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711B1 -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 Google Patents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711B1
KR102312711B1 KR1020200018368A KR20200018368A KR102312711B1 KR 102312711 B1 KR102312711 B1 KR 102312711B1 KR 1020200018368 A KR1020200018368 A KR 1020200018368A KR 20200018368 A KR20200018368 A KR 20200018368A KR 102312711 B1 KR102312711 B1 KR 10231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sh
wire
pressing
driving uni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777A (ko
Inventor
송성혁
박철훈
박찬훈
김병인
이성휘
김세영
서용신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7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1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7Breathability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체 체형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국부적인 압박이 감소될 수 있는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압박장치는 튜브형 메시, 제1와이어, 제1구동부 그리고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튜브형 메시는 축방향으로 인장 시에는 폭방향으로 수축하고, 축방향으로 수축 시에는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압박대상을 감싼다. 제1와이어는 일단부는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구동부는 제1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제1와이어를 당겨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한다. 제2구동부는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하여 압박대상이 압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APPARATUS FOR PRESSING, THINGS TO WEA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SSING}
본 발명은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체형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국부적인 압박이 감소될 수 있는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더불어, 뇌졸중 환자나 장애인이 증가하게 되면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재활치료를 돕기 위한 다양한 재활 치료기에 대한 연구와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 장애를 가지거나 하여 기립, 보행 등이 어려운 환자 또는 장애인(이하 ‘대상인’이라 한다)의 경우에는 대상인을 기립시키거나, 보행 재활운동 시 대상인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장비가 사용된다.
보행 재활운동 시에는 대상인의 허리 및 가슴에 밴드를 결착하고, 밴드와 연결된 끈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하여 대상인을 위로 당겨 대상인이 넘어지지 않도록 돕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이러한 재활운동에 사용되는 밴드는 대상인의 허리부분을 감싼 후에 양단부가 밸크로, 지퍼, 단추 등의 방법으로 결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밴드는 비교적 강성이 강하기 때문에, 대상인의 인체 체형에 따라 정확한 밀착이 어렵고, 이는 대상인에게 국부적인 힘을 가해 스트레스가 집중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재활운동 시 대상인의 안정적인 보행운동을 돕기 위해서는 적절한 힘으로 대상인을 위로 당겨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때 필요한 적절한 힘은 대상인의 키, 몸무게 등의 신체 조건과, 대상인의 근력 수준, 대상인의 부상 또는 장애수준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전술한 밴드와 같은 형태의 결착구조에서는 최초에 밴드로 대상자를 조이는 힘이 계속해서 적용되는데, 대상인에게 적절한 힘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상인에게 가장 큰 힘이 걸릴 때를 가정하여 강하게 압박하도록 밴드를 체결하고 있다. 이 경우, 어린이, 노약자 등의 대상인은 밴드의 강한 압력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심한 경우 부상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펀지를 두껍게 덧댄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펀지의 사용은 여름철 통풍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땀이 차는 등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재활운동 시 밴드에는 대상인을 일으켜 세우거나 위로 당기는 힘이 많이 가해진다. 즉, 밴드에는 대부분 전단력(Shear Force)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밴드는 대상인을 감싸서 조이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직력(Normal Force)에는 높은 저항력을 가지지만, 전단력에는 저항력이 낮다. 따라서,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밴드를 더욱 감하게 조여야 하고, 이는 대상인에게 더욱 강한 압박력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4404호(2015.12.0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 체형에 견고하게 밀착되고, 국부적인 압박이 감소될 수 있는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축방향으로 인장 시에는 폭방향으로 수축하고, 축방향으로 수축 시에는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압박대상을 감싸는 튜브형 메시; 일단부는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 그리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하여 상기 압박대상이 압박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압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박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인장 시에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 타단부의 폭방향 단면적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3구동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 타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와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압박대상과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력 제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부에서 제공되는 힘이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형 메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스티치(Stitch)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복수 개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압박장치를 이용한 압박방법으로서,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수축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시키는 기본단계; 상기 튜브형 메시의 내측으로 압박대상을 삽입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상기 압박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준비단계;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고, 상기 제2구동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인장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시켜 상기 압박대상을 압박하는 압박단계를 포함하는 압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 및 상기 압박단계 사이에,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축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압박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박단계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를 상기 압박대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압박장치를 포함하는 착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물은 의복이고, 상기 압박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의복에 영역별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영역에 독립적으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메시가 폭방향으로 수축되면 튜브형 메시는 압박대상의 표면 형상에 맞게 형상이 변형되면서 전체적으로 압박대상을 고르게 압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압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대상인이 느끼는 압박감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동부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면 압박력도 실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대상인의 행동 등에 따라 압박력의 능동적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에서 제1와이어와 튜브형 메시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가압부재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마찰력 제공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에서 제1와이어와 튜브형 메시의 결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박장치는 튜브형 메시(110), 제1와이어(120), 제1구동부(130) 그리고 제2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는 격자구조로 형성되는 메시 와이어(111)를 가질 수 있으며,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115, 도 3의 (a)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메시 와이어(111)가 격자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D1)으로 인장 또는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D1)으로 인장 시에는 폭방향(D2)으로 수축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D1)으로 수축 시에는 폭방향(D2)으로 인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D1)을 따라 양측으로 당겨지면 축방향에 수직한 공간(115)의 단면적은 감소될 수 있고, 튜브형 메시(110)의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축방향으로 수축되면 축방향에 수직한 공간(115)의 단면적은 증가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 내측의 공간(115)에는 튜브형 메시(110)를 이용하여 압박하고자 하는 압박대상이 위치될 수 있으며, 튜브형 메시(110)는 압박대상을 감쌀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는 씨실과 날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시 와이어(111)가 짜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튜브형 메시(110)는 메시 와이어(111)가 나선 직조(Helical Weaving)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튜브형 메시(110)는 메시 와이어(111)가 격자구조를 가지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메시 와이어(111)를 가지는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수축될 경우, 메시 와이어(111)의 격자의 각도가 변하게 되면서 폭방향으로도 수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메시 와이어(111)는 형상이 변형되면 자체의 강성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수축되어 초기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해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인장되어 초기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의 복원력은 메시 와이어(111)의 소재 강성과, 격자 구조를 조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제1와이어(120)는 일단부(123)가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120)는 튜브형 메시(110)의 축방향(D1)으로 연장되어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120)에서 튜브형 메시(1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튜브형 메시(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튜브형 메시(110a)에 스티치(Stitch)될 수 있다(도 2 참조). 스티치되는 부분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제1구동부(130)는 제1와이어(12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130)는 제1와이어(120)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가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메시 와이어(111)의 격자 각도는 초기 상태의 제1격자각도(A1)보다 큰 제2격자각도(A2)를 가지게 되고,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D1)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폭방향(D2)으로 인장될 수 있다(도 3의 (a)~(b) 참조). 그리고, 튜브형 메시(110) 내측의 공간은 초기 상태의 공간(115)의 단면적보다 큰 공간(115a)의 단면적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압박대상은 튜브형 메시(1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와이어(120)는 메시 와이어(111)에 스티치되기 때문에, 튜브형 메시(110)는 제1와이어(12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130)에 의해 제1와이어(120)가 당겨지게 되면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제1구동부(130)가 제1와이어(120)를 당기는 동작을 멈추면, 메시 와이어(111)는 복원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 즉,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인장되고 폭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때, 튜브형 메시(110)가 초기 형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제1구동부(130)는 제1와이어(120)에 대한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제1와이어(120)는 복수 개가 튜브형 메시(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와이어(120)는 제1구동부(130)에 의해 동시에 당겨질 수 있다.
제2구동부(140)는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2구동부(140)는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견인부(14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견인부(141)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부(140)는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가 폭방향으로 수축되면 내측에 수용된 압박대상은 튜브형 메시(110)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의 초기 상태에서, 제2구동부(140)가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를 당기면, 메시 와이어(111)의 격자 각도는 초기 상태의 제1격자각도(A1)보다 작은 제3격자각도(A3)를 가지게 되고,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D1)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폭방향(D2)으로 수축될 수 있다(도 3의 (a), (c) 참조). 그러면, 튜브형 메시(110) 내측의 공간은 초기 상태의 공간(115)의 단면적보다 작은 공간(115b)의 단면적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압박대상은 튜브형 메시(110)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이는 제1구동부(130)에 의해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제2구동부(140)에 의해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튜브형 메시(110)가 압박대상을 압박하는 압박력은 제2구동부(140)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즉, 제2구동부(140)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압박대상은 헐렁하게 조여지거나 꽉 조여질 수 있다. 압박대상이 사람이고, 대상인의 동작, 근육 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구동부(14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경우, 제2구동부(140)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면 압박력도 실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대상인의 행동 등에 따라 압박력의 능동적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메시 와이어(111)는 가늘고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형 메시(110)가 폭방향으로 수축되면 튜브형 메시(110)는 압박대상의 표면 형상에 맞게 형상이 변형되면서 전체적으로 압박대상을 고르게 압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압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대상인이 느끼는 압박감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압박장치(100)는 가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50)는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150)는 별도로 생성된 후 메시 와이어(111)에 결합되거나, 또는 메시 와이어(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150)는 압박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구동부(140)가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를 당길 때에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가 압박대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튜브형 메시(110)는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인장될 수 있다.
가압부재(15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링일 수 있다. 제1구동부(130)가 제1와이어(120)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수축되고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튜브형 메시(110)의 내측으로 압박대상을 삽입 시에는 고무링이 벌려지면 압박대상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150)가 마련되면, 제1와이어(120)의 일단부(123)는 가압부재(1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와이어(120)는 일단부(123)가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와이어(120)는 튜브형 메시(110)의 축방향(D1)으로 연장되어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를 지나 다시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와이어(120)는 일단부(123)가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의 제1와이어(121)와,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를 지나 다시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의 제1와이어(12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티치는 일측의 제1와이어(121) 또는 타측의 제1와이어(122)에만 되거나, 또는 일측의 제1와이어(121) 및 타측의 제1와이어(122)에 모두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가압부재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인데, 도 5의 (a), (b) 및 (c)는 도 3의 (a), (b) 및 (c)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5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150)는 제2와이어(151) 및 제3구동부(152)를 가질 수 있다.
제2와이어(151)는 일단부(153)가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튜브형 메시(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와이어(151)도 튜브형 메시(110)에 스티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구동부(152)는 제2와이어(151)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 타단부의 폭방향 단면적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와 같은 튜브형 메시(110)의 초기 상태에서, 제1구동부(130)가 제1와이어(120)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축방향으로 수축하고 폭방향으로 인장되면, 제3구동부(152)는 제2와이어(151)의 구속력을 해제하여 제2와이어(151)가 튜브형 메시(110)의 폭방향 원주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그리고, 제2구동부(140)가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를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동작에서는, 제3구동부(152)는 제2와이어(151)를 당겨 제2와이어(151)가 튜브형 메시(110)의 폭방향 원주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도 3의 (c) 및 도 5의 (c) 참조). 그러면, 제2와이어(151)가 압박대상을 가압하여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고, 제2구동부(140)에 의해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가 당겨지더라도, 튜브형 메시(110)의 타단부는 압박대상에 고정될 수 있어 튜브형 메시(110)는 안정적으로 축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더하여, 압박장치(100)는 보강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튜브형 메시(110)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구동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제2구동부(140)에서 제공되는 힘이 튜브형 메시(110)의 원주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구동부(140)의 인장력이 튜브형 메시(110)에 고르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장치의 마찰력 제공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박장치는 마찰력 제공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력 제공층(170)은 튜브형 메시(110) 타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튜브형 메시(110)와 함께 변형될 수 있다. 마찰력 제공층(170)은 압박대상에 밀착되어 압박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찰력 제공층(17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박장치를 이용한 압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압박방법은 기본단계(S210), 준비단계(S220) 그리고 압박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단계(S210)는 제1구동부가 제1와이어를 당겨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수축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기본단계(S210)는 압박대상을 튜브형 메시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하기 위한 예비적인 단계일 수 있다.
준비단계(S220)는 튜브형 메시의 내측으로 압박대상을 삽입하여 튜브형 메시가 압박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압박단계(S230)는 제1구동부가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고, 제2구동부가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인장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시켜 압박대상을 압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압박단계(S230)는 고정단계(S231)를 가질 수 있다. 고정단계(S231)는 마찰력에 의해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를 압박대상에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압박방법은 준비단계(S220) 및 압박단계(S230) 사이에, 밀착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단계(S240)는 제1구동부가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여 튜브형 메시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축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어 압박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밀착단계(S240)에서는 제2구동부의 인장력에 의한 압박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밀착단계(S240)는 튜브형 메시로 압박대상을 압박한다기 보다는 튜브형 메시가 압박대상에 밀착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박장치를 포함하는 착용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착용물(300)은 압박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용물(300)은 의복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바지인 경우로 한다.
압박장치(100)가 전술한 기본단계(S210)인 경우, 바지는 헐렁한 일상복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박장치(100)가 전술한 밀착단계(S240)인 경우, 바지는 대상인의 다리에 달라붙는 스키니(Skinny)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박장치(100)가 압박단계(S230)인 경우, 바지는 대상인의 다리를 압박할 수 있다.
나아가, 압박장치(100)는 복수 개가 의복에 영역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구동부(140,140a,140b)의 개별적 작동에 의해 각각의 압박장치(100,100a,100b)는 각각의 영역에 독립적으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착용물(300)은 재활기구일 수 있다. 그리고, 압박장치(100)는 재활기구의 결착장치로 기능될 수 있다. 압박장치(100)는 대상인의 허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압박장치(100)에는 지지끈(302)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끈(302)은 프레임(301)에 연결되어 대상인을 위로 당겨 대상인이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끈(302)의 상측에는 제2구동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구동부(140)는 지지끈(302)을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상측으로 인장되고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대상인에게 균일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지끈(302)이 상측으로 강하게 당겨질수록 튜브형 메시(110)는 폭방향으로 강하게 수축되기 때문에,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대상인에게 강한 압박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착용물(300)은 노약자,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위한 이동지원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압박장치(100)는 이동지원장치의 결착장치로 기능될 수 있다. 압박장치(100)는 등받이(320)에 결합되어 대상인의 가슴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의 상부에는 제2구동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구동부(140)는 튜브형 메시(110)를 상측으로 당겨 튜브형 메시(110)가 상측으로 인장되고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대상인에 고르게 밀착될 수 있고, 강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튜브형 메시(110)가 상측으로 강하게 당겨질수록 튜브형 메시(110)는 폭방향으로 강하게 수축되기 때문에, 전단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므로, 앉은 상태의 대상인이 기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강한 압박력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상인이 기립된 상태에서는 가압력을 줄여주는 등 가압력의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압박장치 110: 튜브형 메시
111: 메시 와이어 120: 제1와이어
130: 제1구동부 140: 제2구동부
150: 가압부재 160: 보강부재
170: 마찰력 제공층 300: 착용물

Claims (15)

  1. 축방향으로 인장 시에는 폭방향으로 수축하고, 축방향으로 수축 시에는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압박대상을 감싸는 튜브형 메시;
    일단부는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 그리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도록 하여 상기 압박대상이 압박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압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박대상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하여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튜브형 메시가 축방향으로 인장 시에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 타단부의 폭방향 단면적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3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 타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튜브형 메시와 함께 변형되면서 상기 압박대상과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력 제공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부에서 제공되는 힘이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메시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형 메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스티치(Stitc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복수 개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압박장치를 이용한 압박방법으로서,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수축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인장시키는 기본단계;
    상기 튜브형 메시의 내측으로 압박대상을 삽입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상기 압박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준비단계;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고, 상기 제2구동부가 상기 튜브형 메시의 일단부를 당겨 상기 튜브형 메시를 축방향으로 인장시킴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시켜 상기 압박대상을 압박하는 압박단계를 포함하는 압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 및 상기 압박단계 사이에,
    상기 제1구동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튜브형 메시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축방향으로 인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 수축되어 상기 압박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단계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튜브형 메시의 타단부를 상기 압박대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압박장치를 포함하는 착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물은 의복이고, 상기 압박장치는 복수 개가 상기 의복에 영역별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영역에 독립적으로 압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물.
KR1020200018368A 2020-02-14 2020-02-14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KR10231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68A KR102312711B1 (ko) 2020-02-14 2020-02-14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68A KR102312711B1 (ko) 2020-02-14 2020-02-14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77A KR20210103777A (ko) 2021-08-24
KR102312711B1 true KR102312711B1 (ko) 2021-10-14

Family

ID=7750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68A KR102312711B1 (ko) 2020-02-14 2020-02-14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71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5781A1 (en) 2001-12-28 2003-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arable human motion applicator
JP2003250842A (ja) 2001-12-28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運動補助装置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マッサージ機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血圧計
JP2004508101A (ja) 2000-09-04 2004-03-18 イノテラ トピ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静脈手術後に下肢を固定するための管状圧迫性装具
KR101238720B1 (ko) 2010-11-22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제거용 스텐트
JP2014205067A (ja) 2001-05-25 2014-10-30 ゾール・サーキュレイ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Zoll Circulation, Inc. 圧力袋体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るcpr補助装置
KR101638138B1 (ko)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JP2018518247A (ja) 2015-05-13 2018-07-12 ハイヴ コンセプツ,エルエルシーHive Concepts, Llc 筋肉回復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514653A (ja) 2016-04-27 2019-06-06 ラディアル メディカル, インク.Radial Medical, Inc. 適応型圧迫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73758B1 (ko) 2019-07-03 2020-02-05 신성진 신체 압박용 밴드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1221B2 (en) * 2010-09-14 2020-08-25 Kpr U.S., Llc Compression sleeve with improved position retention
DE102012206834A1 (de) 2012-04-25 2013-10-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kt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Position eines linear beweglichen Elements
KR101913618B1 (ko) * 2017-03-29 2018-10-31 한국기계연구원 관절 움직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8101A (ja) 2000-09-04 2004-03-18 イノテラ トピッ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静脈手術後に下肢を固定するための管状圧迫性装具
JP2014205067A (ja) 2001-05-25 2014-10-30 ゾール・サーキュレイ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Zoll Circulation, Inc. 圧力袋体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るcpr補助装置
US20030125781A1 (en) 2001-12-28 2003-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earable human motion applicator
JP2003250842A (ja) 2001-12-28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運動補助装置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マッサージ機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血圧計
KR101238720B1 (ko) 2010-11-22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제거용 스텐트
JP2018518247A (ja) 2015-05-13 2018-07-12 ハイヴ コンセプツ,エルエルシーHive Concepts, Llc 筋肉回復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1638138B1 (ko)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JP2019514653A (ja) 2016-04-27 2019-06-06 ラディアル メディカル, インク.Radial Medical, Inc. 適応型圧迫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73758B1 (ko) 2019-07-03 2020-02-05 신성진 신체 압박용 밴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777A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5613A1 (en) Progressive force strap assembly for use with an orthopedic device
US8142336B1 (en) Leg rehabilitation strap
US11590046B2 (en) Flexible members for anchoring to the body
US20190380904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assistive mobility
US7135005B2 (en) Shoulder brace
JP6527629B1 (ja) 動作補助作業着
EP2691053B1 (en) Support
US11484426B2 (en) Foot ankle orthoses
EP1722870A2 (en) Non-weight bearing foot and leg exercising apparatus
KR102312711B1 (ko) 압박장치, 이를 포함하는 착용물 및 압박방법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JP2003052727A (ja) 膝サポータ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KR200443319Y1 (ko) 바디 슬림 벨트
CN220877017U (en) Lumbar vertebra support auxiliary device
US20210251839A1 (en) Variable compression body anchor
CN211675188U (zh) 一种新型辅助步行带
KR102604037B1 (ko) 착용형 앵커링 장치
CN214967265U (zh) 一种穿戴式足下垂内翻纠正辅助装置
US20170100274A1 (en) Drop Foot Assistive Device
RU189469U1 (ru) Манжета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нечностей
CN214128957U (zh) 一种足下垂牵引装置
JP2014068812A (ja) こむら返り防止装具
WO2006110034A2 (en) Orthosis for supporting a leg of a user during wal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