은 재료는, 강도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 그 결과, 로터에 슬라이딩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티어링 회전시의 슬라이딩 음을 저감한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환상(環狀) 공간을 형성하고, 그 환상 공간내에, 양단(兩端)이 로터와 스테이터를 통해 환상 공간의 밖으로 인출되는 플랫 케이블을 수납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로터는, 고강도 수지제의 로터 본체와, 고활성(高滑性) 수지제의 로터 커버부를 갖고, 로터 본체는, 원반부와, 원반부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는 원통부를 갖고, 로터 커버부는, 로터 본체의 원반부에 겹쳐지는 원반부와, 로터 본체의 원통부에 겹쳐지는 원통부를 가지며, 각각 환상 공간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를 별도 부재의 로터 커버부와 로터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로터 커버부에 슬라이딩성이 좋은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회전시의 슬라이딩성을 높여, 슬라이딩 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로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로터 커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와 상이한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코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코드 하우징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는,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5)와, 차체 고정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30)와, 로터(5)와 스테이터(30)간의 환상 공간(S)의 내부에 설치된 스페이서(50) 및 플랫 케이블(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로터(5)와 스테이터(30)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차체에 수반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5)는, 로터 본체(6)와, 로터 본체(6)에 겹쳐지는 로터 커버부(15)와, 로터 어태치먼트(23)를 구비한다.
로터 본체(6)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수지 재료,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며, 적절히 강화제를 첨가하는 등 필요한 강도를 갖춘다.
그리고, 로터 본체(6)는, 원반형상의 원반부(7)와, 원반부(7)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는 원통부(8)를 갖고, 원통부(8)는, 관통구멍(9)을 갖는다.
원반부(7)의 외주부의 근처 내경측 하면에는, 링형상으로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8)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확경부(擴徑部,10)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 커버부(15)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계 등의 고활성 수지제로, 원반부(7)의 홈(11)으로부터 내경측을 덮는 원반부(16)와, 원통부(8)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부(17)로 이루어진다. 원반부(16)는, 하면에서 환상 공간(S)의 상단을 구획하고, 원통부(17)는, 외주면에서 환상 공간(S)의 내주를 구획한다.
이 로터 커버부(15)는, 후크돌기(18)와, 후크돌기(56)에 의해, 로터 본체(6)에 고정된다.
후크돌기(18)는, 원반부(16)의 외주연(外周緣)의 바로 내측에 적절히 수개소에 구비되고, 원반부(7)의 외주 근방에 마련한 결합 구멍(12)의 걸림부(13)에 걸린다.
또한, 후크돌기(56)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17)의 하단부의 내연(內緣)에 구비된다. 후크돌기(56)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경측으로 뻗는 플랜지부(56a)와, 플랜지부(56a)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걸림부(56b)로 이루어지며, 걸림부(56b)가 원통부(8)의 관통구멍(9)측으로 들어가 걸린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17)의 하단부에는, 외주측에 축경부(19), 내면측에 확경부(20)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 어태치먼트(23)는, 짧은 원통 형상으로, 로터 본체(6)의 원통부(8)의 확경부(10)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24)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24)가 확경부(10)에 끼워넣어지면, 로터 어태치먼트(23)의 내주면은 원통부(8)의 관통구멍(9)의 상부 내주면과 동일 면으로 된다. 또한, 끼워맞춤부(24)는, 하방의 외주에 플랜지(25)를 형성한다. 플랜지(2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30)의 보텀 커버 (40)를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스테이터(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이 환상 공간(S)의 외주를 구획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31)와, 상면이 환상 공간(S)의 하단을 구획하는 원반형상의 보텀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31)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계 등의 고활성 수지제로서, 축방향으로 평행한 원통 형상의 내벽(32)을 주부(主部)로 한다.
내벽(32)의 상단부 외경측에는, 플랜지(34)가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되어 있다. 플랜지(34)의 외주연부에는, 외벽(33)이 축방향의 상측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링형상으로 세워져 있다. 외벽(33)은, 로터 본체(6)의 원반부(7)의 홈(11)내에 원반부(7)에 접하지 않도록 뻗어 있으며, 원반부(7)와는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또한, 내벽(32)의 상단으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빠짐방지 플랜지(35)가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의 폭으로 뻗어 있으며, 상면이 플랜지(34)의 상면과 동일 면으로 되어 있다. 빠짐방지 플랜지(35)는, 플랫 케이블(3)이 환상 공간(S)의 내부에 감겨진 정위치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32)의 하단부 내면에는, 확경부 (36)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벽(32)의 외경측의 수개소에서, 외벽(33)이 플랜지(34)로부터 하측으로 더 뻗어, 외벽(33a)을 형성한다. 외벽(33a)은, 내주측에 있어서, 내벽(32)과의 사이에 홈을 형성한다.
보텀 커버(40)는, 주로 원반부(41)와, 원반부(41)의 외주연에, 축방향으로 소정 위치까지 세워진 끼워맞춤벽(42)으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벽(42)의 선단은 케이스(31)의 내벽(32)과 외벽(33a)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넣어지고, 보텀 커버(40)는, 케이스(31)와 일체화된다.
한편, 원반부(41)의 내주연 상에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하는 돌부(突部,59)는, 로터 커버부(15)의 원통부(17)의 하단에 있어서의 확경부(20)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원반부(41)는, 원통부(17)와 로터 어태치먼트(23)의 플랜지(25)와의 사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스페이서(50)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계 등의 고활성 수지제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 평판부(51)상에, 롤러(45)를 지지하는 이외에, 복수의 형상이 상이한 가이드부(55) 및 가이드부(60)를 각각 구비한다.
환상 평판부(5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커버부(15)의 원통부 (17)의 축경부(19)에서 해당 원통부(17)와 보텀 커버(40)의 원반부(41)와의 사이에 그 내주연을 끼우고, 케이스(31)의 내벽(32)의 확경부(36)에서 해당 내벽(32)과 보텀 커버(40)의 원반부(41)와의 사이에 그 외주연을 끼워서 수직 방향을 위치 결정하면서, 로터(5) 및 스테이터(3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랫 케이블(3)은, 환상 공간(S)내에서, 로터 커버부(15)의 원통부(17)와 스페이서(50)의 가이드부(55)와의 사이를 배삭(配索)되는 동시에, 롤러(45)에서 반전되어, 케이스(31)의 내벽(32)과 스페이서(50)의 가이드부(55)와의 사이를 배삭되어 권회상태로 된다. 권회상태로 된 플랫 케이블(3)의 일단은 로터(5)측으로부터, 다른 일단은 스테이터(30)측으로부터, 환상 공간(S)의 밖으로 인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3)이 로터(5)측으로부터 환상 공간에 인출되지만, 로터(5)측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3)을 수납하기 때문에, 로터 본체(6)의 원통부(8)의 벽내에, 둘레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플랫 케이블 홈(8a)이 형성된다.
플랫 케이블 홈(8a)은, 플랫 케이블(3)의 폭보다 깊은 단면을 갖고, 축방향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둘레방향의 양단에 외주측으로의 플랫 케이블 (3)의 인출구를 갖는다. 일단의, 도시가 안된 인출구는, 로터 본체(6)측으로의 인출구이며, 다른 일단은 도 3에 나타내는 환상 공간(S)측으로의 케이블 인출구(8b)이다. 이 케이블 인출구(8b)는, 플랫 케이블(3)이 환상 공간(S)으로 인출되어 감겨지는 방향으로 직경방향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의 경사를 갖고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3)은, 플랫 케이블 홈(8a)의 하방, 즉 개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유지된다. 플랫 케이블(3)의 로터(5)측의 일단은, 플랫 케이블 홈(8a)의 로터 본체(6)측의 인출구로부터 인출되어 굽혀지고, 원반부(7)의 하면에 따라서 직경방향 소정 위치까지 뻗는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을, 플랫 케이블 홈(8a)으로부터 환상 공간(S)측으로 인출하기 때문에, 로터 커버부(15)에는 개구부(72)가 형성된다.
개구부(7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17)의 개구부(72a)와, 원반부(16)의 개구부(72b)가 연결되어 있다.
개구부(72a)는, 축경부(19)의 직상부(直上部)로부터, 원통부(17)의 상단까지, 개구부(72b)의 둘레방향 단부(端部)와 연속하는 둘레방향의 개구각(開口角) 약 90도로, 원통부(17)를 잘라낸 형상이다.
개구부(72b)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16)를 반면(盤面) 내주측에 따라서 원호상으로 잘라낸 형상이다. 개구부(72b)의 직경방향은, 원반부 (16)의 내측 절반 정도의 폭이다. 개구부(72b)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각부(角部,73)는, 라운드를 띠고 있으며,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3)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를 조립할 때,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가 축방향으로 멀어진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3)을 케이블 인출구(8b)로부터 인출하고, 개구부(72)를 통과시켜 환상 공간(S)측으로 안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가 축방향으로 멀어진 상태일 때는, 개구부(72)와 케이블 인출구(8b)와의 위치 관계도,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때, 플랫 케이블(3)을 개구부(72)에 통과시키려고 하면, 플랫 케이블(3)이 원반부(16)에 의해서 케이블 인출구(8b)로부터 축방향으로 인장되어, 플랫 케이블 홈(8a)으로부터 어긋나기 쉽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3)이, 축방향으로 크게 어긋나면, 수납되어 있던 플랫 케이블 홈(8a)으로부터 어긋나, 로터 본체(6)로부터 탈락해 버린다.
이 탈락 방지를 위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 커버부(15)의 원반부(16)에 오목부(70)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7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 공간(S)측으로부터 원반부 (7)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70)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16)에 있어서의 개구부(72b)의 구멍 가장자리로부터 외주연까지 형성되고, 중심축에서 보아 대략 30도 정도의 각도로 걸쳐 있다. 또한, 오목부(70)는, 환상 공간(S)내에서 플랫 케이블(3)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개구부(72b)의 원호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0)의 환상 공간(S)측의 바닥면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16)와 평행한 면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의 양측벽은, 환상 공간(S)으로 향해서 열린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을, 오목부(70)의 환상 공간 (S)측의 바닥면에 플랫 케이블(3)을 실어서 행함으로써, 플랫 케이블(3)의 로터 본체(6)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목부(70)를 원반부(7)의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하여, 오목한 만큼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3)이 로터 커버부(15)에 접촉하는 위치를 원반부(7)에 접근시킴으로써, 플랫 케이블(3)의 축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작게 한다. 그리고, 조립시의 축방향의 어긋남을 작게 함으로써, 플랫 케이블(3)이 플랫 케이블 홈(8a)으로부터 어긋나, 로터 본체(6)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목부(70)는, 개구부(72b)의 원호의 중앙으로부터 플랫 케이블(3)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이 오목부(70)의 바닥면에 위치하기 쉬워지게 되고, 오목부(70)에 의한 어긋남 방지의 효과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70)의 양측벽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부(72)에 플랫 케이블(3)을 통과시켜 조립할 때, 오목부(7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기 쉽게 하고 있다.
개구부(72a)의 위치 및 크기에 대응하여, 원통부(8)의 외주부에 확경부(75)가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확경부(75)는, 원통부(17)의 두께 분만큼 원통부(8)보다 외경을 크게 하고 있으며, 개구부(72a)에 의해서 원통부(17)가 잘려진 부분에 끼워넣어진다. 확경부(75)가 끼워넣어지면, 확경부(75)는, 원통부(17)의 외주와 동일 면으로 되어, 일체로 된다. 그리고, 확경부(75)상에, 케이블 인출구(8b)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72b)에는, 후육부(74)가 원반부(7)에 마련된다. 후육부(74)는, 개구부(72b)에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의 원호형상이며, 개구부(72b)에 끼워넣어져, 원반부(16)와 동일 면으로 된다.
여기서, 확경부(75)가 끼워넣어진 개구부(72)에서는, 플랫 케이블(3)과 고활성 수지제가 아닌 로터 본체(6)가 직접 접촉하지만, 해당 부분은 플랫 케이블(3)이 환상 공간(S)으로 인출된 직후의 위치이기 때문에, 접촉 길이가 적고, 슬라이딩 음의 발생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본체(6)의 원반부(7)는, 상면에서 배선을 소정 위치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취출구의 하나로서, 코드 하우징(62)이 있다.
코드 하우징(62)은, 플랫 케이블(3)의 단말(端末)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7)의 상면에 상측으로 향해 팽창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코드 하우징(62)은, 로터 본체(6)의 외주로 향한 개구부(62c)를, 원반부(7)의 상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직각으로 세워져 있는 양측의 측면(62e)과 천장면(62g)이 둘러싸여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드 하우징(62)의 이면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플랫 케이블(3)과 코드(4)를 접속하기 위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코드 하우징(62)의 개구부(62c)에서는, 천장면(62g)으로부터 조임고정부 (62a)가 하방으로 뻗어 있다. 조임고정부(62a)의 하면은 원반부(16)와 평행하고, 직경방향에 직각으로 잘린 미세한 홈형상의 요철의 슬라이딩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반부(7)는, 조임고정부(62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홈(11)을 포함하는 외주부를 일정 폭으로 절취된다.
로터 커버부(15)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임고정부(62a)와 대향한 코드(4)를 유지하는 조임고정부(58a)와, 로터 본체(6)의 원반부(7)의 노치부에 대응한 외주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부(58)는, 대응하는 원반부(7)의 외주연와 동일 형상을 갖고, 로터 본체 (6)의 홈(11)에 대응하는 홈(58b)을 갖는다. 그리고, 로터 커버부(15)와 로터 본체 (6)가 걸려 결합되었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58)가 코드 하우징(62)의 외주측 하부의 절취된 부분에 간극없이 끼워넣어져, 일체로 되어 로터 (5)의 외주를 매끄럽게 형성한다. 이 외주의 내경측의 홈(58b)도, 홈(11)과 동일 면으로 되어, 매끄러운 링형상으로 일체로 된 홈을 형성한다.
조임고정부(58a)는, 로터 커버부(15)의 외주연로부터 코드 하우징(62)측으로 직각으로 세워져 있다. 그리고, 조임고정부(58a)의 상면은, 원반부(16)와 평행한, 조임고정부(62a)의 선단부의 면과 대향하는 면을 구비한다. 조임고정부(58a)의 선단부와, 조임고정부(62a)의 선단부는, 직경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코드(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코드 심선(心線,4a)과, 코드 심선(4a)의 주위를 덮는 코드 피복(4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코드 피복(4b) 내부의 코드 심선(4a)은, 적절히 복수개로 정리되어 코드 피복(4b)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코드 피복(4b)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임고정부(58a)와 조임고정부(62a)에서, 코드(4)의 코드 피복(4b)을 눌러 찌거뜨림으로서, 코드(4)를 끼워넣어 유지하고 있으며, 코드(4)를 로터 본체(6)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드(4)를 끼워넣어 유지하기 때문에, 대향하고 있는 조임고정부(58a)와 조임고정부(62a)의 사이의 거리는, 코드 (4)의 직경보다 짧고, 코드 심선(4a)의 직경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 조임고정부(58a)와 조임고정부(62a)에 의한 유지에 의해서, 코드(4)는 로터(5)로부터 빠지거나 어긋나거나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임고정부 (62a)의 하면에 있는 홈형상의 요철에 의한 슬라이딩 방지부가, 이 효과를 크게 한다.
또한, 개구부(62c)는, 둘레방향을 코드(4)의 둘레방향에 돌기를 마련하여 적당히 구획하고, 외주부(58)에도 대응하는 구획을 위한 형상을 대향해서 마련하고, 동시에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코드(4)를 나열하여 걸리게 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는 이상과 같으며, 로터(5)와 스테이터(30)의 사이에 환상 공간(S)을 형성하고, 그 환상 공간(S)내에, 양단이 로터(5)와 스테이터(30)를 통해 환상 공간(S)의 밖으로 인출되는 플랫 케이블(3)이 감는 방향을 도중에서 반전시킨 상태로 수납된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있어서, 로터(5)는, PBT제의 로터 본체(6)와, 폴리아세탈계 수지제의 로터 커버부(15)를 갖고, 로터 본체(6)는, 원반부(7)와, 원반부(7)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는 원통부(8)를 가지며, 로터 커버부(15)는, 로터 본체(6)의 원반부(7)와 겹쳐지는 원반부(16)와, 로터 본체(6)의 원통부(8)에 겹쳐지는 원통부(17)를 갖고, 각각 환상 공간(S)에 면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로터 본체(6)가 PBT 수지로 되어 있으며, 회전 커넥터 장치(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로터 커버부(15)를 폴리아세탈계 수지로 했기 때문에, 로터(5)와 플랫 케이블(3)의 접촉면의 슬라이딩성을 높이고, 로터(5)와 플랫 케이블(3)의 슬라이딩 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를 별도의 부재로 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슬라이딩 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는, 로터 본체(6)는, PBT 수지로 하므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내열성, 내후성(耐候性)도 확보할 수 있다.
이들에 부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31)와 스페이서(50)를 폴리아세탈계 수지로 한다. 이 때문에, 환상 공간(S)내에서의 케이스(31)와 플랫 케이블 (3)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켜, 슬라이딩 접촉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스페이서(50)와 플랫 케이블(3)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켜, 슬라이딩 접촉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랫 케이블(3)과의 슬라이딩 뿐만이 아니라, 보텀 커버(40)와 로터 (5)와의 직접적인 슬라이딩 저항도 저감되고, 슬라이딩 접촉음의 발생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3)이 PBT 수지제의 로터 본체(6)에 유지되고, 로터 커버부(15)에 마련된 개구부(72)로부터 환상 공간(S)에 인출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플랫 케이블(3)의 단말을, 강도가 있는 부재에 의해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커버부(15)의 원반부(16)에 개구부(72)에 대응하는 부위에 로터 본체(6)의 원반부(7)측으로 오목한 오목부(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을, 오목부(70)의 환상 공간(S)측의 바닥면에 플랫 케이블(3)을 실어서 행할 때, 플랫 케이블(3)이 플랫 케이블 홈(8a)으로부터 어긋나, 로터 본체(6)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목부(70)는, 개구부(72b)의 원호의 중앙으로부터 플랫 케이블(3)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이 오목부(70)의 바닥면에 위치하기 쉬워지게 되고, 오목부(70)에 의한 어긋남 방지의 효과가 발생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0)는, 바닥면의 양측벽을 환상 공간(S)으로 향해 열린 경사면으로 하였으므로, 플랫 케이블(3)을, 개구부(72)를 통과시켜 조립할 때, 오목부(70)측의 바닥면으로 안내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오목부(70)에 의해서,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3)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의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시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커버부(15)의 원반부(16)와, 로터 본체(6)의 원반부(7)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3)에 접속되어 로터(5)의 외주부로부터 인출되는 코드(4)를, 끼워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로터 본체(6)와 로터 커버부(15) 이외의 새로운 다른 유지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코드(4)를 끼워서 유지할 수 있으며,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로터(5)로부터 코드(4)를 인출할 수 있으며, 비용 및 조립공정수가 저감된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커버부(15), 케이스(31), 스페이서(50)에 이용한 고활성 수지 재료로서, 폴리아세탈계 수지를 들었지만, 적절히 동일 성질의 다른 재료로 대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활성 수지 재료에는, PTFE계의 재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적절히 윤활제를 포함시킨 수지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이는, 로터 본체(6)에 이용한 PBT 수지에서도 동일하며, 적절한 강도를 갖는 다른 재료, 예를 들면 PEN 수지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3)의 감는 방향을 도중에 반전시킨 회전 커넥터 장치로 했지만,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3)의 감는 방향을 도중에 반전시키지 않는, 예를 들면 소용돌이 타입의 회전 커넥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72)의 형상, 위치, 면적은 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72)의 각도를 약 90도로 했지만, 120도라도 좋고, 60도라도 좋다. 개구부(72)의 위치에 대해서도 축경부(19)의 직상부로부터 개구부(72a)가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플랫 케이블(3)을 통과시킬 수 있으면, 직상부가 아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72b)를 원반부(16)의 내측 절반 정도의 폭으로 했지만, 폭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70)의 형상, 위치, 면적, 축방향의 깊이도 본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아니하고, 조립시에 플랫 케이블을 싣는 축방향의 여유를 갖게 할 수 있으면, 적절히 조립시에 필요한 크기,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1 : 회전 커넥터 장치
3 : 플랫 케이블
4 : 코드
4a : 코드 심선
4b : 코드 피복
5 : 로터
6 : 로터 본체
7 : 원반부
8 : 원통부
8a : 플랫 케이블 홈
8b : 케이블 인출구
9 : 관통구멍
10 : 확경부
11 : 홈
12 : 결합 구멍
13 : 걸림부
15 : 로터 커버부
16 : 원반부
17 : 원통부
18 : 후크돌기
19 : 축경부
20 : 확경부
23 : 로터 어태치먼트
24 : 끼워맞춤부
25 : 플랜지
30 : 스테이터
31 : 케이스
32 : 내벽
33 : 외벽
33a : 외벽
34 : 플랜지
35 : 빠짐방지 플랜지
36 : 확경부
40 : 보텀 커버
41 : 원반부
42 : 끼워맞춤벽
45 : 롤러
50 : 스페이서
51 : 환상 평판부
55 : 가이드부
56 : 후크돌기
56a : 플랜지부
56b : 걸림부
58 : 외주부
58a : 조임고정부
58b : 홈
59 : 돌부(突部)
60 : 가이드부
62 : 코드 하우징
62a : 조임고정부
62c : 개구부
62e : 측면
62g : 천장면
70 : 오목부
72 : 개구부
72a : 개구부
72b : 개구부
73 : 각부(角部)
74 : 후육부
75 : 확경부
S : 환상 공간

Claims (6)

  1. 로터와 스테이터와의 사이에 환상(環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환상 공간내에, 양단이 로터와 스테이터를 통해 환상 공간의 밖으로 인출되는 플랫 케이블이 수납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의 고강도 수지제의 로터 본체와, 폴리아세탈계의 고활성 수지제의 로터 커버부를 갖고,
    상기 로터 본체는, 원반부와, 원반부의 중앙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는 원통부를 가지며,
    상기 로터 커버부는, 상기 로터 본체의 원반부에 겹쳐지는 원반부와, 상기 로터 본체의 원통부에 겹쳐지는 원통부를 갖고, 각각 상기 환상 공간에 면하고,
    상기 로터 본체와 끼워맞춤하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스테이터의 하부를 지지한 로터 어태치먼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상기 로터 본체에 유지되고,
    상기 로터 커버부에 마련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환상 공간에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커버부의 원반부의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로터 본체의 원반부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개구부의 원호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플랫 케이블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바닥면의 양측벽을 상기 환상 공간으로 향해서 열린 경사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커버부의 원반부와 상기 로터 본체의 원반부와의 사이에, 상기 플랫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로터의 외주부로부터 인출되는 코드를 끼워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20152891A 2012-01-30 2012-12-26 회전 커넥터 장치 KR101738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7233A JP2013157209A (ja) 2012-01-30 2012-01-30 回転コネクタ装置
JPJP-P-2012-017233 201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98A KR20130087998A (ko) 2013-08-07
KR101738185B1 true KR101738185B1 (ko) 2017-05-19

Family

ID=4770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891A KR101738185B1 (ko) 2012-01-30 2012-12-26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6018B2 (ko)
EP (1) EP2621030B1 (ko)
JP (1) JP2013157209A (ko)
KR (1) KR101738185B1 (ko)
CN (1) CN103223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2326A (zh) * 2013-12-03 2015-06-03 国家电网公司 基于双凸环的铠装电缆小直径弯曲球状调节装置
CN104319573B (zh) * 2014-10-16 2017-02-15 宁波帝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切换外露接口的拖车电气连接器
CN104319572B (zh) * 2014-10-16 2016-08-24 宁波帝杨电子科技有限公司 拖车电气连接器
US10614328B2 (en) * 2014-12-30 2020-04-07 Joyson Safety Acquisition LLC Occup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5416218B (zh) * 2015-12-11 2018-03-13 山西中航锦恒科技有限公司 一种悬浮式时钟弹簧及其调试方法
CN106655597B (zh) * 2016-11-22 2018-02-09 大工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旋转接线装置的电动机设备
JP7371010B2 (ja) * 2018-12-13 2023-10-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CN112928648B (zh) * 2021-03-29 2022-09-27 正耐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交流金属封闭环网开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231B1 (ko) * 1996-06-28 2001-09-17 스즈키 다케토시 회전 코넥터장치
JP2009143491A (ja) * 2007-12-17 2009-07-02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5611A3 (en) * 1993-12-22 1998-04-08 Nihon Plast Co., Ltd. Reel device for cable
DE4446901C2 (de) * 1993-12-27 2001-01-25 Nihon Plast Co Ltd Elektrischer Uhrfederverbinder
DE19926278C1 (de) * 1999-06-09 2001-02-15 Kostal Leopol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nergie
JP3676146B2 (ja) * 1999-10-22 2005-07-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4355229B2 (ja) * 2004-02-12 2009-10-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DE102005002676B3 (de) * 2005-01-20 2006-06-14 Tyco Electronics Amp Gmbh Wickelfeder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714996B2 (ja) * 2011-07-12 2015-05-07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231B1 (ko) * 1996-06-28 2001-09-17 스즈키 다케토시 회전 코넥터장치
JP2009143491A (ja) * 2007-12-17 2009-07-02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1030A1 (en) 2013-07-31
KR20130087998A (ko) 2013-08-07
US8986018B2 (en) 2015-03-24
JP2013157209A (ja) 2013-08-15
CN103223916A (zh) 2013-07-31
EP2621030B1 (en) 2015-04-15
CN103223916B (zh) 2015-11-18
US20130196518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85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US8758024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JP4680965B2 (ja) 旋回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EP2950409B1 (en) Power supply device
US9698587B2 (en) Flat cable reeling device
EP2597734B1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20170222513A1 (en) Motor
JP4889988B2 (ja) インシュレータ、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WO2012067257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6120512A (ja) 回転コネクタ
WO2012067256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7314521B (zh) 空调室内机的电机安装结构和空调室内机
JP2002247746A (ja) ケーブルリール
KR101738183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2005228561A (ja) 回転コネクタ
JP2009217974A (ja) 回転コネクタ
JP2017008710A (ja) ロール組立体
KR102657945B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로터
JP2020198672A (ja) プロテクタ
US9884606B2 (en) Belt-retractor housing shell
KR200352688Y1 (ko) 전선 정리기
US10765097B2 (en) Dual-bearing reel
JPH10189197A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008109812A (ja) 電線余長吸収装置
JP4723467B2 (ja) コード巻取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