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844B1 -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844B1
KR101722844B1 KR1020150108103A KR20150108103A KR101722844B1 KR 101722844 B1 KR101722844 B1 KR 101722844B1 KR 1020150108103 A KR1020150108103 A KR 1020150108103A KR 20150108103 A KR20150108103 A KR 20150108103A KR 101722844 B1 KR101722844 B1 KR 10172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pper support
clamping element
lower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544A (ko
Inventor
이영웅
Original Assignee
(주)유승
이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승, 이영웅 filed Critical (주)유승
Priority to KR102015010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8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29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with exchangeable die part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분리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구비되어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지지대, 하부 지지대 또는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금형의 부재에 하부 지지대 또는 상부 지지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부 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수 있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형 분리장치는 상부 지지대가 승하강함에 따라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금형을 각각의 부재들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MOLD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금형 분리장치 및 금형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형 주조장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 수평 분할 금형에 구획 형성되는 제품 캐비티에 유지로 내부의 용융 금속을 스토크를 통해 주입하여 주물 제품을 제조한다.
금형 주조장치에서 상부 금형은 기대(基台)에 재치(載置)되는 유지로의 주변에 세워 설치된 4개의 프레임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걸쳐져 설치된 상부 다이 베이스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프레임 지주에 고정되는 하부 다이 베이스상의 하부 금형과 함께 제품 캐비티를 구획 형성하도록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하여 접촉시키는 동작과, 상하 금형 사이에 코어세팅 및 제품 취출용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금형을 상승시키는 동작 모두가, 상기 상부 다이 베이스의 승강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금형은, 상하 또는 좌우로 서로 분할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금형의 수리나 보수 등을 위하여 금형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된 금형, 즉 2개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 시킨 상태에서 금형을 서로 분리해야 한다. 이때 서로 조립되어 매달린 2개의 금형에 외력을 가하여 서로 분리한 후, 수리가 가능하도록 분리된 금형의 위치를 변경한다. 다음으로 2개의 금형을 조립이 가능하도록 위치를 변경시킨 후, 2개의 금형을 서로 조립한다.
따라서 금형 보수 시 금형의 분리는2개의 금형을 작업자가 상당 크기의 동봉(헤머) 등으로 타격, 파이프를 이용하여 분리하여야 하는바, 분리하는 과정에서 몸을 구부린 자세로 무리한 힘을 주어 반복적인 타격 시 골근격계 질환과 분리된 금형에 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한국 특허 10-2013-0090581호에서는 금형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캠 타입 툴 펀칭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금형의 분리 시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금형을 안정적으로 각각 하나씩 복수의 부재로 분리시키기 위한 금형 분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금형을 안정적으로 각각 하나씩 복수의 부재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금형 분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분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지지대, 상기 하부 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부재에 상기 하부 지지대 또는 상부 지지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기 상부 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수 있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금형을 복수의 부재들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은 제1부재, 제2부재 및 제3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1클램핑 요소, 상기 하부 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2클램핑 요소 및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3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3클램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 분리장치는 상기 금형과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된 클램핑 요소가 금형의 부재와 맞물리는 위치 보정을 위한 높이 보정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형 분리장치를 이용한 분리방법은,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이 하부 지지대 상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부 지지대 아래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된 하부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하부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된 상부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상부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대가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가 분리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기 상부 지지대 아래에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하부 클램핑 요소와 상기 하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기 상부 지지대 아래로 복귀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하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클램핑 요소와 상기 상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은 복수의 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금형을 안정적으로 각각 하나씩 복수의 부재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은 작업자의 골근격계 질환의 예방 및 산업 안전 사고의 예방 효과와 금형 분리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1은 금형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2는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금형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3은 도1의 금형 분리장치의 하부 지지대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4는 도1의 금형 분리장치의 상부 지지대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5는 하부 지지대 및 상부 지지대에 구비된 클램핑부와 금형이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은 상부 지지대가 금형의 부재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7은 하부 지지대가 레일을 따라 상부 지지대 아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8은 금형이 분리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9는 높이 보정요소를 포함한 금형 분리장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10은 금형 분리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금형 분리장치(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도2는 복수 개의 부재(210, 220, 230)로 이루어진 금형(200)의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3은 도1의 금형 분리장치(100)의 하부 지지대(120)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4는 도1의 금형 분리장치(100)의 상부 지지대(130)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5는 하부 지지대(120) 및 상부 지지대(130)에 구비된 클램핑부(140)와 금형(200)이 맞물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6은 상부 지지대(130)가 금형(200)의 부재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7은 하부 지지대(120)가 레일(150)을 따라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8은 금형이 분리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9는 높이 보정 요소(160)를 포함한 금형 분리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10은 금형 분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분리장치(100)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금형(2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120),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프레임(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지지대(130),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에 구비되어 금형(200)의 부재에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140) 및 상부 지지대(13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수 있는 리프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형 분리장치(100)는 상부 지지대(130)가 승하강함에 따라 복수 개의 부재(210, 220, 230)로 이루어진 금형(200)을 각각의 부재들(210, 220, 230)로 분리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수직의 직립 상태로,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하부 지지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상부 지지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을 따라서 상부 지지대(130)는 하부 지지대 (120) 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금형(200)은 복수 개의 부재(210, 220, 230)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부재(210, 220, 230)로 조립된 금형은 유지 보수 등을 위하여 각각의 부재(210, 220, 230)들로 분리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금형(200)은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형(200)을 이루는 부재의 수는 한 개 이상일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크기 또한 다양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20)는 금형(200)의 분리 등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위치된다. 하부 지지대(120)는 일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하부 지지대(120)의 크기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형(200)의 크기에 대응한 다양한 크기와 직방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할 클램핑부(140)에 의하여 금형(200)의 하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120)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30)는 상기 하부 지지대(120)의 위에서 수직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30)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하부 지지대(120)와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대(130)의 이동은 프레임(110)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승강 시 그 높이 제한은 프레임(110)의 길이에 따른다. 다만,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는 금형(200)의 높이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는바, 상부 지지대(130)가 승강할 수 있는 높이 또한 금형(200)의 높이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클램핑부(140)는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부(140)는 금형(200)의 부재와 맞물려 금형의 부재를 상기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140)는 금형(200)의 부재의 수에 대응하여 쌍을 이루는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형 분리장치(100)는 복수 개의 클램핑 요소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각각의 클램핑 요소들은 좌우로 이동하면서 개별적으로 금형(200)의 부재들과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금형 분리장치(100)는 프레임(110)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대(130)를 하부 지지대(120) 위에서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는 리프팅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의 구동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압 또는 전기 등에 의하여 동작되는 실린더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른 구동원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클램핑부(140)는 쌍을 이루는 클램핑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하부 지지대(120)에는 제1클램핑 요소(141) 및 제2클램핑 요소(142)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 지지대(130)에는 제3클램핑 요소(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클램핑 요소(141)는 하부 지지대(120)의 양 사이드 전후에 두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클램핑 요소(142)는 하부 지지대(120)의 양 사이드 정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제3클램핑 요소(143)는 상부 지지대(130)의 양 사이드 전후에 두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램핑 요소(141, 142, 143)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개별적으로 금형(200)의 각각의 부재들(210, 220, 230)과 맞물리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70)는 제1스위치(171), 제2스위치(172), 제3스위치(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에 의하여 제1클램핑 요소(141)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고, 제2스위치에 의하여 제2클램핑 요소(142)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스위치에 의하여 제3클램핑 요소(143)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스위치(171) 내지 제3스위치(173) 각각에 의하여 제1클램핑 요소(141) 내지 제3클램핑 요소(143)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각각의 클램핑 요소가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금형(200)의 제1부재(210) 내지 제3부재(230)와 각각 맞물릴 수 있다.
다만, 클램핑 요소의 수와 구비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분리되어야 하는 금형(200) 부재들의 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금형(200)이 네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에 제4 클램핑 요소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위치는 하부 지지대(120) 또는 상부 지지대(130)의 양 사이드의 어느 일 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금형 분리장치(100)의 작동을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금형 분리장치(100)의 하부 지지대(120) 위에 금형(200)이 제공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171)의 조작으로 인하여 제1클램핑 요소(141)는 하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금형(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부재(210)의 홈에 맞물릴 수 있고, 제2스위치(172)의 조작에 의하여 제2클램핑 요소(142)는 하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금형(200)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2부재(220)의 홈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하여, 금형(200)의 하부를 하부 지지대(12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스위치(173)의 조작에 의하여 제3클램핑 요소(143)는 상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금형(2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부재(230)의 홈에 맞물려 금형(200)의 상부를 상부 지지대(13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또는, 하부 지지대(120)에서 제1클램핑 요소(141)은 작동하지 않고, 제2스위치(172)에 의하여 제2클램핑 요소(142)만 작동하여 제2부재(220)와 맞물림으로써 금형(200)의 하부가 하부 지지대(120)에 고정될 수 도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금형 분리장치(100)의 상부 지지대(130)가 제3클램핑 요소(143)에 의하여 금형(200)의 제3부재(230)과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는 경우, 제3부재(230)는 금형(200)의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금형 분리장치(100)은 리미티트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상부지지대(130)가 제3부재(230)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였을 때, 제3부재를 결속함으로써 제3부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대(130)는 제2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제3부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20)는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50)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대(120)는 금형(200)의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지지대(120)는 제1 레버에 의하여 상기 레일(15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20)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클램핑 요소(141)와 제1부재(210)의 맞물림 및 제2클램핑 요소(142)와 제2부재(220)의 맞물림은 각각 제1스위치(171) 및 제2스위치(172)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는 하부 지지대(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하부 지지대(120)는 다시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지지대(130)는 프레임(110)을 따라 하부 지지대(120) 쪽으로 하강될 수 있고, 제3부재(230)가 하부 지지대(12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제3클램핑 요소(143)와 제3부재(230)의 맞물림은 제3스위치(173)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하부 지지대(120)는 제3부재를 수용한 상태에서 다시 레일(150)을 따라 프레임(110)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3부재(230)는 금형(200)으로부터 분리되어 금형 분리장치(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3부재(230)가 금형 분리장치(100)으로부터 제거된 후 상부 지지대(130)가 다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고, 하부 지지대(120)는 레일(150)을 따라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제3부재가 금형(2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부재 및 제2부재로 이루어진 금형(200)의 일부 또한 상기와 같은 금형 분리장치(100)의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각각 제1부재와 제2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금형 분리장치(100)의 금형 분리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금형(200)이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금형 분리장치(100)의 하부 지지대(120) 위에 금형(200)이 제공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171)의 조작으로 인하여 제1클램핑 요소(141)는 하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금형(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부재(210)의 홈에 맞물릴 수 있고, 제2스위치(172)의 조작에 의하여 제2클램핑 요소(142)는 하부 지지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금형(200)과 맞물리지 않는다. 그리하여, 금형(200)의 하부를 하부 지지대(12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스위치(173)의 조작에 의하여 제3클램핑 요소(143)는 상부 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금형(2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부재(230)의 홈에 맞물려 금형(200)의 상부를 상부 지지대(13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제2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금형 분리장치(100)의 상부 지지대(130)가 제3클램핑 요소(143)에 의하여 금형(200)의 제3부재(230)과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는 경우,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는 결합된 상태로 금형(200)의 제1 부재(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금형 분리장치(100)는 리미티트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상부지지대(130)가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였을 때,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를 결속함으로써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미티드 스위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20)는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50)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대(120)는 금형(200)의 제1부재(210)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지지대(120)는 제1 레버에 의하여 상기 레일(15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
하부 지지대(120)가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클램핑 요소(141)와 제1부재(210)의 맞물림은 제1스위치(171)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제1부재(210)는 하부 지지대(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하부 지지대(120)는 다시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지지대(130)는 프레임(110)을 따라 하부 지지대(120) 쪽으로 하강될 수 있고, 제2 부재(220) 및 제3부재(230)가 하부 지지대(12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제2 스위치(172) 조작에 의하여 제2 클램핑 요소(142)는 제2 부재(220)와 맞물려 상기 제2 부재(220)를 하부 지지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상부 지지대(130)가 제3클램핑 요소(143)에 의하여 금형(200)의 제3부재(230)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는 경우, 제3부재(230)는 금형(200)의 제2부재(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3부재(230)가 금형(2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부재(220)와 제3 부재(230)는 상기와 같은 금형 분리장치(100)의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각각 제2부재(220)와 제3부재(230)로 분리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금형(200)을 이루는 부재의 크기에 따라 클램핑 요소와 금형(200)의 부재의 맞물리는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금형 분리장치(100)는 하부 지지대(120)에 구비된 클램핑 요소가 금형(200)의 부재와 맞물리는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높이 보정 요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 보정 요소(160)로 금형(200)의 하부를 받침으로써, 하부 지지대(120)에 구비된 클램핑 요소와 금형(200)의 부재의 홈이 완벽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맞물리는 위치의 보정이 가능하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분리장치(100)을 이용하여 금형(200)을 분리방법은,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이 하부 지지대(120) 상에 제공되는 단계(S100), 하부 지지대(120)가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이동되는 단계(S200), 하부 지지대(120)에 구비된 하부 클램핑 요소가 금형의 하부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S300), 상부 지지대(130)에 구비된 상부 클램핑 요소가 금형의 상부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S400), 상부 지지대(130)가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여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가 분리되는 단계(S500), 하부 지지대(120)가 상부 지지대(130) 아래에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는 단계(S600), 하부 클램핑 요소와 하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S700), 하부 지지대(120)가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복귀하고 상부 지지대(130)가 프레임(110)을 따라 하강하는 단계(S800) 및 상부 클램핑 요소와 상기 상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이 하부 지지대(120) 상에 제공되면, 하부 지지대(120)는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50)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대(120)에 구비된 하부 클램핑 요소가 금형의 하부 부재와 맞물려 하부 지지대(120)와 하부 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대(130)에 구비된 상부 클램핑 요소는 금형의 상부 부재와 맞물려 상부 지지대(130)와 상부 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클램핑 요소는 상기 금형 분리장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클램핑 요소 또는 제2 클램핑 요소일 수 있으며, 상부 클램핑 요소는 제3 클램핑 요소일 수 있다.
그 후, 상부 지지대(130)가 상부 부재와 고정된 상태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여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이 후에, 하부 지지대(120)가 프레임(110)에 구비된 레일(150)을 따라 상부 지지대(130) 아래에서부터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이동하여, 분리된 하부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하부 클램핑 요소와 하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고, 분리된 하부 부재는 금형 분리장치(10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 후, 하부 지지대(120)는 다시 상부 지지대(130) 아래로 복귀되고, 상부 지지대(130)는 프레임(110)을 따라 하강하여 상부 부재가 하부 지지대(120) 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상부 클램핑 요소와 상부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분리된 상부 부재가 하부 지지대(120) 상에 놓인 상태에서, 하부 지지대(120)는 레일(150)을 따라 다시 프레임(110)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 분리된 상부 부재는 금형 분리장치(100)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금형 분리방법은 상기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금형이 세 개 이상의 부재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단계를 거쳐 금형의 최상단의 부재가 분리되어 금형 분리장치(100)로부터 제거된 후, 상기 단계를 다시 반복하여 금형의 나머지 부재들 또한 순차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금형의 분리 시 금형을 작업자가 헤머 등으로 타격하여 분리할 필요가 없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금형에 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금형 분리장치
110 : 프레임
120 : 하부 지지대
130 : 상부 지지대
140 : 클램핑부
141 : 제1 클램핑 요소
142 : 제2 클램핑 요소
143 : 제3 클램핑 요소
150 : 레일
160 : 높이 보정 요소
170 : 제어부
171 : 제1스위치
172 : 제2스위치
173 : 제3스위치
180 : 리프팅부
190 : 레버부
191 : 제1 레버
192 : 제2 레버
200 : 금형
210 : 제1부재
220 : 제2부재
230 : 제3부재

Claims (5)

  1.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금형을 분리하기 위한 금형 분리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지지대;
    상기 하부 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의 부재에 상기 하부 지지대 또는 상부 지지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 및
    상기 상부 지지대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킬수 있는 리프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되는 제1클램핑 요소, 제2클램핑 요소; 및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되는 제3클램핑 요소;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핑 요소는 상기 금형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부재에 맞물리고, 상기 제2클램핑 요소는 상기 금형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2부재에 맞물리며, 상기 제3클램핑 요소는 상기 금형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부재에 맞물리고,
    상기 상부 지지대가 제3클램핑 요소에 의하여 상기 금형의 상기 제3 부재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금형의 제1 부재 및 제2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가 상기 금형의 상기 제3 부재와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와 결속되어 상기 제3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리미티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금형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금형 분리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과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된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부재와 맞물리는 위치 보정을 위한 높이 보정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금형 분리장치.
  5. 금형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금형이 하부 지지대 상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부 지지대 아래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된 제1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비된 제2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2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대에 구비된 제3 클램핑 요소가 상기 금형의 최상단에 위치한 제3 부재와 맞물리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대가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금형의 제3 부재가 상기 금형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리미티드 스위치가, 상기 상부 지지대가 상기 금형의 상기 제3 부재와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와 결속되어 상기 제3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기 상부 지지대 아래에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상기 제1 클램핑 요소 및 상기 제2 클램핑 요소가 각각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대가 상기 상부 지지대 아래로 복귀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하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클램핑 요소와 상기 제3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형 분리방법.
KR1020150108103A 2015-07-30 2015-07-30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72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03A KR101722844B1 (ko) 2015-07-30 2015-07-30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03A KR101722844B1 (ko) 2015-07-30 2015-07-30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44A KR20170014544A (ko) 2017-02-08
KR101722844B1 true KR101722844B1 (ko) 2017-04-03

Family

ID=5815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03A KR101722844B1 (ko) 2015-07-30 2015-07-30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8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328A (ja) * 2000-04-28 2001-11-06 Fuji Die Cast Seisakusho:Kk 金型開閉装置
JP2003033856A (ja) * 2001-07-19 2003-02-04 Toshiba Mach Co Ltd 金型鋳造装置
JP2009148770A (ja) 2007-12-18 2009-07-09 Isuzu Seisakusho:Kk 鋳造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21B1 (ko) * 2004-04-08 2008-10-23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해 이동시키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주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328A (ja) * 2000-04-28 2001-11-06 Fuji Die Cast Seisakusho:Kk 金型開閉装置
JP2003033856A (ja) * 2001-07-19 2003-02-04 Toshiba Mach Co Ltd 金型鋳造装置
JP2009148770A (ja) 2007-12-18 2009-07-09 Isuzu Seisakusho:Kk 鋳造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44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2708A1 (en) Method, lifting and stacking apparatus and circulation line casting apparatus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JP5456062B2 (ja) タークスヘッドスタンド
CN107921529B (zh) 铸造装置
JPWO2005072892A1 (ja) カウンタプレッシャ鋳造機
KR101722844B1 (ko) 금형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0830411B1 (ko) 거푸집용 세퍼타이 제조장치
CN106040826A (zh) 汽车冲孔模具
JP2005282096A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組立方法、トンネル内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解体方法、トンネル内の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に対する昇降装置及び昇降機構
JP5742738B2 (ja) 多段プレス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21947A (ja) 成形装置
KR20160111179A (ko) 주름형 더스트 커버 성형장치
JP6684572B2 (ja) 鉄筋支持装置及び鉄筋組立方法
JP5666517B2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EP3458687B1 (en) Modular support member and method of installing a turbine assembly using the same
CN207481140U (zh) 一种模具
JP3712194B2 (ja) 水平割金型による金型鋳造の上金型操作方法
CN212495350U (zh) 一种消失模模具安装结构
CN216582948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生产的上料装置
KR101296875B1 (ko) 관용 연결링 제조 장치
CN217414340U (zh) 一种预制构件立模制作平台
JP4415154B2 (ja) タイヤ加硫装置における上金型の昇降ガイド装置
KR102442072B1 (ko) 진공성형기의 리프트 및 냉각 장치
CN110405126B (zh) 一种支撑环生产锻压装置
CN109226414B (zh) 用于生产核电用安注箱封头的工装
CN216612900U (zh) 一种盖模对中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