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384B1 -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384B1
KR101730384B1 KR1020160000754A KR20160000754A KR101730384B1 KR 101730384 B1 KR101730384 B1 KR 101730384B1 KR 1020160000754 A KR1020160000754 A KR 1020160000754A KR 20160000754 A KR20160000754 A KR 20160000754A KR 101730384 B1 KR101730384 B1 KR 10173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sludge
unit
guid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Priority to KR102016000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왕복운동력을 스크레퍼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왕복운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지의 일단측에 형성된 슬러지피트 방향과 슬러지 피트의 반대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피트로 이송시켜 수집하는 스크레퍼부; 상기 슬러지 피트의 반대측 방향인 침전지 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일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1 브릿지부; 및 상기 슬러지 피트측 침전지 바닥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타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2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브릿지부가 스크레퍼부의 양측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가이드하여 스크레퍼부의 안정적인 동작과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아울러 스크레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지 수집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Wedge Type 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침전지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교란 없이 안정적으로 슬러지 피트로 이송처리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에서는 오폐수의 정화를 위해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중 물리적 처리는 침전지 등을 이용하여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Sludge)를 침전시켜 물과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 수집기의 스크레퍼부를 통해 슬러지 피트로 이송되어 수집된 후 개폐밸브 등의 구동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종래 슬러지 수집기의 스크레퍼는 다수의 프로파일(profile)이 플랫바 기초 위에 일정간격으로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된 다음 침전지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위에 전,후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레퍼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침전지 바닥에 침강된 슬러지를 단계별로 이송시켜 슬러지 피트에 수집한다. 즉, 스크레퍼가 전진할 때 바닥의 슬러지가 프로파일에 이끌려 슬러지 피트 방향으로 이송되고, 스크레퍼가 후진할 때 프로파일 후방에 있는 슬러지가 프로파일의 상부를 넘어 전방으로 넘어가게 되며, 전방으로 넘어온 슬러지는 프로파일의 전진시 슬러지 피트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의 스크레퍼는 침전지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랫바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프로파일이 고정되어 있고, 프로파일의 상면 중앙에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풀로드가 연결되어 있어서 스크레퍼의 왕복운동시 가이드레일에만 지지되어 이동되고 있기 때문에 슬러지의 수집부하시 스크레퍼의 왕복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스크레퍼의 왕복운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면 침전 슬러지가 수중으로 부상되어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스크레퍼를 손상시키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 - 2011- 0060878(공개일 2011. 06. 08)
한국등록특허: 10 - 0314498 (공고일 2001. 11. 15)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레퍼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동으로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교란없이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는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왕복운동력을 스크레퍼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왕복운동력을 전달받아 침전지의 일단측에 형성된 슬러지 피트측 방향과 슬러지 피트의 반대측 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피트로 이송시키는 스크레퍼부; 상기 슬러지 피트의 반대측 방향인 침전지 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일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1 브릿지부; 및 상기 슬러지 피트측 침전지 바닥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타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2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퍼부는 침전지 바닥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상면에 상기 플랫바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들의 상면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왕복운동력으로 상기 프로파일을 왕복운동시키는 풀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릿지부는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풀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브릿지부는 침전지 바닥에 고정되어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풀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브릿지부의 연결관은 상기 풀로드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과 풀로드는 연결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과 풀로드에는 상기 프로파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의 길이는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운동시 연결관이 가이드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레퍼부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크레퍼부에는 상기 프로파일들을 연결하여 결속을 보강하는 보강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은 슬러지를 수집하는 수집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의 슬러지를 전면으로 월류시키는 월류면이 완만한 곡선의 경사면 즉, 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링크암과, 일 모서리가 상기 링크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모서리가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축 결합되어 상기 링크암의 동작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퍼부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암의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로 유동되어 상기 스크레퍼를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레퍼부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브릿지부가 스크레퍼부의 양측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가이드하여 스크레퍼부의 안정적인 동작과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아울러 스크레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지 수집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파일의 수집면에 형성된 곡면이 슬러지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고 수집면에 수집되는 슬러지는 수집면의 곡면을 타고 진행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슬러지가 상부로 부상되지 않게 되고, 곡선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익형의 월류면이 후방의 슬러지를 프로파일의 전방으로 부드럽게 넘기게 되어 월류되는 슬러지가 부상되거나 비산되지 않게 됨으로써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에서 침전지 바닥에 설치된 스크레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에서 프로파일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에서‘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제 1 브릿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5은 도 2의 평면도에서‘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제 2 브릿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C-C’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것으로,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부릿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가 경사진 측벽의 침전지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고, 도 2를 참고로 하여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의 스크레퍼부를 설명하며, 도 3을 참고로 하여 프로파일을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제 1 브릿지와 제 2 브릿지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는 크게 구동부(100)와, 동력전달부(200)와, 스크레퍼부(300)와, 제 1 브릿지부(400)와, 제 2 브릿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구동부(100)는 침전지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러지 수집기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왕복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구동부(100)는 왕복 직선운동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되거나,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통상의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0)는 필요에 따라 스크레퍼부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200)는 구동부(100)에서 발생되는 왕복운동력을 스크레퍼부(30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부(100)에 연결되는 링크암(210)과, 링크암에 연결되는 회전암(220)과, 회전암(220)에 연결되는 작동로드(230)를 포함한다.
링크암(210)은 구동부(100)와 연결되고 구동부(10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회전암(220)은 제 1, 제 2, 제 3 암(221,222,223)이 삼각형 형상으로 연결되고, 제 1 암(221)과 제 2 암(222)의 연결부가 링크암(21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암(221)과 제 3 암(223)의 연결부가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24)에 축(225) 결합되며, 제 2 암(222)과 제 3 암(223)의 연결부가 작동로드(2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동력전달부(200)는 구동부(10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링크암(210)의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암(220)이 축(22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암(220)에 연결되는 작동로드(230)는 회전암(220)의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로 유동하여 작동로드(230)와 연결된 스크레퍼부(300)를 왕복운동시킨다.
스크레퍼부(300)는 침전지의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침전지 바닥의 일측에는 슬러지가 수집되는 슬러지 피트(P)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침전지 바닥에서 슬러지 피트(P)가 있는 부분을 전방, 슬러지 피트(P)의 반대측 편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레퍼부(300)는 동력전달부의 작동로드(230)와 연결되는 풀로드(310)와, 풀로드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프로파일(320)들과, 프로파일들의 저면에 결합되고 침전지 바닥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로파일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플랫바(330)로 구성된다.
먼저, 침전지 바닥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340)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40)은 바닥 면적 및 스크레퍼부의 크기에 따라 스크레퍼부의 원활한 왕복운동을 위해 3열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면에 접촉되는 프로파일(320)과의 접촉부하를 줄여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폴리에틸렌(HDPE)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40)들에는 플랫바(3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플랫바(330)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프로파일(320)들이 고정된다.
프로파일(320)은 플랫바(330)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플랫바(3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프로파일들 간의 거리는 약 650mm를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320)은 슬러지를 수집하는 수집면과 후방의 슬러지를 전면으로 월류시키는 월류면이 형성되는 웨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집면은 수직벽을 따라 내부로 요입된 곡면이 형성되고, 월류면은 완만한 곡선의 경사면 즉, 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로파일(320)의 상면에는 프로파일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풀로드(310)가 결합되고, 풀로드(310)의 일단부는 동력전달부의 작동로드(230)와 연결된다.
그리고, 프로파일(320)들을 마름모 형태로 연결하여 결속을 보강하는 보강빔(3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브릿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5은 제 2 브릿지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부릿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브릿지부(400)는 일단이 슬러지 피트(P)의 반대측 방향인 침전지 측벽 즉 침전지 후방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크레퍼부의 풀로드(3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레퍼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 1 브릿지부(400)는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0)와, 고정플레이트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바(420)와,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스크레퍼부의 풀로드(310)와 결합되어 스크레퍼부(30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30)은 풀로드(3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연결관(430)과 풀로드(310)를 잇는 연결편(440)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연결관(430)과 풀로드(310)에는 프로파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편(450)이 구비된다. 즉, 지지편(450)은 프로파일(320)을 연결관(430)과 풀로드(3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프로파일(320)의 결합력을 보강시킨다.
그리고, 연결관(4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20)의 길이는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시 연결관(430)이 가이드바(4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레퍼부(300)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브릿지부(500)는 일단이 슬러지 피트(P)측 침전지 바닥 즉, 침전지 전방 측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크레퍼부의 풀로드(3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크레퍼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크레퍼부(3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제 2 브릿지부(500)는 침전지 바닥에 고정되어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플랜지(510)와, 지지플랜지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가이드바(520)와,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스크레퍼부의 풀로드와 결합되어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30)은 풀로드(3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연결관(530)과 풀로드(310)를 잇는 연결편(540)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더하여 연결관(530)과 풀로드(310)에는 프로파일(3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편(550)이 구비된다. 즉, 지지편(550)은 프로파일(320)을 연결관(530)과 풀로드(3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프로파일(320)의 결합력을 보강시킨다.
그리고, 연결관(5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520)의 길이는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시 연결관(530)이 가이드바(5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레퍼부(300)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는 침전지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100)가 구동하여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면 구동부(100)와 연결된 링크암(210)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한다.
그리고, 링크암(210)에 연결된 회전암(220)이 링크암(210)의 동작에 연동되어 축(225)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암(220)에 연결되는 작동로드(230)가 회전암(220)의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로 유동하면서 스크레퍼부의 풀로드(310)를 당겼다 밀었다 하게 된다. 즉, 스크레프부(300)는 작동로드(230)가 풀로드(31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침전지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전진되고, 작동로드(230)가 풀로드(310)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가이드레일(340)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때, 스크레퍼부(300)의 후진속도는 전진속도의 약 2배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스크레퍼부(300)의 이동거리는 약 700mm ∼ 800mm 이동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스크레퍼부(300)는 왕복이동시 스크레퍼부(300)의 전,후 양측에 구비된 제 1 브릿지부(400)와 제 2 브릿지부(50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스크레퍼부(300)는 침전지 바닥 전체에 폭 넓게 설치되는 반면 풀로드(310) 일단에 연결된 작동로드(230)의 유동에 의해 왕복 운동되기 때문에 스크레퍼부(300)의 왕복이동이 안정적이지 못하거나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제 1 브릿지부(400)와 제 2 브릿지부(500)는 스크레퍼부의 풀로드(310) 양측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가이드하여 스크레퍼부(300)의 안정적인 동작과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스크레퍼부(300)의 안정적인 이동과 함께 풀로드(310)의 저면에 고정된 다수의 프로파일(320)들은 풀로드(310)의 전진시 곡면이 형성된 웨지형의 수집면(321)이 침전지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밀어 슬러지 피트(P)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수집면(321)에 형성된 곡면이 슬러지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고, 수집면에 수집되는 슬러지는 수집면의 곡면을 타고 진행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슬러지가 상부로 부상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러지의 교란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수집효율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풀로드(310)의 후진시 프로파일(320)은 익형의 월류면(322)의 경사진 하단부가 후방에 있는 슬러지층 밑으로 파고들어가 후방에 있는 슬러지를 프로파일의 전방으로 월류시킨다. 이때, 전방으로 월류되는 슬러지는 곡선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익형의 월류면(322)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 상부로 부상되거나 비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의 측벽이 수직 형태이거나 경사진 형태를 갖더라도 스크레퍼부의 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브릿지부와 제 2 브릿지부가 스크레퍼부의 풀로드 양측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가이드하여 스크레퍼부의 안정적인 동작과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아울러 스크레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지 수집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파일의 수집면에 형성된 곡면이 슬러지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고, 수집면에 수집되는 슬러지는 수집면의 곡면을 타고 진행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슬러지가 상부로 부상되지 않게 되며, 곡선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익형의 월류면이 후방의 슬러지를 프로파일의 전방으로 부드럽게 넘겨 월류되는 슬러지가 부상되거나 비산되지 않게 되어 슬러지의 수집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지의 측벽이 수직 형태이거나 경사진 형태를 갖더라도 적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구동부 200: 동력전달부
210: 링크암 220: 회전암
221,222,223: 제 1 암,제 2 암,제 3 암 224: 지지부재
225: 축 230: 작동로드
300: 스크레퍼부 310: 풀로드
320: 프로파일 321: 수집면
322: 월류면 330: 플랫바
340: 가이드레일 350: 보강빔
400: 제 1 브릿지부 410: 고정플레이트
420: 가이드바 430: 연결관
440: 연결편 450: 지지편
500: 제 2 브릿지부 510: 지지플랜지
520: 가이드바 530: 연결관
540: 연결편 550: 지지편

Claims (11)

  1. 왕복운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왕복운동력을 스크레퍼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침전지 바닥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랫바와, 상기 플랫바의 상면에 상기 플랫바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하는 다수의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들의 상면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왕복운동력으로 상기 프로파일을 왕복운동시키는 풀로드로 구성되어 침전지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침전지의 일측에 형성된 슬러지 피트로 이송시켜 수집하는 스크레퍼부; 상기 슬러지 피트의 반대측 방향인 침전지 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일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1 브릿지부; 및 상기 슬러지 피트측 침전지 바닥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타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제 2 브릿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브릿지부는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풀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릿지부는 침전지 바닥에 고정되어 일정높이를 갖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이 상기 스크레퍼부의 풀로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과 풀로드에는 상기 프로파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의 길이는 상기 스크레퍼부의 왕복이동시 연결관이 가이드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크레퍼부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부에는 상기 프로파일들을 연결하여 결속을 보강하는 보강빔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슬러지를 수집하는 수집면과 후방의 슬러지를 전면으로 월류시키는 익형의 월류면이 형성되되, 상기 수집면은 수직벽을 따라 내부로 요입된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익형의 월류면은 완만한 곡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링크암과, 일 모서리가 상기 링크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모서리가 침전지 측벽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축 결합되어 상기 링크암의 동작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스크레퍼부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암의 회전에 따라 일정각도로 유동되어 상기 스크레퍼를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레퍼부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KR1020160000754A 2016-01-05 2016-01-05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KR10173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54A KR101730384B1 (ko) 2016-01-05 2016-01-05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54A KR101730384B1 (ko) 2016-01-05 2016-01-05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384B1 true KR101730384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754A KR101730384B1 (ko) 2016-01-05 2016-01-05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57B1 (ko) * 2021-07-06 2021-12-01 주식회사 가온텍 링크타입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CN115228150A (zh) * 2022-06-16 2022-10-25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分隔式刮泥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476A1 (en) 2001-03-02 2002-09-05 Philemon Wang Scrap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47285B1 (ko) * 2010-12-30 2011-07-07 (주) 디아이엔바이로 슬러지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476A1 (en) 2001-03-02 2002-09-05 Philemon Wang Scrap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47285B1 (ko) * 2010-12-30 2011-07-07 (주) 디아이엔바이로 슬러지 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57B1 (ko) * 2021-07-06 2021-12-01 주식회사 가온텍 링크타입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CN115228150A (zh) * 2022-06-16 2022-10-25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分隔式刮泥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956B1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시스템
KR101773023B1 (ko) 스컴 제거장치
KR101730384B1 (ko)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CN211863980U (zh) 矩形沉淀池刮泥及排渣设备
KR101247531B1 (ko) 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 제거 시스템과 이에 이용되는 스컴 스키머
MXPA06013744A (es) Metodo y disposicion para remocion de impurezas superficiales.
CN1935624A (zh) 浮力立瓶式理瓶机
KR100253901B1 (ko) 스컴제거장치
CN101337137A (zh) 一种往复接力式刮泥方法和刮泥机
KR102123066B1 (ko) 장방형 침전지의 수압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왕복형 슬러지 수집기
KR100937483B1 (ko) 사이폰식 슬러지수집기의 스컴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736057B1 (ko) 웨지형 슬러지 수집기
KR100314498B1 (ko) 침전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장치
JP6308937B2 (ja) 沈殿物掻き寄せ機、および沈殿物掻き寄せ方法
KR101445342B1 (ko) 직접흡입식 슬러지 제거장치
KR20190056461A (ko) 후렙형 슬러지 수집기
KR20130018693A (ko) 슬러지의 운반 장치
KR20120050588A (ko) 모노레일형 다단식 슬러지 수집기
CN201940086U (zh) 不翻板型单轨式刮泥机
CN210278354U (zh) 沉淀池清洗机构
CN214614294U (zh) 一种曲线捞泥止淤机
KR100807341B1 (ko) 다익슬라이딩 슬러지수집장치
JP2012148261A (ja) 沈澱物除去装置
KR200460499Y1 (ko) 슬러지 수집용 수중대차
KR100430673B1 (ko) 일정피치형 슬러지 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