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525B1 -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525B1
KR101734525B1 KR1020150141384A KR20150141384A KR101734525B1 KR 101734525 B1 KR101734525 B1 KR 101734525B1 KR 1020150141384 A KR1020150141384 A KR 1020150141384A KR 20150141384 A KR20150141384 A KR 20150141384A KR 101734525 B1 KR101734525 B1 KR 10173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olant
space
box
coolant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006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이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영 filed Critical 이종영
Priority to KR102015014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저장 공간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본체와, 그 본체의 저장 공간을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할하도록 구비된 격벽 및 선반과, 본체의 내벽과 격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기 덕트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덕트 벽체와, 본체에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선반의 하방에 마련되는 냉각재 충전용기 및 본체의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재로부터 냉기 덕트를 통하여 저장 유통물에 냉기가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냉기 에어 샤워(air shower)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저장 유통물의 신선도 유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 저장 및 운반과 유통과정에서 저장 유통물에 대한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Agricultural and fisheries products cold storage distribution ice box}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이스 박스(Ice box)와 같은 냉장냉동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아이스와 같은 냉각재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덕트를 통해 저장 유통물에 에어 샤워(air shower)시켜 주는 기능을 부여하여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냉장냉동 박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의 저장운반과 유통과정에 유용한 대형 컨테이너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소형의 레저용 아이스 박스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아이스 박스는 음식물이나 음료수 등과 같은 식료품을 저온 상태에서 차갑게 보관하여 부패 방지와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한 냉장냉동 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는 주로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시 현지 취식용이나 조리용 식료품 등을 소량 저장하여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한 소형의 함체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이스 박스는 휴대 및 운반 효율성은 물론 단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 폼 등과 같은 경량 단열재를 사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저장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용 커버를 가지도록 직육면체나 원통형 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박스 구조체로 성형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는 저장 공간에 얼음과 함께 식료품 등의 저장물을 장입하여 냉장 보관하게 됨에 따라 시간이 경과 하면서 얼음이 녹아 물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온 냉장 시간이 점차 단축되어 냉장 보관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아이스 박스 저장 공간에서 얼음물과 저장물이 뒤섞이게 되므로, 물에 젖어있는 저장물을 외부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아이스 박스 내부의 청결성과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5700호에는 얼음이 녹아 발생된 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투수성 구조물로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아이스 박스 내에서 물과 저장물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스 박스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공보 제10-1455700호에 개시되어 있는 아이스 박스의 경우에 있어서도 불가피하게 얼음이 녹아서 물로 변하게 되는데 따른 냉장 보관 효율의 감소 문제와 물을 별도로 배출시켜야하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1400호에는 아이스 박스 내부 공간에 얼음을 장입하는 대신에 압축 냉매가 저장된 냉각수단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압축 냉매의 순환에 의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아이스 박스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1400호에 개시되어 있는 아이스 박스의 경우에는 압축 냉매가 저장된 냉각수단과 냉매순환라인 및 그 동작을 위한 개폐 밸브 등의 부속품들을 설치해야 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냉매관리를 위한 불편함과 안정성 및 경량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의 경우 주로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농수산물 등과 같이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의 저장운반 및 유통과정에서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범용성이나 전용성을 보유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 농수산물의 경우 예를 들면 얼음을 채워넣은 박스나 냉동차 등을 주로 이용하여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의 저장 및 유통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저장 유통물의 종류와 특성 등의 분류에 따른 냉장 및 냉동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용의 컨테이너 박스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5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110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14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분리 구획 설정된 냉장실과 냉동실에 냉기 에어 샤워(air shower) 기능을 제공하는 냉각재 충전공간과 냉기 덕트를 마련하여 저장 유통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냉장냉동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 저장운반과 유통과정에 지속적인 냉기 에어 샤워(air shower) 기능을 부여하여 저장 유통물의 신선도 유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형태의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용 아이스 박스로 겸용할 수 있도록 저장 유통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소형의 휴대형 냉장냉동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는, 저장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장 공간을 횡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구비된 격벽과; 상기 본체의 저장 공간을 종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구비된 선반과; 상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기 덕트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덕트 벽체와; 상기 선반의 하방에 마련되는 냉각재 충전공간; 및 상기 본체의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횡 방향으로 분할된 각각의 저장 공간은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량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실내 온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횡 방향으로 분할된 어느 하나의 제 1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덕트 벽체에는 상기 냉기 덕트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장 공간에 에어 샤워 형태로 직접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 공간이 다른 저장 공간보다 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격벽에 의해 횡 방향으로 분할된 각각의 저장 공간을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덕트 벽체에는 상기 냉기 덕트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각 저장 공간에 에어 샤워 형태로 직접 유입되며, 상기 각 저장 공간에는 상기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각 저장 공간의 실내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냉기차단 패널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기차단 패널은 상기 저장 공간에 내접하도록 형성된 중공형 박스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 일면에 각각 내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평판형 단위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 벽체는 상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격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의 사방을 에워싸는 냉기 덕트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는 냉각재 충전용기가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은 상기 격벽의 연장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냉각재 충전공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냉각재 충전공간에 냉각재 충전용기가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에는 그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의 냉기 덕트와 연통되는 냉기 덕트가 형성되도록 천정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덕트 후드가 구비되며, 그 덕트 후드에는 냉기 덕트와 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에 에어 샤워 형태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 공간에 각각 대응하여 개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서로 분리되어 별개로 동작하는 복수의 도어 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냉각재 충전을 위한 출입구 및 그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가 배제된 상태에서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냉각재가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 직접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의 상면에는 슬릿형 결합홈이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레일형 결합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슬릿형 결합홈과 상기 레일형 결합 돌기는 서로 다른 냉장냉동 박스 유닛을 상하로 적재할 때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하역작업을 위한 홀더 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에 따르면,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냉각재로부터 발산되는 냉기가 냉기 덕트를 통하여 저장 유통물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도록 냉기 에어 샤워(air shower)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저장 유통물의 신선도 유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과 냉동실 및 냉각재 충전공간이 서로 분리되도록 구획 설정되어 저장 유통물의 종류와 특성 등의 분류에 따른 냉장 및 냉동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 저장 및 운반과 유통과정에서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킨 전용의 냉장냉동 컨테이너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에 따르면,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컨테이너 박스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용 아이스 박스로도 겸용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과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보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해 보인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의 요부를 절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해 보인 개략적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절제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의 적재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의 활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과 그 동작 상태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칭은 비록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로 정의하고 있으나, 이는 저장 대상물을 농수산물에 국한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시 현지 취식용이나 조리용 식료품 등을 소량 저장하여 휴대 및 운반 가능하도록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아이스 박스를 대체할 수 있는 개량 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와 일부를 절제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요부를 발췌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저장 공간(101A)(101B)을 가지는 박스형태의 본체(110)와, 그 본체(110)의 저장 공간(101A)(101B)을 좌우 가로방향으로 각각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격벽(120)과, 상기 본체(110)의 저장 공간(101A)(101B)을 상하 세로방향으로 각각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선반(130)과, 상기 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덕트 벽체(140)와, 상기 본체(110)에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선반(130)의 하방 공간에 설치되는 냉각재 충전용기(150)와, 상기 본체(110)의 저장 공간(101A)(101B)의 상부 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패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 폼 등과 같은 경량 단열재를 이용하여 박스형태의 외장 케이스를 이루도록 성형 제작되는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서는 비록 직육면체의 박스 구조체로 예시해 보였으나, 그 형상 구조와 재질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에는 서로 분리 구획된 공간 101A 및 101B의 분할을 위한 격벽(120)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을 좌우 가로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서로 격리되는 공간 101A 및 101B를 구획 설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내벽과 나란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은 상기 격벽(120)에 의해 서로 분리 구획되는 2개 이상의 복수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를 예시해 보인 첨부 도면들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을 단일의 격벽(120)에 의해 2개로 분리 구획된 공간(101A)(101B)으로 형성한 구성을 하나의 실시예로 예시하여 나타내 보인 것일 뿐,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의 분할 공간 개수와 격벽(120)의 설치 개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은 복수의 격벽(120)에 의해 분할된 다수의 공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을 격벽(120)에 의해 서로 분리 구획된 공간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에 저장되는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최적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격벽(120)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 101A 및 101B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획된 공간을 각각 소위,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로 구분되도록 정의하여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냉동실(101B)은 냉장실(101A)에 비하여 상대적인 저온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후술하는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덕트 벽체(140)에 형성되는 통기공(140h)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구분되며,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에는 그 내벽 및 상기 격벽(120)과 일정한 틈새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한 상태로 마련되어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는 덕트 벽체(1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110)의 내벽 및 상기 격벽(120)과 상기 덕트 벽체(140)가 서로 대면한 상태의 2중 벽체 형태로 설치되어 그 사이에 일정한 틈새 간격의 통로가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 즉,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은 사방이 상기 냉기 덕트(141)에 의해 에워싸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기 덕트(141)는 후술하는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냉각재로 수납되는 드라이 아이스(D)에서 발산되는 냉기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으로 전달하는 냉기전달 통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101B)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마련되는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는 덕트 벽체(140)에는 다수의 통기공(140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냉각재로 수납되는 드라이 아이스(D)에서 발산되는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141)와 통기공(140h)을 통해 상기 냉동실(101B)에 에어 샤워(air shower) 형태로 집중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101B)은 상기 냉장실(101A)에 비하여 냉기가 보다 더 많이 제공됨에 따라 상대적인 저온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을 상하 세로방향으로 각각 분할하는 선반(130)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130)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저장 공간(101)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부상된 위치에 바닥면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어 저장 대상물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 하방에 냉각재 충전용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획 지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반(130)의 하방에 형성된 냉각재 충전용 수납공간에는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한 냉각재 충전용기(150)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에는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가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를 출입시켜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를 수시로 보충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에 걸쳐 저장 유통물에 대한 냉장 및 냉동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반(130)의 하방에 형성된 냉각재 충전용 수납공간에는 드라이 아이스 등과 같은 냉각재가 직접적으로 충전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가 구성요소에서 배제되고, 본체(110)의 측벽에 개폐 가능한 도어부재(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그 도어부재의 개폐 동작을 통하여 냉각재 충전용 수납공간에 냉각재를 수시로 보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내부 저장 공간(101A)(101B)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패널(16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60)은 도면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하도록 별개의 동작이 가능한 1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60)은 비록 도면에 의해 예시해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10)의 저장 공간이 분할된 개수와 상관없이 공용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단일 유닛이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60)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도어 패널(160)이 상기 본체(110)와 분리되도록 별도로 제작되어 뚜껑 형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 패널(160)에는 그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냉기 덕트(141)와 연통되도록 연장되는 도어 덕트(161)를 형성하도록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덕트 후드(1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후드(162)에는 냉기 덕트(141)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62h)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16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 또는 그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수용된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141)를 통하여 상부에 위치한 도어 덕트(1161)로 유동하면서 상기 통기공(162h)을 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101A)(101B)에 에어 샤워 형태로 내려앉으면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를 충전하고, 상기 본체(110)의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에 농수산물 등과 같은 저장 대상물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저장한 다음, 상기 도어 패널(160)을 닫아 밀폐시킨 상태에서 트럭이나 컨테이너(미도시) 등의 운반수단에 적재하여 유통을 위한 장시간 운반 및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도어 패널(16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 또는 그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수용된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141)를 통하여 도어 덕트(1161)로 유동하면서 상기 통기공(162h)을 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 즉,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에 에어 샤워 형태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1B)에는 냉기 덕트(141)를 이루고 있는 덕트 벽체(140)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40h)을 통하여 상기 냉각재 충전용기(150)에 충전된 드라이 아이스(D)와 같은 냉각재에서 발산되는 냉기가 에어 샤워(air shower) 형태로 보다 더 집중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동실(101B)에 수납된 농수산물과 같은 저장 대상물은 상기 냉장실(101A)에 수납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인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저장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의 적재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도어 패널(163)의 상면에 1쌍의 슬릿형 결합홈(163)이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레일형 결합 돌기(111)가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트럭이나 컨테이너(미도시) 등의 운반수단에 상하로 적재할 때, 서로 다른 냉장냉동 박스(100)에 구비된 슬릿형 결합홈(163)과 레일형 결합 돌기(111)가 상보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안정된 상태로 적재되어 판매 등의 유통을 위한 장시간 운반 및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의 활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본체(110)의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에 농수산물 등과 같은 저장 대상물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저장한 다음, 시장이나 마트 등의 판매장소에서 상기 도어 패널(160)을 열어 놓고 진열대(F)에 탑재한 상태로 진열하여 판매활동을 할 수 있으므로, 저장 유통물의 신선도 유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 저장 및 운반과 유통과정에서 저장 유통물에 대한 냉장 및 냉동 효율성과 기능성 및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전용성을 보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본체(110)의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내벽에 접하도록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냉기차단 패널(17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냉기차단 패널(170)은 상기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덕트 벽체(140)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40h)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오픈되어 통하는 중공형의 사각 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내벽에 밀착되는 커튼 월(curtain wall)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기차단 패널(170)은 상기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덕트 벽체(140)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40h)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에 의하면, 상기 냉기차단 패널(170)을 선택적으로 설치한 구성에 의해 상기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냉기를 차단하거나 유통시켜 실내온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냉장 및 냉동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7에서 상기 냉기차단 패널(170)은 냉장실(101A)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편의상 하나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필요에 따라 냉동실(101B)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해 보인 본 발명의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의 경우, 예를 들어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용으로 유용할 수 있는 중소형의 아이스 박스 형태를 예시해 보이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것인데 반하여, 도 7에 도시해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의 경우에는 농수산물의 산지에서 판매처에 이르기까지 저장운반과 유통과정에 유용할 수 있는 중대형의 컨테이너 박스 형태를 예시해 보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저부에 운반용 홀더 프레임(181)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운반용 홀더 프레임(181)은 예를 들어 지게차 등의 리프트가 삽입되어냉장냉동 컨테이너 박스(100)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핸들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와 그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는 상기 본체(110)의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내벽에 각각 접하도록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 냉기차단 패널(170a, 170b, 170c, 170d)과, 각각의 냉기차단 패널(170a, 170b, 170c, 170d)을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내벽에 커튼 월(curtain wall) 형태로 지지하여 주기 위해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7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복수의 단위 냉기차단 패널(170a, 170b, 170c, 170d)은 각각이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평판형 패널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171)과 냉장실(101A) 및 냉동실(101B)의 내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171a)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냉장실(101A) 및 냉동실(101B)의 어느 일측벽에 각각 접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100)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단위 냉기차단 패널(170a, 170b, 170c, 170d)을 선택적으로 설치한 구성에 의해 상기 냉장실(101A)과 냉동실(101B)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냉기를 차단하거나 유통시켜 실내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냉장 및 냉동 효율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8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냉기차단 패널(170a, 170b, 170c, 170d)은 냉장실(101A)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편의상 하나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필요에 따라 냉동실(101B)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에 따르면,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대형 냉장냉동 컨테이너 박스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캠핑이나 등반 또는 여행이나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용 소형의 휴대형 아이스 박스로도 겸용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과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A : 냉장실 101B : 냉동실
110 ; 본체 111 ; 레일형 결합 돌기
120 : 격벽 130: 선반
140 : 덕트 벽체 141 : 냉기 덕트
141h : 통기공 150 :냉각재 수용용기
160 : 도어 패널 161: 도어 덕트
162 : 덕트 후드 162h : 통기공
170 : 냉기차단 패널 171 : 지지 프레임
181 : 홀더 프레임

Claims (14)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종 방향으로 분할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저장 공간과 냉각재 충전공간을 구획 형성하도록 구비된 선반(130)과;
    상기 본체(110)의 저장 공간과 냉각재 충전공간을 횡 방향으로 분할하여 좌우에 각각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 공간 및 제1 냉각재 충전공간과 제2 냉각재 충전공간을 구획 형성하도록 구비된 격벽(120)과;
    상기 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 공간의 사방을 에워싸는 냉기 덕트(141)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덕트 벽체(140); 및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패널(150);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벽체(140)에는 상기 냉기 덕트(141)와 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41h)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냉각재 충전공간과 제2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141)와 상기 통기공(141h)을 통하여 각각 상기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 공간에 에어 샤워 형태로 직접 유입되며,
    상기 도어 패널(150)에는 그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냉기 덕트(141)와 연통되는 냉기 덕트가 형성되도록 천정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덕트 후드(162)가 구비되고, 그 덕트 후드에는 냉기 덕트와 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재 충전공간과 제2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각각 상기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 공간에 에어 샤워 형태로 전달되며,
    상기 제1 저장 공간과 제2 저장 공간에는 상기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각 저장 공간의 실내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중공형 박스체와 복수의 평판형 단위 패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냉기차단 패널(170)이 더 구비되어 그 냉기차단 패널의 설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재 충전공간과 제2 냉각재 충전공간에 수납된 냉각재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급량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범위의 실내 온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에는 냉각재 충전용기가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재 충전공간은 상기 격벽의 연장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냉각재 충전공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냉각재 충전공간에 냉각재 충전용기가 서랍 형태로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저장 공간에 각각 대응하여 개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서로 분리되어 별개로 동작하는 복수의 도어 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상면에는 슬릿형 결합홈이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레일형 결합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슬릿형 결합홈과 상기 레일형 결합 돌기는 서로 다른 박스 유닛의 적재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하역작업을 위한 홀더 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KR1020150141384A 2015-10-08 2015-10-08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KR10173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84A KR101734525B1 (ko) 2015-10-08 2015-10-08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84A KR101734525B1 (ko) 2015-10-08 2015-10-08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006A KR20170042006A (ko) 2017-04-18
KR101734525B1 true KR101734525B1 (ko) 2017-05-11

Family

ID=5870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384A KR101734525B1 (ko) 2015-10-08 2015-10-08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5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610A (zh) * 2019-09-26 2019-12-31 卢乐 一种便携式体温计储放盒
KR20230126880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조립식 콜드체인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83B1 (ko) * 2017-08-03 2018-07-09 김건우 냉각모듈 및 커스터마이징 구조를 갖는 아이스박스
KR101984648B1 (ko) * 2017-11-08 2019-05-31 최병달 아이스박스
EP3671076A1 (en) * 2018-12-21 2020-06-24 Vakava Technologies Ltd Oy Temperature regulated storage of goods
KR102336992B1 (ko) * 2021-05-11 2021-12-09 주식회사 테넷 콜드체인용 보냉박스 및 이를 이용한 콜드체인 재고관리 시스템
KR102332461B1 (ko) * 2021-06-25 2021-12-01 (주)에프엠에스코리아 천연소재의 흡수체를 이용한 냉매팩, 그 냉매팩을 이용한 저온 보관물품의 배송 및 냉매팩 사용방법 및 그 냉매팩을 이용한 저온 배송물품 배송장치
CN117922998A (zh) * 2024-03-25 2024-04-26 浩添(厦门)储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生物药品配送的冷链配送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40Y1 (ko) * 2001-11-06 2002-02-19 박선우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0471021Y1 (ko) * 2013-08-05 2014-01-29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40Y1 (ko) * 2001-11-06 2002-02-19 박선우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0471021Y1 (ko) * 2013-08-05 2014-01-29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610A (zh) * 2019-09-26 2019-12-31 卢乐 一种便携式体温计储放盒
KR20230126880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조립식 콜드체인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006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25B1 (ko) 농수산물 저장 유통용 냉장냉동 박스
JP2001099552A (ja) 冷却貯蔵庫
PL192956B1 (pl) Sposób oraz zespół pojemnika i paneli izolujących do transportowania lub przechowywania towarów, w szczególności produktów spożywczych w stanie zamrożonym i/lub schłodzonym
KR20130098623A (ko) 저장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60925B1 (ko) 냉장고
TW200928263A (en) Refrigerator
JP2009222343A (ja) 冷蔵庫
JP2003050074A (ja) 電気冷蔵庫
JP2006250421A (ja) 冷蔵庫
JP2007163066A (ja) 冷蔵庫
JP6407913B2 (ja) 冷蔵庫
JP2001147072A (ja) 電気冷蔵庫
JP2008116128A (ja) 冷蔵庫
JP2007187362A (ja) 冷蔵庫
JP2011038686A (ja) 冷蔵庫
JP2008224130A (ja) 冷蔵庫
JP2009156527A (ja) 冷蔵庫
JP2021096009A (ja) 冷蔵庫
JPH0510202Y2 (ko)
JP2003166781A (ja) 冷蔵庫
CN214730637U (zh) 单元配送箱及具有其的物流配送车
CN110104334A (zh) 镶嵌型内置保温箱
JP6480831B2 (ja) 冷蔵庫
JP3649850B2 (ja) 冷蔵庫
JP2828839B2 (ja) 保冷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