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15B1 - 스텐트 시술장치 - Google Patents

스텐트 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15B1
KR102125615B1 KR1020180101086A KR20180101086A KR102125615B1 KR 102125615 B1 KR102125615 B1 KR 102125615B1 KR 1020180101086 A KR1020180101086 A KR 1020180101086A KR 20180101086 A KR20180101086 A KR 20180101086A KR 102125615 B1 KR102125615 B1 KR 10212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stent
contact point
mesh por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429A (ko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9661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stent or stent-graft is released fir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01Angioplasty, e.g. PC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Abstract

원접점 및 인접점을 양 끝 단으로 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카테타에 로딩된 상태로 혈관 내부로 삽입되어 목표 부위에서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는 스텐트 구조체, 상기 인접점과 접하여 상기 스텐트 구조체를 상기 카테타를 통해 이동시키는 푸쉬 부재 및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원접점에 접속되며,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인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을 상기 원접점을 중심으로 폐쇄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텐트 시술장치{SURGICAL INSTRUMENT FOR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전제거술에 사용되는 스텐트 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과 같은 신체의 관상 조직에 협착(stenosis) 부위가 발생하면 혈행에 지장이 초래되거나, 관상 조직이 폐색(occlusion)되어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위험성이 있다.
혈전제거술은 관상 조직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이며, 스텐트(stent) 또는 흡인 카테타(suction catheter) 등이 사용된다. 스텐트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은 스텐트의 바깥쪽으로 혈전을 밀어붙잡는 방식이고, 흡인 카테타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은 혈전의 근위부를 붙잡는 방식이다.
그러나, 스텐트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의 경우, 스텐트 스트러트가 혈전을 파고드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혈전이 딱딱하다면 혈전을 스트러트에 걸지 못해 혈전 제거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스트러트에 의해 혈전이 쪼개질 수 있다. 또한, 스텐트가 혈관벽에 밀착됨에 따라 혈관벽의 손상 가능성이 동반되며 이로 인한 시술 합병증의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시술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이고, 시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텐트와 흡인 카테타를 동시에 이용하는 혈전제거술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혈전이 스텐트 스트러트에 걸리지 않는다면 흡인 카테타에 의해 혈전이 흡인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혈전제거술에 있어서 추가적인 효율은 기대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1148호(2017.10.2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27593호(2018.02.02. 등록)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필요에 따라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을 폐쇄시켜 바스켓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그 내부에 혈전을 포획하는 스텐트 시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시술장치는 원접점 및 인접점을 양 끝 단으로 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카테타에 로딩된 상태로 혈관 내부로 삽입되어 목표 부위에서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는 스텐트 구조체, 상기 인접점과 접하여 상기 스텐트 구조체를 상기 카테타를 통해 이동시키는 푸쉬 부재 및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원접점에 접속되며,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인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을 상기 원접점을 중심으로 폐쇄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푸쉬 부재는, 내부에 상기 개폐 와이어의 이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 구조체는, 혈전을 수용하기 위한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개방된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메쉬부, 상기 메쉬부 전면 원주의 한 점인 상기 원접점 및 상기 메쉬부 전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된 와이어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와이어는,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로 분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부는, 상기 개폐 와이어가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상기 원접점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전면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부는,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형성되는 제1 메쉬부, 상기 제1 메쉬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메쉬부 및 상기 제2 메쉬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접점이 형성되는 제3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쉬부는, 상기 제2 메쉬부 또는 상기 제3 메쉬부를 형성하는 그물망보다 촘촘한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메쉬부는, 상기 제2 메쉬부로부터 나팔형상으로 확관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 시, 상기 인접점을 중심으로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개폐 와이어가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전면이 상기 원접점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바스켓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트 구조체의 형상을 바스켓 형상으로 하여 혈전부위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끌어내려지면서, 바스켓 형태에 혈전을 포획하여 신체 밖으로 끌고 내려오는 방식의 혈전제거술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혈전제거술에 따라 스텐트 구조체가 혈전을 파고드는데 걸리는 시간(일예로, 3분 내지 5분)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텐트 구조체가 혈전을 파고들기 위해 혈관벽에 밀착될 필요가 없으며, 바스켓 형상에 의해 스텐트 구조체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이상이 혈관벽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혈관벽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텐트 구조체 내에 혈전이 포획되는 것이 보장되므로, 이 상태에서 흡인 카테타를 적용하면 혈전이 흡인될 가능성이 높아 혈전제거술에 있어서 추가적인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텐트 시술장치의 전면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스텐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C 방향에서 바라본 스텐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텐트 시술장치의 전면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스텐트 구조체(10) 및 푸쉬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푸쉬 부재(30) 내부에 수용되는 개폐 와이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카테타(40)에 로딩된 상태로 혈관 내 목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카테타(40)가 후퇴함에 따라 혈관 내 목표 위치로 노출되면서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전면이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혈전부위를 지나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형태로 전면이 폐쇄될 수 있다.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혈전부위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끌어내려지면서, 바스켓 형태에 혈전을 포획하여 신체 밖으로 끌고 내려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푸쉬 부재(30)는 카테타(40)를 통해 스텐트 구조체(10)를 혈관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푸쉬 부재(30)는 와이어 또는 카테타 구조체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푸쉬 부재(30)의 내부 공간은 후술하는 개폐 와이어(112)의 이동통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와이어(112)는 스텐트 구조체(1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 와이어(112)는 푸쉬 부재(3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스텐트 구조체(10)는 원접점(111) 및 인접점(151)을 양 끝 단으로 하는 메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접점(111) 및 인접점(151)은 각각 메쉬부(100)를 형성하는 와이어가 접속되는 접점일 수 있다.
원접점(111)은 스텐트 구조체(10)와 접하는 푸쉬 부재(3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접점으로, 메쉬부(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접점(151)은 푸쉬 부재(30)와 가장 가까운 위치, 즉, 푸쉬 부재(30)와 접하는 접점일 수 있다.
메쉬부(100)는 와이어(101)를 엮어 원접점(111) 및 인접점(151)을 양 끝 단으로 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메쉬부(100)가 격자 형태의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혈전의 크기, 혈관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부(100)는 압축된 상태로 카테타(40)에 로딩되어 혈관 내 목표 부위로 위치할 수 있다. 카테타(40)에 로딩된 메쉬부(100)는 푸쉬 부재(30)에 의해 혈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푸쉬 부재(30)는 인접점(151)에 접속되어 메쉬부(100)를 혈관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메쉬부(100)는 혈관 내 목표 부위에서 카테타(40)가 후퇴함에 따라 노출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즉, 메쉬부(100)는 카테타(40)로부터 인출 시, 인접점(151)을 중심으로 전후면이 개방된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메쉬부(100)는 전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면이 원접점(111)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스텐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C 방향에서 바라본 스텐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쉬부(100)는 전면 원주를 따라 원접점(111) 및 적어도 하나의 접점(113, 115, 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점(113, 115, 117)에는 원접점(111)으로부터 분기된 와이어(112a, 112b, 112c)가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메쉬부(100) 전면 원주에 원접점(111) 외에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의 3개의 접점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원접점(111)과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은 각각 제1 와이어(112a) 내지 제3 와이어(112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12a) 내지 제3 와이어(112c)는 원접점(111)으로부터 연장되는 개폐 와이어(112)로부터 분기된 와이어일 수 있다. 즉, 원접점(111)에는 개폐 와이어(112)가 접속될 수 있다. 원접점(111)에 의해 분기된 개폐 와이어(112)인 제1 와이어(112a) 내지 제3 와이어(112c)는 각각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에 접속될 수 있다.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원접점(111)으로부터 인접점(151)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메쉬부(100)는 전면이 원접점(111)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폐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쉬부(100)는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이 원접점(111)으로 모아지면서 전면이 폐쇄될 수 있다. 원접점(111)으로부터 연장되는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원접점(111)으로부터 인접점(151)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개폐 와이어(112)로부터 분기된 와이어인 제1 와이어(112a) 내지 제3 와이어(112c)가 접속되는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 또한 원접점(111)으로 모아질 수 있다.
따라서, 메쉬부(100)는 전면이 원접점(111)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폐쇄될 수 있다. 제1 접점(113) 내지 제3 접점(117)은 메쉬부(100) 전면이 완전 폐쇄될 수 있도록, 메쉬부(100) 전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되, 일정 중심각을 갖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메쉬부(100)는 카테타(40)로부터 인출 시, 인접점(151)을 중심으로 전후면이 개방된 그물망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면이 원접점(111)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폐쇄되어 바스켓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메쉬부(100)는 인접점(151)으로부터 원접점(111)으로 갈수록 촘촘해지는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 형태로 전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혈전부위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끌어내려지면서, 바스켓 형태에 혈전을 잡아 신체 밖으로 끌고 내려올 수 있다. 메쉬부(100)는 폐쇄된 전면 부분이 개방된 후면 부분보다 촘촘한 그물망으로 형성됨으로써, 혈전부위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끌어내려지는 동안 바스켓 형태에 포획된 혈전이 그물망 구조에 의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100)는 제1 메쉬부(110), 제2 메쉬부(130) 및 제3 메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쉬부(110)는 메쉬부(100)의 전단에 해당하여, 원위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메쉬부(110)는 양 끝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의 원통 형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쉬부(110)는 전면에 원접점(111) 및 적어도 하나의 접점(113, 115, 117)이 형성되며,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면이 폐쇄되어 바스켓 형상의 막힌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제1 메쉬부(110)는 후술하는 제2 메쉬부(130) 및 제3 메쉬부(150)를 형성하는 그물망보다 촘촘한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쉬부(130)는 제1 메쉬부(110)의 후단에 연결되며, 양 끝단이 모두 개방된 원통 형상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메쉬부(150)는 제2 메쉬부(130)의 후단에 연결되는 양 끝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의 그물망으로, 메쉬부(100)의 후단에 해당하여, 메쉬부(100)가 시작되는 근위부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메쉬부(150)는 메쉬부(100)가 시작되는 근위부로 푸쉬 부재(30)가 접속되는 인접점(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인접점(151)은 제3 메쉬부(150) 후면 원주의 한 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메쉬부(150)는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바스켓 형상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제3 메쉬부(150)는 제2 메쉬부(130)로부터 나팔형상으로 확관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메쉬부(150)에 의해 바스켓 형상의 입구 부분이 넓어지므로 혈전을 포획하는데 용이하다.
이처럼, 스텐트 구조체(10)는 카테타(40)로부터 인출 시,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그물망으로 펼쳐질 수 있다. 스텐트 구조체(10)는 개폐 와이어(112)가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 원위부가 폐쇄되어 근위부를 입구로 하는 바스켓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텐트 구조체(10)는 개폐 와이어(112)가 전방으로 밀어지는 경우 다시 원위부가 개방되어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개폐 와이어(112)의 이동에 따라 스텐트 구조체(10)의 형상을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상 또는 전면이 폐쇄된 바스켓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스텐트 구조체(10)의 형상을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하여, 스텐트 구조체(10)의 바깥쪽으로 혈전을 밀어붙잡는 방식의 종래의 혈전제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시술장치(1000)는 스텐트 구조체(10)의 형상을 바스켓 형상으로 하여 혈전부위의 원위부로부터 근위부로 끌어내려지면서, 바스켓 형태에 혈전을 포획하여 신체 밖으로 끌고 내려오는 방식의 혈전제거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혈전제거술에 따라 스텐트 구조체(10)가 혈전을 파고드는데 걸리는 시간(일예로, 3분 내지 5분)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텐트 구조체(10)가 혈전을 파고들기 위해 혈관벽에 밀착될 필요가 없으며, 바스켓 형상에 의해 스텐트 구조체(10)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이상이 혈관벽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혈관벽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텐트 구조체(10) 내에 혈전이 포획되는 것이 보장되므로, 이 상태에서 흡인 카테타를 적용하면 혈전이 흡인될 가능성이 높아 혈전제거술에 있어서 추가적인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푸쉬 부재
40: 카테타
10: 스텐트 구조체
100: 메쉬부
101: 와이어
110: 제1 메쉬부
111: 원접점
112: 개폐 와이어
112a: 제1 와이어
112b: 제2 와이어
112c: 제3 와이어
113: 제1 접점
115: 제2 접점
117: 제3 접점
130: 제2 메쉬부
150: 제3 메쉬부
151: 인접점

Claims (9)

  1. 원접점 및 인접점을 양 끝 단으로 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카테타에 로딩된 상태로 혈관 내부로 삽입되어 목표 부위에서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는 스텐트 구조체;
    상기 인접점과 접하여 상기 스텐트 구조체를 상기 카테타를 통해 이동시키는 푸쉬 부재; 및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원접점에 접속되며,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인 상기 스텐트 구조체의 전면을 상기 원접점을 중심으로 폐쇄시키는 개폐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스텐트 구조체는,
    혈전을 수용하기 위한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개방된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메쉬부;
    상기 메쉬부 전면 원주의 한 점인 상기 원접점; 및
    상기 메쉬부 전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분기된 와이어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내부에 상기 개폐 와이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스텐트 시술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와이어는,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로 분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에 각각 접속되는 스텐트 시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개폐 와이어가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전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상기 원접점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전면이 폐쇄되는 스텐트 시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원접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형성되는 제1 메쉬부;
    상기 제1 메쉬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메쉬부; 및
    상기 제2 메쉬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접점이 형성되는 제3 메쉬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부는,
    상기 제2 메쉬부 또는 상기 제3 메쉬부를 형성하는 그물망보다 촘촘한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스텐트 시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쉬부는,
    상기 제2 메쉬부로부터 나팔형상으로 확관된 형상인 스텐트 시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구조체는,
    상기 카테타로부터 인출 시, 상기 인접점을 중심으로 전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개폐 와이어가 상기 원접점으로부터 상기 인접점 방향으로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전면이 상기 원접점을 중심으로 축소되면서 바스켓 형상을 이루는 스텐트 시술장치.
KR1020180101086A 2018-08-28 2018-08-28 스텐트 시술장치 KR10212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86A KR102125615B1 (ko) 2018-08-28 2018-08-28 스텐트 시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86A KR102125615B1 (ko) 2018-08-28 2018-08-28 스텐트 시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29A KR20200024429A (ko) 2020-03-09
KR102125615B1 true KR102125615B1 (ko) 2020-06-22

Family

ID=6980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086A KR102125615B1 (ko) 2018-08-28 2018-08-28 스텐트 시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9191B2 (ja) 2020-03-31 2023-06-27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ステント及びカテーテル・ステント・システム
WO2024014485A1 (ja) * 2022-07-14 2024-01-18 株式会社Bolt Medical 遠位スタビライ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36B1 (ko) * 2007-06-18 2008-12-08 주식회사 엠아이텍 논 커버드 스텐트
KR101303612B1 (ko) * 2012-11-26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1740A1 (de) 2010-11-19 2012-05-24 Phenox Gmbh Thrombektomievorrichtung
DE102011101522A1 (de) * 2011-05-13 2012-11-15 Phenox Gmbh Thrombektomievorrichtung
KR101729398B1 (ko) *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팽창 또는 수축 등 수의적 조절이 가능한 혈전제거 및 혈류 재개통용 스텐트형 기구
KR101791148B1 (ko) 2016-02-12 2017-10-27 신경민 혈전 제거용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36B1 (ko) * 2007-06-18 2008-12-08 주식회사 엠아이텍 논 커버드 스텐트
KR101303612B1 (ko) * 2012-11-26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혈전 제거용 스텐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29A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8422B2 (ja) 血流制限を伴う塞栓除去装置及び方法
US6447530B1 (en) Atraumatic anchoring and disengagement mechanism for permanent implant device
US20180256177A1 (en) Minimally Invasive Thrombectomy
CN112890914A (zh) 用于从血管中移除闭塞凝块的支架取栓器装置及其方法
US5800457A (en) Intravascular filter and associated methodology
KR102125615B1 (ko) 스텐트 시술장치
JP2023534895A (ja) 再捕捉可能なファネルカテーテル、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196414A1 (en) Multimode occlusion and stenosi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03002326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pirating emboli
US20070038242A1 (en) Emboli filter
CN111867495A (zh) 缺血性中风治疗用血流保护装置
US20100312270A1 (en) Vein filter
KR101238990B1 (ko) 임플란트 회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제거 방법
US82520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bolic protection
JP2012091017A (ja) ワイヤー越しインターロック装着/分離機構
JP2006522657A (ja) 尿管アクセスシース
KR102139168B1 (ko) 테더형 필터 조립체 및 그의 사용 방법
CN108495594A (zh) 取回系统
US20230389932A1 (en) Clot treatment systems, such as for use in removing clot material from a left atrial appendage (laa),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US2015014859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extraction
JPH11318910A (ja) 永久植え込み装置の非外傷性留置および除去の機構
JP2009261812A (ja) 血栓除去器具
US202101615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ograde percutaneous endovascular filter and embolectomy/thrombectomy device
KR102608437B1 (ko) 풍선 가이드 카테터
US10258453B2 (en) Pedal thromboembolic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