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774B1 - 하이드로 부싱 - Google Patents

하이드로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774B1
KR101736774B1 KR1020160033923A KR20160033923A KR101736774B1 KR 101736774 B1 KR101736774 B1 KR 101736774B1 KR 1020160033923 A KR1020160033923 A KR 1020160033923A KR 20160033923 A KR20160033923 A KR 20160033923A KR 101736774 B1 KR101736774 B1 KR 10173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ing
middle ring
bulg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철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16003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4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 F16F13/1445Units of the bushing type, i.e. loaded predominantly radially characterised by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한 쌍의 벌징 홈이 형성되는 코어부, 상단부에 하우징 걸림턱이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제1링과 하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제2링 그리고 제1,2링을 서로 연결하되 내측에 벌징 홈에 대응하는 벌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링연결부와 제1,2링과 한 쌍의 링연결부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미들링, 코어부와 미들링에 접합되어 형성되되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한 쌍의 액실 형성부와 액실 형성부를 연결하는 유로 형성부가 형성되는 탄성부, 탄성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은, 코어부의 벌징 홈과 미들링의 벌징 돌기로 인하여 결합강도와 압축단면적이 증대되며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미들링에 형성되는 하우징 걸림턱으로 인하여 하우징의 단부를 절곡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마련하지 않고도 탄성부와 하우징의 이탈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미들링을 채택함으로써 제작과 조립 공정에서 미들링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로 부싱{Hydraulic Bushing}
본 발명은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챠량의 서브프레임과 차체를 결합함에 있어서, 진동과 소음 등을 감쇠하는 역할을 하는 하이드로 부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행에는 진동과 충격이 수반된다. 이러한 진동과 충격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과 같은 동력 전달계(Power train)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차륜이 노면과 접촉하며 발생하는 진동, 그리고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이 있다.
진동과 충격은 차체(Chassis)로 전달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고 승차감 및 조정성(Ride & Handling)을 저하한다.
따라서 차체와 서브프레임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부싱을 설치하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도록 한다.
부싱을 이용하면 주행중인 차량의 차륜이 노면의 돌출물을 통과할 때 충격음에 뒤이어 발생되는 단발적인 진동(Impact harshness)과 선회중인 차량의 조향핸들이 회전되어 방향의 좌우측으로 흔들리는 시미(Shimmy)현상 그리고 고속주행시 제동력이 발생할 때 조향핸들이나 대시패널에서 소음 진동이 발생되는 저더(Juder)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차감 및 조정성 그리고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부싱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고무 부싱(Rubber Bushing)과 내부에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도록 유체가 봉입되어 있는 하이드로 부싱(Hydraulic Bushing)으로 구분된다.
두 가지 부싱 모두 차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구멍이 형성되는 코어부와, 코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코어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그리고 코어부와 하우징의 이격된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무 부싱은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기 위한 탄성부가 탄성부재인 고무로 형성되며, 하이드로 부싱은 탄성부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액실이 형성되고 액실에는 액실을 유동하는 유체가 봉입되어 제작된다.
하이드로 부싱은 탄성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실이 마련되며, 복수의 액실이 마련되는 경우 액실을 연결하는 유로 또한 형성된다. 그리고 액실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유체가 변위를 일으키며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에너지가 감쇠되도록 한다.
고무 부싱과는 달리 하이드로 부싱은 진동수에 따라서 감쇠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감쇠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하이드로 부싱은 뛰어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억제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3482호 "하이드로 지오메트리 부시" (2015. 04. 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4587호 "하이드로 지오메트리 부시" (2015. 01. 13. 공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부싱의 탄성부에는 액실이 마련되기 위하여 탄성부의 일부에 공동(cavity)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탄성부의 강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부에 접합되어 뼈대 역할을 하는 미들링이 추가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코어부는 원기둥 형태이며, 미들링은 코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 형태이다. 그리고 미들링은 금속,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등을 주조하여 제작된다. 또한, 탄성부는 코어부와 미들링에 탄성부재인 고무가 가류 접합되어 형성되며 탄성부의 외측에는 원통 형태의 하우징이 결합된다.
그러나 코어부와 미들링 그리고 탄성부의 원통 형태의 접합면은 압축단면적이 크지 않고 그 결합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압축단면적을 증대하고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코어부와 미들링에 특별한 구조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추가하면 제작 공정이 까다로워진다.
또한 미들링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금속을 주조하여 제작되는 미들링의 경우 취성이 높아 제작과 조립 공정에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미들링은 탄성부의 뼈대 역할을 하여 탄성부가 그 형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탄성부의 외측에 하우징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하우징은 탄성부의 외주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금속제 원통으로서 탄성부의 외측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개의 결합부재가 추가되거나 하우징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제작된다.
하우징의 형태가 일반적인 원통 형태가 되도록 한다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나, 강한 충격과 진동에 노출되면 하우징이 탄성부로부터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3482호 "하이드로 지오메트리 부시" (2015. 04. 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4587호 "하이드로 지오메트리 부시" (2015. 01. 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어부와 미들링을 개선하여 결합부위의 압축단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강성을 높이고 코어부와 미들링 그리고 탄성부의 결합강도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하우징이 탄성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며, 미들링의 제작과 조립과정에서 미들링이 쉬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구멍(110)이 형성되되, 외주면이 방사상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며 상하방향 중간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벌징 홈(1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120)와 상기 한 쌍의 곡면부(120)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부(100) ; 상기 코어부(100)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에 둘레를 따라서 내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하우징 걸림턱(211)을 구비한 원통형태의 제1링(210)과, 상기 코어부(10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플랜지(221)가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제2링(220)과, 상기 제1링(210)과 상기 제2링(220)을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코어부(100)의 벌징 홈(121)에 대응하는 벌징 돌기(231)가 상기 벌징 홈(121)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의 살빼기용 구멍(23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링연결부(230)와, 상기 제1,2링(210,220)과 상기 한 쌍의 링연결부(230)로 둘러싸여 상기 코어부(100)의 평면부(130)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미들링(200) ; 상기 코어부(100)와 상기 미들링(200)에 접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미들링(200)의 한 쌍의 개구부(240)에 대응하는 부위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액실 형성부(3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미들링(200)의 링연결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를 연결하는 유로 형성부(320)가 형성되는 탄성부(300) ; 상기 탄성부(3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미들링(200)의 하우징 걸림턱(211)과 플랜지(221)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300)의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와 상기 유로 형성부(320)를 밀폐하여 한 쌍의 액실(311)과 유로(321)가 형성되도록 하는 원통형태의 하우징(400)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은, 코어부의 벌징 홈과 미들링의 벌징 돌기로 인하여 코어부와 미들링 그리고 탄성부의 결합강도가 증대되고 또한 압축단면적이 증대되어 강성이 증가한다. 아울러 미들링에 형성되는 하우징 걸림턱으로 인하여 하우징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추가로 마련하지 않고도 탄성부로부터 하우징이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승차감 및 조정성 그리고 주행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미들링을 채택함으로써 제작과 조립 공정에서 미들링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이드로 부싱이 서브프레임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코어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미들링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코어부와 미들링에 탄성부가 접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부분 절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이드로 부싱이 서브프레임에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코어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미들링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코어부와 미들링에 탄성부가 접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부분 절개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10)은 차체(미도시)에 결합되는 코어부(100)와 서브프레임(20)에 결합되는 하우징(400), 그리고 코어부(100)와 하우징(400)의 사이에 마련되는 미들링(200)과 탄성부(300)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성부(300)는 코어부(100)와 미들링(200)에 탄성부재인 고무가 가류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코어부(100)는 차체와 결합되기 위한 금속제 파이프로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구멍(110)이 형성된다. 아울러 코어부(100)의 외주면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120)와 곡면부(120)의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면부(130)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 쌍의 곡면부(120)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한 쌍의 벌징 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코어부(100)의 한 쌍의 곡면부(120)와 한 쌍의 평면부(130)는 볼트 구멍(110)을 축으로 하여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며, 곡면부(12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벌징 홈(121) 또한 볼트 구멍(110)을 축으로 하여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코어부(100)의 외측에는 미들링(200)이 마련된다. 미들링(200)은 종래의 금속제 미들링과는 달리 비금속 재료인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된다. 물론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특징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미들링(200)은 유리섬유가 혼합되어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하는 복합재료인 PA66+GF45%(Polyamide66 + Glass Fiber 45%)의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유동성이 뛰어나 성형성이 높은 재료로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열적 특성이 요구되는 차량용 부품을 제작하기에 적합하다.
도 4를 참고하여 미들링(200)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들링(200)은 코어부(100)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하우징 걸림턱(211)이 형성되는 제1링(210)과, 코어부(100)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플랜지(221)가 형성되는 제2링(220)과, 제1링(210)과 제2링(220)을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링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미들링(200)의 하우징 걸림턱(211)에는 하우징 걸림턱(21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내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212)이 형성된다. 경사면(212)은 하우징(400)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미들링(200)의 한 쌍의 링연결부(230)의 내측에는 코어부(100)의 벌징 홈(121)에 대응하는 벌징 돌기(231)가 벌징 홈(121)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미들링(200)의 한 쌍의 벌징 돌기(231) 사이의 거리는 코어부(10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미들링(200)에 코어부(100)가 걸림 없이 삽입될 수 있으며 조립이 쉬워진다.
아울러 링연결부(230)의 외주면에는 벌징 돌기(231)로 인하여 두꺼워진 링연결부(230)에 성형불량으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빼기(Coring)가 적용되며, 이를 위한 복수의 살빼기용 구멍(232)이 형성된다.
미들링(200)에는 상단부의 제1링(210)과 하단부의 제2링(220) 그리고 제1,2링(210,220)을 연결하는 한 쌍의 링연결부(230)로 인하여 한 쌍의 개구부(240)가 형성된다. 링연결부(230)는 코어부(100)의 곡면부(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구부(240)는 코어부(100)의 평면부(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코어부(100)와 미들링(200)이 마련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인 고무가 코어부(100)와 미들링(200)에 가류 접합되어 탄성부(300)가 형성된다. 탄성부(300)는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와 유로 형성부(320) 그리고 밀폐링(330)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300)는 미들링(200)의 내측과 외측을 감싸며 코어부(100)에 접합되며, 이 과정에서 코어부(100)의 벌징 홈(121)과 미들링(200)의 벌징 돌기(231)로 인하여 증대된 압축단면적을 가지게 된다.
압축단면적이 증대된다는 것은 미들링(200)과 탄성부(300) 또는 코어부(100)와 탄성부(300)의 접합부위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탄성부(300)에 전달되는 압력, 즉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에서 탄성부(300)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넓은 부위로 분산시켜 하이드로 부싱(10)이 더 높은 진동과 충격에도 버틸 수 있는 강성과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벌징 홈(121)과 벌징 돌기(231)의 벌징구조(Bulging Structure)로 인하여 결합강도가 증대되어 코어부(100)가 미들링(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부(300)의 액실 형성부(310)는 유체가 봉입되기 위한 액실(Fluid Chamber,311)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미들링(200)의 한 쌍의 개구부(240)에 대응하는 부위에 코어부(100)의 평면부(130)를 향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액실(311)은 유체를 봉입하고 유체가 변위를 일으키며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액실(311)이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지 못하면 봉입되는 유체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유체의 감쇠 효과를 떨어뜨려 하이드로 부싱(10)의 성능을 저하한다.
본 실시례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10)에는 미들링(200)에 형성되는 개구부(240)와 코어부(100)의 평면부(130)로 인하여 충분한 크기의 액실(311)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탄성부(300)에는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가 형성되므로 이를 서로 연통하기 위한 유로 형성부(320)가 필요하다. 유로 형성부(320)는 미들링(200)의 링연결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측에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를 서로 연결하는 사선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탄성부(300)의 외측 표면에는 오링(O-ring)과 같이 하우징(400)과 탄성부(300)의 밀폐를 돕는 밀폐링(330)이 액실 형성부(310)와 유로 형성부(320)를 두르도록 탄성부(3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탄성부(3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도 원형의 밀폐링(330)이 탄성부(300)의 양단부를 각각 두르도록 형성된다.
밀폐링(330)은 탄성부(300)의 외측에 하우징(400)이 조립된 이후 액실(311)과 유로(321)에 봉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탄성부(300)의 밀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코어부(100)와 미들링(200)에 탄성부재인 고무가 가류 접합되어 탄성부(300)가 형성된 이후 탄성부(300)의 외측에 하우징(400)이 밀착 결합된다.
하우징(400)은 탄성부(300)의 외측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금속제 파이프로서 미들링(200)의 플랜지(221)와 하우징 걸림턱(211)에 걸리게 되어 탄성부(400)에 밀착 결합된다.
탄성부(300)에 하우징(400)이 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와 유로 형성부(320)가 밀폐되어 한 쌍의 액실(311)과 유로(321)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의 하우징(400)은 탄성부(300)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가 절곡되거나, 별개의 결합부재가 추가되는 형태가 아니다. 즉 일반적인 원통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미들링(200)의 하우징 걸림턱(211)으로 인하여 강한 진동과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하우징(400)이 단순한 원통 형태가 됨으로써 하우징(400)의 제작과 조립이 간편해진다. 또한 미들링(200)의 하우징 걸림턱(211)으로 인하여 하우징(400)을 탄성부(300)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재가 추가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상에도 큰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하우징(400)은 액중에서 탄성부(300)에 결합되도록 조립된다. 이를 통해 완성된 하이드로 부싱(10)의 액실(311)과 유로(321)에 유체가 봉입되도록 한다.
탄성부(300)는 탄성부재인 고무로 형성되므로 하이드로 부싱(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액실(311)의 부피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액실(311)에 봉입된 유체가 유로(321)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액실(311)에서 압력이 낮은 액실(311)로 유동되며 변위를 일으킨다.
유체의 변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으로 인한 에너지를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브프레임(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하이드로 부싱(10)에서 흡수하여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하이드로 부싱(10)은 코어부(100)와 미들링(200)의 벌징구조(121,231)로 인하여 압축단면적이 증대되어 강성이 증가하게 되며 아울러 결합강도와 내구성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들링(200)에 형성되는 하우징 걸림턱(211)은 원통 형태의 하우징(400)이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탄성부(300)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미들링(200)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제작과 조립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특징들로 인하여 본 실시례의 하이드로 부싱(10)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진동과 충격에 대한 감쇠 효과가 뛰어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하이드로 부싱(10)을 차량에 장착하면 승차감 및 조정성 그리고 주행 안정성 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발명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발명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이드로 부싱
20 : 서브프레임
100 : 코어부
110 : 볼트 구멍 120 : 곡면부
121 : 벌징 홈 130 : 평면부
200 : 미들링
210 : 제1링 211 : 하우징 걸림턱
212 : 경사면 220 : 제2링
221 : 플랜지 230 : 링연결부
231 : 벌징 돌기 232 : 살빼기용 구멍
240 : 개구부
300 : 탄성부
310 : 액실 형성부 311 : 액실
320 : 유로 형성부 321 : 유로
330 : 밀폐링
400 : 하우징

Claims (2)

  1.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구멍(110)이 형성되되, 외주면이 방사상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며 상하방향 중간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벌징 홈(1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120)와 상기 한 쌍의 곡면부(120)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평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부(100) ;
    상기 코어부(100)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위에 둘레를 따라서 내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212)이 형성되는 하우징 걸림턱(211)을 구비한 원통형태의 제1링(210)과, 상기 코어부(100)의 하단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플랜지(221)가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제2링(220)과, 상기 제1링(210)과 상기 제2링(220)을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코어부(100)의 벌징 홈(121)에 대응하는 벌징 돌기(231)가 상기 벌징 홈(121)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의 살빼기용 구멍(23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링연결부(230)와, 상기 제1,2링(210,220)과 상기 한 쌍의 링연결부(230)로 둘러싸여 상기 코어부(100)의 평면부(130)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구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미들링(200) ;
    상기 코어부(100)와 상기 미들링(200)에 접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미들링(200)의 한 쌍의 개구부(240)에 대응하는 부위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액실 형성부(3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미들링(200)의 링연결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측에 상기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를 연결하는 유로 형성부(320)가 형성되는 탄성부(300) ;
    상기 탄성부(30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미들링(200)의 하우징 걸림턱(211)과 플랜지(221)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300)의 한 쌍의 액실 형성부(310)와 상기 유로 형성부(320)를 밀폐하여 한 쌍의 액실(311)과 유로(321)가 형성되도록 하는 원통형태의 하우징(400)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부싱(10).
  2. 삭제
KR1020160033923A 2016-03-22 2016-03-22 하이드로 부싱 KR10173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23A KR101736774B1 (ko) 2016-03-22 2016-03-22 하이드로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23A KR101736774B1 (ko) 2016-03-22 2016-03-22 하이드로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774B1 true KR101736774B1 (ko) 2017-05-17

Family

ID=5904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923A KR101736774B1 (ko) 2016-03-22 2016-03-22 하이드로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2764A1 (en) * 2019-08-27 2022-09-08 Bridgestone Corporation Liquid sealing bush
KR20230001785A (ko) 2021-06-29 2023-01-05 (주)디티알 액체 유압반발력을 이용한 스너버 내구성 향상된 하이드로 부싱
KR20230149049A (ko) 2022-04-19 2023-10-26 신우신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마운트용 하이드로부시의 미들 파이프 다중접합 용접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6076A (ja) 2007-04-04 2008-10-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6076A (ja) 2007-04-04 2008-10-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2764A1 (en) * 2019-08-27 2022-09-08 Bridgestone Corporation Liquid sealing bush
KR20230001785A (ko) 2021-06-29 2023-01-05 (주)디티알 액체 유압반발력을 이용한 스너버 내구성 향상된 하이드로 부싱
KR20230149049A (ko) 2022-04-19 2023-10-26 신우신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마운트용 하이드로부시의 미들 파이프 다중접합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5672A1 (ja) 防振装置
JP2010159873A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JPH0547733B2 (ko)
KR101736774B1 (ko) 하이드로 부싱
WO2013121483A1 (ja) 防振装置
JP4945162B2 (ja) 防振装置
KR102484894B1 (ko)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JP6422179B2 (ja) 液体封入ブッシュ
US7007934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12092875A (ja) 流体封入式筒形防振装置
JP2012002328A (ja) 防振装置
JP2012036971A (ja) 防振装置
CN105102852A (zh) 液封式防振装置
KR101089137B1 (ko) 자동차용 축방향 유체봉입형 부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트러트 마운트
KR20150004587A (ko) 하이드로 지오메트리 부시
KR102371045B1 (ko) 동특성 가변형 엔진마운트
JP2015172424A (ja) 液封式防振装置
JP4951589B2 (ja) 防振装置
JP6047447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2454512B1 (ko) 마운팅 부시
JP2008057582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JP5802472B2 (ja) 防振装置
KR20230099864A (ko) 멤브레인 구조를 적용한 동특성 저감형 차량용 하이드로 부싱
JP2005291447A (ja) 流体封入式の防振連結ロッド
KR102474602B1 (ko) 강체 압입방식 인슐레이터 및 현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