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60B1 -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60B1
KR101728060B1 KR1020157032666A KR20157032666A KR101728060B1 KR 101728060 B1 KR101728060 B1 KR 101728060B1 KR 1020157032666 A KR1020157032666 A KR 1020157032666A KR 20157032666 A KR20157032666 A KR 20157032666A KR 101728060 B1 KR101728060 B1 KR 10172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stamp
frame
refresh interval
access poi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772A (ko
Inventor
마르텐 멘조 웬팅크
디디어 조한네스 리차드 반 니
카를로스 호라시오 알다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시스템 및 방법들은, 각각의 타임스탬프 프레임 교환이 수행된 후 교환되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타임스탬프 프레임 교환을 활용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WIRELESS NETWORKING DEVICE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0001]본 출원은, 2013년 4월 17일에 출원되고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WIRELESS NETWORKING DEVICES"인 미국 가출원 시리얼 넘버 제61/813,115호, 및 2014년 4월 15일에 출원되고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WIRELESS NETWORKING DEVICES"인 미국 정규 출원 시리얼 넘버 제14/253,84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인용에 의해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0002]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일반적으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프레임들을 교환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3]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사양을 따르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AN) 기술은 흔히, 컴퓨팅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고 대역폭 요구들을 경제적으로 만족시키는 그의 능력으로 인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에서 무선 연결용으로 사용된다. IEEE 802.11 사양("프로토콜")에 따르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는, 타임스탬프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비컨들을 다른 AP들 및/또는 네트워크 스테이션들(STA들)로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그들의 로컬 TSF(Timing Synchronization Function) 타이머를 AP의 TSF 클락 신호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0004]AP들에 의해 송신된 타임스탬프들은 또한, AP에 의한 타임스탬프의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된 왕복 시간 또는 다른 타이밍 값을 결정함으로써 AP 또는 STA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레인징(rang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인징의 특정 타입들의 경우, AP들이 그 자신의 TSF 타이머들의 타이밍 오프셋들 및 인근 AP들을 아는 것이 희망된다. 그러한 타이밍 오프셋들 또는 타이밍 지연들이, AP에 의해 인근 AP들 및 STA들로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송신 AP와 관련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STA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05]그에 따라, 최소의 AP 부재 및 트래픽을 유지하면서 인근 AP들 및 STA들로 하여금 송신 AP에 대하여 포지션을 결정하게 하는, AP들과 STA들 간에 타임스탬프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요구된다. 특히, 각각의 타임스탬프 교환 이후 새로운 리프레쉬 간격들을 랜덤하게 선택함으로써 AT들과 STA들 간의 최소의 부재와 충돌들을 허용하는, AP들과 STA들 간의 타이밍의 동기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문헌 1] US 2006/0221924 A1 (YANG 외) 2006.10.05.
[문헌 2] US 2008/0291883 A1 (SEOK) 2008.11.27.
[문헌 3] US 2014/0286324 A1 (ALDANA 외) 2014.09.25.
[0006]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시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된 경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시간 값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클락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된 경우, 타임스탬프 지시(indication) 프레임을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제 1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8]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추가로 제공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경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하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시기를 결정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로컬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그리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시간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0009]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를 도시한다.
[0010]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IEEE 802.11 프레임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11]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12]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유니캐스트 프레임 교환들의 예들이다.
[0013]도 5는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4]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5]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6]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7]도 9는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8]도 10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19]도 11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0020]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엘리먼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다.
[0021]다음 설명에서, 특정한 세부사항들은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도록 제시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그러한 특정 상세들 중 일부 또는 전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제시된 특정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더라도, 본 개시물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다른 소재를 실현할 것이다.
[0022]도 1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104)와 통신 중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1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4)는 인터넷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는 무선 통신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랩탑 컴퓨터(106), 스마트폰(108), 및 태블릿 컴퓨터(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이러한 디바이스들(106-110)이 액세스 포인트(102)를 통해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디바이스들, 이를 테면, 데스크탑 컴퓨터들, 셋탑 박스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및 무선 텔레비전들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102)를 통해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6-110)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802.11 무선 표준, 이를 테면, 802.11b, 802.11g, 802.11g, 802.11n, 802.11ac, 및/또는 802.11ad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102)는 추가 무선 통신 서비스들, 이를 테면, WiFi(wireless fidelity) 서비스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서비스들, 및 SIP(wireles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106-110)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 스테이션들 또는 STA들로 지칭될 수 있다.
[0023]액세스 포인트(102)는 네트워크(104)와의 통신을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302)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모뎀, 이더넷 디바이스, 및/또는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유선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 내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연결시키고 다양한 컴포넌트들 간에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버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s), 또는 그래픽스 프로세서들일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 및 메모리 컴포넌트(118)를 포함한다. 메모리 컴포넌트(118)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광학, 자기, 또는 고상 메모리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에 대응할 수 있다.
[0024]액세스 포인트(102)는 또한,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 이를 테면,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은,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에 의해 실행될 경우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듈들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메모리를 지닌 다른 회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은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 시간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스테이션들(106-110) 중 임의의 스테이션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은, 타임스탬프 요청 및/또는 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는 타임스탬프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생성 모듈(122),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24), 및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프레임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으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락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클락 업데이트 모듈(126)을 포함할 수 이다.
[0025]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입력부들과 출력부들 둘 모두와 통신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변조기/복조기,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트랜시버들, 전화기 인터페이스, 브리지, 라우터,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연결 디바이스(106-110)를 네트워크(104)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이를 테면, Wi-Fi™, 3G, 4G, HDSPA, LTE, RF, NFC, IEEE 802.11a, b, g, n, ac, 또는 ad, Bluetooth®, WiMAX,  ZigBee® 등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0026]디바이스들 또는 스테이션들(106-110)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모뎀, 이더넷 디바이스, 및/또는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유선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또한, 스테이션 또는 디바이스 내부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접속하게 하고 다양한 컴포넌트들 간에 정보를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 버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s), 또는 그래픽스 프로세서들일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34), 및 메모리 컴포넌트(136)를 포함한다. 메모리 컴포넌트(118)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광학, 자기, 또는 고상 메모리들,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에 대응할 수 있다.
[0027]스테이션들은 또한, 일 스테이션의 클락 시간을 액세스 포인트(102) 또는 스테이션들(106-110) 중 임의의 스테이션과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동기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타이밍 동기화 모듈(138)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동기화 모듈(138)은, 타임스탬프 요청 및/또는 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는 타임스탬프 요청 및 응답 프레임 생성 모듈(140),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42), 및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프레임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으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에 기초하여 시스템 클락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클락 업데이트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0028]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여, 스테이션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4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46)는 LCD(liquid crystal disply) 스크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스크린(능동 메트릭스 AMOLED 스크린들을 포함함), LED 스크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스테이션은 또한 선택적인 입력 및 내비게이션 제어 컴포넌트(14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46)를 따라 정보를 입력하고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한다. 입력 및 네비게이션 제어 컴포넌트(148)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키 패드, 물리적이든 또는 가상적이든, 마우스, 트랙볼, 또는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 또는 용량성 센서 기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입력부들 및 출력부들 둘 모두와 통신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변조기/복조기, 무선 라디오 주파수(RF) 트랜시버들, 전화기 인터페이스, 브리지, 라우터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네트워크(104)에 연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102)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는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이를 테면, Wi-Fi™, 3G, 4G, HDSPA, LTE, RF, NFC, IEEE 802.11a, b, g, n, ac, 또는 ad, Bluetooth®, WiMAX,  ZigBee® 등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0029]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IEEE 802.11 프레임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DP(user datagram protocol)은 액세스 포인트(102)와 스테이션들 또는 디바이스들(106-110)과 네트워크(104) 간에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IEEE 802.11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PDU)으로 캡슐화된 UDP 패킷은 UDP 프레임(200) 또는 MAC 프레임(200), 또는 단순히 IEEE 802.11 프레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 프레임(200)은 다른 것들 중에서, 프레임 타입, 및 프레임(200)에 대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제어(FC) 필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어드레스 필드들(A1, A2 및 A3)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어드레스 필드(A1)(204)는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 또는 예정된 수신기의 어드레스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어드레스 필드(A2)(206)는 또한 발신자의 식별(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02)의 ID)을 나타낼 수 있다. 제 3 어드레스 필드(A3)(208)는 또한 발신자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0)의 바디(210)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송신되는 특정 데이터, 또는 다른 타입들의 송신 프레임들에 대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이 프레임(200)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2-비트 값일 수 있다. 프레임(200)은 통상의 프레임 체크 시퀀스(FCS) 필드(212)로 함께 끝날 수 있다.
[0030]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제어 필드(202)는 필드들(214-234)을 포함할 수 있다. 필드(214)는 프로토콜 버전을 지정할 수 있다. 필드(216)는 프레임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을 포함하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및 요청 프레임은 제어 타입 프레임일 수 있다. 타임스탬프 지시, 및 타임스탬프 프레임은 또한, 시간 값을 포함하는 제어 타입 프레임일 수 있다. 더욱이,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은 또한, 제어 타입 프레임일 수 있고 응답성 타임스탬프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지정된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프레임의 바디 프레임(210)은 이용가능한 비트들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간 값 또는 지정된 대역폭이 페이로드로서 바디 프레임(210)에 포함될 수 있다. 필드(218)는 프레임 서브타입, 이를 테면, 타임스탬프 요청, 타임스탬프 응답,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를 지정할 수 있다. 필드(220 및 222)는, 프레임(200)이 분배 시스템(DS)으로가는지 또는 분배 시스템(DS)으로부터 오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필드(224)는, 소분된(fragmented) 프레임 중 임의의 최종이 아닌(non-final) 소부분들(fragments)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프레임(226)은 프레임이 재송신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프레임(228)은, 전송 디바이스가 절전 모드에 있는지 여부와 같은 전력 관리를 나타낼 수 있다. 필드(230)는,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버퍼링되고 있는 프레임들(데이터)이 절전 모드에 있는 스테이션들로 향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WEP(wired equivalent privacy) 프레임(232)은, 프레임이 암호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프레임(234)은, 이를 테면, 소부분들 및 프레임들이 순서대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순서 비트를 위해 예비될 수 있다.
[0031]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2-1 내지 102-11)(총괄하여, 액세스 포인트(102)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102)로 지칭됨)은 네트워크(104)와 무선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102-1 내지 102-11)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 중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들(102-1 내지 102-11)은 타임스탬프 및/또는 타이밍 오프셋 또는 델타를 액세스 포인트들(102-1 내지 102-11) 근처에 있는 다른 액세스로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들(102-1 내지 102-11)의 타이밍을 동기화할 수 있다.
[0032]도 4a 내지 도 4d는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간의 유니캐스트 프레임 교환들의 예들이다. 도 4a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 및 시간 응답 프레임의 교환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400)이다. 도 4b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 및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교환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407)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요청 및 응답 프레임들의 교환은 활성 프레임 교환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을 송신할 수 있다. SIFS(short interframe space)(404) 이후, 제 2 디바이스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스테이션들, 이를 테면,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일 수 있다. 802.11 표준에 따르면, SIFS는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송신들 간의 IFS(interframe space)들 중 가장 짧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SIFS는, 스테이션들이 매체를 점유(seize)하고 있고 프레임 교환 시퀀스가 수행되는 지속기간 동안 매체를 보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된다. 프레임 교환 시퀀스 내에서 송신들 간에 최소 갭을 이용하는 것은, 더 오랜 갭 동안 유휴 상태로 매체를 대기하도록 요청되는 다른 스테이션이 그 매체를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여, 진행 중인 프레임 교환 시퀀스의 완료에 우선권을 제공한다.
[0033]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8)을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SIFS(412) 이후에 확인응답(ACK) 프레임(410)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런다음, 제 2 디바이스는 다른 스페이스(416) 이후에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14)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간은 백오프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간은 PCF(point control function) 인터프레임 공간(PIFS)일 수 있다.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14)의 수신 이후, 그런다음, 제 1 디바이스는 SIFS(420) 이후에 확인응답(418)을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0034]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 내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00)의 바디(210)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은 또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요청들의 경우와 유사하게,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00)의 바디(210) 내에 있을 수 있다.
[0035]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들(102)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들(102)은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아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으므로, 인근 액세스 포인트들(102) 간의 시간 지연이 알려진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2)는 각각의 인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타임스탬프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 또는 인근 액세스 포인트(102)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일 수 있다. 요청 및 리프레쉬 프레임들로부터, 제 1 액세스 포인트의 클락과 제 2 액세스 포인트의 클락 간의 델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값이 제 1 액세스 포인트로 제공될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제 1 액세스 포인트 클락을 제 2 액세스 포인트 클락에 동기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다른 타이밍 관련 목적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1)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액세스 포인트(102-2)로 전송할 수 있다. SIFS(404) 또는 ACK(410)의 전송 이후, 액세스 포인트(102-2)는, 시간 값을 바디(210)에 포함시킬 수 있는 시간 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을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1)의 클락 업데이트 모듈(126)은 그런 다음, 수신된 시간 값에 기초하여 델타를 결정하고 액세스 포인트(102-1)의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타이밍-관련 액티비티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36]타임스탬프가 리프레쉬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벌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마다 각각의 타임스탬프를 리프레쉬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102)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들(402 및 408)의 송신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중 임의의 시각에 모든 각각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케줄링된 시간은 랜덤 시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24)은 x 밀리초(ms) 마다 타임스탬프 리프레쉬를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1 내지 1000의 랜덤한 숫자이고, x는 1내지 1000의 정수로서 균일하게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x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37]액세스 포인트(102)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수신하는 경우, 그 특정 액세스 포인트(102)로의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의 스케줄링된 송신은 대응하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동안 삭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2)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102)의 절반으로부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수신하고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로서, n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갖는 시스템의 경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동안 평균적으로, (n-1)/2개의 수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들(402 또는 408)과 (n-1)/2개의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들(402 또는 408)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들(102)이 상이한 채널들 상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102)는, 수신 액세스 포인트(102)가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해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수신하게 될 채널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액세스 포인트(102)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을 송신할 동작 채널에서 나오는 시간 기간(부재(absence)로 지칭됨)은 최대 (n-1)/2개의 프레임들일 수 있다.
[0038]11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을 포함하는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평균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2)마다 수신된 5개의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들(402 또는 408)과,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마다 액세스 포인트(102) 마다 5개의 부재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시스템들의 경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당 부재들의 수는 평균적으로 (n-1)/2개일 수 있지만, 인터벌 동안 특정 랜덤화에 의존하여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당 0 내지 n-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들의 수는, 도 3에 도시된 11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당 0 내지 10으로 변할 수 있다.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이 동시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의 채널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406 또는 414) 또는 ACK 프레임(410 또는 416)을 대기하면서 다른 채널 상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액세스 포인트들(102)이 무한정 서로를 대기하고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한될 수 있다.
[0039]동일한 액세스 포인트(102)로의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402 또는 408)의 연속적인 송신들 사이의 시간은 하한부터 상한까지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단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102)가 추가되면 시간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시간은, 각각의 타임스탬프가 액세스 포인트(102)와 교환된 후에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해 선택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x 밀리초 마다일 수 있고, 여기서, x는 1 내지 1000의 정수로서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타임스탬프를 특정 액세스 포인트(102)와 교환한 후 랜덤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들의 다른 채널로의 이동이 액세스 포인트들(102)의 동작 시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들(102) 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터벌이 한번만 랜덤으로 선택되는 경우, 더 짧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갖는 제 1 액세스 포인트(102)는 제 1 액세스 포인트(102)의 동작 시간 동안 제 2 액세스 포인트(102)의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부재들의 스케줄링 시에 보다 많은 예측가능성을 제공하는 한편, 제 1 액세스 포인트(102)가 상이한 채널 상에서 그의 대부분의 동작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들(106, 108 또는 110)이 제 1 액세스 포인트(102)와 통신하는 것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40]도 4c는 제 1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전송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422)과 SIFS(426) 이후 응답으로 전송된 ACK 프레임(424)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421)이다.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422)만을 이용하는 도 4c에 도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들(102)의 시스템에 걸쳐 타임스탬프들을 동기화하는 것은,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422)을 송신하기 위해서 모든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2)에게 모든 각각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102)의 채널로 잠재적으로 이동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의 경우, 부재들의 수는 n-1개일 수 있고 송신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들(422)의 수 또한 n-1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11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이 각각 상이한 채널들 상에 있는 경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당 액세스 포인트(102) 당 10개의 송신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들(422)과 10개의 부재들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422)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들(402 또는 406) 및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들(408 또는 414)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422)은 또한, 그의 바디(210) 내에 시간 값을 갖는 프레임(200)과 유사할 수 있다.
[0041]도 4d는 제 1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전송된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428)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427)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428)은 제 1 액세스 포인트(102) 및 임의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지원된 제 1 대역폭에서 전송될 수 있고, 타임스탬프 프레임 내 시간 값에 응답하기 위해 대역폭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정된 대역폭은,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428)이 전송되는 대역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타임스탬프 프레임에 대한 더 넓은 대역폭은, 타임스탬프 프레임의 수신을 허용하여 타임스탬프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하게 한다.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428)은 20MHz에서 전송될 수 있지만, 더 큰 정확도를 고려하여 응답 타임스탬프 프레임이 80MHz에서 전송될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역폭 사양은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428)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0042]그런 다음, 제 2 액세스 포인트(102) 또는 다른 디바이스는 SIFS(432) 이후 지정된 대역폭에서 응답 타임스탬프 프레임(430)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액세스 포인트는, SIFS(436) 이후 지정된 대역폭에서 그 자신의 타임스탬프 프레임(434)을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프레임들(430 및 434)은 개별적인 송신 디바이스들의 내부 클락 값들을 나타내는 시간 값들을 포함한다.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프레임(430) 및 타임스탬프 프레임(434)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0043]도 4a 내지 도 4d가 능동적인 시간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더라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동적인 방법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수동적 동기화 방법은, 송신 액세스 포인트(102)의 동일한 채널로 이동되었거나 또는 그 동일한 채널 상에 존재하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102)에 의해 수신되는 타임스탬프를 액세스 포인트(102)에 의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수동적인 방법에서, 송신된 타임스탬프들의 수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당 액세스 포인트 당 1개의 송신된 타임스탬프일 수 있다. 그러나, n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에 대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부재의 수는 n-1일 수 있으며, 이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능동적인 방법의 경우에서 평균적으로 (n-1)/2개인 부재들보다 더 클 수 있다.
[0044]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11개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의 시스템에서, 수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스탬프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당 액세스 포인트(102) 당 10개의 부재들이 있는 상태로 액세스 포인트(102) 마다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개별적인 타임스탬프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서 동일한 시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연속적인 브로드캐스트 송신들 간의 고정 인터벌을 랜덤으로 선택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인터벌은 기본 서비스 세트(BSS)의 수명 동안 고정되지만, 스타트업할 때 랜덤으로 선택된다. 수동적인 방법은, 2014년 3월 14일에 출원된 Carlos Aldana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제14/212,849호에 추가로 기술되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0045]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능동적인 방법은, 부재들이 액세스 포인트(102)에서 보다 용이하게 스케줄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데, 부재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102)의 타이밍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의 동작 채널과는 상이한 주어진 채널 상에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2)이 존재할 경우, 채널 상의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102)로 타임스탬프들을 리프레쉬시키기 위해 단일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능동적인 방법들은 액세스 포인트들(102) 사이에서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상술된 바와 같은 수동적인 방법은, 그 방법이 보다 용이하게 더 많은 수의 디바이스들로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액세스 포인트들(102)(이를 테면,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연관된 네트워크 스테이션들(STA들) 간의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0046]도 5는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502)와 제 2 디바이스(504)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50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50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504)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502) 또는 제 2 디바이스(50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같은 네트워크 스테이션(STA)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은 도 4a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경우(506), 제 1 디바이스(502)가 제 2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508). 제 2 채널은, 제 2 디바이스(504)가 동작하고 있는 채널일 수 있다. 510에서, 제 1 디바이스(502)는 타임스탬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 내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1 디바이스(502)의 내부 클락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바디(210)에 존재할 수 있다. 512에서, 제 2 디바이스(504)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시간 값에 기초하여 클락 차를 결정할 수 있다. 514에서, SIFS 이후, 제 2 디바이스(504)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제 1 디바이스(502)로 전송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2 디바이스(504)의 내부 클록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바디(210)에 존재할 수 있다. 516에서, 제 1 디바이스(502)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518에서, 제 1 디바이스(502)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내부 클록을 업데이트한 후에, 제 1 디바이스(502)는 제 1 채널로 복귀한다. 이후, 520에서, 제 1 디바이스(502)는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x밀리초 마다일 수 있고, x는 1 내지 1000의 정수로서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47]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602)와 제 2 디바이스(604)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60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604)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602) 또는 제 2 디바이스(60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같은 네트워크 스테이션(STA)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은 도 4b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할 경우(606), 제 1 디바이스(602)는 제 2 채널로 이동될 수 있다(608). 제 2 채널은, 제 2 디바이스(604)가 동작하고 있는 채널일 수 있다. 610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1 디바이스(602)의 내부 클록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612에서, 제 2 디바이스(604)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거나 그리고/또는 제 2 디바이스(604)의 내부 클락 값과 제 1 디바이스(602)의 내부 클락 값 간의 차를 시간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614에서, SIFS 이후, 제 2 디바이스(604)는 확인응답 프레임(ACK)을 전송할 수 있다. 616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ACK를 수신할 수 있다. 618에서, 백오프 프레임 공간, 또는 PIFS일 수 있는 제 2 시간 기간 이후, 제 2 디바이스(804)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제 1 디바이스(602)로 송신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2 디바이스(604)의 내부 클록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바디(210)에 존재할 수 있다. 620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그리고/또는 제 1 디바이스(602)의 내부 클락 값과 제 2 디바이스(604)의 내부 클락 값 간의 차를 시간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622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SIFS 이후 ACK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624에서, 제 2 디바이스(604)는 ACK를 수신할 수 있다. 626에서, 제 1 디바이스(602)는 제 1 채널로 복귀하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628).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x밀리초 마다일 수 있고, x는 1 내지 1000의 정수로서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48]도 7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702)와 제 2 디바이스(704)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70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70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704)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702) 또는 제 2 디바이스(70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같은 네트워크 스테이션(STA)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은 도 4c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경우(706), 제 1 디바이스(702)가 제 2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708). 제 2 채널은, 제 2 디바이스(704)가 동작하고 있는 채널일 수 있다. 710에서, 제 1 디바이스(702)는 타임스탬프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타임스탬프 지시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 내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1 디바이스(702)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712에서, 제 2 디바이스(704)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그리고/또는 제 1 디바이스(702)의 내부 클락과 제 2 디바이스(704)의 내부 클락 간의 차를 결정할 수 있다. 714에서, SIFS 이후, 제 2 디바이스(704)는 확인응답 프레임(ACK)을 전송할 수 있다. 716에서, 제 1 디바이스(702)는 ACK를 수신할 수 있다. 718에서, 제 1 디바이스(702)는 제 1 채널로 복귀할 수 있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720).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x밀리초 마다일 수 있고, x는 1 내지 1000의 정수로서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49]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부합하는, 제 1 디바이스(802)와 제 2 디바이스(804) 간의 프레임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80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80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804) 또한 액세스 포인트(102)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802) 또는 제 2 디바이스(80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들(106, 108 및 110)과 같은 네트워크 스테이션(STA)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은 도 4d에 도시된 프레임 교환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할 경우(806), 제 1 디바이스(802)는 제 2 채널로 이동될 수 있다(808). 제 2 채널은, 제 2 디바이스(804)가 동작하고 있는 채널일 수 있다. 810에서, 제 1 디바이스(802)는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은, 제 1 디바이스(802) 및 제 2 디바이스(804)에 의해 지원된 임의의 대역폭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된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은, 응답 타임스탬프 프레임이 송신될 지정된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지정된 대역폭은 타임스탬프 개시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812에서, 제 2 디바이스(804)는 타임스탬프 개시를 수신할 수 있다. 814에서, SIFS 이후, 제 2 디바이스(804)는 지정된 대역폭에서의 타임스탬프 프레임을 제 1 디바이스(802)로 송신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2 디바이스(804)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타임스탬프 프레임의 바디(210)에 존재할 수 있다. 816에서, 제 1 디바이스(802)는 타임스탬프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간 값에 기초하여 내부 클락을 업데이트하거나 그리고/또는 제 1 디바이스(804)의 내부 클락 값과 제 2 디바이스(802)의 내부 클락 값 간의 차를 시간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0050]818에서, SIFS 이후, 제 1 디바이스(802)는 지정된 대역폭에서 타임스탬프 프레임을 제 2 디바이스(804)로 송신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1 디바이스(804)의 내부 클록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이 또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바디(210)에 존재할 수 있다. 820에서, 제 1 디바이스(802)는 제 1 채널로 복귀하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822). 일부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x밀리초 마다일 수 있고, x는 1 내지 1000의 정수로서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에 기초하여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51]도 9는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를 위해서, 도 9는 도 1 내지 도 3, 도 4a, 또는 도 5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900)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900)는 메모리(118)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102)의 운영 체제에 의해 구현되고 그리고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900)는 운영 체제에서 백그라운드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900)에서, 프로세싱 컴포넌트(116)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음(902)을 결정할 경우, 프로세싱 컴포넌트(116)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12)에게 명령하여 현재 채널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활성 중인 채널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904). 이후,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타임스탬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906).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102)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바디(210)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요청/응답 모듈(122)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0052]도 9로 돌아가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908).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2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시간 값은 제 2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을 나타낼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910). 일부 실시예들에서, 클락 업데이트 모듈(126)은 수신된 시간 값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원래의 채널로 복귀할 수 있다(912).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24)이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914). 프로세스(900)는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0053]도 10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를 위해서, 도 10은 도 1 내지 도 3, 도 4b, 또는 도 6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프로세스(1000)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1000)는 메모리(118)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102)의 운영 체제에 의해 구현되고 그리고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1000)는 운영 체제에서 백그라운드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컴포넌트(116)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음(1002)을 결정할 경우, 프로세싱 컴포넌트(116)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12)에게 명령하여 현재 채널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활성상태로 있는 채널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1004). 이후,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타임스탬프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1006).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102)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은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요청/응답 모듈(122)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0054]도 10으로 돌아가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1008), 이후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1010)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제 2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내부 클락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시간 값은 또한,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수신 시, 프로세싱 컴포넌트(116)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에게 명령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게 할 수 있다(1012). 시간 값은 제 2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을 나타낼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02)의 클락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클락 업데이트 모듈(126)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1014).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원래의 채널로 복귀할 수 있다(1016).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24)이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1018). 프로세스(1000)는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0055]도 11은 일부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인근 디바이스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시를 위해서, 도 11은 도 1 내지 도 3, 도 4c, 또는 도 7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프로세스(1100)는 액세스 포인트(102)의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타이밍 동기화 모듈(120)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1100)는 메모리(118)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102)의 운영 체제에 의해 구현되고 그리고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1100)는 운영 체제에서 백그라운드 서비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1100)에서, 프로세싱 컴포넌트(116)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음(1102)을 결정할 경우, 프로세싱 컴포넌트(116)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12)에게 명령하여 현재 채널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활성상태로 있는 채널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1104). 이후,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1106). 일부 실시예들에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송신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정의된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102)의 내부 클락의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의된 포인트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 또는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간 값이 또한,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의 바디(210)에 포함될 수 있다.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요청/응답 모듈(122)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0056]도 11로 돌아가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1108).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8)는 이후 원래의 채널로 복귀할 수 있다(1110).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 모듈(124)이 단독으로, 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116)와 결합하여,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할 수 있다(1112). 프로세스(1100)는 이후,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될 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0057]본원에 설명된 적어도 일부의 구현들이 흐름도, 순서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서 도시된 프로세스로서 설명되었음을 알 수 있다. 플로우차트가 동작들을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기술할 수도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동작들의 순서가 재배열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는 그 동작들이 완료될 경우에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함수, 절차, 서브루틴, 서브프로그램 등에 대응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가 함수에 대응할 경우, 그 종료는 그 함수의 호출 함수 또는 메인 함수로의 리턴에 대응한다.
[0058]또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저장부(들)와 같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절차,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statement)들의 임의의 결합을 표현할 수도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독립변수(argument)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정보,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전달,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0059]용어들 "머신-판독가능 매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는, 휴대용 또는 고정식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또는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비일시적 매체들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머신-판독가능 매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구현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머신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0060]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에서 직접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서, 프로세싱 유닛, 프로그래밍 명령들, 또는 다른 디렉션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일의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대안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0061]당업자라면,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여러 예증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달라진다.
[0062]결과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프레임들의 교환에 의해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각각의 동기화 이후 새로운 리프레쉬 인터벌들을 랜덤으로 선택함으로써 디바이스들 간 최소의 부재들과 충돌들을 허용하는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의 동기화를 허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되는 개시된 실시예들과 부합하는 다른 시스템들을 용이하게 창안할 수 있다.
[0063]개시된 프로세스들/흐름도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접근법들의 예시라는 것을 이해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흐름도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일부 단계들은 결합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의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나타내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0064]앞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구항들은 본원에 나타내어진 양상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문언 청구항들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를 따르며, 엘리먼트를 단수로 언급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및 하나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 이상을"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 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 및 "A, B,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조합들은 A, B, 및/또는 C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A, 다수개의 B 또는 다수개의 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A, B,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조합들은, A만, B만, C만,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조합들은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의 구성원 또는 구성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또는 당업자가 알게 될 본 개시물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되고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이러한 개시물이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청구범위의 엘리먼트는, 그 엘리먼트가 어구 "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22)

  1.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timestamp refresh interval)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clock)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상기 시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클락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균일한 분포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 중 하나에 기초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에서, 또는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내부 클락의 상기 시간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대역폭을 지정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SIFS(short interframe space) 이후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스탬프 지시(indication) 프레임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균일한 분포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 중 하나에 기초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타이밍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방법.
  11.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된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하는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값을 저장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상기 시간 값에 기초하여 로컬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고, 그리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랜덤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균일한 분포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 중 하나에 기초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은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대역폭을 지정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타임스탬프의 시작 또는 끝을 포함하는 심볼의 시작 또는 끝에서, 또는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에서 상기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내부 클락의 상기 시간 값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수신 이후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SIFS(short interframe space) 이후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7.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을 상기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하고 ― 상기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고, 그리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랜덤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새로운 타임 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은 균일한 분포 또는 지수함수형 분포 중 하나에 기초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19.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타임스탬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의 상기 시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클락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고; 그리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20. 무선 통신을 위한 제 1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와 연관된 채널로 이동하고;
    상기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을 송신하고 ― 상기 타임스탬프 지시 프레임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내부 클락을 나타내는 시간 값을 포함함 ―;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원래의 채널로 이동하고; 그리고
    새로운 타임스탬프 리프레쉬 인터벌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21. 삭제
  22. 삭제
KR1020157032666A 2013-04-17 2014-04-16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72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3115P 2013-04-17 2013-04-17
US61/813,115 2013-04-17
US14/253,842 US9426763B2 (en) 2013-04-17 2014-04-15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wireless networking devices
US14/253,842 2014-04-15
PCT/US2014/034388 WO2014172471A1 (en) 2013-04-17 2014-04-16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timing between wireless network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772A KR20150143772A (ko) 2015-12-23
KR101728060B1 true KR101728060B1 (ko) 2017-04-18

Family

ID=5172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66A KR101728060B1 (ko) 2013-04-17 2014-04-16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6763B2 (ko)
EP (1) EP2987258A1 (ko)
JP (1) JP6081660B2 (ko)
KR (1) KR101728060B1 (ko)
CN (1) CN105122699A (ko)
WO (1) WO2014172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6861B2 (en) * 2013-04-19 2020-01-1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Monitoring of channel stability and interference in wireless networks
GB2518921B (en) * 2014-03-24 2016-02-17 Imagination Tech Ltd High definition timing synchronisation function
ES2788694T3 (es) * 2014-10-28 2020-10-22 Sony Corp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y método de comunicación
EP3213567A1 (en) * 2014-10-31 2017-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izing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6879063B (zh) * 2017-01-22 2020-12-25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时间同步方法及装置
CN107508719B (zh) * 2017-02-15 2020-04-14 北京中航通用科技有限公司 测量网络时延的方法、装置及网络节点
US10554251B1 (en) * 2017-05-12 2020-02-04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wake up radio synchronization with low power antenna
CN109379342B (zh) * 2018-09-27 2021-07-27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udp网络协议的上位机与dsp数据传输方法
JP7217153B2 (ja) * 2019-01-10 2023-02-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時刻同期方法、及び時刻同期プログラム
WO2021164869A1 (en) 2020-02-19 2021-08-26 Pozyx N.V. Improved clock synchroniz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1883A1 (en) 2007-05-25 2008-11-27 Lg Electronics Inc. Management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supporting management procedure
WO2011066564A2 (en) 2009-11-30 2011-06-03 Brilliant Tele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timing packets to enhance time distribu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EP2378822A2 (en) 2010-04-16 2011-10-19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Synchronizing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355B1 (ko) * 2004-08-04 2006-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에서의 프레임 브리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9174B1 (ko) * 2005-03-3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방법
US20090122783A1 (en) * 2005-11-04 2009-05-14 Hisaaki Tanak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de used for the method
JP4853625B2 (ja) * 2006-01-04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伝搬遅延時間測定方法、同期方法、及び無線lanシステム
JP5090461B2 (ja) * 2006-12-04 2012-12-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チャネル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チャネル間通信方法
US8077614B2 (en) * 2007-12-05 2011-12-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nchroni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JP5449321B2 (ja) * 2008-04-09 2014-03-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発見チャネルにおいてデータ送信を先取りする方法
KR101341192B1 (ko) * 2010-02-09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채널 접근 방법 및 장치
WO2012026935A1 (en) * 2010-08-26 2012-03-01 Thomson Licensing White space usage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s
US20120120874A1 (en) * 2010-11-15 2012-05-17 Decawave Limited Wireless access point clock synchronization system
JP5754206B2 (ja) * 2011-03-29 2015-07-29 富士通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時刻同期方法および装置
US20140286324A1 (en) 2013-03-25 2014-09-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passive location esti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1883A1 (en) 2007-05-25 2008-11-27 Lg Electronics Inc. Management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supporting management procedure
WO2011066564A2 (en) 2009-11-30 2011-06-03 Brilliant Tele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timing packets to enhance time distribu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EP2378822A2 (en) 2010-04-16 2011-10-19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Synchronizing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7258A1 (en) 2016-02-24
US20140314068A1 (en) 2014-10-23
US9426763B2 (en) 2016-08-23
CN105122699A (zh) 2015-12-02
JP6081660B2 (ja) 2017-02-15
KR20150143772A (ko) 2015-12-23
JP2016515789A (ja) 2016-05-30
WO2014172471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060B1 (ko) 무선 네트워킹 디바이스들 간의 타이밍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794814B1 (ko) 비컨 이웃 리포트들을 활용한 패시브 포지셔닝
US11405935B2 (en) Optimized Bluetooth scheduling for accessory devices
JP7430281B2 (ja) ダウンリンク位置決め基準信号伝送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KR20230119248A (ko) 클록 드리프트 프로세싱 방법, 네트워크 기능 네트워크엘리먼트들, 및 저장 매체
JP5323890B2 (ja) Wlan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モードの効率的な動作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674019B (zh) 裝置及方法
JP201551982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張されたユーザ設備支援情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01657B2 (en) Time synchronization for nodes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KR101692661B1 (ko) 슬롯 기반의 d2d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321423B2 (en) NAN data beacon
US10098083B2 (en) Clock drift management for coexistence and concurrency
EP3496469A1 (en) Data transmission mechanism of time-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fferent radio communication standards
WO2022022591A1 (zh) 一种测量方法及装置
CN110913378B (zh) 基于触发的即时通信的操作优化
US20240155488A1 (en) Target wake time alignment
TW202341784A (zh) 用於協調式受限目標喚醒時間(r-twt)操作的時間同步
WO2024102519A1 (en) Target wake time alig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