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04B1 -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 Google Patents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504B1
KR101727504B1 KR1020160060577A KR20160060577A KR101727504B1 KR 101727504 B1 KR101727504 B1 KR 101727504B1 KR 1020160060577 A KR1020160060577 A KR 1020160060577A KR 20160060577 A KR20160060577 A KR 20160060577A KR 101727504 B1 KR101727504 B1 KR 10172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eter
tester
main body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광
지정현
성준호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프론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론틱스 filed Critical (주)프론틱스
Priority to KR102016006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04B1/ko
Priority to CN201710352347.6A priority patent/CN10740199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dead weight, e.g. pendulum; generated by springs t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가 구비되며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의 일측에 초음파 두께측정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면에 방사선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기가 결합되어 있는 계측기 본체, 상단부에 계측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지그가 지지되며 결합되는 장방형의 하우징 커버, 압입시험기의 압입자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며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정기가 내장되며 하우징 커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Apparatus for Portable Verifying Tester of Measuring Instrument having Radiation Shield}
본 발명은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계측기의 사용 환경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계측기 본체 내부 전자 부품 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계측기의 계측 오류를 사용 현장에서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계측 시험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검정기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어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측기를 이용한 재료 물성 평가 방법은 현재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는 방법으로서, 계측기를 이용하는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시설물의 파괴없이 이용할 수 있어서 평가 방법이 매우 간단하다는 점이다.
도 1은 종래의 계측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10-1117661)의 계측기는, 시험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기(105), 구동기(105)의 축과 커플링(125)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130), 볼스크류(130)와 볼을 매개로 결합되는 스크류너트(115), 스크류너트(115)와 연동되게 결합되어 회전축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더(137), 슬라이더(137)와 연동되도록 슬라이더(137)의 하측에 압입자 홀더(150)를 매개로 결합되어 측정시편에 압입 하중을 가하는 압입자(155), 실린더(135)의 하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37)의 슬라이딩시 압입자(155)가 측정시편에 전달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145), 슬라이더(137)의 슬라이딩시 압입자(155)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는 깊이를 측정하도록 메인센서부(170)와 센서홀더(165) 및 센서팁(160)으로 구성되는 변위측정기(173)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계측기들은 시험의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계측기에 전달되는 진동과 공진으로 인해 변위 측정 오차가 커져서 측정 편차가 심해지게 되고 별도로 검정기가 구비된 시설로 계측기를 이동하여 검정 절차를 거쳐야하는 등의 복잡한 추가 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 계측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측기 본체 내부의 전자 부품 등이 오류를 발생시켜 측정 오차가 심해져서 계측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계측기의 사용 환경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계측기 본체 내부 전자 부품 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 두께측정기 등의 계측 오류를 사용 현장에서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계측 시험의 정밀성을 높임과 동시에 신뢰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계측 오류를 검정하는 검정기의 부피와 무게를 줄여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동성을 높이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가 구비되며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의 일측에 초음파 두께측정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면에 방사선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기가 결합되어 있는 계측기 본체, 상단부에 계측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지그가 지지되며 결합되는 장방형의 하우징 커버, 압입시험기의 압입자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며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정기가 내장되며 하우징 커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제공한다.
또한, 하중검정기는, 압입자의 압입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 하중센서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중센서의 중심을 압입자의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입자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의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정부재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에 내장되어 변위측정기의 측정로드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검정기를 더 포함하되, 변위검정기는, 변위측정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 본체에 내장되며 검정로드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변위검정센서부재,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측정로드와 검정로드가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로드지지부와, 로드지지부에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로드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로드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계측기의 사용 환경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계측기 본체 내부 전자 부품 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 두께측정기 등의 계측 오류를 사용 현장에서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계측 시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계측 오류를 검정하는 검정기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어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계측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200)는, 압입시험기(205)와 변위측정기(207)가 구비되며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203)의 일측에 초음파 두께측정기(2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면에 방사선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기(215)가 결합되어 있는 계측기 본체(210), 상단부에 계측기 본체(210)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지그(211)가 지지되며 결합되는 장방형의 하우징 커버(220), 압입시험기(205)의 압입자(205a)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며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정기(230)가 내장되며 하우징 커버(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2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압입시험기(205), 변위측정기(207), 초음파 두께측정기(201)가 구비되어 있는 계측기 본체(210)는 외주면에 차폐기(215)가 결합되어 하우징 커버(220)와 결합되며, 하우징 커버(220)의 상측에는 두께검정기(223)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225)의 내부에는 하중검정기(230), 변위검정기(250)가 내장되어 있다.
계측기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203)의 일측에는 초음파 두께측정기(2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는 방사선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기(215)가 결합되어 있어서, 계측기를 사용하는 주변 환경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계측기 본체(210) 내부 전자 부품 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계측기 본체(210)는 하단에 구비된 연결지그(211)가 하우징 커버(220)의 상단에 지지되며 결합되고 하우징 커버(220)의 하단은 하우징 본체(225)의 상단에 결합된다.
계측기 본체(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차폐기(215)가 밀착되며 결합되는데, 차폐기(215)가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방사선 차폐가 필요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차폐기(215)를 탈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차폐기(215)는, 방사선 차폐재로 형성되어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판 형상의 차폐판(214), 내주면에 차폐판(214)이 삽입되는 결합홈(216a)이 형성되며 계측기 본체(210)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커버(216) 등으로 구성된다.
차폐판(214)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납과 같은 중금속이나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데, 이러한 차폐판(214)이 계측기 본체(210)와 착탈 가능하도록 차폐커버(216)가 차폐판(214)을 감싸며 계측기 본체(210)에 결합된다.
차폐커버(216)는 내주면에 차폐판(214)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216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결합홈(216a)에 차폐판(214)이 삽입된 상태로 계측기 본체(210)의 외주면에 쳬결부재 등으로 결합되며, 전술한 것처럼 방사선 차폐가 필요하지 않은 환경에서 계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무거운 차폐판(214)을 탈거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와 이동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커버(220)의 상측에는 연결지그(211)와 이격된 위치에 두께검정기(223)가 구비되어 계측기 본체(210)에 결합된 초음파 두께측정기(201)의 두께를 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두께검정기(223)는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계단에서 두께를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두께검정기(223)는 사전에 정밀한 가공을 통해 각 계단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대상으로 초음파 두께측정기(201)의 계측값이 정상적으로 계측되는지를 현장에서 바로 검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장에서 발생되는 계측 오류를 바로바로 체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225)의 내부에는 압입시험기(205)의 압입자(205a)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며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정기(230)가 내장되는데, 여기서 하중검정기(230)는, 압입자(205a)의 압입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231), 하중센서(231)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중센서(231)의 중심을 압입자(205a)의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입자(205a)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의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정부재(240)를 포함한다.
하중센서(231)는 수평조정부재(2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센서부재(231a), 제1센서부재(231a)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 끝단부에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되는 지지홈(232)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센서부재(231b)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센서부재(231a)와 제2센서부재(2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압입시험시 압입자(205a)의 압입 하중을 센싱하여 압입시험기(205)에 별도로 구비된 하중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하중값의 오류를 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제 압입시험이 아닌 압입시험기(205)에 내장된 하중 센서(미도시)의 하중측정값 검정을 위한 것이므로, 압입자(205a)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압입자(205a)는 연결부재(206)에 결합되어 제2센서부재(231b)에 압입 하중을 가하게 되어 있으며, 여기서 연결부재(206)는 상단부에 압입자(205a)가가 삽입되는 삽입홀(206b)이 구비되어 있고 연결부재(206)의 하단부에는 제2센서부재(231b)의 지지홈(232)에 삽입되는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되는 볼부(206a)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재(206)의 볼부(206a)와 제2센서부재(231b)의 지지홈(232)은 서로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되며 압입자(205a) 축중심과 구면의 중심이 동축상에서 수직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수평조정부재(240)를 이용해서 하중센서(231)의 중심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볼부(206a)의 외주면 형상과 지지홈(232)의 내주면 형상이 구면으로 형성되어 볼부(206a)와 지지홈(232)의 중심에 하중을 가하게 됨으로써 하중의 전달 방향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제2센서부재(231b)의 중심축상에 가해지는 하중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수평조정부재(240)는, 제1센서부재(231a)와 제2센서부재(231b)의 중심축을 압입자(205a)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정렬할 수 있도록 하우징 본체(225)에 고정되는 하단부재(245), 하단부재(245)의 상측에 결합되는 중간부재(243), 중간부재(24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재(241)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단부재(241)와 중간부재(243)는 압입자(205a)의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수직인 X-Y축을 이루는 제1축과 제2축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임의의 한방향인 X축을 제1축으로 명칭하고, 이와 수직인 Y축을 제2축으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단부재(241)의 상측에는 제1센서부재(231a)와 제2센서부재(231b)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재(243)와 맞닿는 상단부재(241)의 하측에 제1축방향으로 길게 제1가이드돌기(241a)가 형성되어 있어서 대응되게 형성된 중간부재(243)의 제1가이드홈(243b)에 결합된다.
그리고, 중간부재(243)에는 제1축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제1조정부(2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조정부(242)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 끝단이 제1가이드돌기(241a)를 지지하여 제1축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243)의 하측에는 제2축방향으로 길게 제2가이드돌기(243a)가 형성되어 대응되게 형성된 하단부재(245)의 제2가이드홈(245a)에 결합되며, 하단부재(245)에 제2축방향으로 나사이동하는 제2조정부(246)가 형성되어 제2조정부(246)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 끝단이 제2가이드돌기(243a)를 지지하여 제2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조정부(242)와 제2조정부(246)를 회전시키면서 제1센서부재(231a)와 제2센서부재(231b)의 중심축을 압입자(205a)와 연결부재(206)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정렬함으로써 하중센서(231)의 중심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225)에는 변위측정기(207)의 측정로드(207a)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검정기(250)가 내장되는데, 변위검정기(250)는, 변위측정기(207)와 이격된 위치에서 하우징 본체(225)에 내장되며 검정로드(257)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251)가 구비되어 있는 변위검정센서부재(253),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측정로드(207a)와 검정로드(257)가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로드지지부(254)와 로드지지부(254)에 구비되는 종동기어(256)와 연결되는 구동기어(259)를 구비하며 모터(263)의 구동력으로 로드지지부(25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구동부(252)가 구비되어 있는 로드이동부재(25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위검정센서부재(253)는, 검정로드(257)와 변위센서(251)가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258), 슬라이딩부(258)에 구비되는 제1기어(258)와 연결되는 제2기어(267)가 구비되며 하우징 본체(225)에 고정되는 고정부(259) 등이 구비되어 있다.
즉, 하우징 본체(225)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259)의 일측면에는 검정로드(257)와 변위센서(251)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258)가 결합되는데, 슬라이딩부(258)에는 가이드돌기(258a)가 형성되고 고정부(259)에는 가이드돌기(258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59a)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되어 슬라이딩부(258)가 상하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정 핸들(259a)이 고정부(259)에 관통 결합되며 제2기어(267)를 회전시켜 슬라이딩부(258)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돌기(258a)에 제1기어(258)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고정부(259)를 관통하는 조정 핸들(259a)의 축에 제2기어(267)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정 핸들(259a)을 회전시키면 제2기어(267)에 맞물린 제1기어(258)에 의해 슬라이딩부(258)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검정로드(257)의 끝단 위치를 로드지지부(254)의 상측면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기어(258)와 제2기어(267)는 각각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이용될 수 있다.
로드이동부재(255)는 크게 모터(263)와 구동기어(259)가 구비된 동력구동부(252)와 동력구동부(252)에 구비된 모터(263)의 힘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로드지지부(254) 등으로 구성된다.
동력구동부(252)는 하우징 본체(225)에 고정되어 있는 바디의 상단에 모터(263)가 구비되어 있고,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베어링(261)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구동기어(259)가 모터축(257)과 커플링(268)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도록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지지부(254)의 후단부에는 동력구동부(252)의 구동기어(259)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56)가 구비되어 있어서 모터(263)의 작동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로드지지부(254)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모터(263)의 상단부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축(257)과 연결된 조정손잡이(258)가 구비되어 모터(263)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63) 또는 조정손잡이(258)로 로드이동부재(255)가 상하로 이동되면 변위측정기(207)의 측정로드(207a)와 변위검정기(250)의 검정로드(257)가 동시에 동일한 변위만큼 이동될 때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변위측정기(207)의 측정 오류를 검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기어(259)와 종동기어(256)는 잭스크류기어, 웜과 웜휠기어, 피니언기어와 랙기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계측기의 사용 환경이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방사선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계측기 본체 내부 전자 부품 등의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 두께측정기 등의 계측 오류를 사용 현장에서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계측 시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 두께측정기 등의 계측 오류를 검정하는 검정기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들어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초음파 두께측정기 205: 압입시험기
207: 변위측정기 210: 계측기 본체
215: 차폐기 220: 하우징 커버
223: 두께검정기 225: 하우징 본체
230: 하중검정기 240: 수평조정부재
250: 변위검정기

Claims (10)

  1. 압입시험기와 변위측정기가 구비되며 상부에 형성된 조작부의 일측에 초음파 두께측정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외주면에 방사선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기가 결합되어 있는 계측기 본체;
    상단부에 상기 계측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지그가 지지되며 결합되는 장방형의 하우징 커버;
    상기 압입시험기의 압입자가 측정시편에 압입되며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검정기가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검정기는,
    상기 압입자의 압입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
    상기 하중센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중센서의 중심을 상기 압입자의 중심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입자의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의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조정부재;
    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폐기는 상기 계측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복수개가 상기 계측기 본체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기는,
    방사선 차폐재로 형성되어 상기 계측기 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판 형상의 차폐판;
    내주면에 상기 차폐판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계측기 본체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차폐커버;
    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지그와 이격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계단형상의 두께검정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는,
    상기 수평조정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센서부재;
    상기 제1센서부재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 끝단부에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센서부재;
    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자는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센서부재에 압입 하중을 가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부에 상기 압입자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되는 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변위측정기의 측정로드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검정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위검정기는,
    상기 변위측정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내장되며 검정로드가 이동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변위검정센서부재;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상기 측정로드와 검정로드가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로드지지부와, 상기 로드지지부에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연결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로드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는 로드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정센서부재는,
    상기 검정로드와 변위센서가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연결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2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딩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정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KR1020160060577A 2016-05-18 2016-05-18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KR10172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77A KR101727504B1 (ko) 2016-05-18 2016-05-18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CN201710352347.6A CN107401994B (zh) 2016-05-18 2017-05-18 具有屏蔽器的测量仪的便携式校验测试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77A KR101727504B1 (ko) 2016-05-18 2016-05-18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504B1 true KR101727504B1 (ko) 2017-04-17

Family

ID=5870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77A KR101727504B1 (ko) 2016-05-18 2016-05-18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7504B1 (ko)
CN (1) CN1074019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7160A (zh) * 2018-11-26 2019-02-26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核辐射环境下的物体表面轮廓测量装置和方法
KR102031197B1 (ko) * 2019-02-18 2019-11-08 (주)프론틱스 계장화압입시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97A (ja) * 1982-07-30 1984-0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回路を有する機器の耐放射線性強化方法
JP3040304B2 (ja) * 1994-03-01 2000-05-15 サンレイズ工業株式会社 放射線防護用設備機器ボックス
US7681432B2 (en) * 2006-12-12 2010-03-23 Agilent Technologies, Inc. Calibrating force and displacement sensors of mechanical probes
KR101117661B1 (ko) * 2009-11-24 2012-03-07 (주)프론틱스 마이콤이 내장된 계장화 압입시험기 및 이를 이용한 잔류응력 측정방법
CN102323170B (zh) * 2011-06-16 2013-09-11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超硬金刚石薄膜力学性能的测试方法
CN104729911B (zh) * 2015-03-11 2017-04-26 吉林大学 原位微纳米压痕/划痕测试方法
CN105043809A (zh) * 2015-08-17 2015-11-11 南华大学 核辐射环境自动采样机械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1994B (zh) 2020-01-10
CN107401994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1935C2 (ru) Инден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изме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материалов индентационным методом
US9581533B2 (en) Modular hardness testing machine
CN109060966B (zh) 一种超声换能器自动校准装置
CN111735400B (zh) 齿轮检测台
KR101727504B1 (ko) 차폐기를 구비한 계측기의 휴대용 검정시험기
KR101373222B1 (ko) 곡면부 두께 측정 장치
US7066013B2 (en) Hardness tester
CN101852580B (zh) 工件长度校正装置
KR20080102082A (ko) 음향방출센서용 위치조정 및 잡음제거장치
CN111336978B (zh) 周向间隙测量装置和周向间隙测量方法
CN115684904B (zh) 一种按键测试装置、按键测试装置的夹具及其使用方法
KR100932699B1 (ko) 변위측정장치
US692588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pplying known resistance loads and measuring internal angles of gyration in gyratory compactors
CN114838650B (zh) 一种基于转台的位移传感器标定装置和方法
JP2010133944A (ja) カッターブレード検査装置
JP6326710B2 (ja) 表面粗さ測定機
TWI403713B (zh) 衝擊檢測裝置及方法
CN110779576A (zh) 一种比例伺服阀的检测设备
KR101888591B1 (ko) 소음 측정장치
CN110031223A (zh) 一种轴承摩擦力矩测量装置
CN217930821U (zh) 一种适用于偏心轴的运动波形校验装置
JP2003149108A (ja) 小型材料試験機
CN109085076B (zh) 一种用于沥青混凝土恒温恒湿蠕变回复实验的装置
KR100440306B1 (ko) 차체패널의 덴트강성 시험장치
CN210071343U (zh) 一种矩阵式冲击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