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970B1 -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970B1
KR101722970B1 KR1020150144912A KR20150144912A KR101722970B1 KR 101722970 B1 KR101722970 B1 KR 101722970B1 KR 1020150144912 A KR1020150144912 A KR 1020150144912A KR 20150144912 A KR20150144912 A KR 20150144912A KR 101722970 B1 KR101722970 B1 KR 10172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binding
frame
hole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용
Original Assignee
김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용 filed Critical 김낙용
Priority to KR102015014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도 일측 방향으로 전혀 일그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시켜 구비되는 하나의 프레임전개판(2)에, 3개의 분할공(15)에 의해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구비되고, 중앙에 각각 샤프트공(16)이 구비되는 상,하부프레임(11,13)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속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21)이 관통되는 결속공(22)이 구비되는 좌,우측프레임(13,14)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착편(23)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에는 외곽면부(17,17')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게 하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분할공(15)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18)이 각각 구비되게 하여 접힘공(18)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경사형접면부(18a)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외곽면부(17,17') 외측으로는 결착편(23)이 관통하는 결착공(24)이 있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연결부(19,19')가 구비되도록 절단되게 하는 4면부형성과정(S1)과, 상기 프레임전개판(2)의 연결부(19,19')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연결부절곡과정(S2)과, 상기 연결부(19,19')와 연결된 외곽면부(17,17')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외곽면부절곡과정(S2)을 갖는 전처리제조단계(T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9,19')가 절곡 되도록 좌,우측프레임부(12,14)를 하부프레임부(13) 방향으로 각각 절곡시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고,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속공(22)에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고,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착편(23)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는 1차결착과정(S4)과, 상기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샤프트공(16)에 댐퍼날개(30)의 날개축(31)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는 날개부결합과정(S5)과, 상기 하부프레임부(13)와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부(11)를 절곡되게 하여 연결부(19,19')가 절곡 되는 상태가 되면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상부프레임부(11)의 샤프트공(16)으로 날개축(31)이 삽입되어 관통되게 하고,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속공(22)에 상부프레임부(11)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고,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착편(23)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결합 되게 하는 2차결착과정(S6)과, 상기 결착공(22)으로 관통된 결착편(23)을 연결부(19,19') 방향으로 밀착되게 절곡되게 하는 마감결착과정(S7)을 갖는 후처리제조단계(T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용접 댐퍼하우징을 이용한 댐퍼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The damper housing and weld-fre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m}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제조되는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용으로 사용되는 댐퍼하우징은 4면을 각각 별개로 구비한 다음에 접면 되는 부분을 각각 용접을 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용접시에 용접가스 발생 및 용접부위를 브러쉬로 소제 할 때 분진이 발생 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위의 변색부분을 커버 하기 위해서 페인팅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과 같이 용접을 하지 않고도 조립되는 댐퍼하우징이 개시되었으며, 상기 선행기술은 4개의 프레임을 각각 구비하여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구비하는 결착공에 상대적으로 조립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있는 결착편이 삽입된 후에 일측으로 결착편이 휘어지게 하여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조그마한 결착편에 의해서만 결착 되게 한 것이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는 결착력이 작용되지만 양측방향으로는 결착력이 약하므로 대퍼하우징 자체가 일측방향으로 일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견고하게 지탱하여야 하는 댐퍼하우징의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00199 B1 2014.05.28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도 일측 방향으로 전혀 일그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철판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시켜 구비되는 하나의 프레임전개판에, 3개의 분할공에 의해 상부프레임부와, 좌측프레임부와, 하부프레임부 및 우측프레임부가 구비되고, 중앙에 각각 샤프트공이 구비되는 상,하부프레임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속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이 관통되는 결속공이 구비되는 좌,우측프레임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착편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 양측에는 외곽면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게 하되, 각각의 프레임부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분할공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이 각각 구비되게 하여 접힘공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경사형접면부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외곽면부 외측으로는 결착편이 관통하는 결착공이 있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연결부가 구비되도록 절단되게 하는 4면부형성과정과, 상기 프레임전개판의 연결부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연결부절곡과정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외곽면부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외곽면부절곡과정을 갖는 전처리제조단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절곡 되도록 좌,우측프레임부를 하부프레임부 방향으로 각각 절곡시켜 접힘공의 경사형접면부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고, 좌,우측프레임부의 결속공에 하부프레임부에 있는 결속편이 삽입되고, 연결부에 있는 결착공에 좌,우측프레임부의 결착편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는 1차결착과정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있는 샤프트공에 댐퍼날개의 날개축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는 날개부결합과정과, 상기 하부프레임부와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부를 절곡되게 하여 연결부가 절곡 되는 상태가 되면서 접힘공의 경사형접면부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상부프레임부의 샤프트공으로 날개축이 삽입되어 관통되게 하고, 좌,우측프레임부의 결속공에 상부프레임부에 있는 결속편이 삽입되고, 연결부에 있는 결착공에 좌,우측프레임부의 결착편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결합 되게 하는 2차결착과정과, 상기 결착공으로 관통된 결착편을 연결부 방향으로 밀착되게 절곡되게 하는 마감결착과정을 갖는 후처리제조단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용접 댐퍼하우징을 이용한 댐퍼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결착과정에 결속공으로 관통된 결속편을 도구로 타격하여 코킹걸림턱이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철판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 및 절곡시켜 3개의 분할공에 의해 각각 상부프레임부와, 좌측프레임부와, 하부프레임부 및 우측프레임부가 구비되게 하되, 중앙에 샤프트공과 양측에 한쌍의 결속편이 있는 상,하부프레임부과, 상기 결속편과 대응하여 관통되는 결속공과 양측에 한쌍의 결착편이 있는 좌,우측프레임부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분할공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 및 경사형접면부가 있는 외곽면부와, 상기 외곽면부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고 결착편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착공이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도록 프레임전개판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부 방향으로 좌,우측프레임부를 절곡시키고 상부프레임부가 좌,우측프레임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호 각각 대응하는 결속편이 결속공에 삽입되어 관통되고, 결착편은 결착공에 관통되어 결착편 끝단부가 연결부에 밀착되게 절곡되도록 하여 사각형태로 구성되는 댐퍼하우징의 각각의 프레임부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무용접 댐퍼하우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공으로 관통된 결속편을 도구로 타격하여 코킹걸림턱이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도 일측 방향으로 전혀 일그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댐퍼하우징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용접으로 제조되는 댐퍼를 제공하게 되므로 용접가스나 분진 및 페인팅 유해 냄새등 없고 작업공수가 절감되므로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고 튼튼하고 원가절감이 도모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 제조과정을 나타낸 전체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4면부형성과정에 의해 제조된 프레임전개판의 평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를 설명하는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처리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댐퍼하우징의 전개된 사시도,
도 5의 (a)는 도 4에 나타낸 댐퍼하우징의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처리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1차결착과정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날개부결합과정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차결합과정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10의 (a),(b)는 본 발명의 마감결착과정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처리제조단계(T1)로서 먼저 4면부형성과정(S1)이 실시된다.
상기 4면부형성과정(S1)은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미도시됨)에 의해서 하나의 프레임전개판(2)이 절단되게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시켜 형성되는 전개프레임(2)은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최종적으로 댐퍼하우징(10)이 제조 완료되었을 때,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라고도 명칭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들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각각의 분할공(15)이 형성되게 절단됨으로써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형성되게 절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와 하부프레임부(13) 중앙에는 샤프트공(16)이 각각 형성되게 절단되고,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속편(21)이 형성되게 절단된다.
그리고 좌측프레임(12)과 우측프레임(14)의 양측에는 한쌍의 결속편(21)이 각각 관통하는 결속공(22)이 구비되게 절단되고, 좌측프레임(12)과 우측프레임(14)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착편(23)이 형성되게 절단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으로는 외곽면부(17,17')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게 절단되어 구비되고, 상기 외곽면부(17,17')에는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V자형태의 접힘공(18)이 각각 구비되도록 형성되게 절단됨으로써 접힘공(18)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경사형접면부(18a)를 갖도록 절단되는 것이다.
물론, 상부프레임부(11) 및 우측프레임부(14) 외측 부분의 외곽면부(17,17')에는 하나의 경사형접면부(18a)만 형성되는 것이며, 이들 경사형접면부(18a)는 나중에 서로 접촉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외곽면부(17,17') 외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연결부(19,19')를 구비하도록 절단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8)에는 결착편(23)이 관통하는 결착공(24)이 구비되도록 절단된다.
즉, 본 발명은 제1과정으로서,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시켜 구비되는 하나의 프레임전개판(2)에, 3개의 분할공(15)에 의해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구비되고, 중앙에 각각 샤프트공(16)이 구비되는 상,하부프레임(11,13)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속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21)이 관통되는 결속공(22)이 구비되는 좌,우측프레임(13,14)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착편(23)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에는 외곽면부(17,17')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게 하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분할공(15)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18)이 각각 구비되게 하여 접힘공(18)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경사형접면부(18a)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외곽면부(17,17') 외측으로는 결착편(23)이 관통하는 결착공(24)이 있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연결부(19,19')가 구비되도록 절단되게 하는 4면부형성과정(S1)이 실시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제2과정으로 연결부절곡과정(S2)이 실시된다.
연결부절곡과정(S2)은,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 및 하부프레임부(13)과 우측프레임부(14)가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19,19')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서 도 3의 (a)와 같은 프레임전개판(2) 상태에서 가압하여 도 3의 (b)와 같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과정이다.
다음, 제3과정으로 외곽면부절곡과정(S3)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V형태의 접힘공(18)이 있는 외곽면부(17,17')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서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제3과정의 외곽면부절곡과정(S3)이 완료되면 평면상태의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 및 하부프레임부(13)과 우측프레임부(14) 양측에 외곽면부(17,17')가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상태가 되고, 상기 외곽면부(17,17') 하단부 내측으로 연결부(19,19')가 수평상태로 구비되는 상태가 된다.
도 2에서 프레임전개판(2)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2과정 및 제3과정에 절곡 되는 절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처리제조단계(T1)가 완료되면 도 4 및 도 5와 같은 상태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장에서 전처리제조단계(T1)이 실시되어 다수의 프레임전개판(2)을 제조하게 되고, 공장 또는 댐퍼가 설치되는 현장에서 후처리제조단계(T2)가 실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후처리제조단계(T2)는 먼저 1차결착과정(S4)이 실시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1차결착과정(S4)은 하부프레임부(13) 양측에 있는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를 하부프레임부(13) 방향으로 각각 절곡시켜 상호 직각상태가 되도록 결착 되게 하는 과정이다. 물론, 이때 좌측프레임부(12)를 먼저 절곡시킨 다음에 우측프레임부(14)를 절곡시켜 하부프레임부(13)와 각각 결착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부(19,19')가 절곡 되는 상태가 되면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에 각각 있는 결속공(22)에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틀어짐이 없이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가 하부프레임부(13)에 정확하게 결합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에 있는 결착편(23)이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 날개부결합과정(S5)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샤프트공(16)에 댐퍼날개(30)의 날개축(31)이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과정이다. 물론 댐퍼날개(30)는 사전에 제작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2차결착과정(S6)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부(11)를 하부프레임부(13)와 마주하도록 연결부(19,19')를 절곡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부(19,19')가 절곡 되는 상태가 되면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상부프레임부(11)의 샤프트공(16)으로 날개축(31)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에 각각 있는 결속공(22)으로 상부프레임부(11)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틀어짐이 없이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에 상부프레임부(11)가 정확하게 결합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프레임부(12) 및 우측프레임부(14)에 있는 결착편(23)이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끼워져서 관통되는 상태로 결합 되는 것이다.
다음, 마감결착과정(S7)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착공(22)으로 관통된 결착편(23)을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도 10의 (b)와 같이 연결부(19,19') 방향으로 밀착되게 절곡 되게 함으로써 연결부(19,19')와 좌,우측프레임부(12,14)가 분리되지 않도록 완전히 결착 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결착편(23)을 연결부(19,19') 방향으로 밀착되게 하는 것 만으로도 본 발명은 견고한 상태를 갖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공(22)으로 관통된 결속편(21)을 정과 같은 도구(P)를 이용하여 타격 되게 함으로써 도 10의 (b)와 같이 코킹걸림턱(21a)이 형성되게 함에 따라 좌,우측프레임부(12,14)와 상,하부프레임부(11,13)가 상호 견고하게 결착 되게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7과정인 마감결착과정(S7)을 1차 및 2차 결착과정(S4,S5)에서 실시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완성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축(31)에 정역모터(M)를 연결하거나 또는 핸들(미도시됨)를 연결하여 댐퍼날개(3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 및 절곡시켜 3개의 분할공(15)에 의해 각각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구비되게 하되, 중앙에 샤프트공(16)과 양측에 한쌍의 결속편(21)이 있는 상,하부프레임부(11.13)과, 상기 결속편(21)과 대응하여 관통되는 결속공(22)과 양측에 한쌍의 결착편(23)이 있는 좌,우측프레임부(12,14)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분할공(15)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18) 및 경사형접면부(18a)가 있는 외곽면부(17,17')와, 상기 외곽면부(17,17')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고 결착편(23)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착공(24)이 있는 연결부(19,19')를 구비하도록 프레임전개판(2)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부(13) 방향으로 좌,우측프레임부(12,14)를 절곡시키고 상부프레임부(11)가 좌,우측프레임부(12,14) 방향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호 각각 대응하는 결속편(21)이 결속공(22)에 삽입되어 관통되고, 결착편(23)은 결착공(24)에 관통되어 결착편(23) 끝단부가 연결부(19,19)에 밀착되게 절곡되도록 하여 사각형태로 구성되는 댐퍼하우징(10)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가 연결부(19,19')에 의해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무용접 댐퍼하우징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각형태로 구성되는 댐퍼하우징(10)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가 연결부(19,19')에 의해 일체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하우징(10)이 어느 일측 방향으로 일그러지지 않게 됨으로써 견고하기 때문에 댐퍼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용접으로 제조되는 댐퍼를 제공하게 되므로 용접가스나 분진 및 페인팅 유해 냄새등 없고 작업공수가 절감되므로 작업자의 건강 훼손이 미연에 방지되고 튼튼하고 원가절감이 도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프레임부(11,13)의 길이(크기)를 크게 하고 샤프트공(16)을 다수 형성시켜 다수의 댐퍼날개(30)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부호 32는 연동편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을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실시 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평철판 2:프레임전개판
10:댐퍼하우징 11:상부프레임부
12:좌측프레임부 13:하부프레임부
14:우측프레임부 15:분할공
16:샤프트공 17,17':외곽면부
18:접힘공 18a:경사형접면부
19,19':연결부 21;결속편
21A:코킹걸림턱 22:결속공
23:결착편 24:결착공
30:댐퍼날개 31:날개축
T1:전처리제조단계 T2:후처리제조단계
S1:4면부형성과정 S2:연결부절곡과정
S3:외곽면부절곡과정 S4:1차결착과정
S5:날개부결합과정 S6:2차결착과정
S7:마감결착과정

Claims (4)

  1.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시켜 구비되는 하나의 프레임전개판(2)에, 3개의 분할공(15)에 의해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구비되고, 중앙에 각각 샤프트공(16)이 구비되는 상,하부프레임(11,13) 양측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속편(21)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편(21)이 관통되는 결속공(22)이 구비되는 좌,우측프레임(13,14)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결착편(23)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에는 외곽면부(17,17')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게 하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분할공(15)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18)이 각각 구비되게 하여 접힘공(18)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경사형접면부(18a)가 구비되게 하고, 상기 외곽면부(17,17') 외측으로는 결착편(23)이 관통하는 결착공(24)이 있고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연결부(19,19')가 구비되도록 절단되게 하는 4면부형성과정(S1)과;
    상기 프레임전개판(2)의 연결부(19,19')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연결부절곡과정(S2)과;
    상기 연결부(19,19')와 연결된 외곽면부(17,17')를 프레스절곡금형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는 외곽면부절곡과정(S2)을 갖는 전처리제조단계(T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9,19')가 절곡 되도록 좌,우측프레임부(12,14)를 하부프레임부(13) 방향으로 각각 절곡시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고,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속공(22)에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게 하는 1차결착과정(S4)과;
    상기 하부프레임부(13)에 있는 샤프트공(16)에 댐퍼날개(30)의 날개축(31)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는 날개부결합과정(S5)과;
    상기 하부프레임부(13)와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부(11)를 절곡되게 하여 연결부(19,19')가 절곡 되는 상태가 되면서 접힘공(18)의 경사형접면부(18a)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접혀지게 되는 동시에 상부프레임부(11)의 샤프트공(16)으로 날개축(31)이 삽입되어 관통되게 하고,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속공(22)에 상부프레임부(11)에 있는 결속편(21)이 삽입되게 하는 2차결착과정(S6)과;
    상기 결속공(22)으로 관통된 결착편(23)을 연결부(19,19') 방향으로 밀착되게 절곡되게 하는 마감결착과정(S7)을 갖는 후처리제조단계(T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1차결착과정(S4) 및 2차결착과정(S6)에 각각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착편(23)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결합되게 하여 상,하부프레임(11,13)과 연결부(19,19') 사이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양단부가 각각 게재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댐퍼하우징을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2. 삭제
  3. 평철판(1)을 프레스금형으로 절단 및 절곡시켜 3개의 분할공(15)에 의해 각각 상부프레임부(11)와, 좌측프레임부(12)와, 하부프레임부(13) 및 우측프레임부(14)가 구비되게 하되, 중앙에 샤프트공(16)과 양측에 한쌍의 결속편(21)이 있는 상,하부프레임부(11.13)과, 상기 결속편(21)과 대응하여 관통되는 결속공(22)과 양측에 한쌍의 결착편(23)이 있는 좌,우측프레임부(12,14)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분할공(15)과 연통되는 V자형태의 접힘공(18) 및 경사형접면부(18a)가 있는 외곽면부(17,17')와, 상기 외곽면부(17,17') 하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고 결착편(23)과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착공(24)이 있는 연결부(19,19')를 구비하도록 프레임전개판(2)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부(13) 방향으로 좌,우측프레임부(12,14)를 절곡시키고 상부프레임부(11)가 좌,우측프레임부(12,14) 방향으로 절곡되게 하여 상호 각각 대응하는 결속편(21)이 결속공(22)에 삽입되게 관통되도록 하여 사각형태로 구성되는 댐퍼하우징(10)의 각각의 프레임부(11,12,13,14)가 연결부(19,19')에 의해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되게 하되,
    상기 연결부(19,19')에 있는 결착공(24)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결착편(23)이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하여 상,하부프레임(11,13)과 연결부(19,19') 사이에 좌,우측프레임부(12,14)의 양단부가 각각 게재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댐퍼하우징


  4. 삭제
KR1020150144912A 2015-10-16 2015-10-16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KR10172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12A KR101722970B1 (ko) 2015-10-16 2015-10-16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12A KR101722970B1 (ko) 2015-10-16 2015-10-16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970B1 true KR101722970B1 (ko) 2017-04-18

Family

ID=5870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12A KR101722970B1 (ko) 2015-10-16 2015-10-16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88B1 (ko) * 2005-12-12 2007-04-06 조진택 함체 제조방법
KR101400199B1 (ko) * 2013-11-11 2014-05-28 임승식 공조용 댐퍼 하우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88B1 (ko) * 2005-12-12 2007-04-06 조진택 함체 제조방법
KR101400199B1 (ko) * 2013-11-11 2014-05-28 임승식 공조용 댐퍼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6917A1 (en) Vehicle body component
WO2007095138A3 (en) Tool and method for joining sidelapped joints of deck panels
JP4607481B2 (ja) T型継手を摩擦攪拌接合する方法、摩擦攪拌接合方法、およびt型継手
JP5386375B2 (ja) 車両シートのシート構造を形成する組立方法及びシート構造
BE1022539A9 (nl) Hoekstuk voor het onder een rechte hoek aan elkaar verbinden van metalen profielen, combinatie van metalen profielen en een dergelijk hoekstuk, kader voor een raam of deur en gebruik van een dergelijk hoekstuk.
KR101722970B1 (ko) 무용접 댐퍼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댐퍼제조방법
CN103476999B (zh) 从扁平片状金属生产矩形或正方形壁元件的方法及由此生产的壁元件
CA2784872A1 (en) Furniture assembly modules
JP5558633B2 (ja) 嵌め込み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筐体
CN110709185B (zh) 用于形成凹形附接部分的方法和具有凹形附接部分的部件
KR101274751B1 (ko)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
US20060272379A1 (en) Crimping tool
JP6244095B2 (ja) ドア枠の連結構造
JP2008306960A (ja) シート止め材のt形ジョイント
JP5995264B2 (ja) 外装材の施工に用いられる工具、及び、施工方法
KR101480480B1 (ko)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ITVI20110179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elemento per il collegamento degli elementi tubolari componenti una struttura ed elemento di collegamento realizzato tramite tale metodo
KR101102861B1 (ko) 금속판의 체결 구조
JP5785652B1 (ja) 建具用枠体の取付金具
JP3808065B2 (ja) 建築用連結材
KR20150002921U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구
JP2916184B2 (ja) 壁パネルの枠体の製造方法
JP6742169B2 (ja) ガスケット挿入方法及びガスケット挿入用治具
KR20120115660A (ko) 프로파일 조립용 스프링 너트
JP4949045B2 (ja) 木造建築部材用連結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