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860A -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 Google Patents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860A
KR20170134860A KR1020160065377A KR20160065377A KR20170134860A KR 20170134860 A KR20170134860 A KR 20170134860A KR 1020160065377 A KR1020160065377 A KR 1020160065377A KR 20160065377 A KR20160065377 A KR 20160065377A KR 20170134860 A KR20170134860 A KR 2017013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igar jack
jack device
code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06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860A/ko
Publication of KR2017013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electrically-heated ligh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H04L29/067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은,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하며, 사용자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Method for Receiving Preorder Goods by using a Cigar Jack Device}
본 발명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작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작잭장치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작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에서 신호수신장치를 통해 상기 시작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 하여금 상기 시작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상기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기 전에 무선단말(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통해 먼저 상품을 주문하고 매장에 방문하여 수령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타벅스의 '사이렌오더'가 있다. 사이렌오더는 고객이 자신의 무선단말을 통해 스타벅스 상품을 선주문 결제하고 스타벅스 매장에 방문하는 경우, 스타벅스 매장에 설치된 스피커가 인간이 들을 수 없는 음파(=사이렌)을 출력하는데, 고객의 무선단말에서 스타벅스 매장의 음파를 검출하여 고객이 매장안에 들어왔는지 확인한 후 해당 매장단말에 선결제된 주문을 접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서 가장 큰 문제는 스타벅스 매장의 음파를 검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주체가 고객의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매장 안에 들어온 고객의 선주문을 접수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자신의 무선단말을 'On'하여 매장 안의 음파를 검출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고객이 자신의 무선단말을 'On'하지 않고 매장 안에 들어온 경우에는 선주문이 해당 매장으로 접수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종래 방식의 또다른 문제는 비교적 조용한 실내에서는 고객의 무선단말을 'On'하여 음파를 검출할 수 있지만, 드라이브쓰루(Drive Thru)와 차량을 타고 이동하면서 실외에서 각종 소음에 의해 음파를 검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객이 차량 안에 있기 때문에 음파가 차량 내부까지 도달하지 못하므로 선주문이 접수되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작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작잭장치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작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에서 신호수신장치를 통해 상기 시작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 하여금 상기 시작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상기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은,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가잭장치는, 상기 시가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가잭장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 간 페어링(Pairing)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 간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시가잭장치로부터 근거리로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 수신됨과 동시에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시가잭장치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을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연계 등록된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한 시가잭장치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선주문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코드정보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에 있어서,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매핑 저장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함과 동시에 차량 외부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가잭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후 상기 시가잭장치에서 차량 외부의 지정된 거리까지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한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으로 접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을 타고 이동하면서도 본인의 무선단말을 조작하지 않고도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선주문한 상품을 편리하게 수령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를 이용한 선주문 결제 상품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가잭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에 대하여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를 통해 수령하도록 운영하는 운영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가잭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를 통해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주문 결제한 상품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를 이용한 선주문 결제 상품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300)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신호수신장치(105)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 하여금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상기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시가잭장치(200)를 이용한 선주문 결제 상품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와, 상기 칩모듈(230)을 탑재한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하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선주문 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통신하는 운영서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를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를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서버는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가잭장치(200) 인증은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를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등록하는 과정과 연동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서 시가잭장치(200)를 관리 및 운영하는 과정과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가잭장치(200)는 지정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며 수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불특정 대상으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의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송출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수신됨을 물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예컨대, 30m 내외, 최대 100m)에 존재하는 신호수신장치(105)로도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수신장치(105)는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상기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매장단말(110)로 제공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지정된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측과 이를 수신하는 수신 측이 사전에 페어링하거나 사전에 상대방을 식별/인증하지 않고도, 송신 측에서 불특정한 수신 측으로 전달할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방송)하면, 불특정 수신 측에서 상기 송출(=방송)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조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송신 측은 수신 측을 미리 특정하거나 식별하지 않고 다만 불특정 수신 측에서 수신 가능한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시켜 송출(=방송)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에서만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WiFi) 규격에 기반하는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동기 무신신호가 와이파이 규격에 기반한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규격 등)의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1 시가잭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Broadcasting)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식별 또는 페어링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이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규격 등)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외에 다른 규격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2 시가잭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케이블 연결되어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가잭장치(200)에 탑재되는 칩모듈(23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이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칩모듈(23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직접 통신세션을 형성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족하고,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내지 근거리에 위치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105)로 도달할 수 있는 무선신호라면 족하다. 즉, 본 발명의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특정 통신 규격이나 신호 규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어떤 방식이 채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시가잭장치(200)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적어도 사용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105)로 수신/인식된다.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한 코드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제1 내지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시가잭장치(200)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중에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를 통해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가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의 신호수신장치(105)로 수신된 경우, 상기 신호수신장치(105)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소정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 전송(예컨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한 무선단말(300)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무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상기 제3 또는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라 비동기 무선신호에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송출한 경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또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은 상기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소지(또는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와 통신(예컨대, 통신망을 경유하여 운영서버(400)와 통신채널을 연결,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운영서버(400)와 중계 통신)하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325)이 설치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고유코드와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200)(또는 무선단말(300))을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할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인증규칙의 적어도 일부 정보(예컨대, 씨드 값)를 설정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일부 정보 및/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할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인증규칙을 구성하여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금융계좌, 선불카드, 전자화폐 등)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수단정보는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된다. 상기 보안매체는 상기 운영서버(400) 내에 구현(예컨대, 금융계좌, 전자화폐 등의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는 운영서버(400) 내의 보안매체에 등록 가능)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를 발급한 발급사에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수단정보는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되어 상기 보안매체에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통신망을 통해 선주문하거나 결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운영서버(400)로부터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출력(또는 해당 프로그램(325)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주문정보를 입력받아 선주문하는 절차,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한 결제를 요청/처리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예컨대, 일부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325)과 연계된 제휴 앱을 통해 처리 가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주문의 결제는 상기 등록된 결제수단을 통해 처리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별도의 제휴 결제 앱을 통해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신호수신장치(105), 또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신호수신장치(105)와 매장단말(110)(예컨대, 매장 내 CAT, POS, 컴퓨터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신호수신장치(105)의 기능과 매장단말(11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신호수신장치(105)와 매장단말(110)이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귀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코드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코드정보는 고유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일회용 인증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통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와 통신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매핑하여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 및/또는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서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주문하고 결제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한 서버를 통해 상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운영서버(400)가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하나의 저장매체에 매핑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상기 고유코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선주문 결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선주문 결제한 사용자가 상기 시가잭장치(200) 및 무선단말(300)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이 존재하는지 인증하고, 상기 선주문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코드와 선주문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코드정보의 고유코드와 매핑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사용자 조작(예컨대, “확인” 버튼 클릭 또는 등록된 PIN 입력/인증 등)을 근거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게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제1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할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규칙(예컨대,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씨드와 매칭되는 씨드 값과 상기 칩모듈(230)에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코드생성알고리즘과 매칭되는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설정하여 저장하며,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검증코드(예컨대, 인증규칙에 포함되어 저장된 씨드 값과 동적 결정된 씨드 값을 인증규칙에 대응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생성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증코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하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지정된 인증서버(예컨대, OTP인증서버 등)를 통해 인증받기 위해 인증규칙(예컨대, 인증서버정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 인증을 위해 인증서버로 제공할 정보 셋트 등)를 설정하여 저장하며,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인증규칙을 이용하여 지정된 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서버를 통해 인증된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또는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한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된 후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를 하나 이상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가잭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시가잭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시가잭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가잭장치(200)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내장하여 제작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20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205), 상기 공급된 외부의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10), 상기 차량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15), 상기 칩모듈(230)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225),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 중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위한 커넥터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전원 공급부(205)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차량의 시가잭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 변환부(210)는 상기 차량 전원을 USB 전원(예컨대, DC 5V) 및/또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원 충전부(215)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및/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된 충전 전원은 상기 시가잭장치(200)가 차량의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가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최대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가 차량의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차량 차체의 금속재질 또는 창문의 유리재질(특히 자외선차단 필름을 장착한 유리재질)에 의한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200)가 차량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거나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커넥터부(220)는 상기 칩모듈(230)과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간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20)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USB 전원으로 변환된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커넥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조작부(225)는 시가잭장치(200)에 탑재되어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의 조합)의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225)는 기본적으로 ‘On’ 또는 ‘Off’의 동작을 조작(또는 토글)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미리 지정된 조작 패턴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On’ 또는 ‘Off’의 조작을 반복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으로 길게 ‘On’ 또는 ‘Off’의 조작을 구현하거나,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이 포함된 경우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을 동시 조작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는 등의 다양한 조작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조작 패턴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245)와, 상기 RF 처리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23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칩모듈(23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250), 메모리부(240) 및 RF 처리부(245)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가잭장치(200) 내에 칩모듈(23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25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5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칩모듈(23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또는 칩모듈(230))의 제작 시(또는 최초 동작 시,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고유코드 저장 전 동작 시), 상기 시가잭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대한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RF 처리부(245)는 안테나부를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과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페어링 하지 않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의 근거리통신장치 중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RF 처리부(24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USB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220)에 구비된 USB 커넥터(예컨대, D+ 및/또는 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은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USB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로 하여금 상기 칩모듈(230)을 검출하고 USB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USB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220)의 USB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부(220)에 무선단말(300)이 연결되더라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 식별부(255)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하며, 상기 USB 통신부(235)를 통해 상기 커넥터부(220)에 케이블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한 사용자 조작 시), 상기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245)가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부(25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USB 통신부(235)와 연동하여 상기 커넥터부(220)에 케이블 연결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커넥터부(220)와 케이블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통신 연결부(260)라고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65)를 구비하고,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270)와,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280)를 구비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코드정보 중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처리부(265)는 상기 통신 연결부(260)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의 코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한다. 만약 상기 칩모듈(230)이 상기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3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이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65)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전송할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75)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상기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코드 전송부(290)를 구비하며,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 요청을 확인하는 요청 확인부(28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처리부(265)는 상기 통신 연결부(260)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코드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청 확인부(285)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코드요청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요청 확인부(285)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3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이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을 포함하는 코드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확인부(28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 요청이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칩모듈(230) 내에 설정된 동작 절차에 따라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3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이 운영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또는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호 송출부(280)를 통해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에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되는 경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전송할 일회용 인증코드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전송부(290)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확인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칩모듈(230)에서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고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2)와 메모리부(320)와 화면 출력부(304)와 사용자 입력부(306)와 사운드 처리부(316)와 케이블 통신부(3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근거리망 통신부(312)와 무선망 통신부(314)와 USIM 리더부(318)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316)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는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와이파이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의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상기 와이파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3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18)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3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프로그램(3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무선단말(300)의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칩모듈 식별부(33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를 구비한다.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칩모듈(230)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칩모듈(230)에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조작부(225)를 통한 사용자 조작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가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식별부(330)를 통해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를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칩모듈 연결부(335)라고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칩모듈 통신부(340)를 구비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관리하는 칩모듈 관리부(345)를 구비한다.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를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를 설정 받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포함된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포함된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350)와, 상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송출하는지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355)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인식부(35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한다.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근거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인식부(350)를 통해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와 매칭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매칭을 위해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매칭 인증을 위한 인증규칙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인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각종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각종 서비스에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에 등록 요청하는 등록 요청부(360)와, 상기 운영서버(400)에 등록된 고유코드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등록 확인부(365)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최초 실행(또는 고유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MAC 등) 및/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앱식별값, 디바이스토큰, 푸시토큰, UUID, UDID 등)를 확인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제공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하고 상기 무선단말(300)을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정보와 상기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를 통해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식별되거나, 및/또는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본인이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고유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등록 요청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의 고유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고유코드와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고유코드가 등록된 경우, 상기 등록 확인부(365)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등록 확인부(36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통신하여 상기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인식부(35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등록 확인부(365)는 상기 등록 요청부(36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고유코드를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도록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록 확인부(365)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를 통해 변경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통신하여 상기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인식부(35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실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가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등록 확인부(365)는 상기 등록 요청부(36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등록된 고유코드를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와 매칭되도록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록 확인부(365)와 등록 요청부(360)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코드는 매칭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또는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할 보안매체를 구비한 서버로 직접 전송)하여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또는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된 결제수단정보는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등록 요청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할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인증규칙의 적어도 일부 정보(예컨대, 씨드 값)를 설정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제공하여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제공받은 일부 정보 및/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할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인증규칙을 구성하여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처리하는 선주문 처리부(370)와, 상기 선주문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결제 절차부(37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가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등록하는 선주문 등록부(3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주문을 처리하는 선주문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는 지정된 운영서버(400)로부터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주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출력(또는 해당 프로그램(325)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선주문정보를 입력 처리하고, 상기 입력된 선주문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또는 운영서버(400)와 연계된 선주문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주문 처리부(370)를 통해 수해오디는 선주문 절차를 근거로 선주문 결제정보(예컨대, 결제금액정보, 주문상품정보, 결제가맹점정보, 매장관련정보 등)가 생성되며,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는 상기 결제 절차부(375)로 제공된다.
상기 결제 절차부(375)는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절차부(375)는 상기 등록 요청부(360)를 통해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부(37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앱 중에서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결제 앱을 구동시킨 후(또는 서버를 통해 원격 구동되는 경우 생략 가능), 상기 구동된 결제 앱으로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를 제공(또는 서버에서 결제 앱으로 선주문 결제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생략 가능)함으로써, 상기 선주문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한 서버를 통해 상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주문 등록부(380)는 상기 선주문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선주문 결제 처리 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상기 처리된 선주문 결제와 연계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주문 등록부(38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와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연계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한 서버를 통해 상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등록 요청부(360)를 통해 등록된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획득하는 인증코드 획득부(390)와, 상기 운영서버(400)로 상기 확인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인증 요청부(39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8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코드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385)는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385)를 통해 상기 요청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코드 획득부(390)는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획득(예컨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요청정보와 무관하게 지정된 사용자 조작(예컨대, “확인” 버튼 클릭 또는 등록된 PIN 입력/인증 등)을 근거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획득(예컨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 획득부(39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요청부(395)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400)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소정의 PIN이 등록된 경우, 상기 인증 요청부(395)는 상기 PIN을 입력받고,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입력된 PIN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게 처리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에 대하여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를 통해 수령하도록 운영하는 운영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300)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선주문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신호수신장치(105)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경우 상기 오프라인 매장으로 하여금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상기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운영서버(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운영서버(4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400)는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과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인식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와 지정된 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등록 처리부(405)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규칙을 설정하는 인증규칙 설정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MAC 등) 및/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앱식별값, 디바이스토큰, 푸시토큰, UUID, UDID 등)를 확인하여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 상기 등록 처리부(405)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운영서버(400) 내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400)와 연동하는 별도의 DB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등록 처리부(405)는 지정된 경로(예컨대,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에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등록 요청하면, 상기 등록 처리부(405)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록 처리부(405)는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 처리부(405)는 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된 결제수단정보는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인증규칙 설정부(41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 암호알고리즘과 암호 대상 정보, 서명알고리즘과 서명 대상 정보, 운영서버(400)에서 생성하여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제공한 정보 등)을 설정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규칙의 적어도 일부 정보(예컨대, 씨드 값)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는 선주문 결제 확인부(415)와,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 확인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하는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를 구비한다.
상기 선주문 결제 확인부(41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수행되는 선주문 결제에 개입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를 처리하는 별도의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선주문 결제를 처리하는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선주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선주문 결제 확인부(415)를 통해 상기 선주문 결제 확인 시,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는 상기 선주문 결제에 이용된 무선단말(300)을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는 상기 선주문 결제를 처리한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등록 처리부(4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고유정보와 연계 등록된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는 상기 확인된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토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가 상기 선주문정보와 고유코드를 하나의 저장매체에 매핑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주문 결제 등록부(42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상기 고유코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선주문 결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저장하더라도 무방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정보를 수신하는 코드정보 수신부(42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증하는 인증코드 인증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중에 상기 시가잭장치(200)와 지정된 유효 범위 내의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코드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며, 상기 코드정보 수신부(425)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코드 인증부(430)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핑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확인하는 단말 측 확인부(435)와, 상기 확인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인증정보 요청부(44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인증정보 수신부(445)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인증정보 인증부(4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 측 확인부(435), 인증정보 요청부(440), 인증정보 수신부(445) 및 인증정보 인증부(450) 등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상기 단말 측 확인부(435)는 상기 등록 처리부(40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된 고유코드와 고유정보의 매핑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핑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정보 요청부(440)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요청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에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요청부(44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인증정보 수신부(4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PIN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인증부(45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일회용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인증정보에 PIN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인증부(450)는 상기 PIN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 결제가 존재하는지 인증하는 선주문 결제 인증부(455)와, 상기 선주문 결제를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제공하는 인증결과 처리부(460)를 구비한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상기 선주문 결제 인증부(455)는 ,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 결제가 존재하는지 인증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주문 결제 인증부(455)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460)는 상기 선주문 결제를 인증한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제공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460)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서버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상기 선주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460)는 상기 선주문 결제를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 또는 상기 별도의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가잭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전원 공급에 의해 지정된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500),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비동기 무선신호의 송출 여부를 확인한다(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전원 공급과 동시에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에 구비된 조작부(225)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지시에 의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한다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확인한다(510).
만약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코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외부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며(515), 만약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되(520), 상기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차량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강도를 증폭(예컨대, 최대 증폭 또는 기 설정된 수치까지 증폭)시켜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한다(52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6은 편의상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가잭장치(200)와 사용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실시예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시가잭장치(200)의 동작 중에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예컨대, 페어링 절차 등)를 수행하며(605),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도 근거리에 존재하는 근거리통신장치 중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05).
만약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이 식별되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610), 이후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도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615).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며(6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도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620).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625). 만약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를 설정한다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도록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비동기 무선신호의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30).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유코드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MAC 등) 및/또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앱식별값, 디바이스토큰, 푸시토큰, UUID, UDID 등)를 확인하여 지정된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하며(70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05).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결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710), 및/또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710), 사용자가 무선단말(300)을 통해 입력하는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한다(710).
만약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운영서버(400)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의 고유코드를 등록 요청하며(71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를 수신하고(720),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의 고유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25).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더 송출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4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한 선주문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가 소유한 무선단말(300)을 통해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주문하여 결제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선주문 내지 결제하기 위한 선주문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800). 만약 상기 선주문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선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주문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며(81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선주문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운영서버(400)로 상기 결제 완료된 선주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815).
한편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한 선주문 내지 결제 절차에 개입하거나 및/또는 상기 선주문 내지 결제를 처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한 선주문 결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선주문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한 선주문 결제를 확인한다(810).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한 선주문 결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결제에 이용된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 대한 고유코드를 확인한다(83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 결제에 이용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고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매핑된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 결제를 처리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제공받는다(82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선주문한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의 고유코드를 상기 확인된 선주문 결제(또는 선주문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835).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를 통해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가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시가잭장치(200)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운영서버(400)로 전송하면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코드정보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비동기 무선신호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가 상기 도면5와 같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면서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한다(900).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가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하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인식된 코드정보를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고(905),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부터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한다(910). 한편 상기 수신된 코드정보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본 발명에 제1 또는 제2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증 처리할 수 있다(915).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운영서버(400)로 제공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고 제공받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시가잭장치(200)에서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인식하여 운영서버(400)로 제공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도면7의 과정을 통해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매핑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확인한다(100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요청하고(10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운영서버(40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 요청을 확인하고(1010),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획득한다(1015).
만약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은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고(1020),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수신한다(1025). 상기 운영서버(4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인증코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한다(1030).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주문 결제한 상품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인식한 코드정보가 수신/인증되거나, 및/또는 상기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주문 결제를 인증하여 상기 코드정보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주문 상품을 제공하게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에서 인식한 코드정보가 수신/인증되거나, 및/또는 상기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200)에서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코드정보의 고유코드와 연계된 사용자의 선주문 결제를 인증하거나(1100), 또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한다(1100). 만약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 결제가 인증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선주문 결제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1105),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 결제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110).
만약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 결제가 인증되거나 또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로 상기 선주문 결제 인증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를 제공하거나(1115), 또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제공하고(1115),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선주문 결제 인증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1120),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120). 이후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100)는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300)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125), 이로써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유한 사용자는 자신의 무선단말(300)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선주문 결제한 후 상기 시가잭장치(200)를 소지한 상태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100 :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 200 : 시가잭장치
230 : 칩모듈 300 : 무선단말
400 : 운영서버 405 : 등록 처리부
410 : 인증규칙 설정부 415 : 선주문 결제 확인부
420 : 선주문 결제 등록부 425 : 코드정보 수신부
430 : 인증코드 인증부 435 : 단말 측 확인부
440 : 인증정보 요청부 445 : 인증정보 수신부
450 : 인증정보 인증부 455 : 선주문 결제 인증부
460 : 인증결과 처리부

Claims (19)

  1.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선주문 결제와 연계되도록 저장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을 인증한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가잭장치는,
    상기 시가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을 고유 식별하여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가잭장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 간 페어링(Pairing)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 간 케이블 통신 기반의 양방향 케이블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시가잭장치로부터 근거리로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 수신됨과 동시에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시가잭장치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인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을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연계 등록된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시가잭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시가잭장치에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에 설정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에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로 제공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접근한 시가잭장치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획득된 코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선주문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는, 상기 선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선주문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상기 시가잭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7. 제 1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코드정보에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19.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다중 구비한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장치와 근거리에서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통해 선주문 결제 시 상기 선주문 결제된 선주문정보와 상기 사용자 소유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 가능한 상기 시가잭장치의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매핑 저장하는 제1 단계; 및
    사용자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시가잭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한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부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획득된 코드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연계된 선주문정보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장치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1020160065377A 2016-05-27 2016-05-27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77A KR20170134860A (ko) 2016-05-27 2016-05-27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77A KR20170134860A (ko) 2016-05-27 2016-05-27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60A true KR20170134860A (ko) 2017-12-07

Family

ID=6092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77A KR20170134860A (ko) 2016-05-27 2016-05-27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8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1745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20170001870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통행료 고속 결제 방법
KR20170134884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110298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60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065719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58A (ko) 별도의 신호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80056496A (ko)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88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20170134922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통행료 고속 결제 방법
KR20180056495A (ko) 블랙박스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54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주유 결제 방법
KR20170065717A (ko) 별도의 신호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034973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20180056466A (ko) 블랙박스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70134892A (ko) 공유자 무선단말을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70134895A (ko) 공유자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역방향 파커 공유 방법
KR20180110297A (ko)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선주문 상품 수령 방법
KR20170134885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70134852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20170026796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004361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26795A (ko) 근거리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00658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73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