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90B1 -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390B1
KR101736390B1 KR1020160144615A KR20160144615A KR101736390B1 KR 101736390 B1 KR101736390 B1 KR 101736390B1 KR 1020160144615 A KR1020160144615 A KR 1020160144615A KR 20160144615 A KR20160144615 A KR 20160144615A KR 101736390 B1 KR101736390 B1 KR 10173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r
telephone
messeng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철
임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톡
(주)씽크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톡, (주)씽크에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톡
Priority to KR102016014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개시된다. 이 서버는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와 호 중개부를 포함한다.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는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호 중개부는 수신된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한다.

Description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ng call connection service}
본 발명은 전화 연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에 관한 것이다.
VoI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초고속인터넷과 같이 IP망을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통화를 구현하는 통신기술이다. 그리고 스마트기기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는 메신저 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과 VoIP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통화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지 않고도 가능하며, 자신의 전화번호 또한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고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VoIP 전화통화 기능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36712호에는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른 VoIP 서비스 장치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 채널에 접속하지 않은 착신 단말기로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가 요청된 경우, 수신자 단말로 VoIP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려서 착신 단말기로 하여금 무선 데이터 채널에 접속토록 한다. 이에 따라, 무선 데이터 채널에 접속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VoIP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에도 VoIP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터넷전화(VoIP)는 일반전화에 비해 음질이 좋지 않으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전화 연결이 잘 안되거나 연결되더라도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보장하지 못한다. 즉, 인터넷전화(VoIP)의 경우에는 음질 문제와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전화 연결 문제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전화통화를 보장하기가 어렵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36712호 (2012년 4월 20일 공고)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의 장점과 일반전화의 장점을 모두 갖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와 호 중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는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호 중개부는 수신된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할 수 있다.
호 중개부는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로 각각 호 발신하는 호 처리부, 및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를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가 연결 해제되면 남은 호의 연결을 해제하는 호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자 단말에도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수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앱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 1 서버와 제 2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버는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로 호 발신하여 발신자 단말과 호 연결하며,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서버는 제 1 서버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수신자 단말로 호 발신하여 수신자 단말과 호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버와 제 2 서버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제 1 서버는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통화 채널을 접속하며, 제 2 서버는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통화 채널을 접속할 수 있다.
제안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상대방에게 노출하지 않고서도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좋은 음질과 안정적인 전화 통화를 보장받을 수 있다.
제안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 서버는 회사용으로 개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회사 직원은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사 직원은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마치 회사 전화기로 직접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는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및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발신자 단말(100)은 발신자가 사용하는 전화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이다. 발신자 단말(100)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예로 들 수 있다. 수신자 단말(200)은 수신자가 사용하는 전화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이다. 수신자 단말(2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도 있고,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일 수도 있다. 발신자 단말(100)에는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신자 단말(200)에는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기본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발신자는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서버이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데이터베이스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자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10)과 연동하여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라 함은 발신자 단말(100)이 수신자 단말(200)로 발신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로 각각 발신하여 각각 호 연결하며, 그 두 개의 호를 접속시킴에 의해 전화 연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데이터 통신망(400)은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전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PSTN(50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세계의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들이 얽혀있는 전화망이다. 원래는 고정 전화기의 아날로그 전화망이었던 PSTN은 이제는 거의 완전히 디지털화되었으며, 현재는 고정 전화기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를 아우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구성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310)와 호 중개부(320)를 포함한다.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310)는 발신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발신자 식별정보와 수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발신자 식별정보는 발신자 단말(100)의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아니면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 식별정보는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발신자의 앱 ID이다. 수신자 식별정보 역시 수신자 단말(200)의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아니면 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앱 ID 등과 같은 별도의 정보일 수 있다.
호 중개부(320)는 수신된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하는데, 데이터 통신망(400)이 아닌 PSTN(500)을 통해 호 연결을 중개한다. 호 연결 중개를 위해, 호 중개부(320)는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식별정보와 수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한다. 발신자 식별정보와 수신자 식별정보가 모두 전화번호일 경우에는 그 전화번호를 그대로 이용하지만, 전화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그 식별정보를 가지고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이용한다. 이를 위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자 식별정보별 전화번호와 수신자 식별정보별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중개부(320)는 호 처리부(321)와 호 접속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호 처리부(321)는 PSTN(500)을 통해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로 각각 호 발신한다. 이를 위해, 호 처리부(321)는 제 1 발신부(321-1)와 제 2 발신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발신부(321-1)는 PSTN(500)을 통해 발신자 단말(100)로 호 발신한다. 즉, 제 1 발신부(321-1)는 PSTN(500)의 교환기(교환국)으로 발신자 단말(1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제 1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 2 발신부(321-2)도 PSTN(500)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로 호 발신한다. 즉, 제 2 발신부(321-2)는 PSTN(500)의 교환기로 수신자 단말(2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제 2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발신 메시지에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는데, 발신의 주체가 실제로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이므로,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전화번호가 된다. 제 1 발신 메시지에 속한 서버 전화번호와 제 2 발신 메시지에 속한 서버 전화번호는 동일한 대표번호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대표 번호일 수도 있다.
제 1 발신 메시지와 제 2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는 채널 할당(channel assignment), 페이징 요구(general page message) 등 잘 알려진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수행한다. 교환기의 호 처리에 따라,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에서는 각각 호 착신이 이루어지며,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에 따라 각각의 단말 화면에는 발신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에 모두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대표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실제로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건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수신자 단말(200)에는 진정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호 착신을 확인한 발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착신에 응답하면, 발신자 단말(1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호가 연결되며, 수신자 단말(2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호가 연결된다.
호 접속부(322)는 발신자 단말(1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연결된 호 및 수신자 단말(2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연결된 호를 접속한다. 즉, 별도로 연결된 두 개의 호를 서버 내부에서 접속시켜 마치 단일 호인 것처럼 만드는 것이다. 호 접속부(322)의 호 접속에 의해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는 통화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발신자와 수신자는 음성 대화를 주고 받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호 해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 해제부(330)는 발신자 단말(1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연결된 호 및 수신자 단말(2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연결된 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가 해제되면 남은 호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발신자와 수신자 중에서 어느 한 명이 전화를 끊어서 연결된 호가 해제될 경우에, 호 해제부(330)는 즉시 남은 호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즉시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앱 알림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100)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앱 알림부(340)는 수신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앱(양방향 전화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이때, 앱 알림부(340)는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알림과 함께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앱 알림부(340)는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담긴 수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210)의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바, 수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210)의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도이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된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 PSTN(500)을 통한 호 연결을 중개한다(S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은 S210과 S220을 포함할 수 있다. S210에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PSTN(500)을 통해 발신자 단말(100)로 호 발신하며, PSTN(500)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로 호 발신한다. 즉, 호 발신의 실제 주체는 발신자 단말(100)이 아니라, 발신자 단말(100)의 요청을 받은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이다. 따라서, 발신자 전화번호도 발신자 단말(100)의 전화번호가 아니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전화번호가 된다. S220에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자 단말(100)과 PSTN(500)을 통해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200)과 PSTN을 통해 연결된 호를 내부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따라,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발신자와 수신자의 음성 대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발신자 단말(100)과 연결된 호 또는 수신자 단말(200)과 연결된 호 중에서 어느 하나가 해제되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나머지 연결 호도 즉시 해제한다(S300)(S400). 즉, 수신자 단말(200)과 연결된 호가 해제되면 발신자 단말(100)과 연결도 호도 해제하며, 반대로 발신자 단말(100)과 연결된 호가 해제되면 수신자 단말(200)과 연결된 호도 해제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 하나의 호가 연결된 것이 아니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에 각각 호가 연결된 것이므로, 하나의 호가 연결 해제되면 다른 호도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신자 혹은 수신자가 전화를 끊은 경우에 상대방인 수신자 혹은 발신자가 전화를 끊는 것을 기다릴 필요 없이 남아있는 호를 즉시 연결 해제하는 것이다.
한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에 따라 수신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설치되어 있으면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앱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통지한다(S500)(S600). S600에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알림과 함께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 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S500은 S210과 별개의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S210에서 수신자 단말로 호 발신이 이루어진 다음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발신자 단말(100)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110)의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발신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110)에 등록된 상대방 연락처에서 수신자인 ‘홍길동’을 선택한 후에 (a) 화면의 하단 우측에 나타나 있는 통화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아니면 도 4의 (b)에 예시된 화면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에서 ‘오이전화’는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4의 (c)는 수신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호가 착신되면, 수신자 단말(200)은 호 착신이 있음을 수신자에게 알린다. 이에 따라, 도 4의 (c)와 같이 호 착신 알림 화면이 표시된다. 추가로, 수신자 단말(200)에 메신저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210)은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오이전화’요청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메시지에는 발신자 정보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메신저 애플리케이션(210)은 수신된 ‘오이전화’요청 알림 메시지에 따라 ‘오이전화’ 요청중임을 화면 표시하는데, 발신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도 함께 화면 표시(10)한다. 그러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210)이 미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홍길동님이 오이전화 요청중입니다”와 같은 알림 대신에 ‘오이전화 대표번호’, 즉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대표번호가 화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의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는 회사에서 이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회사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회사 구성원(직원)들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며, 회사 구성원이 업무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업무 관계자가 회사 전화번호가 아니면 전화를 받지 않으려고 하거나 회사 구성원이 자신의 전화번호를 업무 관계자에게 노출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등의 경우에 전화 연결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된다. 이에 의하면, 업무 관계자의 전화기에는 회사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그리고 회사 구성원 입장에서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로도 회사 전화를 이용한 전화통화가 가능해지며, 더욱이 퇴근 후에도 회사로 다시 돌아갈 필요 없이 회사 전화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사의 통신 기록을 조회하여도 회사와 통화한 내역만이 확인되고 실제 발신자의 기록이 남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가 일반 개인용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발신자 단말(100)과 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10) 그리고 수신자 단말(200)과 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1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도 1에 도시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다른 점은 제 1 서버(600)와 제 2 서버(70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 1 서버(600)와 제 2 서버(700) 모두 양방향 전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제 1 서버(600)와 제 2 서버(700)는 도 1에 도시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역할을 분담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서버(600)는 발신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0)으로부터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 1 서버(600)는 수신된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PSTN(500)을 통해 발신자 단말(100)로 호 발신, 즉 PSTN(500)의 교환기로 발신자 단말(1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제 1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제 1 서버(600)는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제 2 서버(700)로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에는 수신자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발신자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버(700)는 제 1 서버(600)로부터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메시지 수신에 따라 PSTN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로 호 발신, 즉 PSTN(500)의 교환기로 수신자 단말(2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origination message)(제 2 발신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1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와 제 2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기는 채널 할당(channel assignment), 페이징 요구(general page message) 등 잘 알려진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수행한다. 교환기의 호 처리에 따라,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에서는 각각 호 착신이 이루어지며, CID(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에 따라 각각의 단말 화면에는 발신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발신자 단말(100)에는 제 1 서버(600)의 대표번호가 디스플레이되며, 수신자 단말(200)에는 제 2 서버(700)의 대표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호 착신을 확인한 발신자와 수신자가 각각 착신에 응답하면, 발신자 단말(100)과 제 1 서버(600) 간에 호가 연결되며, 수신자 단말(200)과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에 호가 연결된다.
한편, 제 1 서버(600)와 제 2 서버(700)는 PSTN(500)을 통해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일 예로, 제 1 서버(600)가 발신자 단말(1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외에, 제 2 서버(700)를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를 송신함에 의해 호 처리(call processing)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 2 서버(700)와의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다른 예로, 제 2 서버(700)가 수신자 단말(200)을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외에, 제 1 서버(600)를 착신 대상으로 지정한 발신 메시지를 송신함에 의해 호 처리(call processing)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 2 서버(700)와의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제 1 서버(600)는 발신자 단말(100)과 연결된 호를 제 2 서버(700)와 형성된 통화 채널에 접속하며, 제 2 서버(700)는 수신자 단말(200)과 연결된 호를 제 1 서버(600)와 형성된 통화 채널에 접속함으로써, 발신자 단말(100)과 수신자 단말(200) 간에는 통화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발신자와 수신자는 음성 대화를 주고 받게 된다.
추가로, 제 2 서버(700)는 수신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수신자 단말(200)로 발신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도 5의 실시예는 국제전화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본사 직원이 해외 지사 직원에게 국제전화를 해야 하는 경우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신자 단말 110 : 애플리케이션
200 : 수신자 단말 210 : 애플리케이션
300 :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 310 :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
320 : 호 중개부 321 : 호 처리부
321-1 : 제 1 호 발신부 321-2 : 제 2 호 발신부
322 : 호 접속부 330 : 호 해제부
340 : 앱 알림부 400 : 데이터 통신망
500 : PSTN 600 : 제 1 서버
700 : 제 2 서버

Claims (11)

  1. 삭제
  2.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양방향 전화 요청 접수부; 및
    수신된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하는 호 중개부;를 포함하되,
    호 중개부는 :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로 각각 호 발신하는 호 처리부; 및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를 접속하는 호 접속부;를 포함하며,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는 :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전달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앱 알림부;를 더 포함하되,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가 수신자 단말로 미전달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가 연결 해제되면 남은 호의 연결을 해제하는 호 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모바일 단말들에 설치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 간에 호 연결을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호 연결 중개 단계는 :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로 각각 호 발신하는 단계; 및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를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은 :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전달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가 수신자 단말로 미전달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가 연결 해제되면 남은 호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발신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양방향 전화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발신자 단말로 호 발신하여 발신자 단말과 호 연결하며,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서버; 및
    제 1 서버로부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수신자 단말로 호 발신하여 수신자 단말과 호 연결하는 제 2 서버;를 포함하고,
    제 1 서버와 제 2 서버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제 1 서버는 발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통화 채널을 접속하고, 제 2 서버는 수신자 단말과 연결된 호와 통화 채널을 접속하며,
    제 2 서버는 전화 발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를 전달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리되,
    수신자 단말에 발신자 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 정보가 수신자 단말로 미전달되는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60144615A 2016-11-01 2016-11-01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3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15A KR101736390B1 (ko) 2016-11-01 2016-11-01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15A KR101736390B1 (ko) 2016-11-01 2016-11-01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390B1 true KR101736390B1 (ko) 2017-05-16

Family

ID=5903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15A KR101736390B1 (ko) 2016-11-01 2016-11-01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98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지앤톡 인바운드형 양방향 전화 연결 시스템
KR102378626B1 (ko) 2021-10-12 2022-03-24 조민제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78627B1 (ko) 2021-10-12 2022-03-25 조민제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98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지앤톡 인바운드형 양방향 전화 연결 시스템
KR102384868B1 (ko) * 2018-04-13 2022-04-11 주식회사 지앤톡 인바운드형 양방향 전화 연결 시스템
KR102378626B1 (ko) 2021-10-12 2022-03-24 조민제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78627B1 (ko) 2021-10-12 2022-03-25 조민제 발신자의 편의를 높인 통화유지 상태에서의 수신자 선택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8872B1 (en) Call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101736390B1 (ko)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JP2000354113A (ja) 電話装置
JP450283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電話報知方法
JP2009071603A (ja) 第3者制御にて2者間通話又は多者間通話を実現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6933128B2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システムに対応する携帯電話機およびデジタル電話交換機、並びに通信方法
JP4167661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電話転送方法
KR102118951B1 (ko) 통화중 녹음 방법 및 그 통신시스템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5213069B2 (ja) 電話システム、電話発信呼転送方法および電話発信呼転送プログラム
JP4394715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電話転送方法
JP2007274222A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交換装置
JP4339160B2 (ja) Ip電話における呼び返し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028654A (ja) 交換装置
JP7335548B2 (ja) 電話制御装置及び電話制御方法
JP7436952B2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電話制御装置
JP4906823B2 (ja) 呼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0171855A (ja) 着信通知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通知方法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65003B1 (ko) Volp 가입자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8042588A (ja) 通話発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話発信制御方法
KR20100104511A (ko) VoIP 기반의 호 전달 서비스 방법
JP5433048B2 (ja) 第3者制御にて2者間通話又は多者間通話を実現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24065858A (ja) Web電話システム、web電話用サーバ装置およびweb電話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