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51B1 -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51B1
KR101727051B1 KR1020097024363A KR20097024363A KR101727051B1 KR 101727051 B1 KR101727051 B1 KR 101727051B1 KR 1020097024363 A KR1020097024363 A KR 1020097024363A KR 20097024363 A KR20097024363 A KR 20097024363A KR 101727051 B1 KR101727051 B1 KR 10172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article
classification
predetermined criteria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271A (ko
Inventor
존 알란 스키너
한스요르그 클락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글로벌 솔루션스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6188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270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7/00148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129228A1/en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글로벌 솔루션스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로리 글로벌 솔루션스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60User-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복수의 물품을 분류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는 스텝과;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임의의 물품을 제1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임의의 다른 물품을 제2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스텝; 앞의 스텝에서 판단된 바와 같이 제2 목적지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과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는 경우, 임의의 물품을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제2 목적지로부터 제3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및 임의의 다른 물품을 제2 목적지로부터 제4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본 발명은,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기술 및 장치는, 지폐 및 동전, 뿐만 아니라 증권(certificate), 대용 화폐(token), 수표(cheque) 등과 같은 다른 서류를 포함하는 통화(currency)와 같은 가치의 물품을 분류하는데 특히 잘 맞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로 지폐를 이용한 용도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방법 및 장치가 다른 물품의 분류에도 균등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특허 제5,394,99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다중포켓 분류기(multi-poket sorter)를 포함하는 각종의 지폐 분류기가 알려져 있다. 이 분류기는, 분류된 지폐가 출력될 수 있는 2개의 포켓을 가지고 있다. 분류되는 지폐의 스택(stack)은, 센서를 이용하여 각 지폐의 특성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성에 기초하여 지폐를 하나 또는 다른 포켓으로 출력하는 장치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해서, 특별한 특성(예컨대, 부정확한 방향, 다른 화폐단위(denomination) 등)을 처리하는 센서에 의해 식별된 지폐는 나머지 스택으로부터 분리되어도 좋다.
이러한 2-포켓 분류기계는, 지폐의 스택을 두 세트로 분류할 수 있을 뿐이라는 내재해 있는 한계(limitation)를 가지고 있다. 결과로서, 혼합된 스택으로부터의 2가지 이상의 타입(type: 권종)의 지폐를 개별적인 세트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출력 포켓(즉, "타입"마다 하나의 포켓)을 가진 분류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장치에 상당한 복잡도 및 비용을 부가한다. 게다가, 단일의 기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포켓의 수는, 특히 기술적인 제약사항(constraint)뿐만 아니라 정액 발행(size issue)에 의해 제한된다.
국제특허 공개 WO01/99060-A1은, 지폐와 같은 시트 재료(sheet material)를 분류 및 처리하기 위해 채용된 장치의 2가지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는 5개의 출력 목적지(output destination)뿐만 아니라 한 개의 "서류 분쇄기(shredder)" 출력을 갖고 있고, 지폐는 소정의 기준에 기초해서 이들 목적지로 분류된다. 제2 실시예는, 3개의 출력 목적지 + 한 개의 "서류 분쇄기" 출력을 갖는 축소된 크기의 분류장치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분류 절차가 제2 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양 실시예는, 혼합된 스택으로부터의 2가지 이상의 타입의 지폐를 분류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출력 포켓을 필요로 한다.
국제특허 공개 WO01/99060-A1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장치를 이용할 때, 특별한 출력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를 재공급(re-feeding)하는 옵션(option: 선택사양)이 있다. 그러한 절차는, 지폐의 특정 스택이 재평가되고 분류기준이 재적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때, 이것은 제1 "경로(pass)"에 부정확하게 분류된 지폐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재공급 조작을 위한 절차는 복잡하고, 분류 정밀도의 작은 증가만 있는 장치의 처리시간을 효과적으로 배가시킨다.
DE10117822-A1은 지폐를 분류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3개의 출력 목적지를 갖추되, 지폐 입력위치가 출력 목적지 중의 하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공보의 장치는, 2가지 이상의 화폐단위 또는 "타입"을 갖는 화폐단위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채용되어도 좋다. 이것은, 3개의 출력 목적지의 이용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 공보는, 하나 이상의 출력 목적지가 하나 이상의 화폐단위 또는 "타입"의 지폐를 위한 목적지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깨닫게 한다. 이때, 오퍼레이터(operator)는 그 스택을 다수의 단일단위 스택으로 더 분류하기 위해 첫번째 분류 후에 이들 목적지 중의 하나에 존재하는 지폐의 스택을 재공급하도록 지령한다. 일단 지폐가 재공급되면, 그들의 특성이 다시 검지되고, 새로운 세트의 분류 기준이 재공급된 지폐를 3개의 출력 목적지의 하나로 분류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 장치는 2가지 이상의 타입의 지폐가 분류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3개의 출력 목적지를 필요로 하고, 2가지 또는 3가지 이상의 화폐단위 또는 타입으로 분류를 수행하는 시간의 길이가 단일의 분류 "경로"의 시간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배가시킨다.
국제특허 공개 WO02/27670-A1은 지폐의 공급(in-feed) 및 배출(out-feed)을 위한 지폐취급 기계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는, 예금(deposit) 및 반환(withdrawal)을 관리하기 위해 대다수의 다른 화폐단위의 대다수의 지폐를 취급하도록 채용된다. 이 기계는, 이 기계 내에 위치되어 특정 화폐단위의 지폐가 분 류되어 있는 다수의 비밀 카세트를 갖추고 있다. 이때, 주어진 화폐단위의 이들 분류된 지폐는 오퍼레이터가 반환을 요구할 때에 이들 카세트로부터 검색되어도 좋다.
또한, EP1643462-A2는 다수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지폐를 격납하도록 채용되는 다수의 카세트를 갖춘 유사한 통화 분류기(currency sorter)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EP1643462-A2는 오퍼레이터가 각 출력 목적지의 내용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양 공보에 있어서, 지폐가 입력 목적지로부터 분류 카세트의 하나로 통과하기 때문에, 다수의 다른 분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양 특허공보의 장치는 2개 이상의 출력 목적지가 지폐를 분류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게다가, 양 장치는 부피가 크고, 복잡한 분류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제어 전자기기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장치의 복잡성이 갖는 한 가지 문제는, 장치 및 분류 절차의 깊이 있는 지식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기계는 다량의 지폐를 취급하도록 채용되고, 이로써 작은 스택의 지폐를 분류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비례적으로 길어진다. 또한, 내부적으로 수행되어 오퍼레이터에게 불명료한 분류만큼 에러가 생길 기회가 더 많아진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게 명백하고 짧은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는 물품의 값(article of value)을 분류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다양한 종류의 분류 환경에서의 처리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값의 물품을 분류하도록 채용되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aspect)에 따르면, 분류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물품을 분류하는 방법은,
a)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는 스텝과;
b)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임의의 물품을 제1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c) 임의의 다른 물품을 제2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d)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스텝;
e) 상기 스텝 (d)에서 판단된 바와 같이 제2 목적지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과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는 경우, 임의의 물품을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제2 목적지로부터 제3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및;
f) 임의의 다른 물품을 제2 목적지로부터 제4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준에 따라 물품을 분류함으로써, 물품을 적어도 3가지의 카테고리, 즉 첫째는 스텝 (b)의 결과로서의 출력, 둘째는 스텝 (e)에서의 출력, 셋째는 스텝 (f)에서의 출력으로 분류하기 위해 2-포켓(제1 및 제2 "목적지") 분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카테고리는 물품의 임의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지폐의 경우, 스택은 지폐 적합수준(note fitness level; 즉 지폐의 상태) 및/또는 지폐가 진짜(genuine)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배향), 통화, 화폐단위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방법은 스텝 a)에서 검지된 각 물품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2 목적지가 지폐의 혼합(혼합된 지폐)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혼합이 발견되면 제3 및 제4 목적지로만 두번째 분류를 수행하는 스텝 (d)와 같이 복수의 물품을 분류하는 유효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두번째 분류를 능률을 향상시키면서 회피할 수 있다. 스텝 (d)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는 제2 목적지가 즉 지폐의 공급 스택이 2가지 "타입"만 포함된 서류의 혼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지시를 공급해도 좋고, 따라서 제2 목적지에 있어서 지폐의 더 이상의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큰 처리능력으로 처리할 때, 스텝 (d)의 판단은 상당한 양의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지폐의 혼합이 포함된 출력 목적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제2 목적지에 단일 "타입"의 지폐만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두번째 분류가 항상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들 "헛된 분류"를 방지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장치는 2개의 출력 목적지만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3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하나이고, 상기 제4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나머지 하나이다. 이것은, 상기 방법이 2-포겟 분류기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복합 분류를 수행할 때 필요로 되었던 추가적인 출력 목적지에 대한 필요를 저감시킨다.
상기 물품은 지폐 등과 같은 시트 서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분류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항목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3 목적지가 동일하고, 따라서 분류기의 하나의 출력 포켓이 제1 및 제3 목적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두번째 분류에 있어서 분리된 그들 물품이 어떤 딴 곳으로 발송되는 경우) 다른 목적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및 제4 목적지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2개의 고정된 목적지 또는 "포켓"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제3 및/또는 제4 "가상" 목적지 또는 "포켓"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 예컨대 제1 목적지가 제3 "가상" 목적지로서 이용될 수 있고, 제2 목적지가 제4 "가상" 목적지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것은 2개 이상의 포켓을 가진 분류 기계가 2-포켓 분류기 상에서 평가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이 방법을 선택된 횟수 반복하여 n번째 및/또는 (n+1)번째 목적지로 추가적인 분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가능한 무한개의 목적지가 2-포켓 분류기 상에서 평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정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가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와 같다. 또한, 제3 및 제4 목적지가 제1 및 제2 목적지와 각각 같은 경우, 이 방법은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에 기초를 둔 단일의 분류가 다수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허용하되, 제2/제4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이 제공급되고 기준의 제1 세트가 재적용되어도 좋다.
사용자 또는 장치에 의해 검지가능한 상기 물품의 임의의 특성이 대신 이용될 수 있지만, 상기 물품의 검출된 특성은 신뢰성, 통화, 화폐단위, 상태, 발행 및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는 물품이 진짜이고 그 조건이 다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하는 것이다. 진짜이고 그 조건이 다시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든 물품을 첫번째로 분리함으로써, 이들 물품은 리사이클링(recycling)을 위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게다가, 많은 경우에, 그러한 물품은 분류해야 할 복수의 물품의 주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그들을 첫번째로 분리함으로써 나머지 물품을 분류하는데 필요한 작업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는, 물품이 진짜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 진짜에서의 분류를 완료하지만, 적합하지 않은 물품은 가짜 지폐(즉, 불량 통화, 이물질(foreign object) 또는 위조 물품)로부터 분할된다.
이 기준은, 검지된 특성이 "진짜" 및/또는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물품을 위해 충족되지 않으면 안되는 하나 이상의 요구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요구는, 일련의 임계치 또는 물품의 측정된 파라미터가 예컨대 UV 반사, 형광(fluorescence), 불투명(opacity) 등과 같은 광학 특성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다른 제한, 및/또는 각 물품 상에서 예상되는 특정의 보안 특징이 예컨대 자기 특징(magnetic feature), 보안 인쇄(security printing) 등을 나타낸다는 확인의 형태로 미리 설정되어도 좋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의 제2 세트는 물품을 더 분석하지 않고도(즉, 그들의 특성을 다시 검출하지 않고도) 제2 목적지로부터의 지폐에 적용됨으로써, 두번째 분류를 가속시켜도 좋다. 이것은, 제2 목적지로 분류된 각 물품의 특성을 기록(log)하고 이 정보를 제2 기준에 따라 물품을 분류하는데 이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는, 스텝 (e)가 상기 제2 목적지로부터 물품 각각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특성은, 스텝 (a)에서 검지된 특성과 동일해도 좋고, 또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일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텝 (e) 및 (f)는 스텝 (a)∼(c)의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물품에 수행된다. 두번째 분류는, 첫번째 분류보다 더 빠르거나 더 느리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첫번째 분류에 의해 신중한 취급이 필요한 적합하지 않은 모든 지폐가 제거되는 경우는, 더 빠른 처리가 두번째 분류에 유익할 수 있다. 두번째 분류 시에 전송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지폐로의 더 한층의 손상이 방지되고 잼(jam)의 리스크가 저감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경우는, 더 느린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더 느린 처리는 물품의 특성의 검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폐가 센서의 어레이를 더 느리게 지나가게 함으로써, 더 좋은 패턴 인식이 행해질 수 있다. 물품의 속도는 물품이 운반되는 전송속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물품이 장치로 입력되는 레이트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스텝 (b)는 상기 제1 목적지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예는, 제1 목적지의 물품의 합계값, 또는 그들 물품의 단편 계수(piece count)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분류가 성공했다는 것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표시된 정보를 분류된 물품을 가진 리사이클러(recycler)로 통과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첫번째 분류 및/또는 단편 계수 또는 개별 지폐값 등과 같은 지폐 특성의 검지에 관한 데이터는, 제1 분류종료 이벤트(sort-end event)의 검지 시에 저장된다. 이 사건은, 다른 것들 가운데에서 사용자 입력(예컨대, 버튼을 누르는 등)의 수신 또는 소정의 기간(예컨대, 30sec)의 경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이 데이터는 그 방법의 끝(end)에 사용자에게 표시되어도 좋고, 단편 계수 합계 및/또는 제1 목적지의 모든 지폐의 값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두번째 분류에 관련된 데이터도 그 방법의 최종 스텝 후 제2 분류종료 이벤트의 검지시에 저장되어도 좋다. 이 사건은 제1 분류종료 이벤트와 마찬가지 형태(form)의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는 그 방법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에게 표시되어도 좋다. 이 데이터는, 제3 및 제4 목적지 내의 지폐에 관한 정보, 예컨대 단편 계수 또는 값 합계로 이루어져도 좋다.
유리하게는, 스텝 (d)에서 상기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모든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킨다고 판단되면, 이 스텝은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은, 스텝 (e) 및 (d)는 특별한 경우에는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이 지시하는 스텝은 합계값 또는 단편 계수와 같은 제2 목적지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특정의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스텝 (d) 전에, 스텝 (a)∼(c)가 제2의 복수의 물품에 대해 반복된다. 일부의 경우에, 이 복수의 제2 물품은 제2 목적지로 분류되는 물품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일부의 물품만이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묶음(batch)의 처리(즉, 제2 목적지로 분류되어 있음) 중에 유익하다. 물품의 수개의 묶음은, 제1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것들이 제2 기준으로 분류되기 전에 제1 기준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이것은 전체적인 처리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제1 분류종료 이벤트가 검지될 때 스텝 (d)를 수행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해 채용되어도 좋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는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도록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의 검지된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이것은, 기준이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의 빠른 초기화(fast initialisation)를 허용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는 상기 제2 목적지로부터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도록 상기 제2 목적지로부터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의 검지된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각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임의의 물품이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경우,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방법은 하나의 특별한 타입의 물품, 또는 단일의 물품(예컨대, 일련번호나 유사한 것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까지도 빨리 찾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물품 또는 각 물품이 분류되어 있는 포켓에 인접하여 위치된 표시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가 행하여진다. 이것은, 빠른 액세스(quick access)를 위해 식별된 물품을 알 수 있는 사용자에게 매우 명백하게 된다.
특정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 중 임의의 하나의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경우에 정지된다. 이것은, 오퍼레이터 주의(attention)를 확실하게 하고, 물품의 용이한 제거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는 소정의 기준의 제1 및 제2 세트와 상호 배타적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는 상기 물품이 의심되는 위조 물품이라는 것이다.
특정의 실시예에서는, 스텝 (b)는 제1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추며, 스텝 (e)는 분류가 수행되는 경우에 스텝 b)에서 저장된 정보를 제1 목적지로 분류된 재공급 물품으로부터 임의의 추가적인 물품에 관한 정보와 함께 갱신하는 스텝을 갖춘다.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을 재공급하고 스텝 b) 및 c)를 반복함으로써,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지만 제1 경로에 분류되지 않은 검지된 특성을 갖는 제2 목적지로부터의 물품을 찾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제1 경로에서 2개의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가 겹쳐지게 된다. 이것은 "이중(double)"으로서 검지될 수 있고, 지폐는 제2 목적지로 통과하게 된다. 이전에 제거된 지폐를 이용하는 제2 경로에서는 지폐가 다르게 공급됨으로써 겹쳐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제2 경로에서는 지폐가 제1 목적지에 이미 존재하는 분류된 지폐에 추가되게 될 것이다. 제2 목적지로부터의 물품의 재공급 및 재분류는 임의의 횟수 반복되어도 좋다.
변형 실시예에서는, 스텝 b)가 제1 분류종료 이벤트의 검지 시에 상기 제1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에 관한 정보의 제1 세트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추며, 스텝 f)가 분류종료 이벤트의 검지 시에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목적지의 하나 이상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제2 세트 정보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분류종료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또는 설정한 기간이 경과된 후에 발생되어도 좋다. 정보의 제1 및 제2 세트는 인쇄된 출력 또는 서류 계수기로의 표시방법의 어느 하나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정보는 계수기에 접속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도 좋다.
상기 방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분류 처리 내의 다수의 경로를 수행하는 스텝을 갖출 수도 있다. 스텝 e)∼f)를 갖추는 두번째 분류 시에, 사용자는 정보의 제2 세트를 리셋하여 스텝 e) 및 f)가 새로이 반복되도록 하는 "REDO" 명령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3 목적지가 동일하고, 제2 및 제4 목적지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당해 장치로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2개 이상의 출력 목적지;
물품을 선택된 출력 목적지로 절환할 수 있는 디버터 시스템(diverter system: 절환 시스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공급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디버터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센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면 그 물품을 제1 출력 목적지로,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그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도록 상기 디버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채용된 제1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의 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의 수를 결정하도록 채용된 제2 모듈을 갖추되,
상기 제2 모듈이 이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분류장치를 구성하도록 더 채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류장치는, 이 분류장치가 제2 목적지의 내용에 기초해서 구성되는 것을 허용하고, 예컨대 제2 모듈은 제2 목적지가 지폐의 혼합의 하나 또는 제어 시스템이 장치의 오퍼레이터에게 적당한 지시를 출력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한 가지 타입만의 지폐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필드(field)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기록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분류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제2 모듈은 이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의 결과가 비제로(non-zero)인 경우, 즉 제2모듈이 제2 목적지 내에 지폐의 혼합이 있다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분류장치의 상태를 바꾸기 위해 채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의 결과가 비제로인 경우에 상기 디버터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제3 모듈을 갖추되, 상기 제3 모듈에 의한 상기 디버터의 동작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면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부터 제3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는 동작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부터 제4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초과 데이터(extra data)는 분류 처리를 종래기술에서는 찾을 수 없던 방식으로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2-포켓 분류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포함된 스텝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추가적인 스텝을 설명하는 연속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포함된 스텝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포함된 스텝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추가적인 스텝을 설명하는 연속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도 7k는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작업 예를 설명하는 도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도 8d는 도 1에 나타낸 2-포켓 분류기에 접속된 인쇄장치에 의해 생성된 예시적인 인쇄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2가지 이상의 지폐 형태를 포함하는 지폐분류 요구의 일례로서, 유럽에서의 신용기관(credit institution) 및 다른 전문적인 현금 취급자(cash handler)에 의한 위조지폐의 검지 및 적합성 분류를 지배하는 때때로 BRF(Banknote Recycling Framework: 지폐 재활용 프레임워크)라고도 일컬어지는 ERF(European Recycling Framework: 유럽 재활용 프레임워크)에 의해 설정된 것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조건의 식별을 필요로 한다. 즉,
"A" … (i) 유로 지폐로서 인식되지 않는 서류; 및
(ii) 의심되는 위조 유로 지폐;
"B1" … 진짜이고 "적합한" 유로 지폐; 및
"B2" … 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유로 지폐;
여기서, "적합한" 및 "적합하지 않은"은 각각 미리 정해진 품질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 및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통상적인 분류 처리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포켓(적어도 2개 + 추림 포켓(cull pocket))을 갖춘 기계는, 비록 그러한 기계가 지폐의 한 경로에서 분류 처리를 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2-포켓 분류기(1)는 지폐를 공급하기 위한 입력 호퍼(input hopper; 2) 및 2개의 출력 포켓(P1, P2)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6)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출력 포켓은 선택가능한 값 표시기(value indicator; V1, V2)를 각각 갖추고 있다. 게다가, 포켓(P2) 다음의 LED(7)와 같은 알람 장치(alarm device: 경보장치)는 포켓(P2)의 의심되는 위조 유로 지폐와 같은 특정 지폐의 존재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의 LED가 포켓(P1)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포켓(P1) 다음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도 좋다.
지폐는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는 통상의 전송 시스템에 의해 컴포넌 트(component) 사이로 이송된다. 지폐가 장치(1)로 공급되면, IR 검지기, UV 검지기, 형광 검지기, 자기 검지기, 촬상 장비 등과 같은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3)에 의해 각 지폐의 특성이 검지된다. 그 결과는, 각 지폐가 출력(P1)이나 출력(P2)의 어느 한쪽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디버터(diverter; 5)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로 출력된다. 컨트롤러(4)는 이하에 설명되는 분류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채용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갖추어도 좋다.
기계는 도 2 및 도 3의 흐름도에 묘사된 2가지 분류를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 동작의 진행은 임의의 다른 관련 정보와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6)를 매개로 사용자에게 표시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2의 방법과 함께 시작된다. 이 처리는 지폐의 스택(stack)이 수신될 때 시작된다(스텝 S200). 각 지폐의 특성(적어도 지폐의 신뢰성 및 상태를 포함함)이 스텝 S205에서 검지된다. 지폐가 진짜이고 재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는, 제1 목적지, 포켓(P1)으로 분류된다(스텝 S210). 모든 다른 지폐는 제2 목적지, 포켓(P2)으로 디버트(divert)된다(스텝 S220). 이로써, 제1 처리는 카테고리 B1(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을 포켓(P1)으로, 그리고 카테고리 B2(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지폐) 및 카테고리 A(인식되지 않거나 의심되는 위조지폐)를 포켓(P2)으로 분류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켓(P1)의 값 표시기(V1)는 계수되고 인증되며 신뢰성 시험된 카테고리 B1 지폐의 값을 지시하게 되고(스텝 S215), 및/또는 단편 계수는 V1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 이 처리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현재의 분류의 사용 자에게 알리기 위해 "BRF FIT"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스텝 S255에 있어서, 처리는 제2 목적지(P2)로 분류된 모든 지폐가 동일한 "타입(type: 권종)"의 것인지 여부(즉,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특정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와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그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이 P2로 분류된 모든 지폐가 제2 기준(즉, "거짓(rogue)" 지폐가 없음)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된 경우는, 처리는 스텝 S240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이것은 불필요한 두번째 분류가 수행되는 것을 막아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 판단도, 그 이상의 검지가 포켓(P2)이 스텝 S225의 타입의 혼합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스텝 S205에서 기록된 각 지폐의 감지된 특성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포켓(P2)이 배타적으로 카테고리 B2 지폐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값 표시기(V2)는 포켓(P2)의 지폐의 값 또는 단편 계수를 표시한다(스텝 S230).
(카테고리 A 지폐와 같은) 다른 지폐가 포켓(P2)에 존재(즉,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감지된 특성을 갖고,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감지된 특성을 갖는 2가지 다른 "타입"의 2개의 물품이 존재)하는 것이 발견된 경우에는, 다음의 것, 즉 값 표시기(V2)가 클리어되거나 또는 표시 화면(display screen)이 포켓(P2) 내의 지폐를 재분류해야 할 필요성을 강요하도록 표시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A (ii) 지폐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의 심되는 위조" 알람(7)이 절환되는 것을 적용한다(스텝 S235).
첫번째 분류의 완료 후에, 포켓(P1)으로부터의 지폐는 재순환될 수 있고(즉, 통화 유통으로 리턴될 수 있고), 포켓(P2)으로부터의 지폐는, 표시기(V2)에 어떤 값이 표시되는 경우(즉, 출력(P2)이 배타적으로 유효한 카테고리 B2 지폐를 포함하는 경우)는 서비스 센터 또는 은행으로 리턴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고리 A 및 B로 갈라지도록 표시되는 값이 없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두번째 분류를 이용하여 재분류될 수 있으며, 또는 첫번째 분류의 제2 "경로"를 수행하기 위해 재차 기계로 삽입될 수 있다. 이 처리는,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지폐의 혼합이 첫번째 분류에서 제2 목적지로 분류되면, 처리는 전형적으로 도 3의 스텝 S300에서 시작하는 두번째 분류로 이동한다. 제2 포켓(P2)으로부터의 지폐는, 제거되어 입력을 매개로 장치로 재삽입되거나, 또는 P2로부터 직접 시스템으로 재입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P2로부터의 지폐의 특성은 스텝 S305에서 검지될 수 있다. 그렇지만, 스텝 S2에서 수행되는 초기 식별(earlier discrimination)의 결과는 다시 사용될 수 있고, 제공되는 log는 각 지폐로부터의 결과를 계속 표시한다. 스텝 S310에 있어서, 진짜라고 생각되는 P2로부터의 모든 지폐는 P1으로 분류되고, 나머지는 P2로 분류된다(스텝 S320). 이로써, 두번째 처리는 카테고리 B2의 지폐(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포켓(P1)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카테고리 B1의 임의의 지폐(진짜이고 "적합한" 지폐)는 경로(Pass) 1 중의 묶음으로부터 분류되지 않은 경우 적합하지 않은 지폐와 함께 포켓(P1)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테고리 A의 지폐(인식되지 않거나 의심되는 위조 지폐)를 포켓(P2)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켓(P1)의 값 표시기(V1)는 계수되고 인증된 카테고리 B2 지폐(스텝 S315) 또는 단편 계수의 값을 표시하게 된다. 포켓(P2)이 카테고리 A 지폐를 꼭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포켓(P2)의 값 표시기(V2)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값을 표시하지 않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는 전형적으로 두번째 분류를 식별하기 위해 "UNFIT(적합하지 않음)"를 표시한다.
전형적으로, 포켓(P2)은 카테고리 A (i) 지폐, 예컨대 유로 지폐로서 인식되지 않은 지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지폐가 외국 통화의 일부이고, 지폐가 바우처(voucher), 수표(cheque), 증권(certificate), 노트패드로(notepad)부터의 시트 등과 같은 비지폐, 또는 심하게 더럽혀지거나 손상된 지폐일 수 있기 때문이다.
드물게, 카테고리 A (ii) 의심되는 위조 (유로) 지폐가 포켓(P2) 내에 포함되어 있고(스텝 S305에서 검지), 다시 알람(7)이 절환되어(스텝 S325) 국가 규칙에 따라 국가 기관(예컨대, 경찰)으로의 핸드오버(hand-over)를 위해 의심되는 위조 유로 지폐(즉, 유로 지폐의 외관을 갖는 포켓(P2) 내의 모든 지폐)를 수동으로 식별하여 제거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요청한다.
그 후, 이 처리는 스텝 S330에서 종료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세번째, 네번째 및 후속의 분류는 지폐를 분류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기준을 이용하여 적어도 스텝 S8, S9를 반복함으로써 P2로 지폐를 출력할 때에 수행될 수 있 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지폐 재순환 프레임 기준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사용자 정의 기준도 지폐를 분류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예컨대, 지폐가 "적합한지" 또는 "적합하지 않은지"를 검지하는 대신에, 장치는 화폐 화폐단위(즉, 5유로 또는 10유로) 또는 값의 물품의 임의의 측정가능한 특성에 기초를 둔 기준에 따라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
제안된 2-포켓 처리( two - pocket process )의 장점
제안된 2-포켓 절차는, 적합한 지폐와 부적합한 지폐를 분리할 뿐만 아니라 진짜가 아닌 통화/위조지폐를 식별하기 위해 2-포켓 분류기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처리는, 1) 카테고리 B1의 모든 "양호한 지폐"가 즉시 재순환(immediate recycling)을 위해 첫번째 분류("ATM FIT")에 있어서 포켓(P1)으로 감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적합성 분류(fitness sort)를 수행하는 것을 순간적으로 잊어버릴 수 있고, 2) 값 표시기(V2)의 조사(clearance)가 오퍼레이터에게 유가 지폐이지만 카테고리 A의 제로값 지폐로부터 카테고리 B2의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분리하기 위해 두번째 분류("UNFIT")를 이용하여 지폐를 재분류하게 하며, 3) 더 큰 묶음처리를 위해 포켓(P2)에서의 제거(reject)가 첫번째 분류 중에 축적되어 단일의 두번째 분류(S2) 실행으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예컨대, 기계가 한번에 100개의 지폐를 처리할 수 있다면, 고객 묶음에서의 1000개의 지폐는 매번 공급되는 100개의 지폐에 관한 첫번째 분류의 10회 반복 및 모든 제거된 포켓(P2) 지폐(묶음이 7% "B1"과 1% "A" 지폐를 포함하는 경우 80개의 지폐)를 처리하는 단일의 두번째 분류, 즉 총 11회의 분류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제안된 바와 같은 첫번째 "ATM" 분류 및 그 후의 두번째 "UNFIT" 분류라기 보다는 첫번째 "인증(Authentication)" 분류 및 그 후의 두번째 "적합성(Fitness)" 분류로의 분할을 위해 100개의 지폐의 2×10회의 분류, 즉 전형적인 종래기술 방법(990개의 지폐를 식별되도록 해 두는 첫번째 분류 후에 10개의 지폐만이 분리되어 그 이상의 10회의 분류를 필요로 함)을 이용하여 수행될 필요가 있는 총 20회의 분류와 비교된다. 상술한 특별한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처리가 가속된다.
그렇지만, 다른 경우에는 대체 기준을 선택하는 것이 이익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기준은 간단히 "지폐가 진짜이다"로 할 수 있고, 반면에 제2 기준은 "지폐가 재사용에 적합하다"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지폐의 더 적은 특성이 첫번째 분류에서 평가될 필요가 있지만, 적합성 특성은 여전히 두번째 분류에서 수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두번째 분류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가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예컨대,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로 설정되면, 두번째 분류는 첫번째 분류의 두번째 경로로 되어, 첫번째 경로에서 정확하게 검지되거나 인식되지 않은 지폐가 2-포켓 분류기에 의해 재처리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상기의 2가지 분류가 수행되면, 예컨대 외국 통화와 같은 다른 인식되지 않은 서류로부터 위조 지폐를 분리하기 위해, 제4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에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분류가 수행될 수 있다.
요약하면, 이것은 배타적으로 한 카테고리의 지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포켓에 값을 나타내는 것만으로 더 향상될 수 있는 2-포켓 기계로 4가지 카테고리 분류(적합한 지폐, 부적합한 지폐, 인식되지 않는 지폐 및 의심되는 지폐)를 효과적이며 용이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의심되는 지폐가 포켓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오퍼레이터에게 표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첫번째 분류는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와 '오프소트(offsort)' 지폐간의 분류를 위해 이용된다. '오프소트' 지폐만이 '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그 값이 표시되고 처리가 완료된다.
첫번째 "오프소트" '이외'가 혼합된 지폐이면, 두번째 분류가 '진짜' 지폐와 '오프소트 지폐'간의 분류를 위해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두번째 분류에서의 '진짜' 지폐는 모두 '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지폐일 것이지만,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가 첫번째 분류에서 인식되지 않고 두번째 분류에서만 인식된 경우는 이것이 임의의 '진짜이고 부적합한' 지폐에 추가될 것이다.
두번째 분류 '오프소트'는, 전형적으로 수동 분류를 필요로 하는 인식되지 않은 지폐와 위조 지폐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 수동 분류 중에 인식되지 않는 위조 지폐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기계는 첫번째 분류의 끝 및/또는 두번째 분류의 끝의 오프소트에서 의심되는 위조지폐가 있으면 표시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
상술한 제1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방법은 다음의 어느 것인가를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 "오프소트"(제2 포켓(P2)이나 제2 또는 제4 목적지의 내용)가 배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인 경우는, 오퍼레이터를 변경한다.
2) (1)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오프소트'만이 '진짜이고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포함하고 있으면, 오퍼레이터를 변경하는 시스템.
3) (1)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오프소트'만이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를 포함하고 있으면, 오퍼레이터를 변경하는 시스템.
4) (2) 또는 (3)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오프소트에서의 물품의 값 및/또는 단편 계수를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변경되는 시스템.
5) (1), (2), (3) 또는 (4)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포켓/목적지 이상의 분류 카테고리가 있는 시스템.
6) (5)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2-포켓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3가지 또는 4가지 방식의 분류가 있는 시스템.
7) 하나의 카테고리와 오프소트 사이에서 분류하는 것과, 그 후 두번째 분류에 있어서 첫번째 분류의 분류된 카테고리에서 발견될 수 있는 임의의 아이템(item)이 두번째 분류의 분류된 카테고리에 삽입되도록 첫번째 분류 오프소트를 분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처리 방법.
8) (7)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상기 아이템이 서류, 특히 지폐인 시스템.
9) 의심되는 위조지폐가 오프소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오퍼레이터를 변경한다.
10) (9)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상기 변경이 의심되는 위조지폐를 포함하고 있는 포켓에 인접한 적색 LED에 의해 행해지는 시스템.
11) 오프소트가 하나의 카테고리, 또는 수동으로 분할되어야 할 2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때까지 카테고리와 오프소트 사이에서 행해지는 연속하는 양방향(two-way) 분류의 방법.
12) (11)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테고리가 보이는 제1 지폐에 응답해서 다이내믹하게 할당되는 시스템.
13) 오프소트 내의 조성을 결정하고 그에 응답하여 계속하는 분류로 분류해야 할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방법.
14) 오프소트 내의 조성을 결정하고 오퍼레이터 또는 외부 시스템을 변경하는 방법.
15) 하나의 카테고리와 오프소트 사이에서 분류하는 것과, 그 후 두번째 분류에서 처리될 때 첫번째 분류로부터의 오프소트가 첫번째 분류 카테고리에서 분류된 것과 같이 분류될 확률이 더 적어지도록 두번째 분류에 대해 적합성을 위한 다른 임계치를 이용하여 두번째 분류에 있어서 첫번째 분류 오프소트를 분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처리 방법.
16) (15)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상기 아이템이 서류, 특히 지폐인 시스템.
17) (16)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두번째 분류에 있어서 경계선 지폐(borderline note)가 현재의 카테고리로서 분류되지만 첫번째 분류의 분류된 카테고리에서 발견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아이템은 오프소트에 삽입되는 시스템.
18) (1)∼(17)의 어느 하나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특별한 카테고리와 만나게 될 때 처리가 정지되는 시스템.
19) (18)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특별한 카테고리가 의심되는 위조지폐인 시스템.
20) (18)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특별한 카테고리가 두번째 분류에서 만나게 되는 진짜 지폐의 예상치 못한 타입인 시스템.
21) 연속하는 (제2/제3...) 분류 중에 (펼쳐지는) 식별을 위해 첫번째 분류로부터의 지폐의 식별 결과(검지된 기준) 및 알려진 순차적인 화폐단위를 이용하는 방법.
22) (21)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첫번째 분류가 "진짜"와 "오프소트" 사이에서 행해지고, 두번째 분류가 "적합"과 "부적합" 사이의 "진짜"에 미치는 시스템.
23) (21) 또는 (22)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연속하는 분류가 이전의 분류와 비교해서 더 높은 속도 또는 더 낮은 속도로 수행되는 시스템.
24) (1)∼(23)에 따른 시스템으로서, 의심되는 위조지폐가 발견된 때 화상이 포착되는 시스템.
또한, 제1 실시예에 대해 다음의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와 '오프소트' 사이의 첫번째 분류. 전형적으로, 두 번째 분류에서의 '진짜' 지폐는 모두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로 될 것이지만, 첫번째 분류에서는 '진짜이고 부적합한' 지폐가 인식되지 않고 두번째 분류에서만 인식된 경우는 이것이 임의의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에 추가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두번째 분류는 '진짜이고 부적합한' 지폐와 '오프소트' 사이의 분류이다. 오프소트가 지폐의 하나의 카테고리뿐이면, 그 카테고리를 오퍼레이터에게 표시함으로써 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혼합된 적합하지 않은 지폐 및 적합한 지폐가 두번째 분류 후에 혼합되면, 혼합의 품질 또는 본질, 예컨대 92개의 적합한 지폐, 5개의 경계선 지폐 및 1개의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오퍼레이터 또는 외부 시스템에 표시한다.
두번째 분류에서 처리될 때 첫번째 분류로부터의 오프소트가 첫번째 분류 카테고리에서 분류된 것과 같이 분류될 확률이 더 적어지도록 두번째 분류에 대해 적합성을 위한 다른 임계치를 이용하는 방법.
그러나, 상기의 방법 중 어느 것은, 의심되는 위조지폐를 만나게 될 때 처리를 중지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중 어느 것은, 두번째 분류에 있어서 진짜 지폐의 예상치 못한 타입을 만나게 될 때 처리를 중지한다.
연속하는 (제2/제3) 분류 중에 (펼쳐지는) 식별을 위해 첫번째 분류로부터의 지폐의 식별 결과 및 알려진 순차적인 화폐단위를 이용하는 방법. 첫번째 분류에 대해 오공급(misfeed)이 없을 때, 이것은 두번째 분류를 더 높은 속도로 허용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이것은 두번째 분류에 대해 다르게 분류되는 경계선 적합성 지폐의 대립(complication)을 회피한다.
이러한 것의 하나의 실시예는, 진짜 지폐와 첫번째 분류에 대해 오프소트 사이에서 분류될 수 있고, 두번째 분류에 대해 "적합"과 "부적합" 사이에서 "진짜"에 미칠 수 있다.
두번째 분류 오프소트의 수동분류 대신, 세번째 분류는 아마도 더 느린 속도로 아마도 다른 기계로 서류를 처리하여, 아마도 서류의 일부 또는 전부의 화상을 포착하거나, 아마도 그 중에서도 일련번호를 포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도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2-포켓 분류기(1)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전슐한 바와 같이, 분류해야 할 지폐의 스택(stack)은 스텝 S400에서 장치 위에 위치되고 스텝 S405에서 신뢰성 및 적합성 등과 같은 지폐의 특성을 검지하기 위해 그 장치를 통과한다. 본 실시예는 신뢰성 및 적합성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각 지폐에 대한 신뢰성 및 적합성 특성의 검지는, 스텝 S410에서 진짜이고 재사용에 적합("ATM FIT")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지폐가 제1 목적지, 포켓(P1)으로 분류되는 것을 허용한다. 각 지폐가 분류됨에 따라 스텝 S415에서 장치(1)에 의해 얻어지는 각 지폐에 관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지폐 특성, 일련 또는 발행 번호, 값 등으로 될 수 있다. 그 후, 이것은 각 추가적인 지폐가 포켓으로 공급될 때에 갱신되는 포켓(P1) 내의 지폐에 관한 데이터 레코드의 리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제1 포켓 내의 지폐에 관한 데이터는 단순히 분류된 지폐의 누적 단편 계수 또는 합계값으로 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각 지폐의 특성의 완전한 상세(詳細)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다른 지폐는 스텝 S420에서 제2 목적지, 포켓(P2)으로 분류된다. 다시, 제1 포켓과 마찬가지로, 제2 목적지로 분류된 각 지폐에 대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옵션(option)이 있다. 이 데이터는, 제2 목적지로 분류되어 있는 추가적인 지폐마다 갱신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목적지 및 제2 목적지로의 지폐의 분류는 첫번째 분류의 하나의 "경로(pass)"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제 제2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를 이용하여 첫번째 분류의 제2 경로를 수행하는 스텝 S430에서의 옵션을 가진다.
사용자가 장치의 제2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에 대해 제2 경로를 수행하는 것을 선택하면, 제2 목적지로부터 지폐를 제거하고 이들 지폐를 장치(1)로 재공급, 즉 스텝을 스텝 S400으로 리턴함으로써 이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제2 경로에 대해 각 지폐의 특성은 전형적으로 재검지되어 진짜이고 재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임의의 지폐가 스텝 S420에서 제2 목적지, 포켓(P2)으로 분류된다. 제2 경로에 대해 본래 제2 목적지로 분류된 일부 지폐가 진짜이고 적합하다(즉,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지폐 특성을 갖는다)고 확인되면, 첫번째 분류의 제1 경로로부터 포켓(P1) 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지폐의 스택을 결합하기 위해 제1 목적지로 재분류되게 된다. 제2 경로 중에 제1 목적지에 추가된 각 지폐도 또한 전형적으로는 스텝 S415에서 포켓(P1) 내에 존재하는 지폐에 관한 데이터 레코드를 갱신하게 된다. 추가적인 지폐가 제2 경로에 대해 제1 목적지로 재분류되면, 제2 목적지 내의 지폐에 대한 데이터는 스텝 S425에서 리셋되어 재산출될 필요가 있다. 제2 경로의 끝에서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제2 목적지에 있어서 제1 경로에 대해서와 동일한 수 또는 그보다 적은 지폐를 가지게 된다.
진짜이고 재사용에 적합한 모든 지폐(즉, 제1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가 성공적으로 검지되도록 하기 위해 첫번째 분류 중에 임의의 수의 경로가 수행될 수 있다. 모든 필요한 경로가 수행된 후에 첫번째 분류가 완료되고 스텝 S440에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도 2에서의 판단 스텝 다음의 모든 스텝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의 더 뒤의 스텝이 수행되고 도 3의 스텝을 수행하도록 결정되면, 첫번째 분류의 다수의 경로와 마찬가지로 두번째 분류 중에 수개의 경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지만, 이 기회에 지폐를 제3 목적지 및 제4 목적지로 분류한다. 이것은 도 4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텝 S415 및 S425에서 분류된 데이터도 또한 스텝 S435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단일의 분류 중에 다수의 경로를 수행하는 것은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특정 상황에 있어서, 이것은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지폐가 어떤 분류의 제1 경로 중에 성공적으로 검지되거나 인식되지 않은 경우로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공급 및 전송 불규칙으로 인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특정 지폐가 겹쳐져서 "이중 지폐(double note)"로서 검지되고, 이로써 다른 잡다한 지폐를 가진 제2 목적지로 발송될 수 있다. 제2 또는 연속하는 경로 중에 동일한 공 급 및 전송 불규칙이 다시 일어날 것 같지 않고, 따라서 지폐가 성공적으로 검지되어 분류될 것 같다. 특정 상황에 있어서, 제2 목적지로부터의 지폐의 스택도 또한 검지되지 않은 지폐를 인식하기 위해 전환되거나 다른 목적지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목적지 내에 존재하는 지폐가 제1 목적지에 남아 있기 때문에, 제1 목적지 내의 지폐의 수가 증가하고, 연속하는 경로가 수행됨에 따라 제2 목적지 내의 지폐의 수가 감소한다. 전형적으로, 경로 반복(pass repetition)은 제2 목적지로 통과되는 지폐의 수가 수개의 경로에 걸쳐 변함없이 일정하게 될 때 종료될 것이다. 단일의 분류에 대해 다수의 경로를 이용하는 이러한 방법도 또한 제1 실시예의 방법 또는 임의의 변형 방법으로 동작하도록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 5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 지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500에서 장치(1)로 다시 삽입되고, 소정의 기준의 수에 의존해서 제1 목적지(S510)나 제2 목적지(S515)의 어느 하나로 지폐를 분류하기 위해 각 지폐의 각종 특성이 검지된다. 도 5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이 첫번째 분류도 또한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첫번째 분류로부터 두번째 분류로 진행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그것들은 스텝 S525에서 장치(1)에 의해 검지되어 있는 "분류종료(sort-end)"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분류종료" 이벤트는 장치(1)에 존재하는 "CULL"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내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치(1)는 최종 경로 후에 소정 길이의 시간을 기다리고, 이 시간동안 검지되는 사용자 상호작용이 없으면 제1 의 "분류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도록 채용될 수 있다. "분류종료" 이벤트는 또한, 그 장치가 소켓(P1, P2)의 어느 하나가 비어 있다는 것(즉, 포켓 내에 미리 존재하던 지폐가 지금 제거되었다는 것)을 감지하면 발생될 수도 있다.
제1의 "분류종료" 이벤트가 장치(1)에 의해 검지될 때, 제1 목적지, 포켓(P1) 내에 존재하는 지폐에 관한 데이터는 스텝 S535에서 장치 메모리, 또는 아마도 외부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될 것이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데이터는 포켓(P1) 내의 각 지폐마다의 특성 데이터의 리스트를 갖추거나, 또는 성공적으로 분류된 지폐의 단편 계수나 합계값을 가질 수 있다. 일단 제1의 분류종료 이벤트가 검지되면, 스텝 S540에서 첫번째 분류 기준이 리셋되고 소정의 분류 기준의 제2 세트가 회복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다. 이 두번째 분류가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전의 실시예의 두번째 분류와 마찬가지로, 장치(1)로 공급된 지폐는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스텝 S605에서 측정된 특성을 가지면 스텝 S610에서 제3 목적지로 분류된다. 특정의 경우에, 제3 목적지는 포켓(P1)으로 될 수 있다. 이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임의의 지폐는 스텝 S615에서 포켓(P2)으로 될 수 있는 제4 목적지로 분류된다. 첫번째 분류와 마찬가지로, 두번째 분류의 다수의 경로가 수행되어도 좋다. 두번째 분류의 각 지폐가 처리됨에 따라 데이터는 도 4에 나타낸 방법에서 수집된 데이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3 목적지 및 제4 목적지 내의 지폐에 관하여 수집된다.
일단 필요한 수의 경로가 수행되면, 스텝 S630에서 장치(1)에 의해 검지되어 있는 제2의 "분류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고, 두번째 분류 처리가 종료된다. 제1의 "분류종료"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장치(1)에 존재하는 "DONE" 버튼과 같은 버튼을 누르는 조작으로 되거나, 또는 이벤트가 설정한 양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발생될 수 있다. 제2의 "분류종료" 이벤트의 검지 시에, 제3 목적지 및 제4 목적지 내의 지폐에 관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스텝 S635에서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데이터는 각 목적지 내의 모든 지폐의 단편 계수 합계 또는 합계값을 가질 수 있다.
일단 제2의 "분류종료" 이벤트가 검지되면, 그 장치(1)는 스텝 S640에서 정보의 3개의 단편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데, 이 정보는 첫번째 분류 중에 분류된 제1 목적지 내의 지폐에 대응하여 수집된 데이터, 두번째 분류 중에 분류된 제3 목적지 내의 지폐에 대응하여 수집된 데이터, 또는 두번째 분류 중에 분류된 제4 목적지 내의 지폐에 대응하여 수집된 데이터로 될 수 있다. 첫번째 및 두번째 분류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의 분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첫번째 분류 데이터는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의 합계 계수 및/또는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목적지에 관한 두번째 분류 데이터는 "진짜"이나 "적합하지 않은" 지폐의 합계 계수 및/또는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제4 목적지 내의 지폐에 관한 두번째 분류 데이터의 제3 세트는 P2 또는 CULL 포켓 내의 임의의 다른 지폐의 합계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제2 포켓 다음의 LED(7)는 제4 목적지가 임의의 위조 지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강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분류 데이터 또는 이 분류 데이터의 일부분은, 장치(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 상, 부착된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screen) 상, 원격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 어도 좋고, 또는 연결된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그 장치(1)는 사용자가 두번째 분류를 반복하도록 허용하는 "REDO" 명령을 수신하도록 더 채용되어도 좋다. 스텝 S625에서 예컨대 사용자가 "REDO" 버튼을 누른 후에 수신될 수 있는 "REDO" 명령의 수신 시에, 두번째 분류에 대해 수집된 분류 데이터는 사용자가 제3 목적지 및 제4 목적지로부터의 모든 지폐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텝 S620에서 리셋되고, 두번째 분류를 재수행하기 위해 그것들을 장치(1)로 재공급할 것이다.
2-포켓 분류기에 의해 제공되는 2개의 "실제(real)"의 목적지 또는 포켓 외에 무한 개수의 "가상(virtual)"의 목적지 또는 포켓을 제공하기 위해 두번째 분류를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류 기준의 추가적인 예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예의 몇 가지 실시에서는, 특정의 화폐단위(denomination)를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의 화폐단위로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든 "진짜이고 적합한" 10유로 지폐를 분류하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장치는 선택된 화폐단위의 지폐만이 두번째 분류 중에 제3 목적지로 분류되도록 하기 위해 이 화폐단위 기준을 디폴트(default)에 의해 기준의 제2 시트로 적용하도록 채용되어도 좋다.
대체 적응(alternative adaptation)은, 첫번째 분류 중에 화폐단위 기준을 이용하나 이 화폐단위 기준을 두번째 분류에 대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의 화폐 단위로서 설정하지 않는 디폴트에 의한 것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의 형성 부분인 화폐단위 기준은 저장되어 두번째 분류 중에 제3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와 비교되어도 좋다. 제3 목적지 내의 모든 지폐가 기준의 제1 세트의 일부로서의 화폐단위 기준 세트와 정합(match)하는 경우는, 제3 목적지 다음의 LED는 한 세트의 조명 패턴 또는 예컨대 녹색 또는 번쩍이는 녹색으로 조명되는 컬러를 갖도록 설정되어도 좋다. 제3 목적지가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의 일부로서 선택된 화폐단위 이외의 화폐단위의 혼합을 포함하는 경우는, 제3 목적지 다음의 LED는 다른 조명 패턴, 예컨대 녹색 조명 대신 번쩍이는 녹색 조명 또는 번쩍이는 녹색 조명 대신 번쩍이는 적색 조명으로 동작되어도 좋다.
또한, 발행번호 또는 지폐 발행 등급(class)도 첫번째 분류나 두번째 분류의 어느 하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기준으로 되어도 좋다. 예컨대, 쓸모없게 된 발행 등급이나 번호의 모든 지폐가 제2 목적지로 분류되도록 첫번째 분류 중에 기준의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두번째 분류 중에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는 제1 목적지 내의 지폐가 "진짜"이나 "적합하지 않고" 회수되어야 할 발행의 지폐이도록 제3 목적지로 회수되어야 할 동일한 발행 등급 및 번호를 분류할 수 있다. 제3 목적지로부터의 지폐는 전형적으로 은행으로 리턴되어도 좋기 때문에, 이것은 시간절약 옵션(time-saving option)을 나타낼 수 있다.
작업 예( Worked Example )
이제 도 7a∼도 7k를 참조해서 장치(1)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행되는 분류의 작업 예(worked example)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예에 있어서, 레퍼런스(reference: 참조)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1, P2)와, 관련된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논리적인 또는 "가상적인" 지폐 목적지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L1, L2)로 만들어지고, 여기서 논리적인 목적지는 현재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 내의 지폐와 함께 지폐의 스택을 나타낸다.
도 7a로부터 시작하면, 분류를 시작하기 전에 오퍼레이터는 장치가 지폐의 새로운 묶음에 대해 분류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가리키는 표제(heading)에서의 텍스트를 표시하는 화면(700A)으로 제시된다. 시작 시에 새로운 묶음은 전형적으로는 임의의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의 계수 및 값 합계를 리셋하게 된다. 화면(700)의 최하측(bottom)에는 4개까지의 아이콘이 오퍼레이터에게 표시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각 아이콘은 그 아이콘 아래에 배치된 기능키(function key)에 대응할 것이다. 도 7a에는, 오퍼레이터가 옆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키 중에서 첫번째 기능키를 누르면, 오퍼레이터가 이용할 수 있고 이전에 수행된 분류로부터의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아이콘 "BACK"(710)이 나타내어져 있다. 장치(1)가 자동 시작 모드로 되어 있으면, 화 면(700)은 오퍼레이터가 지폐의 스택을 입력 호퍼(2)에 둘 때까지 표시될 것이다. 장치(1)가 수동 시작 모드로 되어 있으면, 지폐의 분류는 오퍼레이터가 적절히 할당된 "START" 버튼을 누를 때까지 시작되지 못할 것이다. 분류가 개시된 후에, 지폐는 하나 이상의 센서(3)에 의해 둘러싸인 전송 경로를 따라 장치(1)로 개별적으로 공급되어도 좋은데, 각 지폐의 특성은 지폐가 디버터(diverter; 5) 및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1, P2)의 하나로 통과하기 전에 검지된다. 현재의 비"분할"(non-"SPLIT") 분류 예에 있어서, 제1 출력 목적지(P1)는 BRF "적합성" 기준을 통과하는 지폐(즉, B1 지폐)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출력 목적지(P2)는 상기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를 수신하기 위한 "cull 패킷"으로서 사용된다.
지폐가 장치(1)로 공급되어 출력 목적지(P1, P2)의 하나로 분류된 후에, 오퍼레이터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701)으로 제시된다. 이 화면은, 행(715)의 논리적인 "cull 포켓" 목적지에 대한 과도 값 및 계수 합계뿐만 아니라 2개의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 즉 행(row; 725)의 L1 및 행(720)의 L2에 대한 누적 값 및 계수 합계도 표시한다. 현재의 예에서는, 합계가 새로운 묶음을 위해 리셋되고, 15개의 지폐가 BRF 적합성 기준을 충족시키고 제1의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L1)로 분류되며 15개의 지폐를 제1 출력 목적지(P1)로 물리적으로 분류함으로써 나타내어진다고 여겨지고 있다.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L1) 내의 지폐의 수 및 값은 행(725)에 나타내어져 있는데, 여기서 열(column; 730)은 제1의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L1)로 분류된 모든 지폐의 합계 값을 표시하고, 열(735)은 제1의 논리적인 지폐 목적지(L1)로 분류된 출력 목적지 내의 지폐의 수를 나타낸다.
제2의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2)로 분류된 지폐는 행(720)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대신에 논리적인 "cull 포켓"의 내용을 나타내는 임시의 행(715)에 나타내어져 있다. 현재의 예에 있어서는, "ADD" 아이콘(745)도 또한 세번째 기능키 위에 표시된다. "ADD" 아이콘(745)의 존재는, 제2 출력 목적지(P2)로 물리적으로 분류된 모든 지폐가 동일한 "타입", 즉 인식되고 진짜이지만 BRF 적합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즉 등급 B2의 지폐라는 것을 의미한다. 행(715)의 데이터는, 제2 출력 목적지(P2) 내에 이 "타입"의 7개의 지폐가 있고, 이 지폐의 검지된 화폐단위가
Figure 112009071805846-pct00001
의 출력 목적지 합계를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화면(700B)은 도 4의 스텝 S405∼S4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첫번째 분류의 제1 "경로"의 결과를 나타낸다.
특정의 변형예에서는, "ADD" 아이콘(745)을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2개의 컬러 LED를 갖춘 조명장치(7)와 같은 표시기(indicator)가 제1 컬러를 표시하고, 및/또는 제2 출력 목적지(P2) 내의 모든 지폐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통과하고 출력 목적지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임의의 물품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가리키도록 제1 조명 패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은데, 여기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는 지폐가 진짜이고 인식되어 있다는 것을 갖추고 있다(그리고 기준의 제1 세트는 지폐가 BRF 적합성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갖추고 있다).
이 단계에서 오퍼레이터는 제2 출력 목적지(P2)로 분류된 지폐를 이용하여 분류(즉, S430의 재분류)의 제2 "경로"를 수행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ADD" 아 이콘(74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기 전에 제2 출력 목적지(P2)로부터 지폐를 제거하면, 행(715)의 데이터는 리셋되어도 좋고, 제2 출력 목적지(P2)로부터의 지폐는 장치(1)를 통해 재공급되어도 좋다. 모든 경우에, 이것은 지폐를 다시 제2 출력 목적지(P2)로 분류할 수 있게 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행(715)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특정의 경우에, 지폐가 제1 "경로"의 카테고리 B2로서 정확히 검지되었다면, 이로써 지폐는 제1 출력 목적지(P1)로 분류될 것이고, 그 관련된 데이터는 행(725)에서의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에 대한 데이터에 추가될 것이다.
오퍼레이터가 화면(700B)에 나타낸 데이터로 행복하면, 지폐가 공통의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2)에 존재하더라도, 제2 출력 목적지(P2) 내, 즉 현재 논리적인 "cull 포켓" 내의 지폐에 대해 기록된 데이터를, 라인(720)에 표시되는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에 대한 데이터에 추가; 즉 행(715)의 데이터를 행(720)의 데이터에 추가하기 위해, 그들이 "ADD" 아이콘(74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를 것이다. "ADD" 아이콘(74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은, 도 5의 스텝 S525에서 검지된 분류종료 이벤트를 나타내고, 여기서 제2 출력 목적지(P2)에 대한 데이터도 또한 스텝 S535에서 저장된다. 일부 변형예에서는,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2) 내의 모든 지폐가 B2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로 이루어지면, 장치(1)는 설정한 시간주기가 경과한 후의 특정의 경우에 행(715)의 데이터를 행(720)의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에 대한 합계에 자동적으로 추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ADD" 아이콘(74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른 후에, 오퍼레이터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700C)으로 제시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행(715)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정보는 이제 행(720)에 추가된다. 또한, 아이콘(745)은 이제 "REMOVE" 아이콘(750)으로 대체된다. 오퍼레이터가 "REMOVE" 아이콘(75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면, 최근에 행(720)의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에 대한 누적 합계에 추가된 데이터가 제거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 "REMOVE" 아이콘(75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은 제3 실시예에서의 스텝 S62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REDO" 명령을 동작시키는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아이콘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은 스텝 S6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제2 출력 목적지(P2)에 대한 최근의 분류 데이터를 리셋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물리적인 위치(P1, P2)에 존재하는 지폐를 제거하고, 그것들을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 및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를 나타내는 지폐의 2개의 분리된 스택으로 이동시킨다. 이들 지폐가 제거될 때 합계는 제1 및 제2의 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2개의 스택의 누적 합계를 나타내는 행(720, 725)에 남게 될 것이다. 오퍼레이터가 제2 출력 목적지(P2)에 있어서 상기한 분류로부터 지폐를 남기고 다른 분류를 위해 입력 영역(2)에 지폐를 더 추가하면, 행(720)의 합계가 리셋되는데, 이것은 후에 설명되는 도 7d의 경우이다.
도 7d는 5개의 지폐의 추가적인 스택을 처리, 즉 제2 출력 목적지(P2)에 있어서 미리 분류된 지폐를 남기면서 추가적인 첫번째 분류를 수행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7d에 나타낸 예에서는, 2개의
Figure 112009071805846-pct00002
지폐가 BRF 적합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검지되고, 이로써 제1 출력 목적지(P1)로서 물리적으로 분류되고 행(725)의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에 대한 합계에 추가된다. 그렇지만, 도 7d는 추가적인 스 택의 지폐가 제2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하나 이상의 지폐를 갖추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지폐는 제2 출력 목적지로 분류될 것이고, 목적지(P2)로 이미 분류된 7개의 지폐의 최상측(top)에 퇴적될 것이다. 이것은, 제2 목적지가 제2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와 제2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의 혼합으로 되어 있음(예컨대, 신뢰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일부 지폐와 신뢰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일부 지폐가 분류 처리 중에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와 제2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의 혼합으로 되어 있는 지폐의 스택에 대해 추가적인 분류를 수행하기 전에 제2 출력 목적지가 비었다면 유사한 세트의 이벤트도 발생할 것이다.
제2 출력 목적지(P2) 내의 다른 지폐 "타입"의 혼합이 세번째 기능키 위의 "SPLIT" 아이콘(755)의 존재에 의해 그리고 행(715)의 열(730)에서의 제로값 엔트리와 행(715)의 열(735)에서의 비제로 단편 계수 합계의 조합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표시된다. 이 경우, 열(735)에서의 계수 합계는 이 단계에서 10개의 지폐(즉, 이미 분류된 7개의 지폐 + 장치(1)로 최근에 공급된 추가적인 3개의 지폐)가 논리적인 "cull 포켓"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출력 목적지(P2)에 10개의 지폐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번호 7과 같은 표시기 LED의 컬러 또는 조명 패턴은, 제2 출력 목적지(P2) 내의 지폐가 전부 제2 기준을 충족시킬 때 제공되는 것과 다른 신호를 제공하도록, 즉 제2 컬러 및/또는 제2 조명 패턴을 표시하도록 조절되어도 좋다. "SPLIT" 아이콘(755) 및 표시기(7)의 표시는, 또 다른 분류가 필요하다는 것, 즉 제2 출력 목적지(P2) 내의 모든 지폐가 도 2의 S225와 유사한 스텝에서 평가된 것과 동일한 "타입"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나타낸다.
화면(700B∼700D)으로 제시될 때, 오퍼레이터는 또한 장치(1)에 의해 처리된 각 지폐에 관한 상세(details)를 표시하기 위해 적어도 "DETAIL" 아이콘(74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를 것이다. 이러한 상세는, 예컨대 지폐에 의해 충족 또는 충족되지 않은 임의의 기준의 상세와 함께 처리된 특성의 리스트를 갖추어도 좋다.
도 7d에 나타낸 분류 결과 후에, 오퍼레이터가 "SPLIT" 아이콘(755) 아래의 세번째 기능키를 누르면,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것들이 화면(7E)으로 제시된다. "SPLIT" 키를 누르는 것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두번째 "SPLIT" 분류가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두번째 분류가 수행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SPLIT" 절차 중의 GUI 화면은 도 7E 및 도 7F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역비디오 모드에서 표시된다. 또한, 두번째 분류는 "분류 내의 분류(sort within a sort)"라고 생각될 수도 있는데, 이 점에서 제2 출력 목적지(P2)로 분류된 지폐는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로의 BRF 적합성 또는 B1 지폐의 분류를 방해하는 일없이 더 분류되어도 좋다. 화면(700E)으로 제시될 때, 오퍼레이터가 "SPLIT" 처리를 수행하기를 원하지 않으면, "END" 아이콘(770) 아래의 기능키를 눌러 묶음 분류를 종료할 수도 있다.
두번째 분류를 시작하기 전에, 오퍼레이터는 제1 및 제2 출력 목적지(P1, P2) 내의 지폐를 제거하고, 그것들을 2개의 각각의 스택에 놓는다. 두번째 분류 중에 양호한(즉, 제1) 출력 목적지(P1)로부터의 지폐는 한쪽으로 설정되고 사용되 지 않는다. 화면(700E)은, 장치(1)가 논리적인 "cull 포켓" 내의 지폐를 나타내는 제2 출력 목적지(P2)에 이미 퇴적된 지폐에 대응하는 지폐의 스택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선택된 시작 모드에 의존해서, 오퍼레이터는 제2 출력 목적지(P2)로부터 입력 모듈(2)로 놓아두고, 두번째 분류를 시작하기 위해 대기하거나 키를 누를 것이다. "SPLIT" 또는 두번째 분류는 의심되는 위조지폐 또는 인식되지 않은 지폐(즉, 신뢰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를 제2 출력 목적지(P2)로, 그리고 비위조 지폐(non-counterfeit notes; 즉, 신뢰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폐)를 제1 출력 목적지(P1)로 더 분류한다. 도 7f에 나타낸 예에서는, 3개의 지폐가 의심되는 위조지폐 또는 인식되지 않은 (예컨대 카테고리 A) 지폐로서 검지되어 제2 출력 목적지(P2)로 분류되는데, 이것이 행(715)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때, 7개의 지폐는 신뢰성 기준(예컨대, 카테고리 B2)을 통과한 것으로서 검지되어 제1 출력 목적지(P1)로 분류되는데 반해, "SPLIT" 분류에 대해 제1 출력 목적지(P1)로 분류된 지폐의 합계값 및 수는 행(7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에 대한 합계에 추가된다. 행(725)은 지금 한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제1 출력 목적지(P1)로 이미 분류된 지폐를 나타낸다.
"SPLIT" 모드 중에, (제1 기준의 일부인) 지폐 적합성에 관한 현재의 분류모드 설정은 디스에이블(disable)되고, 그 분류는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에 기초해서) 진짜 지폐를 제1 출력 목적지(P1)로, 의심되는 위조지폐 또는 인식되지 않은 지폐를 제2 출력 목적지(P2)로 분류한다. 스플리트(split) 분류가 수행된 후에, 오퍼레이터는 다시 "DETAIL" 아이콘(740) 아래의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분류된 지폐 의 상세를 볼 것이다. "SPLIT" 모드를 종료하기 위해서, 분류된 지폐는 제2 출력 목적지(P2) 및 제1 출력 목적지(P1)의 양족으로부터 제거되고, "CLOSE" 아이콘(675) 아래의 기능키가 눌러진다. 의심되는 위조지폐 또는 인식되지 않은 지폐로서 검지된 제2 출력 목적지(P2)로부터의 지폐는 한쪽으로 설정되어 있고, 관련 당국(relevant authorities)으로 보고될 수도 있다. "SPLIT" 분류 중에 제1 출력 목적지(P1)로 분류된 지폐는 "SPLIT" 분류 전에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 내의 지폐를 나타내는) 제2 출력 목적지(P2)로부터 이미 제거된 지폐의 스택에 놓이고, "SPLIT" 분류 전에 제거된 제1 출력 목적지(P1)로부터의 지폐의 스택은 그것들이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L1)를 형성한 상태로 놓여진다.
오퍼레이터가 "SPLIT" 모드를 종료한 후에, 전형적으로 "SPLIT" 분류 중에 제1 출력 목적지(P1)로 분류된 진짜이나 적합하지 않은 지폐에 상당하는 화면(700F)의 행(720)에 미리 나타낸 데이터는,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로 분류된 지폐에 관한 이미 저장된 데이터에 추가된다(즉, 화면(700D)의 행(720)에 나타낸 데이터에 추가된다). 이때, 이것은 도 7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출력 화면(700G)을 생성한다. 화면(700G)에 직면할 때, 오퍼레이터는 3가지 옵션, 즉 1) 그들이 "CONTINUE" 아이콘(765) 아래의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지폐의 특정한 묶음 내의 더 많은 지폐를 계속 처리할 수 있는 옵션; 2) 그들이 "SPLIT" 아이콘(755) 아래의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더 많은 "cull" 지폐를 처리할 수 있는 옵션; 또는 3) 그들이 "END" 아이콘(775) 아래의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지폐의 묶음에 대한 처리를 끝마칠 수 있는 옵션을 가진다. 특정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제한시 간(time limit), 예컨대 15sec 내에 키를 누르지 못하면, 가청 경보(audible alarm)가 기동될 수도 있고, 도 7h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700H)이 오퍼레이터에게 표시될 수도 있다. 지폐의 묶음의 처리를 완료했음을 오퍼레이터가 감지하면, 오퍼레이터는 "YES" 아이콘(79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를 것이다. 그들이 주어진 묶음 내의 더 많은 지폐를 계속 처리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그들은 "NO" 아이콘(78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를 것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현재의 묶음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소거하기를 원하는 경우는, 그들은 "DELETE" 아이콘(78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른다. "DELETE" 아이콘(785) 아래의 기능키가 눌러지면, 화면은 700G와 유사한 화면이지만 화면(700C)의 "DETAIL" 및 "REMOVE" 아이콘과 화면(700G)의 "END" 아이콘(775)으로 복귀한다. "YES" 아이콘(790) 아래의 기능키가 눌러지면, 지폐의 묶음의 분류가 종료되고 시스템은 아이들 화면(700A)으로 리턴한다. "DELETE" 아이콘(785) 아래의 기능키가 눌러지면, 화면(700I)은 입력 모듈(2)이 자동적으로 묶음의 처리를 재시작하여 지폐의 묶음의 이전의 분류로부터의 데이터를 오버라이트(overwrite: 겹쳐 쓰기)하는 지폐를 놓아둔다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면(700I)은 나타내어지지 않고, 시스템은 화면(700A)으로 리턴한다. 오퍼레이터가 도 7i에서의 "BACK" 아이콘(710)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면, 오퍼레이터는 도 7j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면(700J)으로 제시된다. 화면(700J)에는, 오퍼레이터가 화면(700H)에서와 같이 "YES" 아이콘(790)으로 제시되지만 "RESTOR" 아이콘(795)으로도 제시된다. 오퍼레이터가 "RESTOR" 아이콘(79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면, 삭제된 묶음에 관한 데이터가 재저장되고 묶음 에 관한 모든 합계가 원상태로 된다. 그 후, 오퍼레이터는 묶음 내의 추가적인 지폐를 처리하고, 그 데이터를 묶음 내의 처리된 이전의 지폐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에 추가할 것이다. 아이콘(790) 아래의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묶음 시트가 삭제된 상태로 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분류 처리 중에는 언제라도, 오퍼레이터는 데이터가 최종 클리어되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모든 포켓 내의 지폐의 합을 보는 것을 허용하는 "TOTAL" 키를 누를 것이다. 이 합계 화면은 도 7k의 700K에 나타내어져 있다. 행(701)에는, 특별한 묶음에 대해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로 분류된 지폐(예컨대, 비"스플리트"(non-"SPLIT") 분류 중에 제2 출력 목적지(P2)로 물리적으로 분류되거나 "SPLIT" 분류 중에 제1 출력 목적지(P1)로 물리적으로 분류된 진짜이나 적합하지 않은 지폐)의 합계값 및 수가, 행(702)에서의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L1)로 분류된 지폐(예컨대, 비"스플리트" 분류 중에 제1 출력 목적지(P1)로 물리적으로 분류된 진짜이고 적합한 지폐)의 합계값 및 수와, 행(703)에서의 제1 또는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1 또는 L2)에 분류된 지폐의 합계값 및 수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합계는 비"스플리트" 분류 중에 제2 출력 목적지로 물리적으로 분류되고 그 후 다시 "SPLIT" 분류 중에 제2 출력 목적지로 물리적으로 분류(즉, 제3의 "cull" 목적지로 논리적으로 분류)된 의심되는 위조지폐 또는 알려지지 않은 지폐(카테고리 A)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 모드에서는, 오퍼레이터는 화폐단위에 의한 지폐 합계의 명세(break down)를 주는 합계 메뉴를 억세스하기 위해 "TOTAL" 키를 누르거나 홀드할 것이다. 이들 상황에서, "묶음(batch)"은 전형적으로는 묶음시작 이벤트(batch start event)와 묶음종료 이벤트(batch end event) 사이에서 처리되는 지폐로서 정의되는데, 여기서 묶음시작 이벤트는 화면(700A)에 따른 지폐의 이송으로 될 수 있고, 묶음종료 이벤트는 "YES" 아이콘(790) 아래의 기능키가 뒤따르는 "END" 아이콘(775) 아래의 기능키를 누르는 것을 포함한다.
묶음이 종료된 후에, 오퍼레이터는 또한 관련된 데이터 출력정보(printout)에 표제를 달거나 메모리로부터 분류 데이터를 회수(recall)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그 묶음에 대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의된 참조번호를 입력하는 옵션도 가진다. 묶음 참조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제시되어도 좋은데, 여기서 그들은 참조번호 또는 스트링(string)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 키의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오퍼레이터가 지폐의 주어진 묶음에 대한 데이터를 더 쉽게 회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예들이 BRF 분류를 참조해서 제공되었다고 하더라도, 제1 및 제2 기준이 발행, 통화, 화폐단위, 방향 및 지폐 생김새(note face) 중의 하나 이상에 관한 기준으로 적당히 대체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분류에 대해 마찬가지의 스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화면(700A∼700K)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는, 장치(1)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된 출력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이 인쇄장치는, 스타 마이크로닉스(Star Mocronics)에 의해 공급되는 TSP 700 II 시리즈의 프린터와 같은 열전사 프린터(thermal printer)이어도 좋다. 도 8a∼도 8b는 일련의 예시적인 인쇄 출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SPLIT" 또는 두번째 분류로부터의 예시적인 인쇄 출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의 최상측으로부터 작업하면, 출력은 현재의 묶음번호 또는 참조번호; 현재의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현재의 처리모드 - "RUTH-ONLY"는 신뢰성 기준만이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고; 지폐의 수 및 그들의 값과 함께 제1 출력 목적지(P1) 내의 임의의 지폐의 통화 및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행; 및 제1 출력 목적지(P1) 내의 모든 화폐단위의 모든 지폐의 수 및 합계값을 나타내는 행을 나타낸다. "*" 심벌을 포함하는 라인은 각 분류처리를 묘사한다.
도 8b는 첫번째 분류로부터의 예시적인 인쇄 출력, 즉 도 7c 및 도 7g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8b의 최상측으로부터 작업하면, 출력은 현재의 장치 또는 기계 식별자; 현재의 묶음번호 또는 참조번호; 현재의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현재의 처리모드 - "BRF"는 BRF 분류가 진행중에 있음을 나타내고; 지폐의 수 및 그들의 값과 함께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로 논리적으로 분류된 임의의 지폐(즉, BRF "부적합" 지폐)의 통화 및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행; 지폐의 수 및 그들의 값과 함께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로 논리적으로 분류된 임의의 지폐(즉, BRF "적합" 지폐)의 통화 및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행; 및 제1 및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로 분류된 모든 화폐단위의 모든 지폐의 수 및 합계값을 나타내는 행을 나타낸다.
도 8c는 BRF 분류의 수에 관한 통계(statistic)를 상세히 설명하는 예시적인 인쇄 출력을 나타내고 있다. 도 8c의 최상측으로부터 작업하면, 출력은 현재의 장 치 또는 기계 식별자; 통계가 최초의 묶음번호 또는 참조번호와 최후의 묶음번호 또는 참조번호의 형태로 관련되는 묶음의 범위; 각 화폐단위의 지폐의 수 및 그들의 값과 함께 데이터가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에 대한 합계, 즉 "ADD" 아이콘(745)에 대응하는 기능키를 누름으로써 추가된 BRF "부적합" 지폐에 대한 데이터에 추가된 모든 지폐의 통화 및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행; 제2의 논리적인 목적지(L2) 지폐에 대한 수 및 값 계산(figures)을 합계하는 행; 각 화폐단위의 지폐의 수 및 그들의 값과 함께 제1 기준에 따라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L1)로 분류된 모든 지폐, 즉 BRF "적합" 지폐의 통화 및 화폐단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행; 및 제1의 논리적인 목적지(L1) 지폐에 대한 수 및 값 계산을 합계하는 행을 나타낸다.
도 8d는 러시아 루블(Russian rubles)을 이용하여 비-BRF 분류 처리에 대해 도 8c와 유사한 통계의 세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폐는 기준의 세트를 충족시키는 지폐(출력의 최상측 절반(top half))와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지폐(인쇄된 출력의 최하측 절반(bottom half))에 따라 합계된다. 비-BRF 분류의 예는, 제1 기준은 지폐가 위쪽으로 면하는 특별한 쪽을 가지는지 여부의 제1 기준과 지폐가 특수한 방식으로 배향되어 있는지 여부의 제2 기준의 하나일 것이다.

Claims (39)

  1. 분류장치를 이용하여 가치가 있는 복수의 시트 물품을 분류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복수의 물품을 상기 분류장치로 공급하는 스텝과;
    b) 상기 분류장치를 이용하여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는 스텝;
    b') 검지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록하는 스텝;
    c)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 임의의 물품을 상기 분류장치의 제1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d) 그 밖의 물품을 상기 분류장치의 제2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e)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 그리고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 중 어느 것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가지는지를 상기 분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텝 b)에서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스텝;
    f) 상기 스텝 e)에서 상기 분류장치에 의해 판단된 바와 같이 제2 목적지가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과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검지된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분류장치로부터 지시를 출력하는 스텝;
    f') 상기 지시에 기초해서 제2 목적지 내의 물품을 상기 분류장치로 재공급하는 스텝;
    g) 상기 지시에 기초하고 상기 스텝 b')에서 기록된 상기 검지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 기록된 검지된 특성을 갖는 임의의 물품을 제2 목적지로부터 상기 분류장치의 제3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 및;
    h) 상기 스텝 b')에서 기록된 상기 검지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 기록된 검지된 특성을 갖는 임의의 물품을 제2 목적지로부터 상기 분류장치의 제4 목적지로 분류하는 스텝을 구비하되,
    상기 분류장치가 2개의 출력 목적지만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3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하나이고, 상기 제4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검지된 특성이 신뢰성, 통화, 화폐단위, 상태, 발행 및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는, 물품이 진짜이고 그 상태가 다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는, 물품이 진짜라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f)가 상기 제2 목적지로부터 물품 각각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f) 및 g)가 스텝 b)∼d)와는 다른 속도로 이동하는 물품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스텝 c)가 상기 제1 목적지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e)에서 상기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모든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킨다고 판단된 경우,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스텝이 상기 제2 목적지의 물품에 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텝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e)에서 상기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모든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e) 전에, 스텝 b)∼d)가 제2의 복수의 물품에 대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c)에서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도록 스텝 c)에서 분류해야 할 제1 물품의 검지된 특성에 따라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7. 삭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b) 이후에, 각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임의의 물품이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경우, 이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물품 또는 각 물품이 저장되는 포켓에 인접하여 위치된 표시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중 임의의 하나의 검지된 특성이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를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방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가 소정의 기준의 제1 및 제2 세트와 상호 배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준의 제3 세트는 상기 물품이 의심되는 위조 물품이라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3. 삭제
  24. 제1항에 있어서, 스텝 c) 및 d)의 분류의 종료의 검지 시에 상기 제1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에 관한 정보의 제1 세트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추며, 스텝 g) 및 h)의 분류의 종료의 검지 시에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목적지의 하나 이상에 저장된 물품에 관한 제2 세트 정보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스텝 e)가 스텝 c) 및 d)의 분류의 종료가 검지될 때까지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 c)는 제1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텝을 갖추며, 스텝 f)는 분류가 수행되는 경우에 스텝 c)에서 저장된 정보를 제1 목적지로 분류된 재공급된 물품으로부터 임의의 추가적인 물품에 관한 정보와 함께 갱신하는 스텝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스텝 f) 및 g)를 복수회 반복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에 스텝 c) 및 d)의 분류의 종료 및/또는 스텝 g) 및 h)의 분류의 종료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 스텝 c) 및 d)의 분류의 종료 및/또는 스텝 g) 및 h)의 분류의 종료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0.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i) 정보의 제1 및 제2 세트를 표시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스텝 h)는 정보를 인쇄하거나 또는 정보를 표시 화면(display screen)에 표시하는 스텝 중 하나의 스텝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2.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j) "REDO" 명령을 수신하는 스텝과;
    k) 정보의 제2 세트를 리셋하는 스텝 및;
    l) 스텝 f) 및 g)를 반복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스텝 f) 전에, 제2 목적지로 분류된 물품을 재공급하는 스텝과, 스텝 c) 및 d)를 반복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스텝 c)는 스텝 c) 이후에 정보의 제1 세트를 생성하는 스텝과, 생성된 정보의 제1 세트를 제1 목적지로 분류된 재공급 물품으로부터 임의의 추가적인 물품에 관한 정보와 함께 갱신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방법.
  35. 가치가 있는 복수의 시트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장치로서,
    상기 분류장치로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정확히 2개의 출력 목적지;
    물품을 입력장치로부터 선택된 출력 목적지로 절환할 수 있는 디버터 시스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공급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디버터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센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록하고, 첫 번째 검지 스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면 그 물품을 제1 출력 목적지로, 물품이 소정의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그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도록 상기 디버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채용된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목적지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물품이, 상기 첫 번째 검지 스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는지, 상기 제2 목적지로 분류된 하나 이상의 물품이, 상기 첫 번째 검지 스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성을 기초로 소정의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는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채용된 제2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의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디버터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제3 모듈을 갖추되,
    상기 제2 모듈이 이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으로부터의 긍정적 결과를 기초로 더 분류가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3 모듈에 의한 상기 디버터의 동작이, 기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각 물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회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록된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기준의 제1 세트를 충족시키면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부터 제3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는 동작과,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록된 특성을 기초로 물품이 기준의 제2 세트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물품을 제2 출력 목적지로부터 제4 출력 목적지로 분류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하나이고, 상기 제4 목적지가 상기 제1 또는 제2 목적지의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더 분류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모듈은 이 제2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양 판단의 결과가 비제로(non-zero)인 경우에 상기 분류장치의 상태를 바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장치.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097024363A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7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GB07/001481 2007-04-24
PCT/GB2007/001481 WO2008129228A1 (en) 2007-04-24 2007-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US93558307P 2007-08-20 2007-08-20
US60/935,583 2007-08-20
PCT/GB2008/001407 WO2008129293A1 (en) 2007-04-24 2008-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675A Division KR20150093249A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271A KR20100017271A (ko) 2010-02-16
KR101727051B1 true KR101727051B1 (ko) 2017-04-14

Family

ID=396188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299A KR101754051B1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57020675A KR20150093249A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97024363A KR101727051B1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299A KR101754051B1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57020675A KR20150093249A (ko) 2007-04-24 2008-04-22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150942B1 (ko)
JP (1) JP2010525475A (ko)
KR (3) KR101754051B1 (ko)
CN (1) CN101715590B (ko)
ES (1) ES2580633T3 (ko)
TW (1) TW200907863A (ko)
WO (1) WO2008129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6006A (ja) * 2008-09-29 2010-04-15 Toshiba Corp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の照合方法。
JP2012198764A (ja) * 2011-03-22 2012-10-18 Glory Ltd 貨幣処理装置
CN102496662B (zh) * 2011-12-31 2013-11-13 保定天威英利新能源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不合格半成品的处理方法
JP6211519B2 (ja) * 2012-07-24 2017-10-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CN103116936B (zh) * 2013-01-11 2015-02-0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存取款一体机多钞箱联动进钞的协调控制方法及系统
CN104637156B (zh) 2015-03-06 2017-05-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转出控制方法、装置以及纸币存储设备
CN109716404A (zh) * 2016-09-28 2019-05-03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纸张处理设备以及纸张处理方法
JP6842177B2 (ja) * 2018-04-06 2021-03-17 旭精工株式会社 硬貨識別方法、硬貨識別システム及び硬貨識別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7509A1 (en) * 2000-06-20 2004-01-15 Herbert Gubbey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heet-like articles
JP2006072702A (ja) * 2004-09-02 2006-03-16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074B2 (ja) 1983-04-04 1994-08-24 株式会社東芝 区分集積装置
US6880692B1 (en) 1995-12-15 2005-04-19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processing
US6278795B1 (en) 1995-12-15 2001-08-21 Cummins-Allison Corp. Multi-pocket currency discriminator
EP1168254A3 (en) 1996-05-29 2002-02-06 Cummins-Allison Corporation Method an apparatus for document processing
JP3537697B2 (ja) * 1999-03-10 2004-06-1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整理機
JP2000259895A (ja) 1999-03-10 2000-09-22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整理機
SE0003455D0 (sv) * 2000-09-27 2000-09-27 Nybohov Dev Ab Sedelhanteringsmaskin samt anläggning för användning av sådan sedelhanteringsmaskin
DE10117822A1 (de) * 2001-04-10 2002-10-17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as Sortieren von Banknoten
JP4624058B2 (ja) * 2004-10-04 2011-02-0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機
US8220638B2 (en) * 2004-10-04 2012-07-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urrency sor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7509A1 (en) * 2000-06-20 2004-01-15 Herbert Gubbey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heet-like articles
JP2006072702A (ja) * 2004-09-02 2006-03-16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0942A1 (en) 2010-02-10
ES2580633T3 (es) 2016-08-25
TW200907863A (en) 2009-02-16
EP2150942B1 (en) 2016-05-11
KR20100017271A (ko) 2010-02-16
JP2010525475A (ja) 2010-07-22
CN101715590A (zh) 2010-05-26
CN101715590B (zh) 2013-05-01
KR20150093249A (ko) 2015-08-17
WO2008129293A1 (en) 2008-10-30
KR20160140986A (ko) 2016-12-07
KR101754051B1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51B1 (ko)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166133B2 (ja) 紙幣取扱装置
EP1962249B1 (en) Bank bill payment processing machine
EP2101301B1 (en)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EP0807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documents
JP2000503956A (ja) セパレータカードを用いた半連続通貨処理のための方法
US9495844B2 (en) Money handling machine, money handling system and money handling method
US11055679B2 (en) Bunch document recycler
CN106469484B (zh) 货币处理装置
US11276263B2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CN105528827B (zh) 纸张类处理装置
JP4184933B2 (ja) 現金処理装置
WO2014171040A1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H08249524A (ja) 紙幣鑑別および複数枚検知方法
JP5463744B2 (ja) 券類処理装置及び方法
JP6928536B2 (ja) 紙幣処理システム
JP5215392B2 (ja) 有価ドキュメントを仕分けする方法
JP2015135560A (ja) 入出金装置
JP6644122B2 (ja) 貨幣処理機
WO20081292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rticles
JP2008065565A (ja) 現金処理装置
JP2020086537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H01220086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6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29

Effective date: 201612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