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612B1 -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 Google Patents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612B1
KR101303612B1 KR1020120134676A KR20120134676A KR101303612B1 KR 101303612 B1 KR101303612 B1 KR 101303612B1 KR 1020120134676 A KR1020120134676 A KR 1020120134676A KR 20120134676 A KR20120134676 A KR 20120134676A KR 101303612 B1 KR101303612 B1 KR 10130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mesh
thrombus
blood vess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612B1/ko
Priority to PCT/KR2013/000409 priority patent/WO201408107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Abstract

스텐트 모듈은 스텐트, 푸쉬 와이어 및 확장형 유도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스텐트는 양 끝단의 인접점과 원접점이 모두 폐쇄되도록 연결된 메쉬부를 가진다. 상기 푸쉬 와이어는 혈전이 위치한 혈관을 향해 상기 스텐트를 푸쉬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 입구에 진입 후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유도한 미세도관을 혈관 내로 진출시키거나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혈관 외부로 회수한다.

Description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THROMBUS RETRIEVING STENT MODULE}
본 발명은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동맥, 말초동맥, 심부정맥, 폐동맥 등이 혈전색전에 의해 막힌 경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이용하여 혈전용해치료를 진행하거나, 기계적으로 혈전 제거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활용된다.
특히, 기계적 혈전 제거술의 경우, 다양한 혈전제거 기구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혈전제거 기구들 중, 도 1에 도시된 솔리테르 스텐트(solitaire stent)가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솔리테르 스텐트(10)는 미세도관 또는 도관(11)을 따라 스텐트를 푸쉬하는 푸쉬 와이어(12), 및 상기 푸쉬 와이어(12) 끝에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에서 혈전을 제거하는 메쉬부(14)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쉬부(14)는 인접점(proximal marker)(13)과 원접점(distal markers)(15) 사이에 여러 가닥의 다발들이 서로 얽히도록 형성되어, 혈전의 제거에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메쉬부(14)는 하나의 인접점(13)과 다수의 원접점(15)을 포함하며, 상기 원접점(15)의 경우 복수개가 끝단이 개방(open)된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솔리테르 스텐트(10)의 경우, 혈전제거시 상기 원접점(15)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혈전은 스텐트 밖에 위치하게 되므로 혈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혈전 제거술을 여러 번 시도해야 하거나 혈전 제거 도중 혈전이 스텐트와 분리 되어 원위부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혈전 포착 후 상기 메쉬부(14) 및 상기 푸쉬 와이어(12)를 상기 도관 또는 미세도관(11)과 함께 상기 유도도관(16)으로 인입하는 경우, 상기 유도도관(16)의 입구가 혈전이 포착된 스텐트 보다 좁기 때문에 혈전이 제거되지 않고 스텐트에서 분리되어 혈관 원위부로 이동하여 새로운 경색을 야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전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혈전 제거 도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킨 스텐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모듈은 스텐트, 푸쉬 와이어 및 확장형 유도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스텐트는 양 끝단의 인접점과 원접점이 모두 폐쇄되도록 연결된 메쉬부를 가진다. 상기 푸쉬 와이어는 혈전이 위치한 혈관을 향해 상기 스텐트를 푸쉬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 입구에 진입 후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유도한 미세도관을 혈관 내로 진출시키거나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 및 푸쉬 와이어를 혈관 외부로 회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접점과 연결된 제1 메쉬부, 상기 제1 메쉬부와 연결된 제2 메쉬부, 및 상기 제2 메쉬부 및 상기 인접점과 연결된 제3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은 각각 하나이며,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으로부터 분기하여 다발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메쉬부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쉬부는 제3 메쉬부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푸쉬 와이어와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푸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혈전을 채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텐트에 의해 채취된 혈전은, 혈관을 따라 회수되면서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제1 메쉬부들에 의해 상기 스텐트 외부로 남겨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형 유도도관은,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의 근위단과 원위단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의 확장된 반경은 상기 스텐트가 확장된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는 확장된 상태의 상기 확장부로 인입된 후, 반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진입부로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가 혈관 외부로 회수된 경우, 확장되었던 반경이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텐트의 제1 메쉬부가 하나의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되어 폐쇄된 형태의 다발 구조를 가지므로, 혈전을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가시켜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메쉬부의 스트럿은 상기 제1 메쉬부의 그물망보다 적게 형성함으로써, 혈관 내 혈전을 스텐트 내로 포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므로, 혈전을 채취한 스텐트가 반경이 좁은 진입부로 직접 회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혈전이 혈관에 남을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남은 혈전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텐트가 상기 확장된 진입부로 회수되면서 일부 혈전이 남겨진다고 해도 혈전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에 잔류하므로, 혈관 원위부로 이동 없이 자연적으로 혹은 주사기를 통해 음압을 걸어 용이하게 배출 혹은 제거 할 수 있다. 이 같은 자연적 배출이 가능한 이유는 혈관 내의 압력이 외부 대기 압력보다 높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솔리테르 스텐트(solitaire stent)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내지 도 5f들은 도 2의 스텐트 모듈을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을 따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20)은 스텐트(30), 푸쉬 와이어(36), 미세도관(40) 및 확장형 유도도관(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스텐트 모듈(20)은 상기 스텐트(30)가 혈전이 존재하는 곳에 위치하는, 즉 혈전을 채취하는 순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스텐트 모듈(20)의 전반적인 동작은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스텐트(30)는 양 끝단인 원접점(31) 및 인접점(32)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을 갖는 메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접점(31)은 상기 푸쉬 와이어(36)의 끝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로 상기 제1 메쉬부(33)가 모아지는 접점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접점(32)은 상기 푸쉬 와이어(36)의 끝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로 상기 제3 메쉬부(35)가 펼쳐지기 시작하는 접점으로 정의된다. 후술하겠으나,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미세도관(40)의 내부를 따라 혈전이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미세도관(40)이 후퇴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접점(31) 및 상기 인접점(32) 모두 하나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텐트에서는 상기 인접점(13)은 하나이지만 상기 원접점(15)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스텐트는 원접점(15) 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접점(32) 뿐만 아니라, 상기 원접점(31)도 하나로 형성되므로, 상기 스텐트는 양 끝단이 모두 폐쇄된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메쉬부(33)는 상기 하나의 원접점(31)으로부터 그물망 형태로 펼쳐지며, 상기 제3 메쉬부(35)도 상기 하나의 인접점(32)으로부터 그물망 형태로 펼쳐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30)에서는, 메쉬부의 양 끝단에 해당되는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은,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메쉬부(34)보다 더 촘촘한 그물망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33, 35)이 상기 제2 메쉬부(34)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메쉬부(33)는 예를 들어, 상기 원접점(31)으로부터 6개로 분기되어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메쉬부(34)는 상기 제1 메쉬부(33)의 두 개의 그물이 하나로 합쳐지는 접점(36)을 따라 연장되는 세 가닥의 스트럿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메쉬부(33)는 8개로 분기되어 그물망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메쉬부(34)는 네 가닥의 스트럿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단면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메쉬부(34)에서 합쳐진 세 가닥 또는 네 가닥의 그물은 상기 제3 메쉬부(35)에서 다시 6개 또는 8개의 그물망을 형성한 후 상기 인접점(32)으로 모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의 그물망이나 스트럿의 개수는 제거되는 혈전의 크기 및 혈관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의 원접점(31)으로부터 제1 메쉬부(33)가 분기되며, 상기 제1 메쉬부(33)가 상기 제2 메쉬부(34)보다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므로, 상기 스텐트(30)가 혈전을 채취한 후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 방향으로 회수되는 경우 상기 채취된 혈전이 상기 원접점(31) 및 상기 제1 메쉬부(33)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강하게 채취되므로, 상기 채취된 혈전이 혈관에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메쉬부(33)는 제3 메쉬부(35)보다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즉, 메쉬 구간을 길게 형성하여 충분한 혈전이 포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쉬부(34)는 그물망을 형성하지 않고 스트럿(strut)이 3~4개로 이루어져 그 개수가 제1 메쉬부 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혈관 내 혈전이 스텐트 내부에 포착되기 쉽게 한다. 나아가, 상기 스텐트(30)의 회수시 상기 제2 메쉬부(34)에 의한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30)와 스텐트를 연결하고 있는 푸쉬 와이어(36)는 상기 미세도관(40)을 통해 혈관으로 진입한 후, 최종적으로 혈전이 위치하는 곳까지, 미세도관(40)을 따라 이동한다. 이 후, 상기 미세도관(40)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 방향으로 후퇴하고,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노출되면서 확장되어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혈전이 존재하는 혈관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텐트(30)와 푸쉬 와이어(36)는 미세도관(40)의 가이드에 따라 혈전이 존재하는 목표혈관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혈전의 제거가 필요한 혈관은 반경이 매우 작은 소혈관이므로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상기 스텐트(30)와 푸쉬와이어(36)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혈관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스텐트(30)는 혈전 제거용으로 혈관을 따라 확장 상태로 전진하는 경우 정상 혈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미세 도관(40)을 통해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상기 스텐트(30)를 이동시켜, 혈관 및 스텐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역으로 스텐트가 확장상태인 경우라도 푸쉬와이어를 당겨 스텐트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혈관 단면적에 따라 스텐트가 일정정도 변형이 되므로 혈관손상이 거의 없게 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은 진입부(51) 및 확장부(52, 53)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51)는 삽입관(55)을 통해 혈관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미세도관과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가 상기 혈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30)에 의해 혈전이 제거된 경우,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 및 상기 미세도관(40)의 회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혈전의 제거가 필요한 혈관은 소혈관과 같이 반경이 매우 작은 혈관으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은 혈전이 위치한 곳까지 진입할 수는 없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반경을 갖는 혈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으로부터 상기 혈전이 위치한 혈관까지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도관(40)을 통해 상기 스텐트(30) 및 푸쉬 와이어(36)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확장부(52, 53)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2의 확장부가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장부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혈관에 진입되는 경우, 상기 확장부(52)는 확장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진입부(51)와 동일한 크기의 반경을 갖는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54)를 따라 혈관에 진입한 후, 상기 가이드 와이어(54)를 따라 혈전이 위치한 혈관의 근위부 목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확장부(53)는 팽창한다. 팽창에 사용되는 방법은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확장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부피가 팽창된다. 이 경우,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가 위치한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혈류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반경은 상기 혈관의 반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반경은, 상기 팽창된 스텐트(30)의 반경보다는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가 반경의 축소 없이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텐트(30)의 반경이 축소되지 않으므로 채취된 혈전이 혈관 내에 이탈하거나 잔류할 확률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그 근위부와 원위부를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하여 확장부(52)에 대한 풍선확장 중 확장형 유도도관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길이는 상기 스텐트(30)의 길이와 같거나 보다 길어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가 모두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팽창된 확장부(53)는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 그리고 상기 미세 도관(40)이 동시에 혈관 외부로 회수된 이후, 혈관 진입부에 위치한 삽입관(55)에 의해 팽창되었던 부피가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와 함께 혈관 외부로 회수된다.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는 상기 미세 도관(40)과 함께, 상기 팽창된 확장부(53)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진입부(51)를 통해 외부로 회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텐트(30)의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은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로 회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텐트(30)에 의해 채취되었던 혈전도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로 회수된다. 그러나, 상기 채취된 혈전은 크기, 종류 및 강도 등이 다양하므로, 상기 스텐트(30)의 메쉬부가 축소되면서 일부가 잘리거나 떨어져 혈관이 아닌 확장형 유도도관의 팽창된 확장부(53)내에 잔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잔류한 혈전은 혈관 내의 압력이 외부 대기압력보다 높으므로 체외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크기가 자연 배출되기 어려운 경우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음압을 걸어주면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그리하여, 혈관 내로 혈전들이 잔류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a내지 도 5f들은 도 2의 스텐트 모듈을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확장형 유도도관(50)이 진입 혈관(62)의 내부로 진입한 이후에, 혈전(63)이 위치하는 소동맥 등과 같은 반경이 좁은 혈관으로 진입 와이어(41)와 미세도관(40)을 진입시킨다. 이 경우, 혈전(63)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구조의 혈관을 따라 혈관의 손상 없이 이동해야 하므로, 이에 적합한 진입와이어(41)와 미세도관(40)을 선택해야 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혈전이 위치한 혈관의 원위부까지 상기 미세도관(40)이 위치하면 상기 진입 와이어(41)을 회수하여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를 진입시킬 준비를 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트(30) 및 상기 푸쉬 와이어(36)를 혈전(63)이 위치한 혈관 부위까지 상기 미세도관(40)의 내부를 따라 전진시켜 스텐트 원접점과 인접점이 사이에 혈전이 위치하도록 조절 후, 상기 미세도관(40)을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수하면서 상기 스텐트(30)를 노출시킨다. 상기 노출된 스텐트(30)는 제1 메쉬부(33), 제2 메쉬부(34) 및 제3 메쉬부(35)의 순서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혈전(63)에 위치한다. 이렇게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33, 34, 35)은 상기 혈전(63)을 포획하게 된다.
도 5e를 참조하면, 도 5a 과정 이전에 상기 진입 혈관(62) 부근에 배치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50)의 확장부(52)는 풍선카테터를 사용하여 미리 반경방향으로 팽창(53)시켜 놓는다.
도 5f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트(30)는 상기 혈전(63)을 포획한 상태로, 진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상기 진입 혈관(62) 방향으로 회수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확장 카테터(53)의 내부로 회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텐트(30)가 회수되면서, 상기 혈전(63)은 상대적으로 상기 스텐트(30)의 제1 메쉬부(33)로 모이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메쉬부(33)는 상기 원접점(31)으로부터 분기되는 그물망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혈전(63)이 상기 스텐트(30)의 상기 제1 메쉬부(33)의 외부에 잔류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 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텐트(30)는 메쉬부의 반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채취된 혈전(63)과 함께 상기 진입부(51)를 통해 혈관 외부로 회수된다. 이 때,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혈전들은 상기 팽창된 확장부(5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며, 잔류 혈전은 혈관내부 압력과 외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주사기 등을 통해 음압을 걸어 강제로 흡인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관 외부로 회수될 때 팽창된 확장부(53)가 삽입관(55)에 의해 축소되면서 상기 진입부(51)와 함께 혈관 외부로 회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텐트 모듈(20)은 혈전(63)이 스텐트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혈전(63)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고, 스텐트를 이용한 혈전 제거 중 혈관 내로 분리되는 혈전을 최소화하여,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텐트의 제1 메쉬부가 하나의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되어 폐쇄된 형태의 다발 구조를 가지므로, 혈전을 포획 후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가시켜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메쉬부의 스트럿을 상기 제1 메쉬부의 그물망보다 적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혈전이 쉽게 스텐트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확장형 유도도관이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는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므로, 혈전을 채취한 스텐트가 반경이 좁은 진입부로 직접 회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혈전이 혈관에 남을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혈전 제거율을 향상시키고 분리된 혈전이 야기하는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스텐트가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면서 남겨지는 혈전은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의 확장부 내부에 잔류하므로, 잔류 혈전은 혈관내부 압력과 외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거나, 주사기 등을 통해 음압을 걸어 강제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모듈은 혈관 등이 혈전에 의해 막힌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기계적 시술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20 : 스텐트 모듈 30 : 스텐트
36 : 푸쉬 와이어 50 : 확장형 유도도관
52, 53 : 확장부

Claims (12)

  1. 양 끝단의 인접점과 원접점이 모두 폐쇄되도록 연결된 메쉬부를 가지는 스텐트;
    혈전이 위치한 혈관을 향해 상기 스텐트를 푸쉬(push)하는 푸쉬 와이어; 및
    혈관 입구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쉬 와이어를 유도한 미세도관을 혈관 내로 진출시키거나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 및 상기 푸쉬 와이어를 혈관 외부로 회수하는 확장형 유도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로부터 연장되어, 혈관에 진입한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원접점과 연결된 제1 메쉬부;
    상기 제1 메쉬부와 연결된 제2 메쉬부; 및
    상기 제2 메쉬부 및 상기 인접점과 연결된 제3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은 각각 하나이며,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원접점과 상기 인접점으로부터 분기하여 다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메쉬부들 각각은 상기 제2 메쉬부보다 많은 수의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부는 제3 메쉬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푸쉬 와이어와 연결되어 혈전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푸쉬 와이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미세도관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메쉬부들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혈전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에 의해 채취된 혈전은, 혈관을 따라 회수되면서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제1 메쉬부들에 의해 상기 스텐트 외부로 남겨지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근위단과 원위단은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로 표시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확장된 반경은 상기 스텐트가 확장된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는 확장된 상태의 상기 확장부로 인입된 후, 반경이 줄어들면서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유도도관은 혈전을 채취한 상기 스텐트가 상기 진입부로 회수되는 경우, 확장되었던 반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모듈.
KR1020120134676A 2012-11-26 2012-11-26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KR10130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76A KR101303612B1 (ko) 2012-11-26 2012-11-26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PCT/KR2013/000409 WO2014081077A1 (ko) 2012-11-26 2013-01-18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676A KR101303612B1 (ko) 2012-11-26 2012-11-26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612B1 true KR101303612B1 (ko) 2013-09-11

Family

ID=4945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676A KR101303612B1 (ko) 2012-11-26 2012-11-26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612B1 (ko)
WO (1) WO201408107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052A (ko) 2014-10-02 2016-04-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개질된 스텐트
KR101613269B1 (ko) * 2014-11-19 2016-04-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혈관내 의료용 부재 이송 장치
US9597108B2 (en) 2013-06-30 2017-03-21 Jiyong Ahn Manual thrombectomy device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1791148B1 (ko) 2016-02-12 2017-10-27 신경민 혈전 제거용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5306A (ko) 2017-07-06 2019-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뇌혈관 혈전제거용 스텐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뇌혈관 혈전제거 방법
KR20200024429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KR20210064885A (ko) 2019-11-26 2021-06-03 (주)링크옵틱스 혈전 제거 및 지혈을 위한 플라즈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9690T3 (es) * 2015-02-06 2023-10-02 Rapid Medical Ltd Sistemas para la eliminación de obstrucciones intravasculares
WO2018078452A1 (en) * 2016-10-27 2018-05-03 Rapid Medical Ltd. Woven wire intraluminal device
CN108095804B (zh) * 2018-02-10 2023-08-0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脑血管可转变性多功能内支架装载回收与释放装置
CN108158630A (zh) * 2018-02-26 2018-06-15 上海加奇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血管内血栓抓捕器
CN114191154A (zh) * 2022-02-18 2022-03-18 天津市环湖医院 一种一体式渐变直径的取栓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57B1 (ko) * 2009-10-13 2012-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 및 회수 가능한 색전보호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필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263A (en) * 1998-03-11 1999-11-23 Arteria Medical Science L.L.C. Hydraulically actuated dilatation mechanism for vessel dilatation and vascular prosthesis delivery and methods of use
AUPQ831500A0 (en) * 2000-06-22 2000-07-13 White, Geoffrey H.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thromboembolectomies
US7294146B2 (en) * 2001-12-03 2007-11-13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variable length stents
JP2009178518A (ja) * 2008-02-01 2009-08-13 Nipro Corp 医療用管状体、血栓捕捉部材回収用シース、血栓回収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157B1 (ko) * 2009-10-13 2012-04-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 및 회수 가능한 색전보호장치 및 이를 구성하는 필터 어셈블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7108B2 (en) 2013-06-30 2017-03-21 Jiyong Ahn Manual thrombectomy device
KR20160040052A (ko) 2014-10-02 2016-04-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개질된 스텐트
KR101613269B1 (ko) * 2014-11-19 2016-04-2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혈관내 의료용 부재 이송 장치
KR101729398B1 (ko)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1791148B1 (ko) 2016-02-12 2017-10-27 신경민 혈전 제거용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5306A (ko) 2017-07-06 2019-01-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뇌혈관 혈전제거용 스텐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뇌혈관 혈전제거 방법
KR20200024429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KR102125615B1 (ko) * 2018-08-28 2020-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KR20210064885A (ko) 2019-11-26 2021-06-03 (주)링크옵틱스 혈전 제거 및 지혈을 위한 플라즈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077A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612B1 (ko)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US10687834B2 (en) Ischemic stroke device
KR102494176B1 (ko) 혈관으로부터 폐색 혈전을 제거하기 위한 혈전 회수 장치
EP3003175B1 (en)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WO2016047986A1 (ko)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혈관내 기구
US20160367285A1 (en)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EP1253871B1 (en) Vascular embolism preventon device employing filters
US9439664B2 (en) Thrombus removal and intravascular distal embolic protection device
US11633202B1 (en) Catheter based retrieval device with proximal body having axial freedom of movement
JP5081294B2 (ja) 拡張フィルタの配設装置
ES2293474T3 (es) Filtro vascular desplegable y recuperable y metodos de uso.
US200301631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rcutaneous thromboembolectomies
US20020128681A1 (en) Dista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EP1663368B2 (en) Embolic protection aspirator
WO2018118706A1 (en) Clot retrievers and methods for deployment
CN110494099B (zh) 用于凝块和斑块收缩的设备和方法
JP2014054520A (ja) 2方向回収可能大静脈フィルター
US20240074773A1 (en) Thrombus removal apparatus
CN116035657A (zh) 一种取栓支架和取栓方法
US202101615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ograde percutaneous endovascular filter and embolectomy/thrombectomy device
CA3035481A1 (en) Thrombus retriever
CN217244652U (zh) 一种血栓剥离收集网兜及静脉取栓装置
WO2023239360A1 (en) Catheter assemblies having a dilatable retrieval basket
CN116350386A (zh) 一种回收装置
JP4767870B6 (ja) 血管内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