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787B1 -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 Google Patents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787B1
KR101732787B1 KR1020150036046A KR20150036046A KR101732787B1 KR 101732787 B1 KR101732787 B1 KR 101732787B1 KR 1020150036046 A KR1020150036046 A KR 1020150036046A KR 20150036046 A KR20150036046 A KR 20150036046A KR 101732787 B1 KR101732787 B1 KR 10173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t
sepsis
peptide
peptide probe
bio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202A (ko
Inventor
박종필
황혜진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7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40COMBINATORIAL TECHNOLOGY
    • C40BCOMBINATORIAL CHEMISTRY; LIBRARIES, e.g. CHEMICAL LIBRARIES
    • C40B40/00Libraries per se, e.g. arrays, mixtures
    • C40B40/04Libraries containing only organic compounds
    • C40B40/10Libraries containing peptides or 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6Infectious diseases, e.g. generalised sep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혈증 조기진단에 유용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바이오칩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패혈증 조기진단에 관한 타깃 바이오마커인 프로칼시토닌 (procalcitonin, PCT)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분자인식자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바이오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난검출성으로 알려진 패혈증의 조기진단을 포함하여 치료 및 예후 판정에도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The peptide probes high specific and high selective for target biomarker, and the biochip for clinical prediction of sepsis}
본 발명은 패혈증 조기진단에 유용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바이오칩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패혈증 조기진단에 관한 타깃 바이오마커인 프로칼시토닌 (procalcitonin, PCT)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분자인식자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바이오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난검출성으로 알려진 패혈증의 조기진단을 포함하여 치료 및 예후 판정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프로브는, 바이오칩에 널리 사용되는 골드(gold)를 포함한 다양한 기판 위에 화학적인 표면 처리공정 없이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바이오칩 제작공정이 간편해짐은 물론, 복잡한 칩기판의 수식화-식각화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전체적으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에 큰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패혈증(sepsis)은 임상적으로 체온, 심박수, 호흡수 및 백혈구 증가와 감염 소견을 동반하는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이다. 각종 장기부전을 동반할 경우 중증 패혈증(severe sepsis)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패혈증 쇼크(septic shock)에 이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중증 패혈증으로 이행되기 전에 환자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해야 하는데, 특히나 비감염성과 감염성 원인 중 항균제 치료를 요하는 세균성패혈증(bacterial sepsis)을 조기에 확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패혈증 치사율은 30%에서 최대 50%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세균(박테리아)이 혈관으로 침입해 혈액을 통해 온몸을 돌아다니는 상태를 '균혈증'이라고 하며 이는 패혈증 원인에 해당된다. 감염부위는 신체 모든 장기가 그 대상이 되므로 신우신염, 뇌막염, 복막염, 담낭염, 폐렴 등의 감염증이 발생하면 미생물이 혈액에 침범하여 패혈증원인이 된다. 패혈증치료는 패혈성쇼크 원인과 패혈증원인 (균혈증)이 되는 신체장기 감염을 찾아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균혈증 진단의 표준검사방법인 세균배양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으나 민감도와 특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검출하는 데 24시간 이상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PCT 혈청 농도와 세균감염과의 관련성이 1993년에 처음 보고되었다 (Assicot et al., Lancet. 1993). PCT는 새로운 염증 및 감염 표지자로서 전신성 세균감염에서 활용되는 C-reactive protein (CRP),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과 같은 생화학표지자에 비해 특이적이며, 검출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패혈증과 비감염성 원인에 의한 전신염증반응중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을 감별하거나, 세균성 패혈증의 조기진단, 치료 및 예후 판정에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Nakamura et al., J Infect Chemother, 2014; Ren et al., A meta-analysis, 2015; Wang and Chen, Zhonghua Wei Zhong Bing Ji Jiu Yi Xue, 2015; Kordek et al., Postepy Hig Med Dosw, 2014; Park et al., Korean J Pediatr, 2014). 이는 원래 칼슘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칼시토닌 (calcitonin)의 전구물질로 1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mino terminus (N-ProCT), immature calcitonin과 katacalcin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번 염색체에 위치한 Calc-1 유전자에 의해 합성이 조절된다.
건강인에서 PCT와 칼시토닌 생성은 전적으로 갑상선의 C세포에서 이루어지며, 건강인 혈액에는 PCT의 양이 매우 적어 거의 검출되지 않거나 10 pg/mL 이하이다. 그러나 세균성 감염 혹은 패혈증이 있을 경우, 세균독소 및 염증성 매개물질 (IL-1, IL-6, TNF-α)의 자극을 받아 갑상선 외 간장, 신장, 췌장, 지방 및 백혈구 등에서도 생성되어 혈중 PCT의 농도가 증가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PCT 정량방법이 보고되고 있으나 순수하게 116-kDa PCT peptide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모든 측정법은 mouse anti-katacalcin 단세포군항체와 sheep anti-calcitonin MoAb를 조합하여 모든 칼시토닌 전구물질을 측정하게 된다. FDA 승인을 받은 검사법으로는 BRAHMS PCT LIA (Woelker et al., ediatr Emerg Care, 2012), BRAHMS PCT Kryptorⓡ(Schuch et. al., Ann Biol Clin, 2011; Dㅹsidㅹri-Vaillant et al., Pathol Biol, 2006) 등이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더 간단하고 경제적이면서 소량의 시료(혈액)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정확한 PCT 분석이 가능한 진단 시스템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난검출성으로 알려진 패혈증 조기진단이 가능한 바이오칩을 개발하기 위하여, 환자의 혈액 내에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의 발현 양의 차이(증가 혹은 감소)를 이용하여 패혈증의 조기진단이 가능하다고 다양한 문헌으로 검증된 표준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을 타깃으로 사용하여 PCT에 특이적이며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를 발굴하고 제조하여 이를 활용하여 패혈증 조기진단이 가능한 바이오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값비싼 항체를 사용하여 칩상 혹은 수용액 상태에 항원-항체반응, 샌드위치방법 등을 통해 전통적으로 질병조기진단에 사용되어온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대체하고, 간단 간편하게 경제적인 공정을 통해서 민감도와 특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오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분자진화방법 중의 하나인 M13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한 biopanning을 수행하여 타깃단백질에 특이적이며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저분자량의 12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프로브를 발굴하고 제작하고, 상기 펩타이드 프로브를 활용하여 패혈증의 조기진단을 포함하여 치료 및 예후 판정에도 이용 가능한 바이오칩을 제조할 수 있게 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타깃단백질에 고특이적 (high specific)이면서 고선택적인 (high selective) 결합 (binding)을 통한 분자감지 (molecular recognition)가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를 발굴하고, 상기 프로브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이를 바이오칩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를 타깃으로 하는 펩타이드 프로브를 포함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에 대한 펩타이드 프로브는 아미노산 서열목록 2(VHWDFRQWWQPS)를 포함하는 서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펩타이드 프로브의 아미노산은 D형, L형, 펩타이드 모노머를 포함한 펩타이드 모방체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펩타이드 프로브는 N말단 혹은 C말단에 다양한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중체 (dimer), 삼중체 (trimer) 또는 다중체 (multim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펩타이드 프로브의 N말단 기능기는 free amine, acetylation, biotin 또는 flurophore를 포함하고,
C말단 기능기는 free acid, amidation, biotin 또는 fluroph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미노산 서열목록 2(VHWDFRQWWQPS)를 포함하는 서열로 구성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부연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를, M13 bacteriophage를 이용한 biopanning 과정을 포함한 융합된 형태의 기술을 통해서 발굴하였으며, 이때 상기 융합된 형태의 기술의 범위는 적어도 SELEX (systematic evolution of ligands by exponential enrichment)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는, attachment, protection, coupling, deprotection, cleavage 과정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liquid-phase synthesis 혹은 solid-phase synthesis 방법을 통해서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펩타이드 프로브는 각기 다른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최소 12개 이상의 아미노산(D형, L형, 펩토이드를 포함한 펩타이드 모방체, 비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최소 1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프로브의 N말단 혹은 C말단은 다양한 기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펩타이드 프로브의 기능기는 N말단은 free amine, acetylation, biotin, 다양한 flurophore를 포함할 수 있고, C말단은 free acid, amidation, biotin, 다양한 fluropho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펩타이드 프로브는, 바이오칩으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칩(gold, silver, magnetic bead, silica, graphene, carbon nanotube 등)상에 특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전술한 프로브와 관련된 사항에 있으며 그와 같은 프로브를 바이오칩으로 제조하는 것은 공지기술에 따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가 장착된 바이오칩을 이용하여 단백질과 단백질 간의 반응, 단백질과 반응리간드 간의 반응, 목적리간드와 반응단백질 간의 반응 또는 목적리간드와 반응리간드 간의 반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반응리간드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와 반응하는 저분자량의 생체물질, 펩티드, 탄수화물, 앱타머, 지방산 또는 지질일 수 있다.
상기 반응단백질은 효소 또는 항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리간드는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와 반응하는 저분자량의 화합물, 핵산, 펩티드, 탄수화물, 앱타머, 지방산 또는 지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검출은 표지 혹은 비표지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를 이용한 바이오칩은 환자 혈액 내의 PCT 단백질에 고특이적이고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하여 타깃 바이오마커 단백질의 양 (증감 혹은 감소)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간편하게 패혈증 조기진단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며, 또한 질환의 경과 관찰 및 예후, 치료효과 판정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검사를 가능하므로 매년 증가하는 패혈증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 1은 선택된 2개의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타깃단백질인 PCT에 대한 결합력을 비교하기 위해 ELISA를 진행한 결과이다.
도 2는 타깃단백질인 PCT 농도에 따른 선택된 박테리오파지 (PCT R3#24)의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선택된 파지 (PCT R3#24) 농도에 따른 PCT 단백질에 대한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Serum 첨가에 따른 선택된 파지 (PCT R3#24)의 결합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는 난검출성으로 알려진 패혈증 환자의 혈액 내에서 급격한 발현 양의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효하여 패혈증 조기진단이 가능하여 신뢰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을 타깃으로 사용함으로써, 타깃 단백질을 대상으로 M13 bacteriophage를 이용한 biopanning 과정을 통해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를 발굴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서 발굴된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는 기본적으로 12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데, 상기 프로브는 N말단 혹은 C말단에 다양한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중체, 삼중체 혹은 다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는 숙주세포에서 재조합단백질 형태로 생산 가능하다. 숙주세포는 대장균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재조합단백질 형태의 목적단백질의 다양한 태그는 N말단, C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되고 목적단백질-프로브의 융합단백질이 고정되어 있는 바이오칩을 이용하여 바이오물질 상호작용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고정은 특이적 고정화방법을 통한 것, 또는 미세채널 (microchannel), 또는 마이크로 어레이(microarray)를 이용한 spotting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검출은 CV, EIS, QCM, SPR 또는 SPR 이미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바이오센서 시스템에 흔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단백질-프로브, 목적DNA-프로브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패혈증 조기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음을 밝힌다.
실시예 1 : 타깃 단백질 (PCT)과 biotinly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타깃 단백질은 recombinant protein of human Procalcitonin (PCT)으로서, Randox life sciences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Thermo scientific사의 EZ-Link Sulfo-NHS-Biotinylation Kit을 사용하여 biotinylation 과정을 거친 후 Bradford assay에 의해 농도를 계산하고, 사용 전까지 -8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M13 박테리오파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PCT에 고특이적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신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발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박테리오파지 랜덤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는 Ph.D.-12 (New England BioLab)로, 이는 M13 박테리오파지의 게놈 중에서 코트 단백질 (coat protein)의 일종인 pIII를 생산하는 유전자 말단에 12개의 무작위 아미노산 서열의 펩타이드가 발현되도록 인위적으로 유전자 서열을 삽입한 후, 대장균 (E.coli)에 감염시켜 얻은 수억 종 이상의 서로 다른 펩타이드를 발현한 재조합 박테리오파지로 구성되어 있다.
총 5회의 패닝 (panning)을 수행하였으며, 패닝에는 streptavidin이 코팅되어 있는 평판 (Streptavidin High Binding Capacity Coated 96-Well Plates (Thermo scientific, Cat. No. 15501)을 사용하였다.
먼저, biotinylated PCT 단백질과 M13 박테리오파지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여 Pre-complex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 다음 streptavidin이 코팅되어 있는 평판을 3회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 중의 0.1% Tween 20으로 씻어준 후, Pre-complex를 microwell에 넣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하여 주었다. binding되지 않은 박테리오파지는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 중의 0.1% Tween 20으로 씻어주었으며, 최종적으로 PC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파지는 100 uL의 0.2M Glycin-HCl (pH 2.2) 용액에 용출되었고, neutralization를 위해 15 uL의 Tris-HCl (pH 9.0)이 첨가되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PCT에 잘 결합하는 2개의 박테리오파지 후보군을 1차적으로 선별하였고, DNA sequencing을 통해 아미노산서열을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112015025470525-pat00001

실시예 3: 효소면역측정법 (ELISA)을 이용한 PCT에 고특이적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후보군의 결합력 측정
5회 biopanning을 거쳐서 선별된 2개의 박테리오파지 후보군를 ELISA 실험에 이용하기 위해 Amplification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파지 stock을 미리 배양해둔 E.coli ER2738과 함께 LB 배지에 넣은 후 37℃, 150 rpm에서 4-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한 후 20% PEG/2.5M NaCl을 첨가하여 얼음에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다시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침전물은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에 녹인 후 파지 Titration을 실시하여 각각의 파지의 농도 (PFU/mL: Plaque forming units/mL)을 계산하였다.
각각 2개의 파지와 PCT의 결합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ELISA를 진행하였다. 먼저, biotinylated PCT 100 uL (PCT 농도: 20 ug/ml)과 각각의 2개의 파지를 1011 PFU/mL의 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여 Pre-complex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 다음 streptavidin이 코팅되어 있는 평판을 3회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 중의 0.1% Tween 20으로 씻어준 후, Pre-complex를 microwell에 넣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하여 주었다.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 중의 0.1% Tween 20으로 씻어준 후, M13-HRP 항체와 ABTS를 이용하여 405nm에서 OD 값을 측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2개의 파지가 모두 PCT에 대해 특이적인 결합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PCT R3#24가 상대적으로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면 1).
상기와 동일한 ELISA 방법으로 PCT 농도 변화에 따른 PCT R3#24의 결합력 측정 비교한 결과, PCT R3#24의 결합력은 PCT의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결합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단, PCT의 농도가 0.29 uM 이상일 경우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도면 2).
상기와 동일한 ELISA 방법으로 동일한 PCT 단백질을 코팅한 평판에 PCT R3#24 파지 농도별로 처리하여 그 결합력을 비교한 결과 마찬가지로 농도비례하여 결합력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도면 3). 이 결과는 선택된 파지 PCT R3#24가 PCT에 특이적으로 잘 결합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PCT R3#24가 가지고 있는 12개 peptide의 서열 "VHWDFRQWWQPS"이 peptide 유래 패혈증 조기 진단키트 등에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발명한 펩타이드 프로브는 환자 혈액 내의 PCT 단백질에 고특이적이고 고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여 타깃 바이오마커 단백질의 양(증감 혹은 감소)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이를 통하여 간편하게 패혈증 조기진단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Serum의 첨가가 PCT에 고특이적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후보군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실제로 선택된 2개의 박테리오파지 PCT R3#24가 serum 샘플 (FBS:Fetal bovine serum)과 PCT가 혼재되어 있는 조건에서의 PCT에 대한 고특이적 고선택적 결합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treptavidin이 코팅되어 있는 평판을 3회 TBS (트리스 완충 식염수) 중의 0.1% Tween 20으로 씻어준 후, biotinylated PCT 100 uL (PCT농도: 20 ug/ml)을 microwell에 넣고 4℃에서 16시간동안 반응한다. 그 다음 biotinylated PCT가 코팅되어 있는 평판을 washing buffer (50 mM Tris-HCl (pH.7.5), 150mM NaCl, 0.1g BSA, 0.05% Tween 20)로 3회 씻어준 후, 박테리오파지 PCT R3#24를 다양한 농도의 FBS (serum 1%, 2%, 10%)와 함께 microwell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하여 주었다. washing buffer로 3회 씻어준 후, M13-HRP 항체와 ABTS를 이용하여 405nm에서 OD 값을 측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serum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serum 첨가로 인해 PCT에 고특이적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신규 펩타이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박테리오파지 PCT R3#24의 결합력이 첨가된 serum의 농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면 4). 이는 serum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단백질 (unknown component)들이 펩타이드 프로브-PCT 단백질간 상호작용을 통한 결합을 방해하는 인자로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펩타이드공학기술을 통해 펩타이드 프로브의 재설계와 기능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사실이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aegu Hanny University <120> The peptide probes high specific and high selective for target biomarker, and the biochip for clinical prediction of sepsis <130> ULA-0303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2 <212> PRT <213> bacteriophage <400> 1 Met Ser Cys Ala Gly His Met Cys Thr Arg Phe Val 1 5 10 <210> 2 <211> 12 <212> PRT <213> bacteriophage <400> 2 Val His Trp Asp Phe Arg Gln Trp Trp Gln Pro Ser 1 5 10

Claims (6)

  1. 삭제
  2.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를 타깃으로 하는 펩타이드 프로브를 포함하되,
    바이오마커 단백질 PCT에 대한 펩타이드 프로브는 아미노산 서열목록 2(VHWDFRQWWQPS)를 포함하는 서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3. 제2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프로브의 아미노산은 D형, L형, 펩토이드 모노머를 포함한 펩타이드 모방체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4. 제3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프로브는 N말단 혹은 C말단에 다양한 기능기를 포함하는 이중체(dimer), 삼중체 (trimer) 또는 다중체 (multi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5. 제4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프로브의 N말단 기능기는 free amine, acetylation, biotin 또는 flurophore를 포함하고,
    C말단 기능기는 free acid, amidation, biotin 또는 fluroph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6. 아미노산 서열목록 2(VHWDFRQWWQPS)를 포함하는 서열로 구성되는 패혈증 조기진단용 펩타이드 프로브.
KR1020150036046A 2015-03-16 2015-03-16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KR10173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46A KR101732787B1 (ko) 2015-03-16 2015-03-16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046A KR101732787B1 (ko) 2015-03-16 2015-03-16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202A KR20160111202A (ko) 2016-09-26
KR101732787B1 true KR101732787B1 (ko) 2017-05-08

Family

ID=5706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046A KR101732787B1 (ko) 2015-03-16 2015-03-16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42B1 (ko) 2019-09-09 2020-05-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fDNA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진단방법
KR102154601B1 (ko) 2019-09-09 2020-09-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KR20210030195A (ko) 2019-09-09 2021-03-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예후 판정용 조성물
KR102362951B1 (ko) 2020-08-13 2022-02-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대 c­반응성 단백질의 비율을 이용한 허혈성 뇌졸중의 단기 사망률 예측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617A (en) 1992-08-19 1997-06-17 B.R.A.H.M.S. Diagnostica Gmbh Method for early detection, detection of the severity and for a treatment-accompanying assessment of the course of a sepsis
JP2005500834A (ja) * 2001-06-29 2005-01-13 ジルス−ラプ ゲーエムベーハー 敗血症または敗血症関連症候群の診断のためのバイオチップの使用
CN104447956A (zh) 2014-11-14 2015-03-25 陕西天瑞生物科技有限公司 聚氨酯界面特异性亲和多肽及其筛选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617A (en) 1992-08-19 1997-06-17 B.R.A.H.M.S. Diagnostica Gmbh Method for early detection, detection of the severity and for a treatment-accompanying assessment of the course of a sepsis
JP2005500834A (ja) * 2001-06-29 2005-01-13 ジルス−ラプ ゲーエムベーハー 敗血症または敗血症関連症候群の診断のためのバイオチップの使用
CN104447956A (zh) 2014-11-14 2015-03-25 陕西天瑞生物科技有限公司 聚氨酯界面特异性亲和多肽及其筛选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프로칼시토닌(Procalcitonin, PCT) - 패혈증, 세균감염 표지자’, 네이버 블로그, (201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42B1 (ko) 2019-09-09 2020-05-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fDNA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진단방법
KR102154601B1 (ko) 2019-09-09 2020-09-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예후 예측용 조성물
KR20210030195A (ko) 2019-09-09 2021-03-17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측정을 통한 개 자궁 축농증의 예후 판정용 조성물
KR102362951B1 (ko) 2020-08-13 2022-02-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프로칼시토닌 대 c­반응성 단백질의 비율을 이용한 허혈성 뇌졸중의 단기 사망률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202A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An electrochemical peptide sensor for detection of dengue fever biomarker NS1
Park et al. High affinity peptides for the recognition of the heart disease biomarker troponin I identified using phage display
KR101732787B1 (ko)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패혈증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Wang et al. Screening of peptide selectively recognizing prostate-specific antigen and its application in detecting total prostate-specific antigen
Matsumoto et al. Lipopolysaccaride-binding peptides obtained by phage display method
Huang et al. Isolation of monobodies that bind specifically to the SH3 domain of the Fyn tyrosine protein kinase
Cho et al. Affinity peptide-based 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the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bovine rotavirus
KR101657881B1 (ko)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급성 및 만성 신장질환 조기진단용 바이오칩
CN106243193B (zh) 与结核病阳性血清特异结合的多肽以及诊断试剂盒
CN114524871B (zh) 与含酪氨酸硫酸化修饰的肽具有高亲和力的变体sh2结构域
US10167475B2 (en) Aptamers for purifying and quantifying gelsolin and its variants
KR101848977B1 (ko) 타킷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비브리오 콜레라톡신 검출용 바이오칩
KR20130065627A (ko) 심근 트로포닌 ⅰ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41825B1 (ko) 타깃 바이오마커에 고특이적이며 고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펩타이드 프로브 및 그를 이용한 대장용종과 대장암 조기검출용 바이오칩
KR20220113148A (ko) C-반응성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257491B1 (ko) 항체에 결합하는 펩티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230160101A (ko) 인터루킨 1 베타 검출용 신규한 펩타이드
KR20220113147A (ko) 오보뮤코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ngjard et al. Selection, alkaline phosphatase fusion, and application of 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scFv) specific to NT-proBNP as electrochemical immunosensor for heart failure
KR20230057075A (ko) 트롬빈 검출용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57076A (ko) 카스파제-3 검출용 신규한 펩타이드
KR20230057129A (ko) 트롬빈 검출용 신규한 펩타이드
JP5846599B2 (ja) ガラクトース6硫酸結合性タンパク質
KR20230077393A (ko) 소 로타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신규한 펩타이드
CN114891118B (zh) 抗原pla2r-thsd7a-nell-1融合蛋白及其产品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