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904B1 - 자동 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904B1
KR101734904B1 KR1020160093252A KR20160093252A KR101734904B1 KR 101734904 B1 KR101734904 B1 KR 101734904B1 KR 1020160093252 A KR1020160093252 A KR 1020160093252A KR 20160093252 A KR20160093252 A KR 20160093252A KR 101734904 B1 KR101734904 B1 KR 10173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veyor
pressure roller
support
convey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영래
손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운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운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운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09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2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the sheet or web-like material being supported by a moving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48Preparation of the surfaces
    • B29C63/481Preparation of the surfaces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면에 자동으로 필름을 부착하고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는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필름(2)을 부착한 후, 커터(60)를 이용하여 필름(2)을 잘라냄으로써, 대상물(1)의 상면에 효과적으로 필름(2)을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필름 부착장치{automatic film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면에 자동으로 필름을 부착하고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계량기 박스 등과 같은 대상물을 제작할 때는 완성된 대상물에 보호용 필름을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상물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은 일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것으로, 릴 형태로 감긴 상태로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 필름을 일정한 길이만큼 풀어내어 절단한 후 잘려진 필름을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등록특허 10-0349685호나, 등록특허 10-100477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필름을 대상물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자동 부착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자동 부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면에 자동으로 필름을 부착하고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 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용 필름(2)을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로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1)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1,12)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대(20)와, 둘레면에 상기 필름(2)이 권취된 권취롤(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언코일러(30)와,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로울러(40)와,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63)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커터(60)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은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필름(2)이 부착된 대상물(1)이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상기 커터(60)의 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커터(6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필름(2)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는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의 후방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을 감지하는 대상물 감지수단(13,14)과,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11,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 대상물(1)이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 감지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켜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간격이 일정하기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보조가압로울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터(60)는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간격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올려진 대상물(1)의 간격에 비해 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흡착공(81a)이 형성된 흡착헤드(81)와, 상기 흡착헤드(81)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헤드(8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면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필름(2)이 상기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진공펌프(82)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8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진공펌프(82)가 작동되어 필름(2)이 흡착헤드(81)에 흡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되면, 상기 진공펌프(82)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흡착헤드(81)에 고정된 필름(2)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는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필름(2)을 부착한 후, 커터(60)를 이용하여 필름(2)을 잘라냄으로써, 대상물(1)의 상면에 효과적으로 필름(2)을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필름 부착장치로서, 보호용 필름(2)을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자동 필름 부착장치는,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1)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11,12)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대(20)와, 둘레면에 상기 필름(2)이 권취된 권취롤(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언코일러(30)와,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가압로울러(40)와,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보조가압로울러(50)와,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2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63)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커터(60)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는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의 후방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11,12)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대상물(1)을 올려놓으면, 대상물(1)이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제1 컨베이어장치(11)의 후단부에서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전단부 옮겨진 후,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을 감지하는 대상물 감지수단(13,14)이 구비되고,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는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11,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이 연결된다.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의 양측에 구비된 발광부(13)와 수광부(14)를 갖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이 상기 발광부(13)와 수광부(14)의 사이를 통과하면 발광부(13)에서 출력된 빛이 대상물(1)에 의해 가려져 수신되지 않게 됨으로써, 대상물(1)이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대상물(1)이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 감지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켜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간격이 일정하기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70)은 on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는 구동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는 정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신호를 감시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대상물(1)을 올려놓아서, 대상물(1)이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1)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로 옮겨가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전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정지시키고,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의 신호를 감시하며, 다시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 대상물(1)이 감지시키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작업자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불규칙한 간격으로 대상물(1)을 올려놓더라도,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20)는 강도가 높은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양측에 구비된 지지부재(21)에 의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언코일러(30)는 상기 지지대(20)의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지지바(31)와, 상기 권취롤(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지지바(31)에 결합되는 지지봉(3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로울러(40)는 상기 지지대(2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봉(41)과, 상기 승강봉(41)의 하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브라켓(4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42)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로울러본체(43)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이 하측을 통과하면 적절히 승강되면서 자중에 의해 로울러본체(43)가 대상물(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름(2)이 상기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압로울러(40)의 승강봉(41)에는 상기 지지대(20)의 상면에 걸리는 스토퍼(44)가 구비되어 상기 로울러본체(43)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조가압로울러(50)는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동일하게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간격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올려진 대상물(1)의 간격에 비해 좁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은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터(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61)와, 상기 지지바(61)의 하단에 구비된 날부재(62)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은 상기 지지대(20)의 하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바(61)의 상단에 연결되어 커터(60)를 측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로드리스실린더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커터(60)는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가 정지되었을 때,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위치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가 정지되면 상기 커터(60)가 측방향으로 왕복하여, 상기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된 필름(2)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도록 구성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22는 상기 지지대(20)의 전방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은 상기 가이드로울러(22)의 전방둘레부를 경유하여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필름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대상물(1)에 필름(2)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대상물(1)을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을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을 경유하여 상기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70)을 on시키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대상물(1)을 올려놓으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1)이 후방으로 이송되며,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이 대상물(1)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1)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전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대상물(1)이 전진을 하면,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이 상기 가압로울러(40)에 의해 상기 대상물(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대상물(1)이 한 피치씩 전진한 후 정지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이 측방향으로 왕복하면서,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된 필름(2)을 한 장씩 잘라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필름 부착장치는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필름(2)을 부착한 후, 커터(60)를 이용하여 필름(2)을 잘라냄으로써, 대상물(1)의 상면에 효과적으로 필름(2)을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간격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올려진 대상물(1)의 간격에 비해 좁게 구성됨으로, 상기 커터(60)의 전방에 위치된 대상물(1)에 부착된 필름(2)은 후단부가 상기 보조가압로울러(5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커터(60)의 후방에 위치된 대상물(1)에 부착된 필름(2)은 전단부가 상기 가압로울러(40)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커터(60)를 이용하여 필름(2)을 잘라낼 때, 대상물(1)에 부착된 필름(2)이 밀려서 들고일어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흡착공(81a)이 형성된 흡착헤드(81)와, 상기 흡착헤드(81)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헤드(8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면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필름(2)이 상기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진공펌프(82)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83)이 더 구비된다.
상기 흡착헤드(81)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압로울러(40)의 브라켓(42)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지지바(81b)에 고정된다.
상기 진공펌프(82)는 배기관(82a)을 통해 상기 흡착헤드(81)에 연결되어 흡착헤드(8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82)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필름(2)의 단부를 상기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밀착시키면, 필름(2)의 단부가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흡착고정된다.
상기 승강감지수단(83)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로울러(40)의 승강봉(41)이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진공펌프(82)가 구동되면 상기 승강감지수단(83)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진공펌프(82)를 off시킴으로써, 상기 흡착헤드(81)에 의해 고정된 필름(2)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필름 부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82)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을 경유한 필름(2)의 단부를 상기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대상물(1)을 올려놓으면, 대상물(1)은 상기 제1 및 2 컨베이어장치(11,1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을 통과면서 상기 필름(2)이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대상물(1)에 의해 상기 가압로울러(40)는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승강감지수단(8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것을 감지하고, 상기 진공펌프(82)를 off 시킴으로써, 상기 흡착헤드(81)에 고정된 필름(2)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대상물(1)이 더욱 전진되면, 상기 필름(2)이 상기 흡착헤드(81)로부터 분리되어 대상물(1)과 함께 전진되어, 필름(2)이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자동 필름 부착장치는 작업을 시작할 때, 상기 필름(2)의 단부를 상기 흡착헤드(81)에 고정한 상태로 작업을 시작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작업을 시작할 때, 1개의 대상물(1)을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을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을 경유하여 상기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여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름(2)이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면을 경유하여 흡착헤드(81)에 고정되도록 하면 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11,12. 컨베이어장치 20. 지지대
30. 언코일러 40. 가압로울러
50. 보조가압로울러 60. 커터
70. 제어수단 81. 흡착헤드
82. 진공펌프 83. 승강감지수단

Claims (4)

  1. 보호용 필름(2)을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로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1)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서 대상물 감지수단(13,14)을 통해 감지되는 이송 대상물(1)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장치(12)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간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상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면 양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바(31)에서 상단부 양측간으로 결합되는 지지봉(32)에 회전 가능하도록 필름(2)이 권취되는 권취롤(3)을 축지지하는 언코일러(3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봉(41)과, 상기 승강봉(41)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42)과, 상기 브라켓(42)의 하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본체(43)로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하는 가압로울러(40)와;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동일한 형상으로 후방의 상기 지지대(20)에서 이송 대상물(1)간의 간격보다는 좁은 간격을 이격하여 자중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가압로울러(50);
    상기 가압로울러(40)와 보조가압로울러(50)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61)와, 상기 지지바(61)의 하단에 구비되는 날부재(62) 및 상기 지지바(61)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20)의 하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구동수단(6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커터(60);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이 상기 대상물 감지수단(13,14)에 감지되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켜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수단(7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권취롤(3)에서 풀려 나온 필름(2)은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 둘레면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1)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면에 필름(2)이 부착된 대상물(1)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11)와 제2 컨베이어장치(12)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커터(60)의 측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서 상기 필름(2)이 잘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면에는 다수개의 흡착공(81a)이 형성된 흡착헤드(81)와,
    상기 흡착헤드(81)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헤드(8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가압로울러(40)의 하측면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필름(2)이 상기 흡착헤드(81)의 하측면에 흡착고정되도록 하는 진공펌프(82)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8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진공펌프(82)가 작동되어 필름(2)이 흡착헤드(81)에 흡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로울러(40)가 상승되면, 상기 진공펌프(82)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흡착헤드(81)에 고정된 필름(2)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필름 부착장치.
KR1020160093252A 2016-07-22 2016-07-22 자동 필름 부착장치 KR10173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52A KR101734904B1 (ko) 2016-07-22 2016-07-22 자동 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252A KR101734904B1 (ko) 2016-07-22 2016-07-22 자동 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904B1 true KR101734904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252A KR101734904B1 (ko) 2016-07-22 2016-07-22 자동 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9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123A (zh) * 2018-08-29 2018-12-25 苏州启航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装置
CN109786509A (zh) * 2019-01-21 2019-05-21 河南城建学院 一种太阳能电池背板膜加工用一体化装置
CN110549594A (zh) * 2019-08-27 2019-12-10 欧阳民鸿 一种扇形铝型材专用的防护膜包裹装置
KR102140700B1 (ko) * 2019-01-28 2020-08-03 주식회사 휴먼인 커브드패널용 필름 합착장치
KR102351548B1 (ko) * 2021-07-27 2022-01-17 (주)에이치텍스타일 직물 제조 장치
CN114368160A (zh) * 2021-09-18 2022-04-19 烟台利勒智能装备有限公司 铝壳电池蓝膜机构及制备方法
CN114393819A (zh) * 2022-03-11 2022-04-26 黄山市皖金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工装式贴膜方法
KR102403346B1 (ko) * 2021-01-27 2022-05-30 윤중식 인조 대리석 몰드용 필름 부착 장치
CN115066105A (zh) * 2022-06-27 2022-09-16 厦门众盛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的保护膜贴膜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18B1 (ko) * 2004-06-10 2006-05-02 주식회사 온지구 보호테이프 자동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18B1 (ko) * 2004-06-10 2006-05-02 주식회사 온지구 보호테이프 자동부착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123A (zh) * 2018-08-29 2018-12-25 苏州启航电子有限公司 一种贴片装置
CN109786509A (zh) * 2019-01-21 2019-05-21 河南城建学院 一种太阳能电池背板膜加工用一体化装置
KR102140700B1 (ko) * 2019-01-28 2020-08-03 주식회사 휴먼인 커브드패널용 필름 합착장치
CN110549594A (zh) * 2019-08-27 2019-12-10 欧阳民鸿 一种扇形铝型材专用的防护膜包裹装置
CN110549594B (zh) * 2019-08-27 2021-03-26 陈丰山 一种扇形铝型材专用的防护膜包裹装置
KR102403346B1 (ko) * 2021-01-27 2022-05-30 윤중식 인조 대리석 몰드용 필름 부착 장치
KR102351548B1 (ko) * 2021-07-27 2022-01-17 (주)에이치텍스타일 직물 제조 장치
CN114368160A (zh) * 2021-09-18 2022-04-19 烟台利勒智能装备有限公司 铝壳电池蓝膜机构及制备方法
CN114393819A (zh) * 2022-03-11 2022-04-26 黄山市皖金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工装式贴膜方法
CN114393819B (zh) * 2022-03-11 2024-02-02 黄山市皖金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工装式贴膜方法
CN115066105A (zh) * 2022-06-27 2022-09-16 厦门众盛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的保护膜贴膜设备
CN115066105B (zh) * 2022-06-27 2023-09-08 厦门众盛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的保护膜贴膜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904B1 (ko) 자동 필름 부착장치
KR101936728B1 (ko) 레이저 절삭가공을 위한 가공물 자동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8024B1 (ko) 금속판 절단장치
JP2023536204A (ja) 変圧器ハウジング自動ピン挿入装置
CN108193473A (zh) 一种布料裁切装置
CN109263243A (zh) 撕离型纸装置及具有其的撕离型纸设备
CN215797115U (zh) 一种自动上料装置
JP2013175647A (ja) 樹脂貼付装置
KR101201996B1 (ko) 소재의 자동공급장치
KR20160118053A (ko) 테이프 부착 시스템
KR20140038704A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CN205525246U (zh) 一种包装机供袋装置
KR101832936B1 (ko) 자동 교체식 테이프 공급장치
JP2008120575A (ja) シート供給装置
CN115611008A (zh) 一种自动上料装置及其工作方法
CN204777595U (zh) 一种圆饼分张机
CN110988750B (zh) 一种电子元器件异常接触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8673632A (zh) 一种包装袋撕裂线打孔装置
JP2816544B2 (ja) カットシートのセンタリング機能を備えた供給装置
CN213294225U (zh) 保护膜撕离机构
KR101665095B1 (ko)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KR101597179B1 (ko) 부자재 부착장치
CN104528284A (zh) 一种含有自动和手动两段行程送料的料盘机构
CN110172788B (zh) 一种自动缝接机
CN112935567A (zh) 一种片料自动激光打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