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96B1 -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96B1
KR101736996B1 KR1020150176687A KR20150176687A KR101736996B1 KR 101736996 B1 KR101736996 B1 KR 101736996B1 KR 1020150176687 A KR1020150176687 A KR 1020150176687A KR 20150176687 A KR20150176687 A KR 20150176687A KR 101736996 B1 KR101736996 B1 KR 10173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ouch
head unit
touch signal
touch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96B1/ko
Priority to US15/260,235 priority patent/US10061431B2/en
Priority to CN201610921896.6A priority patent/CN10706619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VEHICLE HEAD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단말과의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커텍티비티(connectivity) 기술은 차량 헤드 유닛(vehicle head unit)과 사용자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간의 연결성(connectivity)을 기반으로 차량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개인화 정보 서비스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현대인의 신체 일부라 할 만한 사용자 단말과 차량 헤드 유닛의 결합은 실생활에서 활용 영역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가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차량 헤드 유닛과 사용자 단말이 원거리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차량의 도난이나 견인 등의 상황에서도 실시간으로 현재의 차량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차량 헤드 유닛의 터치 디바이스(touch device)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차량 헤드 유닛의 터치 디바이스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려면 사용자 단말과 차량 헤드 유닛 간의 네트워크 레이턴시(latency) 외에 차량 헤드 유닛 내부에서의 레이턴시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차량 헤드 유닛 내부에서의 레이턴시는 운영체제(OS)와 프레임워크(framework)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커지게 된다. 이러한 레이턴시의 증가는 커넥티비티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응답성(responsibility)을 저하시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티비티 서비스 제공시 레이턴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은,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동작 상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터치 신호가 OS, 프레임워크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거치지 않고, 커넥티비티 서비스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여부만을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커넥티비티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응답성(responsibility)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신호 처리 로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티비티 시스템(connectivity system, 1)은 차량 헤드 유닛(vehicle head unit, 10)과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20)을 포함하며, 차량 헤드 유닛(10)과 사용자 단말(20) 간의 연결성(connectivity)을 이용해 서로 상대방의 입출력 기기로 동작할 수 있는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헤드 유닛(10)이 사용자 단말(20)의 입출력 기기로 동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헤드 유닛(10)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공조,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임의의 단말과의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터치 디바이스(11), 디바이스 드라이버(12), OS(Operation System, 13), 프레임워크(14), 응용 애플리케이션(15), 및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바이스(11)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장치이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오버랩(overlap)된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드(touch pa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디바이스(11)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coordinate) 정보(예컨대, x좌표, y좌표)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한 터치 유형(touch type) 정보를 생성하여 드라이버(1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표 정보는 터치 디바이스(1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에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2차원 좌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터치 유형 정보는 터치의 종류(예컨대, 길게 터치, 연속 터치, 멀티 터치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2)는 터치 디바이스(11)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OS(13)로 전달하며,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되는 터치 디바이스(11)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현되는 OS(13) 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S(13)는 차량 헤드 유닛(10)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차량 헤드 유닛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해 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OS(13)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2)를 통해 하드웨어인 터치 디바이스(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실행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OS(13)는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디바이스 드라이버(12)로부터 수신하고, 프레임워크(14)를 통해 응용 애플리케이션(15)으로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14)는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OS(13) 상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의 구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협업화된 형태로 클래스들을 제공한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OS(13)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실행 또는 종료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과의 커넥티비티 기반의 커넥티비티 응용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단말(20)과의 커넥티비티와는 무관하게 차량 헤드 유닛(10) 자체적으로 동작하는 일반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상기 커넥티비티 응용 애플리케이션일 경우,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차량 헤드 유닛(10)이 사용자 단말(20)의 출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데이터(예컨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OS(13)를 통해 출력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로 해당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차량 헤드 유닛(10)이 사용자 단말(20)의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터치 디바이스(11)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데이터(예컨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로 해당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좌표 정보를 기초로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의 화면 표시 상태와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음악 애플리케이션이고 디스플레이 상에 음악 애플리케이션과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표시되고 있을 때, 터치 이벤트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이면(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해당 터치 이벤트를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은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의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좌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좌측에 실행되고 음악 애플리케이션이 우측에 실행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좌측 최상단을 터치하는 터치 신호를 입력했다면 상기 좌표 정보는 중앙의 최상단을 지시하는 좌표일 것이므로 상기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좌측 최상단을 지시하는 좌표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는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는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터치 유형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전달 가능한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되며,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 노트북(notebook)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에는 커넥티비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어 차량 헤드 유닛(10)과의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 헤드 유닛(10)을 입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0)이 차량 헤드 유닛(10)을 입력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헤드 유닛(10)의 터치 디바이스(11)로 터치 신호를 입력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20)로 상기 터치 신호가 전달될 때까지 상당한 레이턴시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턴시는 차량 헤드 유닛(10)의 내부 구성들(11 내지 16)을 통과하는 동안의 터치 이벤트 레이턴시(touch event latency)와 차량 헤드 유닛(10)과 사용자 단말(20) 사이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레이턴시(network latency)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신호(즉, 상기 좌표 정보 및 상기 터치 유형 정보)가 차량 헤드 유닛(10)의 OS(13), 프레임워크(14)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통해 처리되면서 레이턴시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레이턴시는 커넥티비티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응답성(responsibility)을 저하시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낮추는 원인이 된다.
이때, 디바이스 드라이버(12)에서 곧바로 터치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로, 도 1에 도시된 차량 헤드 유닛(10)의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화면 표시 상태를 확인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인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20)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게 되나, 디바이스 드라이버(12)에서 바로 터치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달하게 되면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가 아닌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신호 전송이 일어나며 사용자 단말(20)의 커넥티비티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로, 도 1에 도시된 차량 헤드 유닛(10)의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이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좌표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의 어느 부분이 터치된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좌표를 제공할 수 있으나, 디바이스 드라이버(12)에서 바로 터치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달하게 되면 부정확한 좌표 정보로 인해 사용자 단말(20)의 커넥티비티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티비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신호 처리 로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티비티 시스템(50)은 차량 헤드 유닛(100)과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커넥티비티 시스템(50)과는 추후 설명될 차이점들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동작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차량 헤드 유닛(100)은 터치 디바이스(110)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구성만을 포함하도록 도시된 것이며, 그 이외의 차량 내부의 공조, 내비게이션, 멀티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터치 디바이스(110)와 디바이스 드라이버(120)는 도 1의 터치 디바이스(11)와 디바이스 드라이버(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좌표 정보와 터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OS(13)로 전달하지 않고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300)는 OS(13)와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터치 신호 발생시 커넥티비티 서비스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OS, 프레임워크, 및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과정없이 신속하게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300)는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 및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3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디바이스 드라이버(120)로부터 터치 신호를 입력받아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의 실행 상태, 화면 표시 상태 및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현재 입력된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인 경우에도,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응용 애플리케이션(15)의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터치 신호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보정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터치 신호 입력시 도 3에 도시된 일련의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S1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신호는 좌표 정보와 터치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좌표 정보는 2차원 좌표(Xt, Yt, 여기서 Xt와 Yt는 각각 터치 지점의 X좌표와 Y좌표)이고 상기 터치 유형 정보는 도 1에서 언급된 터치 종류에 대한 정보(type)일 수 있다.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터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S10), 상기 좌표 정보와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320)를 참조하여 S20 내지 S40 단계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320)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는 차량 헤드 유닛(100)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실행 상태(isActivated),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화면 표시 상태(isForeground),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에 관한 화면 표시 영역(x, y, width, heigh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상태(isActivated)와 화면 표시 상태(isForeground)는 0(미실행 또는 미표시)과 1(실행중 또는 표시중)로 표현될 수 있는 비트(bit) 단위의 정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면 표시 영역(x, y, width, height)은 표시 영역이 시작되는 x좌표(x), 상기 표시 영역의 가로 넓이(width), 상기 표시 영역이 시작되는 y좌표(y)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세로 높이(height)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은 실행 상태(isActivated), 화면 표시 상태(isForeground) 및 화면 표시 영역(x, y, width, height)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정보를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320)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320)은 실행 상태(isActivated)를 저장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저장부(322), 화면 표시 상태(isForeground)를 저장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상태 저장부(324), 및 화면 표시 영역(x, y, width, height)을 저장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영역 저장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S20 단계에서 터치 신호의 입력시, 응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저장부(322)를 참조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실행중이 아닌 경우(S20의 No)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고 스킵(skip)하게 된다(S60).
이는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실행되고 있지 않아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일 가능성이 없으므로 불필요한 신호 전송을 막기 위함이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실행중인 경우(S20의 Yes)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S30 단계에서 응용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상태 저장부(324)를 참조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S30의 No)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고 스킵하게 된다(S60).
이는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지 않아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일 가능성이 없으므로 불필요한 신호 전송을 막기 위함이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우(S30의 Yes),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S40 단계에서 응용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영역 저장부(326)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S40의 No)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고 스킵하게 된다(S60).
이는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지시하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가 아니므로 불필요한 신호 전송을 막기 위함이다.
즉,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터치 신호의 x좌표(Xt)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의 표시 영역이 시작되는 x좌표(x)와 상기 x좌표(x)에 상기 표시 영역의 가로 넓이(width)를 더한 x좌표(x+width)의 사이에 위치하고(x≤Xt≤x+width; 이하 “제1 조건”이라 함), 터치 신호의 y좌표(Yt)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의 표시 영역이 시작되는 y좌표(y)와 상기 y좌표(y)에 상기 표시 영역의 세로 높이(height)를 더한 y좌표(y+height)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y≤Yt≤y+height; 이하 “제2 조건”이라 함), 이하의 S50 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을 경우,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지 않고 스킵하게 된다(S60). 이는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을 경우, 상기 터치 신호는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의 표시 영역 이외의 부분을 지시하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헤드 유닛(100)의 디스플레이(4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400)와 오버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터치 디바이스(110)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400)에는 제1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A 애플리케이션 영역과 제2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B 애플리케이션 영역이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위치(C1)와 제2 위치(C2)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며, 각각 (x1, y1)의 좌표와 (x2, y2)의 좌표를 갖는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실행되고 있지 않거나(제1 케이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실행되고는 있으나 디스플레이(400)상에 표시되지 않고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되고 있는 경우(제2 케이스), 사용자가 제1 위치(C1)와 제2 위치(C2) 중 어느 곳을 터치하더라도 해당 터치 신호는 S20 단계와 S30 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A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B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일반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제3 케이스),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실행되어 상기 A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위치(C1)와 제2 위치(C2) 중 어느 곳을 터치하더라도 해당 터치 신호에 대해 S20 단계와 S30 단계를 거쳐 S40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제1 위치(C1)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가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으로 입력될 경우,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상기 A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상기 A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포함되는 제1 위치(C1)의 위치 정보(x1, y1)는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C1)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는 S50 단계를 거쳐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위치(C2)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가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으로 입력될 경우,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상기 A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상기 B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위치(C2)의 위치 정보(x2, y2)는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제2 위치(C2)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지 않게 된다.
터치 신호가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지시하는 경우(S40의 Yes),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응용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영역 저장부(326)에 저장된 화면 표시 영역을 확인하여 입력된 터치 신호의 좌표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400)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응용 애플리케이션(150)에 대한 좌표 정보로 변환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보정된 좌표 정보와 터치 유형 정보는 보정 터치 신호로 불릴 수 있다.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상기 보정 터치 신호를 생성한 뒤, 네트워크로 전달 가능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50). 즉, 터치 신호 처리 로직(310)은 도 1의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이벤트 시그널 처리기(16)가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300)의 외부에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의 터치 이벤트 레이턴시를 비교해 봄으로써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 유닛(100)에 의하면, 터치 신호가 OS, 프레임워크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거치지 않고, 커넥티비티 서비스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여부만을 검증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넥티비티 관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응답성(responsibility)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차량 헤드 유닛(10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실행 상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화면 표시 상태, 및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에 관한 화면 표시 영역을 저장하는 커넥티비티 동작 상태 관리 로직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실행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좌표 정보를 보정하는 차량 헤드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OS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인 차량 헤드 유닛.
  8.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실행 상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화면 표시 상태, 및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에 관한 화면 표시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실행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화면 표시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가,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좌표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OS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인 차량 헤드 유닛의 동작 방법.
  15. 커넥티비티 서비스(connectivity service)에 관련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차량 헤드 유닛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동작 상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좌표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상태 정보는,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실행 상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화면 표시 상태, 및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의 위치에 관한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실행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상태를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차량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신호의 전송을 스킵(skip)하는 차량 헤드 유닛.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 소프트웨어 가속기는,
    상기 화면 표시 영역을 기초로 상기 좌표 정보를 보정하는 차량 헤드 유닛.
KR1020150176687A 2015-12-11 2015-12-11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3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687A KR10173699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US15/260,235 US10061431B2 (en) 2015-12-11 2016-09-08 Vehicle head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610921896.6A CN107066193B (zh) 2015-12-11 2016-10-21 车辆音响主机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687A KR10173699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996B1 true KR101736996B1 (ko) 2017-05-17

Family

ID=5901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687A KR101736996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61431B2 (ko)
KR (1) KR101736996B1 (ko)
CN (1) CN107066193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836A (ja) 2012-04-27 2013-12-05 Panasonic Corp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42916A (ja) 2012-04-27 2013-12-05 Panasonic Corp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426A (ja) 1997-12-01 1999-06-18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AU2004233219B2 (en) 2003-04-24 2008-11-20 Oji Paper Co., Ltd. Coated paper for printing
KR20110082881A (ko) 2010-01-12 2011-07-20 (주)아이디미디어 휴대전화 컨넥티비티 기반에 차량용 컨버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99721A (ko) * 2011-09-12 2016-08-2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73056B1 (ko) 2011-09-20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TWI517670B (zh) * 2012-12-28 2016-0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車用鏡頭之自動化校正與應用其之影像轉換方法與裝置
KR102043148B1 (ko) 2013-02-19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좌표 예측 방법
US9300779B2 (en) * 2013-03-15 2016-03-29 Blackberry Limited Stateful integration of a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mobile device operations
JP6080634B2 (ja) 2013-03-19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05438A (zh) * 2013-11-18 2014-02-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其他电子设备的触摸设备及其控制方法
CN103792674B (zh) * 2014-01-21 2016-11-23 浙江大学 一种测量和校正虚拟现实显示器畸变的装置和方法
WO2015177928A1 (ja) * 2014-05-23 2015-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映像伝送システム
CN105094541A (zh) * 2015-06-30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控制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2836A (ja) 2012-04-27 2013-12-05 Panasonic Corp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42916A (ja) 2012-04-27 2013-12-05 Panasonic Corp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8647A1 (en) 2017-06-15
CN107066193B (zh) 2021-06-11
CN107066193A (zh) 2017-08-18
US10061431B2 (en)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373B2 (en) Secure input via a touchscreen
CN112040468B (zh) 用于车辆交互的方法、计算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1058040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gricultural machine and system thereof
CN104334411A (zh) 车载信息系统、信息终端、应用执行方法
US201900650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09579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26793A (ja) 端末の制御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28619A (ja) 電子装置
US110102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US11662858B2 (en) Terminal device, calibration method and calibration program
CN105573692A (zh) 一种投影控制方法、相关终端及系统
US20190179474A1 (e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36996B1 (ko) 차량 헤드 유닛,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08732A (ko) 터치형 더미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동시키는 미러링 터치조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US20110142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signal in portable terminal
JP2014146228A (ja) 端末装置、外部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と外部表示装置とからなる情報システム
JPWO2018123182A1 (ja) 表示システム
CN108363525B (zh) 一种响应网页中用户手势操作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8009172B (zh) 一种文件立体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101863555B1 (ko)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4423950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368909B1 (ko)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CN116382555A (zh) 投屏窗口化反向触控方法及智慧屏、存储介质
US20150363583A1 (en)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for image for information inpu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4327129A (zh) 触控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