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626B1 -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626B1
KR101730626B1 KR1020160077273A KR20160077273A KR101730626B1 KR 101730626 B1 KR101730626 B1 KR 101730626B1 KR 1020160077273 A KR1020160077273 A KR 1020160077273A KR 20160077273 A KR20160077273 A KR 20160077273A KR 101730626 B1 KR101730626 B1 KR 10173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beacon
user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코닉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26B1/ko
Priority to CN20178003728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478284A/zh
Priority to PCT/KR2017/005108 priority patent/WO2017200291A1/ko
Priority to JP2019513724A priority patent/JP6786710B2/ja
Priority to US16/193,185 priority patent/US201900878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인증요청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에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는 사용자 단말에서도 모두 동작할 수 있으며, 초 근거리로 밀착하지 않더라도 근거리에서 인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인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Terminal Using Bluetooth}
본 실시예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을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마그네틱 카드 또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대신,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이 최근 등장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방법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인증요청 단말기를 인증하고, 단말기가 인증이 되는 경우 결제를 진행한다.
그러나 NFC를 이용한 인증 방식은 단말기를 인증요청 단말기에 근거리로 밀착시켜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NFC를 이용한 인증 방식은 안드로이드와 같은 특정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를 갖는 단말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아이폰 등의 다른 운영체계를 갖는 단말에서는 사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신용카드정보를 인증요청 단말기에 단방향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카드 전표 또는 영수증 등을 단말로 전달할 수 없는 불편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인증요청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에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는 사용자 단말에서도 모두 동작할 수 있으며, 초 근거리로 밀착하지 않더라도 근거리에서 인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인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비컨 인증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 및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연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과 비컨(Beacon)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형식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부합결과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부합결과를 데이터 패킷을 변환하여 유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제2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비컨 인증장치가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블루투스(Bluetooth)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제어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채널형성 제어과정과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채널이 형성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 수신과정과 상기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형식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여 부합결과를 생성하는 부합결과 생성과정과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부합결과를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을 변환하는 패킷 변환과정 및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 변환한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부합결과를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비컨 인증장치를 이용해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비컨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컨 인증장치로부터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컨 인증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비컨 인증장치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상기 비컨 인증장치로 연결신호와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로 블루투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형식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부합 결과를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비컨 인증장치 및 상기 비컨 인증장치로부터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부합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요청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증요청 단말과 사용자 단말 간에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운영체계를 갖는 사용자 단말에서도 모두 동작할 수 있으며, 초 근거리로 밀착하지 않더라도 근거리에서 인증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를 부착한 비컨 인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를 부착한 비컨 인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가 단말을 인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비컨 인증장치(120), 인증요청 단말(130) 및 백엔드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 블루투스 통신(BLE: Bluetooth Low Energy)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을 요구하는 기기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로부터 BL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BLE 신호를 이용하여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거리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BLE 신호의 수신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12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자신과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로 연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통신 접속을 시도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며, 스마트 기기 외에 노트북, 랩톱,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 통신 접속된 후,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 인증정보는 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정보로서, 단말이 갖는 고유 ID(Identification), 단말의 번호 또는 단말의 MAC 주소 등을 포함한다. 이처럼, 인증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인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패킷구조를 가지며 암호화되어 전송된다. 패킷 구조나 암호화 여부는 선택 사항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120)는 정보나 신호를 암호화를 하여 송수신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백엔드 서버(140)로부터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블루투스(BLE)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백엔드 서버(140)는 인증요청 단말(130)을 거쳐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비컨 인증장치(12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비컨 인증장치(120)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비컨 인증장치(120)는 통신 채널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110)과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암호화를 하여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통신 채널의 형성을 위한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할 때의 신호 출력세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사용자 단말(110)로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할 때의 신호 출력세기를 서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는지 여부 및/또는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지 않거나,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형성했던 통신 채널을 폐쇄한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며,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와 함께 부합 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백엔드 서버(140) 또는 기타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들의 인증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인증 시스템(100)을 결제 시스템에 이용하려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들에 대한 인증정보들을 백엔드 서버(140) 또는 기타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와 저장된 인증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정보 간에 일치하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정보 간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이와 같은 판단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판단결과를 토대로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진행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인증동작 요청신호 또는 인정정보를 송수신한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백엔드 서버(140)로부터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로 해당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인증요청 단말(130)은 비컨 인증장치(120)로부터 인증정보 또는 인증정보와 함께 부합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백엔드 서버(140)로 전송한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비컨 인증장치(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판단결과에 따라 인증요청 단말(130)은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인증 시스템(100)이 결제 시스템과 결합되어 이용되는 경우, 인증요청 단말(130)은 POS(Point of Sales) 등의 카드결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비컨 인증장치(120)로부터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이라고 판단된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백엔드 서버(Backend Server, 140)는 인증요청 단말(130)로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백엔드 서버(140)는 인증요청 단말(130)를 거쳐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비컨 인증장치(12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백엔드 서버(140)는 인증요청 단말(130)부터 인증정보 또는 인증정보와 함께 부합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합 결과는 비컨 인증장치(120)가 판단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의미한다. 백엔드 서버(140)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들의 인증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백엔드 서버(140)는 저장된 단말들의 인증정보들과 인증요청 단말(130)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백엔드 서버(140)는 인증요청 단말(130)부터 인증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백엔드 서버(140)는 부합 결과 또는 판단 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을 거쳐 비컨 인증장치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인증요청 단말(130)로부터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비컨 인증장치(120)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는 경우에만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비컨 인증장치(12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하는 상황에서, 일정한 공간 내에 비컨 인증장치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게 되면 블루투스 신호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채널이 형성되기 전이라면, 비컨 인증장치(120)는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채널을 형성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에 통신채널이 형성된 후, 사용자 단말(110)과 원거리에서도 정보의 송수신이 용이하도록 비컨 인증장치(120)의 신호 송출파워를 기 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인증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인증이 성공하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를 부착한 비컨 인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부착한 비컨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는 경우에만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비컨 인증장치(120)가 송출하는 블루투스 신호에 대한 사용자 단말(110)의 수신감도는 제조사 또는 모델 별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단말에 대해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위치하여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부(310, 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10, 320)는 발광 센서(315) 및 수광 센서(325)를 포함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발광 센서(315)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광 신호를 송출하며, 수광 센서(325)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반사된 광 신호를 수신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광 신호의 송출 시각과 수신 시각을 계산함으로써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파악할 수 있도록 이러한 사실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10, 320)의 발광 센서(315)와 수광 센서(325)는 예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110)의 색이 매우 어둡거나 검정색이라면, 사용자 단말(110)이 발광 센서(315)가 송출한 빛을 흡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수광 센서(325)가 수신하는 광 신호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여 정확한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거리 파악이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10, 320)의 발광 센서(315)와 수광 센서(325)는 예각을 갖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센서를 부착한 비컨 인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10, 420)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비컨 인증장치(120)는 센서부(410, 420) 외에 관통공(430)을 더 포함한다. 발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10)는 관통공(430)을 거쳐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20)로 광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10)이 비컨 인증장치(120)의 관통공(430) 사이에 위치하거나 관통공(430)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20)에 수신되는 광 신호는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20)에 수신되는 광 신호가 현저히 감소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이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였음을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컨 인증장치(12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부(5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회로부(512)는 안테나부(510)의 임피던스와 사용자 단말(110)의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서로 매칭시키는 기능을 한다.
무선송수신부(514)는 안테나부(51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한번 송수신할 때, 사용자 단말(110)이 송수신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에 제한이 존재하며, 패킷 당 수용 가능한 패킷 크기에도 제한이 있다. 멀티패킷 처리부(516)는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의 패킷의 개수 또는 크기 등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패킷 생성부(518)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토콜에 맞춰 패킷을 생성한다. 무선패킷 생성부(518)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토대로 헤더(Header), 명령어(Instruction), 데이터 및 체크섬(Checksum)이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무선패킷 분해부(520)는 멀티패킷 처리부(516)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분해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
무선연결 제어부(522)는 유효하지 않은 무선 데이터나 허용되지 않은 접속에 대해 연결을 오프한다.
서비스사 프로토콜 선택부(524)는 서비스 제공자별 프로토콜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인증 시스템(100)이 결제 서비스와 결합되어 이용되는 경우, 서비스사 프로토콜 선택부(524)는 결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무선패킷 생성부(518) 또는 무선데이터 검사부(526)로 제공한다.
무선데이터 검사부(526)는 무선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 경우에 한해, 무선데이터 검사부(526)는 무선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암호화부(528)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안전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송신데이터 저장부(530)는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한다.
복호화부(53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유선데이터 검사 및 명령 수행부(534)는 유선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유선데이터 내에 포함된 명령코드에 따라 데이터 전송, 비컨장치 제어, 재전송 등 필요한 명령을 수행한다.
수신데이터 저장부(536)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유선 패킷 분해부(538)는 인증요청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프로토콜 기준에 따라 분해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유선 패킷 생성부(540)는 인증요청 장치(130)의 프로토콜 기준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유선 송수신부(542)는 인증요청 장치(13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이다.
시리얼/USB 통신포트(544)는 인증요청 장치(13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포트이다.
입력 버튼부(546)는 비컨 인증장치(120)의 사용자가 비컨 인증장치(120)를 비컨 인증장치(120)의 초기설정이나 시험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이머(548)는 일정주기로 표시부(552)의 온/오프 횟수 등을 제어한다.
펄스 변조부(550)는 부저(554)에 이용되는 주파수로 펄스변조하여 부저(554)로 제공한다.
표시부(552)는 LED 등으로 구성되어, 가시적으로 비컨 인증장치(12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부저(554)는 외부로 음향을 통해 비컨 인증장치(120)의 동작상태를 알린다.
중앙처리기(556)는 비컨 인증장치(120)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558)는 비컨 인증장치(120) 내부 또는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비컨 인증장치(12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거리 센서부(560)는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과의 거리를 센싱한다.
거리센서 처리부(562)는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사용자 단말(110)이 위치하는 경우, BLE 동작모드 전환부(564)에 신호를 전송한다.
BLE 동작모드 전환부(564)는 거리센서 처리부(56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무선파워 설정부(566)는 비컨 인증장치(120)와 사용자 단말(110) 간의 거리에 따라 출력 파워를 설정한다. 무선파워 설정부(566)는 사용자 단말(110)이 기 설정된 거리(210) 내에 위치하도록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제어한다. 무선파워 설정부(566)는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 채널이 형성된 경우 출력 파워를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120)는 통신부(610), 제1 데이터처리부(620), 제어부(630), 제2 데이터처리부(640), 데이터 저장부(650), 데이터 출력부(660), 전원부(670) 및 거리 센서부(6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6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부(610)는 사용자 단말(110)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연결 신호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601)는 인증요청 단말(130)로부터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암호화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토콜에 맞춰 패킷을 생성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제2 데이터 처리부(640)로부터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수신한 데이터를 토대로 헤더, 명령어, 데이터 및 체크섬(Checksum)이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토콜에 맞는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수신된 패킷을 분해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복호화부(625)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복호화부(625)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복호화한다. 제1 데이터 처리부(620)는 복호화부(625)에 의해 복호화된 패킷을 분해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어부(630)는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61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통신부(61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거리 센서부(680)가 센싱한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또는 통신부(610)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 간에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통신부(61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에 있어,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세기 이하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이 비컨 인증장치(120)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630)는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이 사용자 단말(110)과 형성된 후, 신호의 출력 파워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적절한 경우, 제어부(630)는 인증정보와 부합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과 형성된 통신 채널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30)는 제2 데이터처리부(640)가 추출한 명령 코드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비컨 인증장치의 제어, 데이터의 재전송 등의 명령을 수행한다. 제2 데이터처리부(640)는 인증요청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명령 코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630)는 추출된 명령 코드에 포함된 명령을 수행한다. .
또한,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650)에 저장된 인증정보들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정보 간에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인증정보 간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630)는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이와 같은 판단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요청 단말(130)은 판단결과를 토대로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진행할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할 데이터를 인증요청 단말(130)의 프로토콜 기준에 부합하도록 처리한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 또는 제어부(630)가 판단한 부합결과 또는 판단결과는 인증요청 단말(130)의 프로토콜 기준에 부합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 또는 제어부(630)가 판단한 부합결과 또는 판단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의 프로토콜 기준에 부합하도록 처리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처리된 정보 또는 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로 전송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인증요청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분해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유선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인증요청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내 명령코드를 추출하여 제어부(630)로 전송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는 암호화부(645)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 처리부(640)가 추출한 필요로 하는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암호화부(645)는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한다.
데이터 저장부(650)는 제1 데이터 처리부(620) 또는 제2 데이터 처리부(640)가 데이터를 처리 전 또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존재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처리부(620)가 사용자 단말(110)에서 수신된 패킷을 분해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려고 할 때, 데이터 저장부(65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수신된 패킷을 제1 데이터 처리부(620)가 분해하기 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650)는 백엔드 서버(140) 또는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들의 인증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30)가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출력부(660)는 거리 센서부(680)의 센싱 값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이 비컨 인증장치(120)에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채널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인증정보가 기 설정된 형식에 부합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단말(110)이 결제 또는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외부로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부(660)는 부저와 같은 음향모듈 또는 LED와 같은 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로 전술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30)가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 경우, 데이터 출력부(660)는 특정 음향을 출력하거나 또는 특정한 색의 빛을 방사할 수 있다.
전원부(670)는 비컨 인증장치(120) 내부 또는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비컨 인증장치(12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거리 센서부(680)는 발광 센서(315) 및 수광 센서(325)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120) 간의 거리 값을 센싱한다. 거리 센서부(680)는 거리 값을 센싱하여 제어부(62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620)가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인증장치가 단말을 인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백엔드 서버(140)는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710). 백엔드 서버(140)는 인증요청 단말(130)을 거쳐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신호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S720). 비컨 인증장치(120)는 인증동작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양한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비컨 인증장치(12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거리를 판단한다(S730).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BLE 신호의 수신신호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인증장치(12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자신과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내인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로 연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비컨 인증장치(120)와의 통신 접속을 시도한다(S740).
비컨 인증장치(120)는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비컨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750). 비컨 인증장치(120)는 통신 채널이 형성된 사용자 단말(110)과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통신 채널의 형성을 위한 블루투스 신호를 전방위적으로 전송할 때의 신호 출력세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사용자 단말(110)로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할 때의 신호 출력세기를 서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 채널이 형성된 경우, 출력 파워를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컨 인증장치(120)로 인증정보를 전송한다(S760).
비컨 인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형식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770). 비컨 인증장치(1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는지 여부 및/또는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지 않거나,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형성했던 통신 채널을 폐쇄한다.
비컨 인증장치(120)는 인증정보를 백엔드 서버(140)로 전송한다(S780).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구조와 부합하며,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 경우, 비컨 인증장치(1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와 함께 부합 결과를 인증요청 단말(130)을 거쳐 백엔드 서버(140)로 전송한다.
도 7에서는 비컨 인증장치(120)와 백엔드 서버(140)가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과 같이 비컨 인증장치(120)와 백엔드 서버(140)의 사이에 인증요청 단말(13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인증 시스템 110: 단말
120: 비컨 인증장치 130: 인증요청 단말
140: 백엔드 서버 210: 기 설정된 거리
310, 320: 센서부 315: 발광 센서
325: 수광 센서 430: 관통공
510: 안테나부 512: 무선회로부
514: 무선 송수신부 516: 멀티 패킷 처리부
518: 무선패킷 생성부 520: 무선패킷 분해부
522: 무선연결 제어부 524: 서비스사 프로토콜 선택부
526: 무선데이터 검사부 528: 암호화부
530: 송신데이터 저장부 532: 복호화부
534: 유선데이터 검사 및 명령 수행부 536: 수신데이터 저장부
538: 유선패킷 분해부 540: 유선패킷 생성부
542: 유선 송수신부 544: 시리얼/USB 통신포트
546: 입력버튼부 548: 타이머
550: 펄스변조부 552: 표시부
554: 부저 556: 중앙처리기
558: 안정화 전원부 560: 거리 센서부
562: 거리센서 처리부 564: BLE 동작모드 전환부
566: 무선파워 설정부 610: 통신부
620: 제1 데이터처리부 635: 복호화부
630: 제어부 640: 제2 데이터처리부
645: 암호화부 650: 데이터 저장부
660: 데이터 출력부 670: 전원부
680: 거리 센서부

Claims (13)

  1.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 세기로 외부로 송출하여 비컨 송출 거리를 제한하며, 주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하는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비컨(Beacon)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전보다 큰 신호 세기로 상기 단말과 통신하여 비컨 송출 거리를 늘리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 구조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 지를 확인한 부합결과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부합결과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후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한 후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부합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분해하여 추출한 명령 코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데이터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전까지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에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세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는,
    패킷구조를 가지며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처리부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복호화한 인증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처리부로 전달하는 복호화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통신채널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부합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장치.
  8. 비컨 인증장치가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 세기로 외부로 송출하여 비컨 송출 거리를 제한하며, 주변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하는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연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 비컨(Beacon) 통신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전보다 큰 신호 세기로 상기 단말과 통신하여 비컨 송출 거리를 늘리는 과정;
    상기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의 패킷구조가 기 설정된 형식의 패킷 구조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의 암호화된 형식이 기 설정된 형식과 부합하는 지를 확인한 부합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부합결과를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후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인증요청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 및
    상기 인증요청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부합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응답 데이터를 분해하여 명령 코드를 추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전까지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늘리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에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세기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통신채널이 형성되었는지 여부 또는 상기 부합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인증방법.
  13. 삭제
KR1020160077273A 2016-05-18 2016-06-21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KR10173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37281.XA CN109478284A (zh) 2016-05-18 2017-05-17 利用信标的支付方法以及设备
PCT/KR2017/005108 WO2017200291A1 (ko) 2016-05-18 2017-05-17 비컨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JP2019513724A JP6786710B2 (ja) 2016-05-18 2017-05-17 ビーコンを利用した決済方法及び装置
US16/193,185 US20190087807A1 (en) 2016-05-18 2018-11-16 Method and apparatus for payment using beac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97 2016-05-18
KR20160061097 2016-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26B1 true KR101730626B1 (ko) 2017-05-04

Family

ID=5874315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82A KR101726420B1 (ko) 2016-05-18 2016-06-21 비컨을 이용한 결제장치 및 방법
KR1020160077273A KR101730626B1 (ko) 2016-05-18 2016-06-21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KR1020170044911A KR102385887B1 (ko) 2016-05-18 2017-04-06 비컨을 이용한 결제장치
KR1020170065539A KR20170131281A (ko) 2016-05-18 2017-05-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82A KR101726420B1 (ko) 2016-05-18 2016-06-21 비컨을 이용한 결제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911A KR102385887B1 (ko) 2016-05-18 2017-04-06 비컨을 이용한 결제장치
KR1020170065539A KR20170131281A (ko) 2016-05-18 2017-05-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87807A1 (ko)
JP (1) JP6786710B2 (ko)
KR (4) KR101726420B1 (ko)
CN (1) CN109478284A (ko)
WO (1) WO20172002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097B1 (ko) * 2018-02-22 2018-11-07 (주)바이콕 보관소 관리시스템
KR20210025408A (ko) 2019-08-27 2021-03-09 최영옥 블루투스 결제유효거리 정보 제어에 기초한 결제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3753B2 (ja) 2017-07-03 2023-02-16 ジーピー ネットワーク アジア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支払処理
US11568386B2 (en) * 2021-06-10 2023-01-31 Shopify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NFC payment device management
US20220398563A1 (en) * 2021-06-10 2022-12-15 Shopify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nfc payment device management
US20230087730A1 (en) * 2021-09-22 2023-03-23 Dell Products L.P.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JP7239761B1 (ja) 2022-03-29 2023-03-14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82B1 (ko) * 2015-04-16 2015-10-07 노건욱 비콘 송신 장치 및 비콘 송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443A (en) * 1996-01-18 1998-03-10 Chapman Glenn H Vision system and proximity detector
JPH10326371A (ja) * 1997-05-27 1998-12-08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決済端末
JP2000149072A (ja) * 1998-11-06 2000-05-30 Nippon Signal Co Ltd:The 非接触式icカード処理装置
JP3961383B2 (ja) * 2001-09-25 2007-08-2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決済処理装置
KR100818376B1 (ko) * 2006-04-20 2008-04-0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무선랜 접속점 기능을 구비한카드단말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9253429A (ja) * 2008-04-02 2009-10-29 Funai Electric Co Ltd 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当該アクセスポイントを備える無線通信システム
US9336353B2 (en) * 2010-06-25 2016-05-10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sensor data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of a glucose monitoring system
JP5588400B2 (ja) * 2011-07-21 2014-09-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ラン
US9445220B2 (en) * 2013-09-06 2016-09-13 Payp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dditional devices to check in to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s
US20150095238A1 (en) * 2013-09-30 2015-04-02 Apple Inc. Online payments using a secure el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JP2015162069A (ja) * 2014-02-27 2015-09-07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端末認証システム、ゲートシステム、入退場管理システム及び端末認証方法
KR20150104951A (ko) * 2014-03-07 2015-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144541B1 (ko) * 2014-05-08 2020-08-18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2방향 거리 검출 장치
US20160092880A1 (en) * 2014-09-26 2016-03-31 Apriva, Ll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merchant device beacon
CN105550863A (zh) * 2015-07-31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支付方法及可穿戴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882B1 (ko) * 2015-04-16 2015-10-07 노건욱 비콘 송신 장치 및 비콘 송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097B1 (ko) * 2018-02-22 2018-11-07 (주)바이콕 보관소 관리시스템
WO2019164141A1 (ko) * 2018-02-22 2019-08-29 (주)바이콕 보관소 관리시스템
KR20210025408A (ko) 2019-08-27 2021-03-09 최영옥 블루투스 결제유효거리 정보 제어에 기초한 결제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87B1 (ko) 2022-04-12
US20190087807A1 (en) 2019-03-21
KR101726420B1 (ko) 2017-05-25
KR20170131211A (ko) 2017-11-29
WO2017200291A1 (ko) 2017-11-23
JP6786710B2 (ja) 2020-11-18
JP2019521626A (ja) 2019-07-25
CN109478284A (zh) 2019-03-15
KR20170131281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62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단말 인증장치 및 방법
EP3158541B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TWI496025B (zh) 配件、配件介面系統及方法
CN112243520B (zh) 用于移动设备和读取器设备之间的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EP3058792B1 (en) Wireless protocol message conversion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JP71509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976965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33515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KR100862009B1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를 인증하는 보안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0847787B1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를 인증하는 보안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알에프아이디 리더(또는 단말)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4017901B2 (ja) 非接触式icカードシステム
KR102271329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US12001911B1 (en) Status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s
US12001910B1 (en) Initialization of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US20230376721A1 (en)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systems and methods
KR20190143345A (ko) 통합 결제 단말기 및 방법
KR20180110298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10227133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20120097811A (ko)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장치 및 스마트폰
KR20180056496A (ko)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80056495A (ko)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58A (ko) 별도의 신호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60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80056493A (ko)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20180110297A (ko)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