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136B1 - 논 커버드 스텐트 - Google Patents

논 커버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136B1
KR100872136B1 KR1020070059578A KR20070059578A KR100872136B1 KR 100872136 B1 KR100872136 B1 KR 100872136B1 KR 1020070059578 A KR1020070059578 A KR 1020070059578A KR 20070059578 A KR20070059578 A KR 20070059578A KR 100872136 B1 KR100872136 B1 KR 10087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portions
interference
turn part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김성영
김성현
김영신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7005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조임줄(lasso)을 당길 때 스텐트의 일측 단부 형상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논 커버드(non covered) 스텐트를 개시한다.
이러한 논 커버드 스텐트는, 원주면상을 따라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 및 이들 피크부와 밸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직선부들로 형성되는 제1 턴부와, 상기 제1 턴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직선부들과 각각 간섭되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는 제2 직선부들에 의해 다수의 다른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간섭 턴부와, 상기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밸리부들을 이웃하는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피크부들과 서로 걸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원통의 스텐트 본체 그리고,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직선부들이 서로 교차되는 간섭 지점의 와이어들과 걸려지는 상태로 상기 스텐트 본체 둘레를 따라 연결 형성되는 조임줄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조임줄은, 상기 간섭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 중에서 안쪽에 위치되는 직선부들을 오므림 가능하게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논 커버드 타입(non covered type)의 스텐트 본체, 라소(lasso), 마찰이나 접촉에 의한 간섭 현상 억제, 스텐트 단부의 비정상적인 변형 방지, 의료적 부작용 방지

Description

논 커버드 스텐트{non covered st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단부 둘레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임줄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조임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스텐트 본체의 일측 단부 둘레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조임줄을 잡아당긴 상태일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조임줄을 잡아당긴 상태를 해제할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조임줄의 다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조임줄을 스텐트 본체의 양쪽 단부측에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논 커버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트의 단부 둘레가 정상적인 형상으로 오므라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 논 커버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통로가 좁아진 혈관이나 식도와 같은 인체 내강의 병변 부위를 확장하는 시술에는 스텐트(stent)라 불리우는 의료용 확장 기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카테터와 같은 튜브형의 삽입 기구에 의해 내강의 병변 부위에 삽입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협착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텐트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와이어를 소정의 방법으로 감아서 만든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커버막(피복층)의 형성 유무에 따라 커버드(covered) 타입과 논 커버드(non covered) 타입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는 조임줄(또는 lasso라고도 함.)을 포함하며, 이 조임줄은 상기 스텐트를 인체 내강에 삽입한 상태에서 위치를 재 조정하거나 제거할 때 스텐트의 일측 단부를 오므리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 타입의 스텐트 중에서 논 커버드 타입의 스텐트의 경 우에는, 조임줄을 당겨서 상기 스텐트 단부를 오므린 상태로 위치를 재 조정한 후 원래 형태대로 복원시킬 때 원래의 형상으로 확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논 커버드 타입의 스텐트는 커버막이 없으므로 상기 조임줄의 조작시 와이어들의 위치를 잡아주지 못하여 와이어들 간에 서로 쉽게 접촉되거나 걸려지면서 간섭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조임줄은 상기 스텐트 단부를 형성하는 피크부(또는 밸리부) 사이로 통과하면서 와이어들과 걸림 상태로 연결되므로 상기 조임줄 자체 변형이나 와이어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팽창력을 저하시켜서 상기 스텐트가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복원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단부를 오므린 후 원래의 정상적인 형상으로 원활하게 복원되므로서 한층 향상된 시술 편의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논 커버드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원주면상을 따라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 및 이들 피크부와 밸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직선부들로 형성되는 제1 턴부;
상기 제1 턴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직선부들과 각각 간섭되도록 교차되 는 방향으로 밴딩되는 제2 직선부들에 의해 다수의 다른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간섭 턴부;
상기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밸리부들을 이웃하는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피크부들과 서로 걸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원통의 스텐트 본체;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직선부들이 서로 교차되는 간섭 지점의 와이어들과 걸려지는 상태로 상기 스텐트 본체 둘레를 따라 연결 형성되는 조임줄;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줄은, 상기 간섭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 중에서 안쪽에 위치되는 직선부들을 오므림 가능하게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커버드 스텐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스텐트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스텐트 본체(2)는, 통상의 방법으로 와이어(W)를 감아서 서로 간섭되도 록 형성되는 제1 턴부(B1)와 간섭 턴부(B2)를 가지며, 이 턴부(B1, B2)들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된 원통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턴부(B1)는, 원주면상을 따라 제1 피크부(P1)와 제2 밸리부(V1)들을 가지도록 와이어(W)를 지그재그로 감아서 상기 제1 피크부(P1)와 제1 밸리부(V1)들을 연결하는 제1 직선부(W1)들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 턴부(B2)는, 상기 제1 턴부 둘레(B1)를 따라 와이어(W)를 감아서 제2 피크부(P2)와 제2 밸리부(V2)를 연결하는 제2 직선부(W2)들이 상기 제1 직선부(W1)들과 서로 간섭되도록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텐트 본체(2)는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 2 직선부(W1, W2)들이 서로 교차된 복수 개의 간섭 지점(Q)을 갖는다.
상기 각 간섭 지점(Q)은 어느 하나의 직선부(W1 또는, W2)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다른 하나의 직선부(W2 또는 W1)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와이어(W)들의 접촉에 의해 간섭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들은 예를들어, 어느 하나의 간섭 지점(Q)에서 상기 제1 직선부(W1) 위로 상기 제2 직선부(W2)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인접한 다른 간섭 지점(Q)에서는 상기 직선부(W,1 W2)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면서 엇갈리게 감겨진다.(도 2참조)
그리하여, 상기 스텐트 본체(2)는, 상기 제1 턴부(B1)와 간섭 턴부(B2)들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면이 외부에 노출된 통상의 논 커버드 타입(non covererd type) 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 본체(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한 개의 제1 턴부(B1)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간섭 턴부(B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 커버드 스텐트는, 조임줄(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줄(4)은,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가 오므라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임줄(4)은, Braided 타입의 의료용 실(suture)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Braided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사(Poly(ethylene terephthalate)), braided 나일론(Nylon), braided 실크(silk)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노필라멘트사는 재질이 단단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면 꺽인 상태로 영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팽창력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팽창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려면 꺽이지 않는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는 braided 타입의 실이 더 유리하다.
상기 조임줄(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를 한 바퀴 돌은 상태에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 사이즈보다 긴 둘레를 가지도록 양쪽 끝단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 고정한다.
한편, 상기 조임줄(4)은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턴부(B1) 와 간섭 턴부(B2)의 제1 및 제2 직선부(W1, W2)들과 접촉 및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된다.
도 4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일측 단부 둘레를 전개하여 외부면을 바라보는 상태로 나타낸 전개 도면이다.
상기 조임줄(4)은 상기 간섭 지점(Q)에서 서로 교차되는 제1 직선부(W1) 및 제2 직선부(W2) 중에서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직선부(W1) 또는 제2 직선부(W2)들을 오므림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조임줄(4)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간섭 지점(Q)들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1 직선부(W1) 또는 제2 직선부(W2)의 와이어(W)와는 걸려지지 않도록 밑으로 통과하고,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직선부(W1) 또는 제2 직선부(W2)의 와이어(W)들과는 서로 걸려지도록 위로 통과되면서 오므림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각 간섭 지점(Q)에서 서로 겹쳐진 상태로 교차되는 제1 및 제2 직선부(W1, W2)의 와이어(W) 중에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 안쪽으로 위치되는 와이어(W)들만 상기 조임줄(4)과 걸려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줄(4)을 잡아당기거나 당김 상태를 해제할 때 상기 제1 턴부(B1)와 상기 간섭 턴부(B2)의 외이어(W) 간의 접촉이나 마찰에 의한 간섭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예를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임줄(4)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간섭 지점(Q)에서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직선부(W1) 또는, 제2 직선부( W2)의 와이어(W)만 걸려진 상태로 당겨진다.
그러면, 상기 조임줄(4)에 걸려져서 당겨지는 안쪽의 와이어(W)들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통로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안쪽 와이어(W)들의 이동에 의해 바깥쪽 와이어(W)들이 잡아당겨지면서 함께 이동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직선부(W1, W2)의 접촉 및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가 오므라지면 축소된다.
특히, 상기한 조임줄(4)의 연결 구조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가 원래의 정상적인 형상대로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임줄(4)을 잡아당긴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간섭 지점(Q)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와이어(W)들이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조임줄(4)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안쪽에 위치되는 와이어(W)들과 간섭이나 마찰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는, 와이어(W)들 간의 마찰이나 접촉을 줄일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턴부(B1)와 간섭 턴부(B2)가 균일하게 팽창되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형상대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스텐트 본체(2)측에 상기 조임줄(4)을 연결할 때 상기 간섭 지점(Q)에서 서로 겹쳐진 상태의 제1 및 제2 직선부(W1, W2) 중에서 안쪽의 와이어(W)들만 걸려지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어, 인체 내강(T)의 병변에서 스 텐트 본체(2)의 위치를 재 조정할 때 일측 단부를 간편하게 오므릴 수 있으며, 위치 조정 후에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가 원래의 정상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줄(4)은, 상기 스텐트 본체(2)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할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의 와이어(W)를 한 마디씩 건너뛰는 상태로 연결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 본체(2)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될 때 바깥쪽에 위치되는 와이어(W)를 두 마디씩 건너뛰면서 안쪽에 위치되는 와이어(W)들과 걸려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바깥쪽에 위치되는 두 마디 이상의 와이어(W)를 건너뛰는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스텐트 본체(2)의 단부측에 상기 조임줄(4)을 연결할 때 와이어(W)들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한 간섭 현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줄(4)은,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 본체(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들 간의 접촉이나 마찰과 같은 간섭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연결 구조를 가지는 조임줄을 구비하여 스텐트의 단부를 간편하게 오므리거나 원래의 형상대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원주면상을 따라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 및 이들 피크부와 밸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직선부들로 형성되는 제1 턴부;
    상기 제1 턴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직선부들과 각각 간섭되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는 제2 직선부들에 의해 다수의 다른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간섭 턴부;
    상기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밸리부들을 이웃하는 제1 턴부 및 간섭 턴부의 피크부들과 서로 걸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는 원통의 스텐트 본체;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직선부들이 서로 교차되는 간섭 지점의 와이어들과 걸려지는 상태로 상기 스텐트 본체 둘레를 따라 연결 형성되는 조임줄;
    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줄은, 상기 간섭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 중에서 안쪽에 위치되는 직선부의 와이어들을 오므림 가능하게 상기 스텐트 본체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커버드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본체는,
    한 개의 제1 턴부에 대응하여 이 제1 턴부 둘레를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 의 간섭 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논 커버드 스텐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줄은,
    상기 간섭 지점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직선부의 와이어를 한 마디 또는 두 마디 이상 건너뛰면서 안쪽에 위치되는 직선부의 와이어들과 걸림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커버드 스텐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줄은,
    상기 스텐트 본체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커버드 스텐트.
KR1020070059578A 2007-06-18 2007-06-18 논 커버드 스텐트 KR10087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578A KR100872136B1 (ko) 2007-06-18 2007-06-18 논 커버드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578A KR100872136B1 (ko) 2007-06-18 2007-06-18 논 커버드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136B1 true KR100872136B1 (ko) 2008-12-08

Family

ID=4037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578A KR100872136B1 (ko) 2007-06-18 2007-06-18 논 커버드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1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057B1 (ko) 2016-05-12 2017-12-18 주식회사 엠아이텍 자극에 기인한 조직 과성장 방지용 스텐트
KR20190014335A (ko) * 2017-08-02 2019-02-12 (주) 태웅메디칼 담도용 스텐트
KR20200024429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WO2020222361A1 (ko)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스텐트 매듭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446A (ja) * 1989-10-17 1991-06-06 Cook Inc 経皮ステント及びその回収方法
KR20010009743A (ko) * 1999-07-13 2001-02-05 김서곤 스텐트
US6565597B1 (en) 1999-07-16 2003-05-20 Med Institute, Inc. Stent adapted for tangle-free deploy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446A (ja) * 1989-10-17 1991-06-06 Cook Inc 経皮ステント及びその回収方法
KR20010009743A (ko) * 1999-07-13 2001-02-05 김서곤 스텐트
US6565597B1 (en) 1999-07-16 2003-05-20 Med Institute, Inc. Stent adapted for tangle-free deploy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057B1 (ko) 2016-05-12 2017-12-18 주식회사 엠아이텍 자극에 기인한 조직 과성장 방지용 스텐트
KR20190014335A (ko) * 2017-08-02 2019-02-12 (주) 태웅메디칼 담도용 스텐트
KR101996524B1 (ko) * 2017-08-02 2019-07-04 (주)태웅메디칼 담도용 스텐트
KR20200024429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KR102125615B1 (ko) * 2018-08-28 2020-06-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시술장치
WO2020222361A1 (ko)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스텐트 매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277B2 (en) Releasable delivery system
JP5898630B2 (ja) ステントの直径を縮小するための構造
ES2265491T3 (es)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un stent y el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CN104997545B (zh) 栓子医疗设备
US6019779A (en) Multi-filar coil medical stent
US6287333B1 (en) Flexible stent
US857991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EP2174620B1 (en) Stent removal and repositioning aid
JP5248545B2 (ja) ステント除去用引出ワイヤ
US20070129756A1 (en) Clip-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Septal Defects
AU2002229722A1 (en)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872136B1 (ko) 논 커버드 스텐트
US10433714B2 (en) Endoscope anchoring device
WO2020194506A1 (ja) ステント
JP2009000523A (ja) 管状プロテーゼおよび関連キット
AU2018427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device constraining mechanism construction
JP7331342B2 (ja) 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