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44B1 -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0644B1 KR101720644B1 KR1020160122206A KR20160122206A KR101720644B1 KR 101720644 B1 KR101720644 B1 KR 101720644B1 KR 1020160122206 A KR1020160122206 A KR 1020160122206A KR 20160122206 A KR20160122206 A KR 20160122206A KR 101720644 B1 KR101720644 B1 KR 101720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s
- blade
- winglet
- axial
- axial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팁에서 발생하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대폭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허브부(10)와; 상기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20)의 바깥쪽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관체(30)와; 상기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윙렛부(41)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허브부(10)와; 상기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20)의 바깥쪽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관체(30)와; 상기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윙렛부(41)가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는 사류형 블레이드를 마련하고, 외주면에는 축류형 블레이드를 형성함과 동시에, 축류형 블레이드 끝단부에 윙렛부를 형성하여 팁에서 발생하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fan)은 여러가지 타입이 있는데,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축류팬인 경우,회전을 위한 구동수단인 모터와 연결되는 허브와, 이 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면서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류팬은 모터의 가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외기를 강제로 인입하여 축방향을 따라 송풍시켜서 환기 또는 냉각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종래의 축류팬은 공기 유동량은 송풍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송풍 압력을 높일 수 없어 멀리 보내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축류팬은 회전시 소음에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공기의 송풍시 축류형으로 유동이 이루어지는데, 축류형 블레이드의 팁에서 보오텍스(vortex)(와류)가 발생하여 블레이드 면에 비해 난류 운동 에너지 분포가 크게 나타난다.
이처럼 블레이드의 팁에서의 보오텍스로 인한 난류 유동 에너지가 커짐에 따라 소음이 저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외기에는 송풍압력이 큰 사류팬을 적용한 구조가 있는데, 이러한 사류팬은 공기를 송풍 압력에 의해 멀리 보낼 수 있지만, 많은 공기 유동량을 보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레이드 팁에서 발생하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대폭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와;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의 바깥쪽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형 블레이드의 끝단부에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윙렛부가 형성되는 이중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윙렛부는 축류형 블레이드의 압력면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윙렛부는 축류형 블레이드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 수록 완만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기재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사류형 블레이드를 마련하고, 외주면에는 축류형 블레이드를 형성함과 동시에, 축류형 블레이드 끝단부에 윙렛부를 형성하여 팁에서 발생하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좌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D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반단면도로서, 각각의 블레이드에 의해 유동하는 바람이 용이하게 혼합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축류형 블레이드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윙렛부의 형성 방향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윙렛부의 형성 패턴을 각 위치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2a의 좌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D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반단면도로서, 각각의 블레이드에 의해 유동하는 바람이 용이하게 혼합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축류형 블레이드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윙렛부의 형성 방향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윙렛부의 형성 패턴을 각 위치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배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1)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허브부(10)와, 상기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20)의 바깥쪽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관체(30)와, 상기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허브부(10)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와 연결되어서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고, 따라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감안하여 편의상 자세한 결합 구조는 생략하고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허브부(10)가 회전하면, 사류형 블레이드(20), 지지관체(30) 및 축류형 블레이드(40) 모두 동시에 하나의 회전체로서 회전하면서 송풍하게 된다.
또한, 허브부(10)는 한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1)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허브부(10)의 일단부(12)에서 타단부(13)쪽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허브부(10)의 일단부(12)는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량이 고르게 유입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30)는 단면상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과 공기가 빠져나가는 출구측의 직경이 동일하게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안쪽으로는 허브부(10)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팬(1)은 지지관체(30)의 안쪽에 위치하는 사류형 블레이드(20)가 회전시 고압의 바람을 생성하고,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에 의해 많은 공기 유량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축류형 블레이드(40)에 의해 생성되는 많은 공기 유량은 안쪽에 위치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에 의해 고압으로 송풍되어서 나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20)는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는데,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고, 경사진 각도(사류각)는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흐르는 속도 성분 외에도 반경방향으로의 속도 성분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반경방향의 속도성분은 이중팬(1)이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더 강한 속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중팬(1)을 통해 토출되는 바람이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되어서 바람을 강하게 송풍하게 되며, 이러한 사류형 블레이드(20)의 사류각(θ)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9도 ~ 35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류각 범위는 전산 최적화 작업을 통해 도출된 각도범위이다.
또한,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는 필요에 따라 정할 수 있는데,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간의 상대적인 형성 갯수는 서로 소(relatively prime)(서로 1 이외의 공약수를 가지지 않는 수)인 관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류형 블레이드(20)는 4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는 각각 5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갯수로 형성할 수 있다.
팬은 블레이드의 갯수가 많을 수록 더욱 부드러운 바람과 많은 공기 유량을 만들어내고, 이와 반대로 블레이드의 갯수가 적을 때에는 블레이드 하나의 면적을 넓혀서 더 높은 압력으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반대로, 사류형 블레이드(20)의 갯수는 5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갯수는 4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류형 블레이드(20)측에서는 블레이드의 갯수가 많아지므로 그 만큼 고압 송풍 효과가 저하되고, 축류형 블레이드(40)의 갯수는 오히려 감소되므로, 공기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만일,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를 서로 소인 관계로 형성하지 않으면, 블레이드 갯수가 공약수로 형성되면, 공약수의 형성 갯수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소음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지지관체(30)의 내부와 외부의 BPF(Blade Passing Frequency)가 중첩되어서 공진 현상으로 인해 소음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를 동일하게 하면서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면적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BPF는 같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소음이 증폭된다.
따라서, BPF는 블레이드의 갯수에 따른 함수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형성 갯수를 동일하게 마련하는 것은 팬 설계시 피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관체(30)는 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형성하지 않고 축류형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바람이 혼합되기 어렵게 되어 고유량의 바람을 높은 압력으로 송풍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형성하지 않고 축류형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중 구조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 및 가공에도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지지관체(30)의 내부에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형성하고, 지지관체(30)의 외부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마련하는 경우, 허브부(10)는 외주면이 직선면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축류형 블레이드(40)가 마련되고, 지지관체(30)는 한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그 외주면에 사류형 블레이드(20)를 마련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면 경사진 지지관체(30)의 좌측면에 결합된 사류형 블레이드(20) 일부분과 지지관체(30)의 우측면에 결합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일부분이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팬의 제작시, 사출성형 작업을 통해 제작을 하게 되는데, 사출성형 작업시 겹쳐지는 부분의 구조 때문에 사출성형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여 사실상 제조가 어려운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중팬(1)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적용할 수 있고,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조합에 의해 송풍능력이 향상되어서 여름철 냉방시 보다 효과적으로 냉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의 지지관체(30)의 내부에는 사류형 블레이드(20)를 형성하고,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는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형성하여 각각 형성되는 유동 공기가 잘 혼합되어서 최적의 송풍능력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 각각의 팁(tip) 부분에 윙렛부(winglet)(41)를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윙렛부(41)는 각각의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팁부분에서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팁부분에서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압력면(40a)에서부터 흡입면(40b)으로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동은 회전성분을 가지고 보오텍스를 형성하여, 이웃한 다음 블레이드에 충돌하거나 팬을 감싸고 있는 외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소음 및 유동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팁부분에 윙렛부(41)를 형성하여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팁부분에서 발생하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키고, 축류형 블레이드(40)의 팁을 넘어가는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윙렛부(41)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서 여러 면에서 볼때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윙렛부(41)의 형성각도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 기준선으로부터 각도(φ1)만큼 기울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각도(φ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부(10)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계하여 설정되는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도면에서 적색선)의 끝단부까지의 연장선이 중심 기준선이 되고, 이러한 중심 기준선(점선)으로부터 윙렛부(41)가 있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까지의 연장되는 직선(점선)간의 각도를 의미한다.
즉, 이중팬(1)을 정면에서 보았을때, 허브부(10)의 중심으로부터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도면상 적색선) 하나를 기준으로 윙렛부(41)가 형성된 축류형 블레이드(40)로 각도(φ1) 만큼 회전 이동 변화된 각도로 설정한 것이다.
도 3a는 이중팬(1)을 도 2a로부터 저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의 양 끝단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윙렛부(41)가 형성된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양 끝단부(리딩에지(leading edge))와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를 연결하는 직선간의 각도(φ2) 만큼 변화되어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미리 설계하여 설정한 윙렛부가 없는 하나의 축류형 블레이드(50)의 양 끝단부를 연결하여 연장되는 기준선으로부터 각도(φ2) 만큼 기울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a는 이중팬(1)을 도 2a로부터 좌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허브부(10)의 중심으로부터 각도(φ3) 만큼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도(φ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부(10)의 중심이면서 지지관체(30)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계되어 설정되는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의 끝단부(리딩에지)에서, 윙렛부(41)가 형성된 축류형 블레이드(40)로 회전 이동되어 변화된 각도이다.
도 2a에 있어서,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의 좌측 끝단부에서 우측 끝단부쪽으로 갈 수록 윙렛부(41)가 형성된 축류형 블레이드(40)와의 변화된 정도가 다른 것은 상기 3가지 각도(φ1)(φ2)(φ3)가 적용되어 윙렛부(41)가 형성된 축류형 블레이드(40)가 마련되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게 보이는 것이다.
한편, 상기 3가지 각도(φ1)(φ2)(φ3)는 전산 최적화 과정을 통해 각각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3가지 각도(φ1)(φ2)(φ3)의 최적치를 보면, 상기 각도(φ1)는 0.733도, 각도(φ2)는 1도, 각도(φ3)는 0.867도 설정하여 윙렛부(41)를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 적색선으로 도시한 윙렛부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50)는 상기 3가지 각도(φ1)(φ2)(φ3)의 설정 과정을 알기쉽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3가지 각도(φ1)(φ2)(φ3)에 의해 최적의 윙렛부(41)가 형성되어서 소음 저감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윙렛부(41)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압력면(40a) 방향으로 기울어져(휘어진 형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윙렛부(41)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전체 높이(L)에 대하여 0.8 위치인 0.2L만큼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윙렛부(41)의 형성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섹션 A-A선 부터 섹션 E-E선을 나타낸 도면이며, 섹션 A-A선 위치에서 E-E선으로 갈 수록 윙렛부(41)가 완만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축류형 블레이드(40)에서 윙렛부(41)의 휘어진 양이 전단(leading edge)에서 후단(trailing edge)으로 갈 수록 적게 휘어지는 패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윙렛부(41)의 구조는 상기 3가지 각도(φ1)(φ2)(φ3)가 동시에 적용되기 때문에 윙렛부(41)의 휘어진 정도가 하나의 축류형 블레이드(40) 전체 길이에 걸쳐서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윙렛부(41)의 패턴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전단에서 가장 큰 팁 보오텍스가 발생하고, 후단으로 갈 수록 블레이드의 끝단부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가 전단에서 발생하게 되는 것에 비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윙렛부(41)의 형성 패턴을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이면서 압력면(40a) 방향으로 윙렛부(41)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력면(40a)에서 흡입면(40b)으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성분으로 유동을 이끌고 가기 때문에, 고압의 바람을 만들어 내기 용이하다.
상기 윙렛부(41)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압력면(40a)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서 발생하는 보오텍스를 저감시킨다기 보다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안쪽으로 바람을 유도하여 다음 축류형 블레이드(4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오텍스를 미리 저감시켜서 소음 및 유동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누설 유량에 의한 팬의 유동 손실을 막아서 팬의 유동 손실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윙렛부(41)는 선속도가 가장 빠른 블레이드의 끝단부에 형성하여 유동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하므로, 허브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의 끝단부에 형성하는 것 보다는 이중팬(1)의 최외곽에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 별도로 윙렛부(41)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고,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윙렛부(41)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40)에 윙렛부(41)를 별개로 추가 형성하지 않아 그 만큼 무게 및 재료비가 증가하지 않게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이중팬
10 : 허브부
11 : 경사면
12 : 일단부
13 : 타단부
20 : 사류형 블레이드
30 : 지지관체
40 : 축류형 블레이드
40a : 압력면
40b : 흡입면
41 : 윙렛부
50 : 윙렛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
θ : 사류각
10 : 허브부
11 : 경사면
12 : 일단부
13 : 타단부
20 : 사류형 블레이드
30 : 지지관체
40 : 축류형 블레이드
40a : 압력면
40b : 흡입면
41 : 윙렛부
50 : 윙렛부 없는 축류형 블레이드
θ : 사류각
Claims (4)
- 허브부(10)와;
상기 허브부(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사류형 블레이드(20)와;
상기 사류형 블레이드(20)의 바깥쪽 끝단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관체(30)와;
상기 지지관체(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축류형 블레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형 블레이드(40)의 끝단부에는 팁 보오텍스를 저감시켜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하는 윙렛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윙렛부(41)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압력면(40a)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윙렛부(41)는 축류형 블레이드(4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 수록 완만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 삭제
- 삭제
-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이중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344 | 2016-01-21 | ||
KR20160007344 | 2016-01-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0644B1 true KR101720644B1 (ko) | 2017-03-28 |
Family
ID=5849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2206A KR101720644B1 (ko) | 2016-01-21 | 2016-09-23 |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064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2862A (ko) | 2018-08-24 | 2020-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
US11022140B2 (en) | 2018-09-04 | 2021-06-01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an blade winglet |
KR20220045783A (ko) * | 2020-10-06 | 2022-04-13 | 이상무 | 흡입력이 강화된 이중팬 |
CN115434959A (zh) * | 2022-09-23 | 2022-12-0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无叶风扇 |
KR20230030329A (ko) * | 2021-08-25 | 2023-03-06 | 탑에어주식회사 |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
KR102527926B1 (ko) * | 2022-05-18 | 2023-05-03 | 이주현 | 광촉매 메디아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1284A (ja) * | 1997-07-29 | 2001-01-30 | ヴァレ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軸流ファン |
JP2008240565A (ja) * | 2007-03-26 | 2008-10-09 | Mitsuba Corp | ファン |
KR101196493B1 (ko) | 2009-06-28 | 2012-11-01 |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 축류팬 |
-
2016
- 2016-09-23 KR KR1020160122206A patent/KR1017206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1284A (ja) * | 1997-07-29 | 2001-01-30 | ヴァレ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軸流ファン |
JP2008240565A (ja) * | 2007-03-26 | 2008-10-09 | Mitsuba Corp | ファン |
KR101196493B1 (ko) | 2009-06-28 | 2012-11-01 |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 축류팬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2862A (ko) | 2018-08-24 | 2020-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
KR102615039B1 (ko) * | 2018-08-24 | 2023-1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가전제품 |
US12038182B2 (en) | 2018-08-24 | 2024-07-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and home appliance |
US11022140B2 (en) | 2018-09-04 | 2021-06-01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an blade winglet |
KR20220045783A (ko) * | 2020-10-06 | 2022-04-13 | 이상무 | 흡입력이 강화된 이중팬 |
KR102453861B1 (ko) | 2020-10-06 | 2022-10-12 | 이상무 | 흡입력이 강화된 이중팬 |
KR20230030329A (ko) * | 2021-08-25 | 2023-03-06 | 탑에어주식회사 |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
KR102540638B1 (ko) | 2021-08-25 | 2023-06-07 | 탑에어주식회사 |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
KR102527926B1 (ko) * | 2022-05-18 | 2023-05-03 | 이주현 | 광촉매 메디아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
KR20230161321A (ko) * | 2022-05-18 | 2023-11-27 | 이주현 | 공기청정기용 광촉매 메디아모듈 |
KR102664427B1 (ko) | 2022-05-18 | 2024-05-09 | 이주현 | 공기청정기용 광촉매 메디아모듈 |
CN115434959A (zh) * | 2022-09-23 | 2022-12-06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无叶风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0644B1 (ko) | 윙렛 구조를 가지는 이중팬 및 이러한 이중팬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
WO2018126745A1 (zh) | 叶片、叶轮及风机 | |
JP5804348B2 (ja) | 遠心式送風機または斜流送風機に用いられるインペラ | |
US20150240645A1 (en) | Propeller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same | |
JP5230805B2 (ja) | 多翼送風機 | |
TWI484104B (zh) | 軸流式送風機 | |
JP6656372B2 (ja) | 軸流送風機 | |
JP2010185456A (ja) | 遠心式送風機または斜流送風機に用いられるインペラ | |
KR20180068901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US11274677B2 (en) | Blower assembly | |
US20230332615A1 (en) | Turbofa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
JP5722367B2 (ja) | 遠心送風機 | |
JPWO2017145370A1 (ja) | 送風装置 | |
JP2010090835A (ja) |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KR101616617B1 (ko) | 곡선형 블레이드들을 가지는 송풍기 | |
CN101140087A (zh) | 送风装置、空调机的室外机 | |
JP2012007473A (ja) | 貫流ファン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
JP2012072673A (ja) | 遠心ファンと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及び遠心ファンの金型 | |
WO2016181463A1 (ja) | 軸流送風機 | |
JP2010242597A (ja) | 軸流送風機及び空気調和機 | |
JP6109700B2 (ja) | 送風機 | |
JP2016003641A (ja) | 遠心ファン | |
KR20150137483A (ko) | 에어포일 형상의 후향깃 원심임펠러 | |
JP7217176B2 (ja) | 遠心送風機のブレード構造 | |
WO2017056874A1 (ja) |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