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398B1 -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 Google Patents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398B1
KR101729398B1 KR1020150087593A KR20150087593A KR101729398B1 KR 101729398 B1 KR101729398 B1 KR 101729398B1 KR 1020150087593 A KR1020150087593 A KR 1020150087593A KR 20150087593 A KR20150087593 A KR 20150087593A KR 101729398 B1 KR101729398 B1 KR 10172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joint
proximal
angl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238A (ko
Inventor
이영철
이주동
이규창
장광주
강영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3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5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스텐트(100)의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 (20) 에 관절(10)이 형성되어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가능하여 혈전의 압착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혈류 재개통의 효율을 증진한다.
본발명은 또한 기구의 회수시 수축을 가능하게 하여 혈관벽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기구를 회수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Stent Device Capable of Voluntary Expansion-Collapse Control for Thrombus Retrieval and Flow Restoration}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 중뇌동맥, 전뇌동맥, 후뇌동맥 등을 포함한 뇌목동맥, 관동맥 등 심장동맥, 폐동맥, 기타 말초 및 사지 부위의 동맥, 이와 상응하는 정맥의 혈전 또는 협착 부위에 설치되거나 편 상태에서, 혈관을 협착 또는 폐색하고 있는 혈전을 흡입하거나 부착하여 체외로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용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에 삽입한 후 팽창하여, 혈류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혈관내 기구이다.
종래 혈관용 스텐트는 대부분 좁아진 혈관 부위에 삽입된 후 원통 형상으로 팽창되어, 협착 또는 폐색을 치료하며 혈관내에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반면, 혈전제거와 혈류 재개통을 위한 혈관내 기구는 스텐트 모양 또는 기타의 형상을 지니며, 혈관의 병변 부위에 펼쳐져서 혈관을 막은 혈전을 끄집어 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뇌동맥 및 경동맥, 척추기저동맥, 심장의 관동맥, 페동맥, 사지의 말초 동맥,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정맥 내의 혈전 또는 이물을 제거하고 혈류를 재개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0974호에는 원통망상구조로 혈전으로 인하여 폐색 또는 협착된 혈관부위에 인공적으로 혈관의 내강을 확보해 주는 스텐트부와, 상기 스텐트부를 혈관내에 장치하였다가 제거 시 유동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선단으로 갈수로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협관부와, 상기 협관부의 원뿔형 망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협관부의 선단에서 집속된 선재들 중 하나의 선재로부터 펼쳐지면서 첨단부에 후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나의 선재 이외에는 레이저 절단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협관부의 선단에서 연장하여 부착되면서 첨단부에 후크부가 형성된 선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협관부는 상기 원통망상구조의 스텐트부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짧게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부, 협관부 및 연장부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스테인레스와 형상기억 합금인 나이티놀로부터 선택된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개선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38975호에는 길이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스텐트로서, 전체적으로 양측 끝단이 개방된 그물망 모양의 원통 형상을 이루되, 사선으로 배열되어, 팽창 후 클로즈드 셀이 나선형태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상기 클로즈드 셀을 이루는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복수의 스트럿 중 서로 인접하는 스트럿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복수의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트럿과 상기 링크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나선형태로 확장된 각각의 스트럿들은 사선의 S 자형을 이루는 스텐트가 공개되어 있다.
시술시 지름이 큰 유도도관을 경동맥 또는 척추동맥, 관동맥, 말초동맥 등의 입구에 먼저 삽입한 후, 상기 유도도관 내부에 미세도관을 넣으며, 미세도관과 미세철선을 이용하여 혈전으로 폐색된 목표혈관 부위를 통과시킨다. 미세도관으로써 목표혈관 구간을 통과시킨 다음, 미세철선을 제거하고, 미세도관내에 본 기구를 삽입하고 미세도관 내부에 있는 구간동안만을 밀어서 전진시킨다. 미세도관의 끝부분까지 본 기구가 전진된 다음, 본 기구의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미세도관을 천천히 후진하여 벗겨내면, 원통형의 스텐트 구조가 자가팽창되어 펼쳐지면서 혈전을 스텐트 구조물과 혈관벽 사이에 가둔다. 이때 혈전과 스텐트 구조물 사이의 접촉면에서 혈전의 부착이 발생한다. 스텐트 구조물을 철수하면서 부착된 혈전을 도관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수의적으로 조절되는 스텐트의 팽창으로 혈전은 압착(squeezing)되면서 일부 말랑말랑한 부분은 스텐트의 격자벽 사이로 삐져나오지만 대부분의 혈전은 스텐트벽과 혈관벽 사이에서 납작하게 됨. 압착에 의해 스텐트 표면에 혈전의 부착력이 증가할수 있으며, 스텐트 격자벽 사이에 낀 혈전을 감아 당길 때 제거 가능성이 높아짐. 스텐트의 팽창으로 인해 혈전에 의한 혈류 폐색이 해소되어 혈류는 즉각적으로 재개통된다. 만약 즉각적인 재개통후 다시 막히는 경우, 불충분한 스텐트의 팽창이나 스텐트 격자벽 사이의 혈전이 혈류의 중앙으로 끼어드는 경우 둘다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혈전제거용 스텐트는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이 되지않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스텐트가 자가팽창후 혈전을 혈관벽과 스텐트 사이에 속박하게 되나 불충분하게 속박되어 혈류 개통이 불충분하거나, 혈전과 스텐트의 부착이 불완전하여 혈전제거의 성공률이 만족스럽지 않았다. 혈전제거시 스텐트의 수축이 수의적으로 되지않아 혈관벽을 당기거나 긁게되어 지주막하 출혈 등의 위험성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혈전제거술은 자가팽창형 나이티놀 스텐트로서 팽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압착이 충분하지 않으며, 혈류 재개통의 정도도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직경을 증가(팽창) 또는 감소 작용(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팽창시 혈전의 속박이 확실하게 되고 혈류 재개통의 효율성을 증진시킬수 있으며, 스텐트 표면에 혈전이 압착되어 스텐트-혈전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제거를 위해 기구를 완전히 펼친채로 기구를 회수시, 기구의 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하여 혈관벽과의 접촉을 감소시켜 혈관벽의 긁힘이 최소화되어, 기구에 의한 혈관벽의 외상의 위험성이 감소되어,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지주막하 출혈, 뇌혈관 연축 등을 막을 수 있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을 위한 회수가 가능한 스텐트형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스텐트는 반복적인 구조의 철선이 교차하며, 관절을 이루는 축이 근위부와 원위부 끝에 있으며, 서로 연관되어 있고, 축의 각도 조절에 의해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이 조절되어 필요에 따라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이 조절되고, 혈전의 부착과 기구의 체외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술방법은 유도도관을 혈관을 통해 막힌 구간으로 위치시키고 유도도관 내로 본 기구를 진입시킨 다음, 유도도관 내에 있는 상태에서 목표 혈관에 마추어서 위치시킴. 유도도관을 벗겨내는 방식으로 본 기구를 목표혈관에 도달시키며, 수의적으로 스텐트형 기구를 팽창 또는 수축하여 혈전을 압착 또는 부착시키며, 팽창시 막힌 혈관에서 혈류를 즉각적으로 회복시킨다.
본 기구의 원통형 스텐트의 말단부(원위부)와 근위부에 다수의 관절이 존재하며, 한 덩어리로서 동작이 연동되어 있다.
관절의 각도가 둔각이 되면 스텐트의 직경은 증가하여 팽창하고, 관절의 각도가 예각이 되면 스텐트의 직경은 감소하여 수축한다. 관절은 스텐트의 근위부에 위치하며, 두 강선구조 중 하나에 연결된 조절철선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원통형 스텐트의 근위부는 기울어져서 삼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말단부는 원형, 근위부는 기울어진 타원형으로 지지 강선에 고정되어 있다.
기본을 이루는 구조적인 단위는 하나의 강선이 스텐트 말단부위에서 근위부까지 나선형의 진행을 하는 것이다.
이 하나의 단위는 각각의 근위부로 나선형으로 진행하면서 반대측면에서 교차하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동측면에서 다시 교차한다.
교차점에서 각도를 조절하면 원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차점의 예각인 각도가 증가하면 스텐트의 직경은 증가하고, 예각각도가 감소하면 스텐트 직경은 감소한다.
본 스텐트는 이 기본적인 단위가 여러 개가 존재하여 서로 얽히면서 교차점을 형성하고, 이러한 교차점이 예각각도의 변형에 의해 스텐트 직경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기본적 단위인 강선에 의해 교차점이 생성되는 여러 개의 column이 존재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6개의 column을 가질 때 다음과 같은 모습을 지닌다.
또한, 조절방식은, 교차점의 각도 조절에 의해 팽창과 조절이 조절된다.
교차점의 각도 조절은 가장 근위부의 기울어진 타원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마름모꼴에 조절을 위한 조절강선을 교차방향으로 삽입하며, 밀면 예각(collapse), 당기면 둔각(expansion)이 생성되게 작동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직경을 증가(팽창) 또는 감소 작용(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팽창시 혈전의 속박이 확실하게 되고 혈류 재개통의 효율성을 증진시킬수 있으며, 스텐트 표면에 혈전이 압착되어 스텐트-혈전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제거를 위해 기구를 완전히 펼친채로 기구를 회수하는 대신, 기구의 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하여 혈관벽과의 접촉을 감소시켜 혈관벽의 긁힘이 최소화되어, 기구에 의한 혈관벽의 외상의 위험성이 감소되어,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지주막하 출혈, 뇌혈관 연축 등을 막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측면과 방위도면 (전면의 wire는 실선, 후면의 wire는 점선 (점선은 보는 관점에서 가려져있는 뒷면을 표시))
도 2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배면도 (전면의 wire는 실선, 후면의 wire는 점선 (점선은 보는 관점에서 가려져있는 뒷면을 표시))
도 3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저면도
도 5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시와 수축시의 측면 비교도
도 6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의 조절 방식 도면
도 7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시의 기구의 평면, 측면, 저면 도면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스텐트(100)의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에 관절이 형성되어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은 두 가닥의 강선이 오른쪽(시계방향)과 왼쪽(반시계방향) 두 방향으로 나선형의 전개를 보이며,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다시 만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의 숫자는 다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100)의 Distal tip은 원통형 또는 기울어진 사선 모양인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은 서로서로 번갈아가며 상하로 엮여서 스텐트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의 관절의 움직임은 강선이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근위부 관절(20)의 각도 조절에 의해서 원위부 관절(10)의 각도 또한 동시에 조절되는 것으로, 원위부의 관절은 근위부의 관절과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인 경우 미세도관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직경의 미세철선이 되며, 둔각인 경우 원통형 스텐트로 변화하여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위부에 조절강선(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강선에 대해 조절강선이 당겨질 때 관절은 둔각이 되어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위부의 강선들에 조절을 위한 조절강선(12)을 설치하며, 좌우의 조절강선은 모여서 한줄이 되고, 원통형 기구의 지지강선위 에 모노레일 형태로 병렬로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강선이 스텐트 근위부에 있는 다수의 강선에 위치하여 고정 내지 붙잡고 있으며, 관절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강선은 좌우조절강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좌우의 조절강선이 모여 Y자 모양으로 합쳐지며, 지지강선 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강선의 전진은 관절의 각도를 예각으로, 후진은 관절의 각도를 둔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강선을 잡아당겨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둔각이 되면 스텐트형 기구는 팽창하고, 반대로 조절강선을 밀어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이 되면 기구는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측면과 방위도면, 도 2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배면도, 도 3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저면도, 도 5는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시와 수축시의 측면 비교도, 도 6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의 조절 방식 도면, 도 7은 본발명 팽창조절 스텐트의 팽창시의 기구의 평면, 측면, 저면 도면이다.
본발명은 스텐트를 수의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팽창을 하면 혈전이 스텐트와 혈관벽 사이에 속박되는 것으로, 수의적으로 조절되는 스텐트의 팽창으로 혈전은 압착(squeezing)되면서 일부 말랑말랑한 부분은 스텐트의 격자벽 사이로 삐져나오지만 대부분의 혈전은 스텐트벽과 혈관벽 사이에서 납작하게 된다. 압착에 의해 스텐트 표면에 혈전의 부착력이 증가할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텐트 격자벽 사이에 낀 혈전을 감아 당길 때 제거 가능성이 높아진다. 스텐트의 팽창으로 인해 혈전에 의한 혈류 폐색이 해소되어 혈류는 즉각적으로 재개통된다. 만약 즉각적인 재개통후 다시 막히는 경우, 불충분한 스텐트의 팽창이나 스텐트 격자벽 사이의 혈전이 혈류의 중앙부로 끼어드는 경우 둘다를 예상할 수 있음. 스텐트의 팽창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 이러한 불충분한 스텐트의 팽창을 해소할 수 있어 혈류의 재개통율이 증진된다.
본발명은 혈전제거와 혈류 재개통을 위한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가능한 스텐트 형태의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기구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을 위한 회수가 가능한 스텐트형 혈관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스텐트는 반복적인 구조의 철선이 교차하며, 관절을 이루는 축이 근위부와 원위부 끝에 있으며, 서로 연관되어 있고, 축의 각도 조절에 의해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이 조절되어 필요에 따라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이 조절되고, 혈전의 부착과 기구의 체외로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 스텐트(100)는 근위부와 원위부에 관절이 있어, 관절의 운동에 의해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가능하여, 혈전의 제거 및 혈류의 재개통의 효율과 안전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발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구는 실리콘이나 pet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탄성을 부여하여, 장해물이 있을시 탄성에 의해 휘어져서 뇌혈관을 상하지 않게 한다.
강선들을 접착하여 구성하거나 몸체와 일체화한다.
본 기구는 백금, 나이티놀 등의 합금으로 제작되나 합성수지로 전체를 제작할 수 있다.
스텐트를 수의적으로 팽창시키면 불충분한 스텐트의 팽창을 해소할 수 있다. 반대로 스텐트의 수의적인 수축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혈전제거를 위해 스텐트 기구를 당길 때, 팽창된 스텐트는 혈관벽과 접촉면이 넓으며 혈관벽의 열상(찢어질)의 위험도가 높다. 따라서 혈전제거를 위한 기구의 철수는 스텐트를 수축시켜 혈관벽과의 접촉을 줄이고 찢어질 가능성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시행한다.
혈전제거용 스텐트에 수의적인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다수의 관절 구조가 있으며, 이를 조절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스텐트 설치시 수의적인 팽창으로 즉각적인 혈류의 재개통이 보다 잘 일어나며, 스텐트 표면에 혈전의 부착이 용이해 진다. 스텐트 철수시 수의적인 수축으로 혈관벽의 접촉면이 감소하여 찢어질 위험성이 감소하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것이다.
한편, 본발명에서는 기본적인 구조는 두 가닥의 강선이 오른쪽(시계방향)과 왼쪽(반시계 방향) 두 방향으로 나선형의 전개를 보이며,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다시 만나 관절을 형성. 이러한 기본 구조는 강선의 개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원위부 말단이 평범한 원통형이 아니라 근위부의 비스듬한 원통형처럼 기울어진 사선 모양일수 있다.
또한, 시계방향 전개의 6개의 나선이 반시계방향의 6개 나선과 접점을 이루는 구조가 현 도안에서 제시되어 있음. 그러나 나선 또는 교차점이 이루는column의 개수는 6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인접한 강선은 서로서로 번갈아가며 상하로 엮여서 스텐트형 기구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의 관절의 움직임은 강선이 연결된 구조적 특성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근위부 관절의 각도 조절에 의해서 원위부 관절의 각도 또한 동시에 조절된다.
원위부의 관절은 근위부의 관절과 연동되어 있다.
예각인 경우 미세도관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직경의 미세철선이 되며, 둔각인 경우 원통형 스텐트로 변화하여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한다.
근위부에 조절강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강선에 대해 조절강선이 당겨질 때 관절은 둔각이 되어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한다.
근위부의 강선들에 조절을 위한 조절강선을 설치하며, 좌우의 조절강선은 모여서 한줄이 되고, 원통형 기구의 지지강선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병렬로 위치한다.
조절강선이 스텐트 근위부에 있는 다수의 강선에 위치하여 고정 내지 붙잡고 있으며, 관절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좌우의 조절강선이 모여 Y자 모양으로 합쳐지며, 지지강선 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접촉한다.
조절강선의 전진은 관절의 각도를 예각으로, 후진은 관절의 각도를 둔각으로 하는 것이다.
조절강선을 잡아당겨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둔각이 되면 스텐트형 기구는 팽창한다. 반대로 조절강선을 밀어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이 되면 기구는 수축한다. 미세 도관 등의 내경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조절강선을 밀어서 기구를 완전히 수축시킨다.
도 1은 팽창조절 스텐트의 측면과 방위도면이다.
전면의 wire는 실선, 후면의 wire는 점선 (점선은 보는 관점에서 가려져있는 뒷면을 표시)으로 나타낸다. 전측면사진의 오른쪽(스텐트의 근위부)에서 원통을 보았을 때 시계방향의 나선형 전개(오른쪽)는 R, 반시계방향 전개(왼쪽)는 L로 표시한다. 작은 동그라미는 두 나선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관절이다. 관절은 근위와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6R과 1L의 접점에서 형성하면 6R1L로 명명한다.
Distal tip이 평범한 원통형이 아니라 proximal portion처럼 기울어진 사선 모양일수 있다.
시계방향 전개의 6개의 나선이 반시계방향의 6개 나선과 접점을 이루는 구조가 도면에서 제시된다. 그러나 나선의 개수는 6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도안 1의 뒤쪽에서 본 장면 (articulate stent의 후면)이다. 전면의 wire는 실선, 후면의 wire는 점선이다. 두 개의 대칭적인 강선이 x자형으로 규칙적으로 교차한다. 예로써 6개의 강선은 각각 오른쪽(R), 왼쪽(L) 방향으로 나선형 진행을 하며, 다수의 교차점을 만든후, 기구의 말단부와 기시부에서 합쳐진다.
예를 들어 스텐트 말단부위측 오른쪽에서는 각각 6R1L, 5R2L, 4R3L에 의한 교차점이 만들어지며 두 강선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킬수 있는 관절을 이룬다.
도 3은 상방에서 본 장면 도면이고, 도 4는 하방에서 본 장면 도면이다. 도 5는 팽창시와 수축시의 측면 비교도면이고, 도 6은 팽창과 수축의 조절 방식도면이다. 상, 중, 하 및 최대 팽창, 중등도 팽창, 수축시 측면 모습으로, 근위부의 강선들에 조절을 위한 조절강선을 설치하며, 좌우의 조절강선은 모여서 한줄이 되고, 원통형 기구의 지지강선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병렬로 위치한다.
조절강선을 잡아당겨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둔각이 되면 스텐트형 기구는 팽창한다. 반대로 조절강선을 밀어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이 되면 기구는 수축한다. 미세 도관 등의 내경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완전히 수축시킨다.
도 7은 팽창시의 기구의 상, 측, 하면도면이며, 조절강선은 지지강선 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놓여져 있다. 근위부에 조절강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강선에 대해 조절강선이 당겨질 때 관절은 둔각이 되어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한다. 원위부의 관절은 근위부의 관절과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시술방법은 유도도관을 혈관을 통해 막힌 구간으로 위치시키고 유도도관 내로 본 기구를 진입시킨 다음, 유도도관 내에 있는 상태에서 목표 혈관에 마추어서 위치시킨다. 유도도관을 벗겨내는 방식으로 본 기구를 목표혈관에 도달시키며, 수의적으로 스텐트형 기구를 팽창 또는 수축하여 혈전을 압착 또는 부착시키며, 팽창시 막힌 혈관에서 혈류를 즉각적으로 회복시킨다.
본 기구의 원통형 스텐트의 말단부(원위부)와 근위부에 다수의 관절이 존재하며, 한 덩어리로서 동작이 연동되어 있다.
관절의 각도가 둔각이 되면 스텐트의 직경은 증가하여 팽창한다. 관절의 각도가 예각이 되면 스텐트의 직경은 감소하여 수축한다.
이 관절은 스텐트의 근위부에 위치하며, 두 강선구조 중 하나에 연결된 철선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조절된다. 원통형 스텐트의 근위부는 기울어져서 삼각형을 하고 있다.
말단부는 원형, 근위부는 기울어진 타원형으로 지지 강선에 고정되어 있다.기본을 이루는 구조적인 단위는 하나의 wire가 스텐트 말단부위에서 근위부로 나선형의 진행을 한다.
이 하나의 단위는 각각의 근위부로 나선형으로 진행하면서 반대측면에서 교차하고, 지속적으로 진행하면서 동측면에서 다시 교차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조절방식은 교차점의 각도 조절에 의해 팽창과 조절이 조절된다.
교차점의 각도 조절은 가장 근위부의 기울어진 타원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마름모꼴에 조절을 위한 강선을 교차방향으로 삽입하며, 밀면 예각(collapse), 당기면 둔각(expansion)이 생성되게 작동한다.
교차점에서 각도를 조절하면 원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차점의 예각인 각도가 증가하면 스텐트의 직경은 증가하고, 예각각도가 감소하면 스텐트 직경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이 기본적인 단위가 여러 개가 존재하여 서로 얽히면서 교차점을 형성하고, 이러한 교차점이 예각각도의 변형에 의해 스텐트 직경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여러 개의 column이 존재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6개의 column을 가질 때 다음과 같은 모습을 지닌다.
따라서 본발명은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직경을 증가(팽창) 또는 감소 작용(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며, 팽창시 혈전의 속박이 확실하게 되고 혈류 재개통의 효율성을 증진시킬수 있으며 스텐트 표면에 혈전이 압착되어 스텐트-혈전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기구를 완전히 펼친채로 기구를 회수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의 제거시)기구에 의한 혈관벽의 외상의 위험성이 있으나, 기구의 수축을 수의적으로 조절하여 혈관벽과의 접촉을 감소시켜 혈관벽의 긁힘이 최소화 된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지주막하 출혈, 뇌혈관 연축 등을 막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스텐트 10 : 원위부 관절
20 : 근위부 관절 11 : 조절 강선
12 : 지지 강선

Claims (12)

  1. 스텐트(100)의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에 관절이 형성되어 팽창과 수축이 수의적으로 조절가능한 것으로,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 말단의 관절의 움직임은 강선이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어 있으며, 근위부 관절(20)의 각도 조절에 의해서 원위부 관절(10)의 각도 또한 동시에 조절되는 것으로, 원위부의 관절은 근위부의 관절과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은 두 가닥의 강선이 오른쪽과 왼쪽 두 방향으로 나선형의 전개를 보이며,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다시 만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숫자는 다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100)의 Distal tip은 원통형 또는 기울어진 사선 모양인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서로서로 번갈아가며 상하로 엮여서 스텐트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인 경우 미세도관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직경의 미세철선이 되며, 둔각인 경우 원통형 스텐트로 변화하여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에 조절강선(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강선에 대해 조절강선이 당겨질 때 관절은 둔각이 되어 직경이 증가하고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의 강선들에 조절을 위한 조절강선(11)을 설치하며, 좌우의 조절강선은 모여서 한줄이 되고, 원통형 기구의 지지강선위 에 모노레일 형태로 병렬로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강선이 스텐트 근위부에 있는 다수의 강선에 위치하여 고정 내지 붙잡고 있으며, 관절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강선은 좌우조절강선으로 구분되며, 상기 좌우의 조절강선이 모여 Y자 모양으로 합쳐지며, 지지강선 위에 모노레일 형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강선의 전진은 관절의 각도를 예각으로, 후진은 관절의 각도를 둔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강선을 잡아당겨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둔각이 되면 스텐트형 기구는 팽창하고, 반대로 조절강선을 밀어서 근위부 강선의 교차점에 의한 관절의 각이 예각이 되면 기구는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20150087593A 2015-06-19 2015-06-19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172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93A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5-06-19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93A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5-06-19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238A KR20160150238A (ko) 2016-12-29
KR101729398B1 true KR101729398B1 (ko) 2017-04-25

Family

ID=5773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593A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5-06-19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3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06A (ko) 2017-07-06 2019-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뇌혈관 혈전제거용 스텐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뇌혈관 혈전제거 방법
KR20200024431A (ko)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KR20210064885A (ko) 2019-11-26 2021-06-03 (주)링크옵틱스 혈전 제거 및 지혈을 위한 플라즈마 장치
KR20210103777A (ko) * 2020-02-14 2021-08-24 한국기계연구원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15B1 (ko) * 2018-08-28 2020-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CN116138843B (zh) * 2023-04-04 2023-07-14 杭州亿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取栓支架可调节的取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3697A (ja) * 2000-11-17 2004-05-13 ビー.ブラウン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熱機械的に拡張可能なステントを留置するための方法
KR101303612B1 (ko) 2012-11-26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KR101530828B1 (ko) 2014-09-23 2015-06-24 윤성원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3697A (ja) * 2000-11-17 2004-05-13 ビー.ブラウン 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熱機械的に拡張可能なステントを留置するための方法
KR101303612B1 (ko) 2012-11-26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KR101530828B1 (ko) 2014-09-23 2015-06-24 윤성원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06A (ko) 2017-07-06 2019-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뇌혈관 혈전제거용 스텐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뇌혈관 혈전제거 방법
KR20200024431A (ko)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KR20210064885A (ko) 2019-11-26 2021-06-03 (주)링크옵틱스 혈전 제거 및 지혈을 위한 플라즈마 장치
KR20210103777A (ko) * 2020-02-14 2021-08-24 한국기계연구원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KR102312711B1 (ko) 2020-02-14 2021-10-14 한국기계연구원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238A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398B1 (ko)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US1193783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embolism
JP7389159B2 (ja) 血管から閉塞性血餅を除去するための血餅回収デバイス
US20220000504A1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KR101530828B1 (ko)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
JP6961590B2 (ja) 血管から閉塞性血塊を除去するための血塊回収装置
US201602962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oring Blood Flow to a Vessel
US4650466A (en) Angioplasty device
CN108784887B (zh) 血管内血栓切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27593B1 (ko) 혈전 제거용 기구
US6530935B2 (en) Clot capture coi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730501B2 (en) Floating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clots from a blood vessel
JP2004535889A (ja) 半径方向に拡張可能な主本体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20210113564A (ko) 확장가능한 입구 흡인 혈전 회수 카테터
CN113143405A (zh) 一种血管内取栓网盘支架及其输送装置
US11596427B2 (en) Tools for sheathing treatmen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159548B (zh) 可回收的经颈静脉门体分流溶栓导管
US20230277200A1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heterogeneous clots from a blood vessel
AU2009212829B2 (en) Clot capture coil
KR100960974B1 (ko) 일시적 혈류 개선장치
CN218515842U (zh) 可回收血管支架
CN214966300U (zh) 一种血管内取栓网盘支架及其输送装置
KR20230011879A (ko) 혈관으로부터 혈전을 제거하기 위한 혈전 회수 장치
CN114569304A (zh) 可回收血管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