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956B1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956B1
KR101731956B1 KR1020160128422A KR20160128422A KR101731956B1 KR 101731956 B1 KR101731956 B1 KR 101731956B1 KR 1020160128422 A KR1020160128422 A KR 1020160128422A KR 20160128422 A KR20160128422 A KR 20160128422A KR 101731956 B1 KR101731956 B1 KR 10173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ing
contact
glass surface
blade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헌
Original Assignee
스파크 주식회사
박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파크 주식회사, 박세헌 filed Critical 스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956B1/ko
Priority to CN201780006826.0A priority patent/CN108463382B/zh
Priority to PCT/KR2017/005622 priority patent/WO2017209483A1/ko
Priority to US16/098,140 priority patent/US10836357B2/en
Priority to DE112017002789.6T priority patent/DE112017002789T5/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 B60S2001/383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with more than one wiping ed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36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 B60S2001/383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with more than one wiping edge or lip
    • B60S2001/3839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shape with more than one wiping edge or lip with longitudinally split squeegee, with squeege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두 날 이상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 본체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정지부, 상기 한 쌍의 정지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꺾임부, 상기 꺾임부의 하부에 각각 차량의 유리면을 닦도록 형성되는 닦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닦임부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접촉하여 상기 유리면을 닦아주는 닦임접촉부가 배치되고, 상기 닦임접촉부의 중심선은 상기 유리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꺾임부의 중심점은, 블레이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닦임접촉부의 중심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닦임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변형되어 닦임접촉부가 각각 서로 다른 변형되며, 2개의 닦임접촉부가 유리면에 면 접촉 및 선 접촉되고, 닦임접촉부의 면 접촉으로 유리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닦임접촉부의 선 접촉으로 유리면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날이 형성된 블레이드가 유리면과 접촉 시 블레이드의 면과 날이 동시에 접촉되어 오염물 및 물을 함께 제거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대기 중의 먼지나 각종 이물질 또는 기상 상태로 인한 눈·비로 유리면이 오염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어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시계 확보의 수단으로 유리면에 묻은 눈·비나 이물질 따위를 닦아내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유리면을 닦아내며 어댑터 결합부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결합부에 결합되는 아암, 일단이 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 동력을 와이퍼 블레이드의 왕복운동으로 전달하는 링케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통상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바디 스프링에 지지되어 있으며, 아암의 압력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에 접촉되어 아암의 선회운동에 따라 유리면의 물이나 이물질을 유리면의 테두리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닦게 된다.
근래에 출시되는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아암의 누름압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사용되던 한 쌍의 소폭 바디 스프링을 보완하기 위해 단일 광폭 바디 스프링로 제작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되는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 길이방향으로 차량 유리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와이퍼 스트립을 탄성 지지하는 바디 스프링, 바디 스프링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와이퍼 아암과 연결된 어댑터에 결합되는 어댑터 결합부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에서 전달된 압력이 바디 스프링을 통해 와이퍼 스트립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와이퍼 스트립이 차량 유리면 전체에 고르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와이퍼 아암의 압력이 바디 스프링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와이퍼 스트립의 중앙부는 유리면에 고르게 밀착되지만 와이퍼 스트립의 양단부는 유리면과 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039219호에 개시된 자동차 와이퍼블레이드의 이중구조는 전방유리의 표면에 접촉되는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가 끼워지는 블레이드아암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두개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수평하게 형성된 이중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미도시)에 결합되도록 고정부(10)와 정지부(20)를 구비하고, 정지부(20)와 함께 닦임부(50)가 형성되는 레버부(30)를 형성한다. 레버부(30)에는 레버부(30)에 비하여 두께를 ?게 형성하여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또는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이루어지는 꺾임부(40)가 형성된다.
도 1(a)에서와 같이, 종래의 블레이드는 꺾임부(40)와 닦임부(50)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수직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며, 도 1(b)에서와 갈이, 꺾임부(40)는 와이퍼 아암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휘어지게 되고, 도 1(c)에서와 같이, 와이퍼 아암의 진행방향에 따라 고정부(10) 내지 레버부(3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1(d)에서와 같이, 차량의 유리면과 접촉되는 닦임부(50)는 유리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닦임부(50)의 에지(edge)를 보다 두텁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도 1(c)와 같이 와이퍼 아암의 진행방향에 따라 닦임부(50)가 소정의 각도로 꺾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레이드는 꺾임부(40)의 중심선과 중심점, 닦임부의 중심선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퍼 아암의 진행에 따라 블레이드는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접촉된 유리면에 있는 물 또는 오염물질을 닦아주게 된다. 이때 2개의 날로 이루어진 양날 블레이드는 양쪽의 닦임부(50)가 꺾임부(40)를 통하여 꺾어지는 각도가 동일하게 된다. 이렇게 2개의 닦임부(50)가 동일한 각도로 꺾어지게 되면 양쪽 닦임부(50)에는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즉, 양날의 닦임부(50)에는 동일하게 1/2에 가까운 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의 뒤쪽에 따라오는 닦임부(50)의 에지는 물의 제거에 필요한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는 유리면의 곡률을 따라 진행하면서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4°정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된다. 블레이드가 기울어진 상태로 전진하게 됨에 따라 진행하는 방향의 앞쪽의 닦임부(50)에는 더 큰 압력이 걸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뒤쪽의 닦임부(50)에는 물의 제거 또는 오염물질의 제거에 필요한 압력이 앞쪽의 닦임부(50)에 비하여 보다 작은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물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039219호(1998년 9월 15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2-0018746호(2002년 9월 9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76273호(2011년 7월 6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날로 이루어진 블레이드의 일측 닦임부가 면 접촉하고, 블레이드의 타측 닦임부가 에지 접촉하도록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날로 이루어진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각각 다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는, 두 날 이상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 본체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정지부, 상기 한 쌍의 정지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꺾임부, 상기 꺾임부의 하부에 각각 차량의 유리면을 닦도록 형성되는 닦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닦임부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접촉하여 상기 유리면을 닦아주는 닦임접촉부가 배치되고, 상기 닦임접촉부의 중심선은 상기 유리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꺾임부의 중심점은, 블레이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닦임접촉부의 중심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면, 정지부와 닦임부 사이에 형성된 꺾임부의 변형으로 닦임부가 휘어지게 되며, 2개의 닦임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변형되어 닦임접촉부가 각각 서로 다른 변형되며, 2개의 닦임접촉부가 유리면에 면 접촉 및 선 접촉되고, 닦임접촉부의 면 접촉으로 유리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닦임접촉부의 선 접촉으로 유리면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는 두 날 이상의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상기 블레이드(1)의 정지부(2) 하단 양쪽에 각각의 꺾임부(3)가 배치되고, 상기 꺾임부(3)의 하단에 각각 닦임부(5)가 배치되며, 상기 닦임부(5)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접촉하여 상기 유리면을 닦아주는 닦임접촉부(6)가 배치되고, 상기 유리면에 접촉되는 상기 닦임접촉부(6)는 상기 유리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깝게 접촉되도록 상기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을 배치시키고, 상기 꺾임부(3)의 중심점(32)은 블레이드의 중심선(1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미도시)에 진행방향에 따라 2개의 닦임부(5)로 이루어지는데, 2개의 날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는 진행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날로 이루어진 블레이드(1)는 차량의 유리면에 면 접촉되게 함과 함께 선 접촉되게 하여 유리면에 있는 오염물질의 제거 및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미도시)에 결합되도록 정지부(2)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대칭된 정지부(2)에는 각각 꺾임부(3)가 형성된다.
상기 꺾임부(3)는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꺾임부(3)의 하측에는 유리면에 접촉되어 있는 오염물질 및 물을 제거하는 닦임부(5)가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닦임부(5)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직접 접촉되는 닦임접촉부(6)가 형성되며, 상기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과 면 접촉되게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꺾임부(3)는 정지부(2) 및 닦임부(5)에 비하여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와이퍼 아암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닦임부(5)가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꺾임부(3)는 정지부(2)와 연결됨은 물론 닦임부(5)와 서로 연결되는데, 정지부(2)와 꺾임부(3)의 연결부위, 꺾임부(3)와 닦임부(5)의 연결부위로 이루어진다.
즉, 꺾임부(3)는 정지부(2)와 닦임부(5)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므로, 정지부(2)와의 연결부위에서부터 닦임부(5)의 연결부위까지 연결된다.
또한 꺾임부(3)는 일정 두께를 가지므로, 그 중심에는 가상의 중심선(31)이 마련되며, 꺾임부(3)의 중심선(31)에는 와이퍼 아암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는 중심점(32)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점(32)은 꺾임부(3)의 높이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꺾임부(3)는 와이퍼 아암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꺾임부(3)에서 변형이 가장 많이 변형되는 점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닦임부(5)는 유리면에 접촉되어 오염물질 및 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닦임부(5)에는 유리면과 접촉되는 닦임접촉부(6)가 형성된다.
상기 닦임접촉부(6)는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닦임접촉부(6)에는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상의 중심선(61)이 마련된다.
도 2에서와 같이,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도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들 꺾임부의 중심선(31)은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에 비하여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은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마련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중심선(61)에 비하여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마련된다.
<제2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의 정지부(2), 꺾임부(3), 닦임부(5) 및 닦임접촉부(6)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꺾임부(3)는 정지부(2) 및 닦임부(5) 사이에 형성되는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꺾임부(3)에 형성되는 중심선(31)은 꺾임부(3)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아울러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은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유리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은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에 대하여 비교적 가깝게 배치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에 대하여 보다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3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상부에 정지부(2)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정지부(2)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꺾임부(3)가 형성되며, 꺾임부(3)의 하부에는 닦임부(5)가 형성된다.
상기 닦임부(5)의 하단에는 닦임접촉부(6)가 형성되며, 닦임접촉부(6)에는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중심선(61)이 마련된다.
아울러 닦임부(5)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리면 접촉부(62)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중심선(61)을 좁은 간격으로 배치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에 비하여 외측에 위치되게 마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진행방향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블레이드(1)가 와이퍼 아암의 이동에 의해 유리면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퍼 아암은 도 5의 도면에서 왼쪽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며,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즉, 도 5의 도면상 와이퍼 아암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블레이드(1)를 가압하게 되며,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의 (a) 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은 유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블레이드(1)를 가압하게 되고, 와이퍼 아암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가압되는 블레이드(1)의 닦임부(5)는 와이퍼 아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블레이드(1)의 닦임접촉부(6)는 와이퍼 아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2개의 닦임접촉부(6) 중 전방(도 5의 도면상 오른쪽)에 위치한 닦임접촉부(61)의 유리면 접촉부(62)가 유리면에 밀착된다.
즉, 유리면 접촉부(62)는 닦임접촉부(6)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유리면에 대하여 면 접촉되면서 유리면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 2개의 닦임접촉부(6) 중 후방(도 5의 도면상 왼쪽)에 위치한 닦임접촉부(61)는 닦임부(5)가 기울어짐에 따라 유리면과 선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유리면에 있는 물을 제거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에 결합되도록 대칭되게 정지부(2)를 형성하며, 양측의 정지부(2)에는 각각 꺾임부(3)를 형성한다.
상기 꺾임부(3)는 일정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며, 꺾임부(3)는 수직으로 형성함에 따라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상의 중심선(31)이 마련되고, 중심선(31)에는 꺾임부(3)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중심점(32)이 마련된다.
또 꺾임부(3)의 하부에는 닦임부(5)를 형성하며, 닦임부(5)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접촉되는 닦임접촉부(6)를 형성한다. 이러한 닦임접촉부(6)는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닦임접촉부(6)에는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의 중심선(61)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이 블레이드(1)의 중심선(11)과 근접하게 배치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중심선(61)에 비하여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정지부(2), 닦임부(5) 및 닦임접촉부(6)를 동일하게 형성하고, 정지부(2)와 닦임부(5) 사이에 형성되는 꺾임부(3)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꺾임부(3)는 경사진 각도로 중심선(31)이 마련되고, 중심선(31)에는 꺾임부(3)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중심점(32)을 마련한다.
아울러 제2 실시 예에 따른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은 블레이드(1)의 중심선(11)에 근접하게 마련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중심선(61) 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마련한다.
즉,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닦임접촉부(6)의 중심선(61) 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마련하고, 꺾임부(3)의 중심선(31)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정지부(2), 닦임부(5) 및 닦임접촉부(6)를 동일하게 형성하고, 정지부(2)와 닦임부(5) 사이에 형성되는 꺾임부(3)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아울러 닦임접촉부(6)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리면 접촉부(62)를 형성한다. 상기 유리면 접촉부(62)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유리면과 면 접촉되게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에 결합된 정지부(2)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꺾임부(3)는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꺾임부(3)는 와이퍼 아암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닦임부(5)는 꺾임부(3)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닦임부(5)는 와이퍼 아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는 유리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에 가깝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와이퍼 아암과 함께 유리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정지부(2)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때 닦임부(5) 또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닦임부(5)는 와이퍼 아암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꺾임부(3)가 소정의 각도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c) 내지 도 (e)에서와 같이, 상기 정지부(2)는 와이퍼 아암의 이동으로 점진적으로 변형이 더 이루어지게 됨과 함께 꺾임부(3)의 변형으로 닦임부(5)가 유리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f)에서와 같이, 상기 꺾임부(3)는 와이퍼 아암의 압력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5(f)의 도면상 좌측의 닦임부(5)에는 와이퍼 아암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고, 우측의 닦임부(5)에는 와이퍼 아암의 압력이 좌측의 닦임부(5)에 비하여 보다 작은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닦임부(5)는 서로 다른 각도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닦임접촉부(6) 또한 다른 각도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f)에서와 같이, 우측의 닦임접촉부(6)는 꺾임부(3)의 변형이 좌측의 꺾임부(3)에 비하여 보다 큰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어 닦임접촉부(6)의 유리면 접촉부(62)가 유리면에 접하게 된다.
도 5(g)에서와 같이, 도면상 우측의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 접촉부(62)가 유리면에 면 접촉되고, 좌측의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과 선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우측의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에 면 접촉됨과 함께 좌측의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에 선 접촉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는 유리면에 면 접촉됨과 함께 선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며, 유리면에 면 접촉되는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유리면에 선 접촉되는 닦임접촉부(6)는 유리면에 있는 물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와이퍼 아암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아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유리면에 있는 오염물질 및 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블레이드 11: 중심선
2: 정지부 3: 꺾임부
31: 중심선 32: 중심점
5: 닦임부 6: 닦임접촉부
61: 중심선 62: 유리면 접촉부
63: 수직 중심선 64: 제1 연결선
65: 제2 연결선

Claims (6)

  1. 두 날 이상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 본체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정지부, 상기 한 쌍의 정지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꺾임부, 상기 꺾임부의 하부에 각각 차량의 유리면을 닦도록 형성되는 닦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꺾임부와 닦임부는 블레이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이며, 상기 각각의 닦임부의 하단에는 유리면과 접촉하여 상기 유리면을 닦아주는 닦임접촉부가 배치되고,
    상기 닦임접촉부의 중심선은 상기 유리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꺾임부의 중심점은,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닦임접촉부의 중심선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전방 닦임접촉부에 비하여 후방 닦임접촉부에 더 큰 누름압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와 정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상기 꺾임부와 닦임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위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닦임접촉부는 상기 유리면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닦임접촉부의 외측에 유리면 접촉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정지부 및 닦임부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꺾임부의 중심선이 유리면에 대하여 꺾임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면 접촉부는 사각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유리면과 면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60128422A 2016-06-02 2016-10-05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173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22A KR101731956B1 (ko) 2016-10-05 2016-10-05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CN201780006826.0A CN108463382B (zh) 2016-06-02 2017-05-30 汽车用雨刷片
PCT/KR2017/005622 WO2017209483A1 (ko) 2016-06-02 2017-05-30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16/098,140 US10836357B2 (en) 2016-06-02 2017-05-30 Vehicle wiper blade
DE112017002789.6T DE112017002789T5 (de) 2016-06-02 2017-05-30 Wischerblatt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422A KR101731956B1 (ko) 2016-10-05 2016-10-05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956B1 true KR101731956B1 (ko) 2017-05-11

Family

ID=5874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422A KR101731956B1 (ko) 2016-06-02 2016-10-05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9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412B1 (ko) 2021-10-21 2023-03-06 박세헌 멈춤부를 구비한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20230051724A (ko) 2021-10-11 2023-04-18 박세헌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20230074645A (ko) * 2021-11-21 2023-05-31 박세헌 상호 요철 각도 조절 결합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901A (ja) * 1996-03-27 2000-06-27 アイティーティー・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エンタープライジ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の窓ガラスのワイパー装置用ワイパーブレ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901A (ja) * 1996-03-27 2000-06-27 アイティーティー・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エンタープライジ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の窓ガラスのワイパー装置用ワイパーブレー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1724A (ko) 2021-10-11 2023-04-18 박세헌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102529093B1 (ko) * 2021-10-11 2023-05-10 박세헌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102505412B1 (ko) 2021-10-21 2023-03-06 박세헌 멈춤부를 구비한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20230074645A (ko) * 2021-11-21 2023-05-31 박세헌 상호 요철 각도 조절 결합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KR102551991B1 (ko) 2021-11-21 2023-07-06 박세헌 상호 요철 각도 조절 결합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9442B2 (ja) 回転型補助ビームを用いたワイパーブレード組立体
US946927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731956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US8819889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JP2006111259A (ja) ワイパーのゴムブレード
KR20110125035A (ko) 와이퍼장치
BR9906300A (pt) Palheta do limpador de pára-brisa para a limpeza de pára-brisas de veìculos automotores
KR10115837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5142994B (zh) 用于清洁车辆车窗的擦拭器刮片,以及擦拭器装置
WO2007122569A3 (en) End caps used in windshield wipers for vehicles
KR101036579B1 (ko) 와이퍼장치
KR101729145B1 (ko) 압력 분산형 와이퍼 블레이드
US9457767B2 (en) Wiper device
JP2014012503A (ja) ウインドワイパー
JP2008168796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CN108463382B (zh) 汽车用雨刷片
KR101585234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2461203B1 (ko) 와이퍼 장치
KR100820137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아답터
KR10075919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H09164916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200339285Y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2505412B1 (ko) 멈춤부를 구비한 압력 균형 이중고무블레이드의 와이퍼블레이드
US11697398B2 (en) Bending member for wiper blade
JP3155480U (ja) 車両用ワイパ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