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574B1 - 응고 장치 - Google Patents

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574B1
KR101736574B1 KR1020150079173A KR20150079173A KR101736574B1 KR 101736574 B1 KR101736574 B1 KR 101736574B1 KR 1020150079173 A KR1020150079173 A KR 1020150079173A KR 20150079173 A KR20150079173 A KR 20150079173A KR 101736574 B1 KR101736574 B1 KR 10173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oller
average
metal plate
p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919A (ko
Inventor
배일신
이상현
김성연
정희태
한병하
황종연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7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574B1/ko
Priority to JP2017562589A priority patent/JP2018516175A/ja
Priority to CN201680032448.9A priority patent/CN107690362A/zh
Priority to US15/578,974 priority patent/US20180133785A1/en
Priority to PCT/KR2016/006000 priority patent/WO2016195454A1/ko
Publication of KR2016014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2Vertical casting and curving the cast stock to the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탕면의 높이 변동이 금속판의 진행속도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하여 금속판의 진행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나아가 금속판의 생산성을 높이는 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응고 장치는 용융 금속으로부터 응고된 금속판을 제조하는 응고 장치로서,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롤러열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열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어느 한 구간에서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다.

Description

응고 장치 {SOLID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융 금속을 지속적으로 응고시켜 강판을 제조하는 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 금속을 지속적으로 응고시키는 장치는 용융 금속이 진입되는 형틀과, 이 형틀의 배출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열로 구성된다. 통상 다수의 롤러열은 세그먼트 단위로 제공된다.
한편, 용융 금속은 형틀에서 표면은 응고되고, 내부는 응고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 즉 반 응고 상태로 빠져나와 롤러열 사이로 통과하면서 점차 내부로 응고가 진행되며 완전히 응고된 후, 장치를 벗어나게 된다.
이때, 용융 금속이 응고되며 형성되는 금속판은 롤러열 사이를 통과할 때, 상당기간 반응고 상태이기 때문에 금속판 내부에는 용융 상태의 금속이 그대로 남아 있다. 따라서, 금속판 내부에는 형틀내 용탕면과의 높이 차이에 의한 상당한 압력이 작용하며, 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롤러와 롤러 베어링과 롤러 지지 구조물이 설계된다.
또한, 금속판이 아래로 진행할수록 용탕면과의 높이 차에 의한 압력이 증가하므로 통상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롤러일수록 직경이 크다. 또한, 직경이 크면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roller pitch)도 커진다.
한편, 금속판 표면과 접촉한 롤러는 금속판이 내부 용탕 압력으로 인하여 바깥쪽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억제하고 있으며, 이때 롤러 피치가 커지면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금속판과 롤러가 접촉하지 않는 구간이 넓어지게 되어 금속판 표면이 다소 부풀어 오르게 된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금속판은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롤러가 닿지 않는 부분은 압력으로 인하여 응고층이 조금씩 부풀어 오른다.
따라서, 응고층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롤러를 촘촘히 배열하여 롤러 피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응고층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의 발생시, 응고층이 부풀어 오르는 양이 주기적으로 증감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반응고 금속판 내부의 용적에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상태로 롤러 사이를 진행하므로 형틀내 용탕면의 주기적 높이 변동을 야기한다.
이러한 용탕면의 높이 변동의 주기는, 롤러 피치 간격과 밀접히 연관된다는 점이 관찰된다. 이와 같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은 금속판 진행속도가 클수록, 그리고 롤러 피치가 클수록 용탕면 높이 변동이 커지는 경향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상호 메커니즘(Mechanism)은 밝혀진 바 없다.
한편, 용탕면의 높이 변동이 허용 한계를 초과하게 되면, 불균일한 응고 현상이 발생하여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응고층의 취약 부분이 찢어지면서 미응고 용융 금속이 외부로 누출되어 생산이 중단되고, 생산 설비가 손상되는 등의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 용탕면의 높이 변동의 허용 한계 내에서 금속판의 진행 속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판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EP 0662357 (1995.07.12) US 2009-0199391 (2009.08.13) JP 1993-277682 (1993.10.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탕면의 주기적 변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롤러의 배열 구조를 바꾸는 것 외에도 롤러 피치의 반복성을 회피토록 하며, 이에 따라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금속판의 진행속도에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하여 금속판의 진행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나아가 금속판의 생산성을 높이는 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응고 장치는 용융 금속으로부터 응고된 금속판을 제조하는 응고 장치로서,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롤러열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열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로 정의되는 롤러 피치의 평균은 선행 구간보다 크게 제공되되, 어느 한 구간에서는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다.
여기서, 상기 구간은 상기 롤러 피치의 개수가 적어도 4개인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은 1m 이상의 길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획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은 물리적 구획으로 구분되는 공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리적 구획은 세그먼트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은 한 구동롤과 다음 구동롤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한 구간에서 롤러 피치의 평균과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의 차이는 10mm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피치 평균의 차이는 20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의 이동 속도는 4m/min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은 상기 금속판을 수평으로 이송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용융 금속이 배출되는 형틀의 출구와 상기 수평구간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배치되는 만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와 상기 만곡구간 또는 상기 만곡구간과 상기 수평구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곡률로 배치되는 변곡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금속판을 수직으로 이송하며 상기 만곡구간과 연결되는 수직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간의 롤러 피치의 평균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Pa(k) = ∑i P(k,i) / N
여기서, N은 해당구간에서 정의된 롤러 피치들의 개수이고, k는 구간 번호이며, i는 k구간에 나타나는 롤러 피치의 일련번호이다.
또한, 상기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아지는 구간은 상기 금속판이 응고되는 길이 내에 존재하고, 상기 금속판의 응고 길이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5054021013-pat00001
여기서, L: 금속판의 응고 완료 길이(mm), V: 금속판의 분당 진행속도(mm/min), H: 금속판의 두께, K: 20 내지 30의 응고 상수(mm/min0 .5)이다.
또한, 상기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아지는 구간이 2번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에 대한 금속판의 진행 속도의 영향을 둔감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금속판의 진행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금속판의 진행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개략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롤러열을 도시한 간략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과 종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금속판의 응고길이와 속도, 두께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롤러열을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응고 장치(10)는 턴디쉬(1)로부터 공급된 용융 금속(Y)을 냉각하여 초기 응고된 금속판(B)으로 배출하는 형틀(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형틀(20)은 내부에 냉각수단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형틀(20)과 접촉하는 용융 금속은 표면부터 냉각이 시작되며 금속판(B) 형태로 배출되고, 금속판(B)으로 응고된 표면의 내부는 미응고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 형틀(20)의 배출측에는 반 응고 상태로 배출되는 금속판(B)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금속판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롤러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열은 구동부와 연계되어 이송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반응고 상태의 금속판(B)을 냉각하여 응고시키며 후속 공정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30)는 롤러열의 롤러 피치 평균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a)를 참고하면, 구간은 롤러 피치의 개수가 적어도 4개인 공간일 수 있다. 즉, 구간은 5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이들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가 적어도 4개를 갖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 피치는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일으키는 중요한 인자로, 구간은 롤러의 개수에 대한 정의보다는 롤러 피치에 대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구간의 롤러 피치들의 평균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5054021013-pat00002
여기서, N은 해당구간에서 정의된 롤러 피치들의 개수이고, k는 구간 번호이며, i는 k구간에 나타나는 롤러 피치의 일련번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각 구간은 적어도 4개의 롤러 피치를 갖는 공간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각 구간에서 맞은편의 대칭되는 구간의 롤러 배열은 동일하게 배열될 필요는 없으며, 동일한 구간으로 정의할 필요는 없으며, 이에 각각의 독립적인 구간으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각 구간은 적어도 4개의 롤러 피치를 갖는 공간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구간에 대한 정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길이에 따라 구간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구간은 1m 이상의 길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획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구간은 1m 미만일 경우, 롤러가 상당히 촘촘히 배열된 상태로 용탕면의 높이 변동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간은 설비 조건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충분한 길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획되는 공간으로 한정될 수 있다.
한편, 구간은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단위로 구획되는 공간일 수 있다. 세그먼트에는 금속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롤러열은 세그먼트에 의해 교환, 교체 등이 가능하게 물리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를 참고하면,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은, 세그먼트 외에도 한 구동롤과 다음 구동롤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통상 세그먼트에는 하나의 구동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세그먼트의 중앙부에 구동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는 구동롤 외에도 다수의 롤러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구동롤과 다음 구동롤 사이의 공간은, 선행하는 세그먼트의 구동롤과 후행하는 세그먼트의 구동롤 사이의 공간일 수 있으며, 세그먼트 단위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구조물의 구동롤 사이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공간으로, 이 공간에는 다수의 롤러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된 롤러열은 통상의 구간에서 금속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는 금속판(B)이 진행되는 롤러열을 후행구간으로 갈수록 용탕면/금속판(B)의 높이차에 의해 하중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롤러열에 작용하는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서는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롤러열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어느 한 구간에서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구간별 롤러 피치 평균은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과 종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구간을 나타내고, y축은 롤러 평균 피치를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한 구간을 기준으로, 롤러 피치의 평균과, 그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의 차이는 10mm 이상일 경우, 주속을 높일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어느 한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이 선행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10mm 미만으로 감소될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어느 한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이 선행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10mm 이상으로 감소될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할 수 있다.
예컨대, 한 구간을 기준으로, 롤러 피치의 평균이 그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에 비해 약 17mm 감소할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이 완화됨에 따라 종래 기술 대비 주속을 0.5m/min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주속이 6.5m/min 이었다면, 본 기술의 적용하여 롤러 피치 평균을 감소된 후, 주속이 7.0m/min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이 선행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에 대해 20mm 이상 감소될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하는 정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한 구간을 기준으로, 롤러 피치의 평균이 그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에 비해 약 38mm 감소할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이 완화됨에 따라 종래 기술 대비 주속을 1.5m/min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주속이 6.5m/min,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폭이 약 1.7mm인 경우 주속이 7.0m/min 이었다면, 롤러 피치 평균에 비해 약 38mm 감소할 경우 주속은 8.0m/min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데이터를 참고하면 바람직하게는, 롤러 피치 평균이 선행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에 대해 20m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롤러 피치 평균을 감소되는 정도는 설비의 허용하중에 따라 상한값이 정해질 수 있다. 통상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 정도를 크게 할 경우,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및 베어링 등의 구동계에 큰 하중이 전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는 이러한 설비가 견딜 수 있는 하중에 따라 감소폭의 상한이 정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금속판의 응고길이와 속도, 두께에 대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금속판(B)이 완전하게 응고하는데 필요한 길이는 금속판(B)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짧아질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5054021013-pat00003
여기서, L: 금속판의 응고 완료 길이(mm), V: 금속판의 분당 진행속도(mm/min), H: 금속판의 두께, K: 20 내지 30의 응고 상수(mm/min0 .5)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응고 장치는 어느 한 구간에서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게 배열됨에 따라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판의 이동속도는 4m/min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20)의 출측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구간(100)과, 후속공정과 연결되는 수평구간(300)과, 수직구간(100)과 수평구간(300) 사이에 만곡되게 배치되는 만곡구간(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수직구간(100)과 만곡구간(200), 만곡구간(200)과 수평구간(3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른 기울기로 굴곡되는 변곡구간(40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는 수직구간(100)에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제공될 수 있고, 수직구간(100)과 만곡구간(200) 사이의 배치된 변곡구간(400)에는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인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30)는 수직구간(100), 만곡구간(200), 수평구간(300)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송부(30)는 수직구간(100)만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수직구간(100) 없이 만곡구간(200)이 형틀(20)의 출구와 직접 연결되며 수평구간(30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곡구간(400)은 굴곡되는 기울기가 가변되는 구간이나 만곡구간(200)의 기울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별도의 변곡구간(400)은 포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아지는 구간은 2번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하는 정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형틀(20)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 현상은 금속판(B)의 진행 속도가 클수록 심화되며, 롤러의 롤러 피치 평균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배열이 오래 반복될수록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의 롤러 피치 평균이 일정하게 증가하며 배열되는 반복성을 최소화하면 용탕면의 높이 변동 현상을 금속판(B)의 진행속도의 영향으로부터 둔감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종래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결과적으로 금속판(B)의 진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고 장치의 구간별 롤러 피치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구간을 나타내고, y축은 롤러 평균 피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어느 한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은, 직전 선행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에 대한 감소 정도가 10mm 미만이고, 후행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은 다소 증가하더라도, 그 후행 구간의 롤러 피치 평균과의 감소 정도의 합이 10mm 이상일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정 구간 내에서 각각의 롤러 피치 평균이 10mm 이상으로 충분히 감소되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연속되는 구간 내의 롤러 피치 평균의 합이 10mm 이상으로 감소되는 추세에 있을 경우,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p1에서 p2 사이에서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 폭이 8mm 이고, p2에서 p3 사이에 롤러 피치 평균이 4mm 증가한 후, p3에서 p4 사이의 롤러 피치 평균이 8mm 감소할 수 있다.
이때, 각 구간 사이의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 정도는 10mm 미만으로, 각 인접 구간 사이의 롤러 피치 평균 감소 정도만으로는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p1에서 p4 사이의 롤러 피치 평균 감소의 합은 12mm일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롤러 피치 평균의 감소 정도가 10mm 이상으로, 형틀 내 용탕면의 높이 변동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턴디쉬 10: 응고 장치
20: 형틀 30: 이송부

Claims (14)

  1. 용융 금속으로부터 응고된 금속판을 제조하는 응고 장치로서,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롤러열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열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을 때, 상기 금속판의 진행방향으로 이웃한 두 롤러의 중심간 거리로 정의되는 롤러 피치의 평균은 선행 구간보다 크게 제공되되, 어느 한 구간에서는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은 응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상기 롤러 피치의 개수가 적어도 4개인 공간인 응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1m 이상의 길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획되는 공간인 응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물리적 구획으로 구분되는 응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구획은 세그먼트 단위인 응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한 구동롤과 다음 구동롤 사이의 공간인 응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구간에서 롤러 피치의 평균과 선행 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의 차이는 10mm 이상인 응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피치 평균의 차이는 20mm 이상인 응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이동 속도는 4 m/min 이상인 응고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은
    상기 금속판을 수평으로 이송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용융 금속이 배출되는 출구와 상기 수평구간 사이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게 배치되는 만곡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와 상기 만곡구간 또는 상기 만곡구간과 상기 수평구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곡률로 배치되는 변곡구간을 포함하는 응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금속판을 수직으로 이송하며 상기 만곡구간과 연결되는 수직구간을 더 포함하는 응고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의 롤러 피치의 평균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응고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5054021013-pat00004

    여기서, N은 해당구간에서 정의된 롤러 피치들의 개수이고, k는 구간 번호이며, i는 k구간에 나타나는 롤러 피치의 일련번호.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아지는 구간은 상기 금속판이 응고되는 길이 내에 존재하고,
    상기 금속판의 응고 길이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되는 응고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16113260790-pat00005

    여기서, L: 금속판의 응고 완료 길이(mm), V: 금속판의 분당 진행속도(mm/min), H: 금속판의 두께, K: 20 내지 30의 응고 상수(mm/min0.5).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피치의 평균이 선행구간에서의 롤러 피치 평균보다 작아지는 구간이 2번 이상 존재하는 응고 장치.
KR1020150079173A 2015-06-04 2015-06-04 응고 장치 KR10173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73A KR101736574B1 (ko) 2015-06-04 2015-06-04 응고 장치
JP2017562589A JP2018516175A (ja) 2015-06-04 2016-06-07 凝固装置
CN201680032448.9A CN107690362A (zh) 2015-06-04 2016-06-07 凝固设备
US15/578,974 US20180133785A1 (en) 2015-06-04 2016-06-07 Solidification apparatus
PCT/KR2016/006000 WO2016195454A1 (ko) 2015-06-04 2016-06-07 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73A KR101736574B1 (ko) 2015-06-04 2015-06-04 응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19A KR20160143919A (ko) 2016-12-15
KR101736574B1 true KR101736574B1 (ko) 2017-05-17

Family

ID=5744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173A KR101736574B1 (ko) 2015-06-04 2015-06-04 응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33785A1 (ko)
JP (1) JP2018516175A (ko)
KR (1) KR101736574B1 (ko)
CN (1) CN107690362A (ko)
WO (1) WO20161954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561A (ja) * 2002-11-20 2004-06-17 Kobe Steel Ltd 高炭素鋼ブルーム鋳片の連続鋳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3A (ja) * 1981-06-25 1983-01-05 Nippon Steel Corp 多点矯正彎曲型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S61150760A (ja) * 1984-12-24 1986-07-09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の連続鋳造機
JPS6372457A (ja) * 1986-09-13 1988-04-02 Sumitomo Metal Ind Ltd 鋼の連続鋳造方法
DE3907905C2 (de) * 1988-07-04 1999-01-21 Mannesmann Ag Stranggießverfahren
ES2089317T3 (es) 1991-09-19 1996-10-01 Schloemann Siemag Ag Procedimiento e instalacion para la fabricacion de banda de acero.
DE4338805C2 (de) 1993-11-12 1995-10-26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tranggießanlage
DE4402402B4 (de) * 1994-01-27 2004-05-13 Sms De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rmgewalztem Stahlband aus stranggegossenem Vormaterial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951262C1 (de) * 1999-10-25 2001-04-05 Sms Demag Ag Strangführungsgerüst einer Stranggießanlage, insbesondere für Dünnbrammen aus Stahl
US6467533B1 (en) * 1999-10-28 2002-10-22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Machine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JP3591449B2 (ja) * 1999-10-28 2004-11-1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鋳片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2002103011A (ja) * 2000-07-27 2002-04-09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設備のロール間隙測定方法及び装置
JP4218383B2 (ja) * 2002-04-08 2009-02-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鋳片
JP4259051B2 (ja) * 2002-07-03 2009-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機及び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DE102005059692A1 (de) 2005-12-14 2007-06-21 Sms Demag Ag Verfahren zum Stranggießen dünner Metallbänder und Stranggießanlage
DE102006056683A1 (de) * 2006-01-11 2007-07-12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anggießen
DE102008014524A1 (de) * 2007-12-28 2009-07-02 Sms Demag Ag Stranggießanlage mit einer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Erstarrungszuständen eines Gießstrangs und Verfahren hierfür
KR20110000376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주조 슬라브의 중심편석 저감방법
CN101920316B (zh) * 2010-08-03 2015-08-19 中国重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解决结晶器液面波动的连铸机改造方法
BR112014011190B1 (pt) * 2011-11-15 2020-09-15 Nippon Steel Corporation Aparelho de refrigeração secundário de máquina de lingotamento contínuo e método de refrigeração secundário
CN102527974B (zh) * 2012-01-18 2013-06-12 重庆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防止连铸板坯窄面鼓肚的方法
JP5817677B2 (ja) * 2012-08-14 2015-11-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連続鋳造機の設定状態の検知装置および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561A (ja) * 2002-11-20 2004-06-17 Kobe Steel Ltd 高炭素鋼ブルーム鋳片の連続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454A1 (ko) 2016-12-08
KR20160143919A (ko) 2016-12-15
CN107690362A (zh) 2018-02-13
JP2018516175A (ja) 2018-06-21
US20180133785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441B1 (ko) 연속 주조기의 2차 냉각 장치 및 2차 냉각 방법
EP3144080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
KR101233226B1 (ko) 강을 수평으로 연속 주조하는 장치
CA265998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uiding an incompletely solidified metal strip
KR101736574B1 (ko) 응고 장치
US88072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JP6135616B2 (ja) 連続鋳造鋳片の幅方向均一冷却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設備
KR20090098384A (ko) 연속 주조용 벤더 세그먼트
KR20180017260A (ko) 응고 장치
EP2796224B1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2015167952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EP3493929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CA1047221A (en) Curved roller track for continuously cast ingots
KR101797351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JP4417899B2 (ja) 連続鋳造方法
KR102400467B1 (ko)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JP5030385B2 (ja) サポートロールユニットの交換方法及び連続鋳造方法
US8033318B2 (en) Plant for producing metal strip
SU1715475A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плоских слитков
US3598174A (en)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s
RU2249059C1 (ru) 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го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полосу
TW201410621A (zh) 薄板玻璃之製造方法
JP5691912B2 (ja) 金属片の連続鋳造方法
KR100529641B1 (ko) 스트립주조장치
RU2206428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лябов на установках с криволинейно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осью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